KR101846334B1 - 조립식 천정 - Google Patents

조립식 천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334B1
KR101846334B1 KR1020160174443A KR20160174443A KR101846334B1 KR 101846334 B1 KR101846334 B1 KR 101846334B1 KR 1020160174443 A KR1020160174443 A KR 1020160174443A KR 20160174443 A KR20160174443 A KR 20160174443A KR 101846334 B1 KR101846334 B1 KR 101846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er
ceiling
detachable
pair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열
Original Assignee
신일공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일공영(주) filed Critical 신일공영(주)
Priority to KR1020160174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8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grooves engaging with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42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a honeycomb co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천정은, 천정에 위치 고정된 복수의 전산 볼트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복수 열로 배치되는 분리형 티바; 분리형 티바의 하부에 끼워져 위치 고정되며,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한 쌍의 분리형 조이너 바; 한 쌍의 분리형 조이너 바의 측부에 외측 벽부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배치되는 복수의 천정 패널; 및 분리형 조이너 바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호 맞닿게 배치되는 복수의 천정 패널을 상호 연결하는 티형 조이너를 포함하며, 복수의 천정 패널의 하단부는, 위쪽 다른 영역보다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호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천정{ASSEMBLY TYPE CEILING}
본 발명은 조립식 천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을 마감 처리하기 위한 패널을 조립 설치할 수 있으며, 천정에서 패널의 분리가 용이한 조립식 천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용 파티션, 크린룸, 항온 항습실 및 강의실의 천정 부재로 사용되는 패널은 주로 샌드위치 패널(SANDWICHPANEL)이 사용된다. 샌드위치 패널은 통상적으로 일정한 모양으로 철판을 성형가공하고, 그 안에 단열재를 넣어 것이다.
이러한 패널은 용도에 따라 외장 패널과 내장 패널로 나눌 수 있으며, 사용되는 기능에 따라서 비난연 패널과,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1,2,3급)패널과 흡음패널 등 여러 가지로 나뉘고 있다.
일반 샌드위치 패널도 단열재의 재질에 따라서도 우레탄(URETHANE), 스티로폼(STYROFOAM), 그라스울(GLASSWOOL), 미네랄(MINERAL) 패널 등등의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분류되며, 표면에 쓰이는 강판의 종류별로도 각기 다른 형태나 명칭으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식 건축에 쓰이는 패널의 장점으로는 가격적인 측면으로 건축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단열이나 방음과 방습이 타건축 자재보다 뛰어나며, 개보수나 레이아웃 변경이 용이하고, 미적으로도 다양한 형태의 외형마감 건축이 가능하다.
기존의 천정을 형성하는 천정 패널은, 일부분의 천정 패널을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에도 전체 천정 패널을 분해해야 해서 교체 작업 시 시간과 노동력적인 부분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기존의 조립식 천정을 천정 시공에서는, 천정 패널들 사이의 틈새를 마감하기 위한 실리콘과 같은 물질을 패널들의 틈새 하부에 채워 넣는다. 이에 따라 실리콘과 같은 물질에서 불필요한 기체가 발생되었으며, 반도체 공정과 같이 클린 환경을 구축해야 하는 시설에서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천정 패널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천정 패널들 사이의 실리콘과 마감 처리가 제거되어 클린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조립식 천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천정은, 천정에 위치 고정된 복수의 전산 볼트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복수 열로 배치되는 분리형 티바; 상기 분리형 티바의 하부에 끼워져 위치 고정되며,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한 쌍의 분리형 조이너 바; 상기 한 쌍의 분리형 조이너 바의 측부에 외측 벽부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배치되는 복수의 천정 패널; 및 상기 분리형 조이너 바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호 맞닿게 배치되는 복수의 천정 패널을 상호 연결하는 티형 조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천정 패널의 하단부는, 위쪽 다른 영역보다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호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천정 패널은 하니콤 패널이며, 상호 맞닿는 하단부가 V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산 볼트의 하단부에는, 상기 분리형 티바의 상부에 결합되는 행거 세트가 연결되며, 상기 분리형 티바는, 상기 행거 세트가 결합되기 위한 상부 개구가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상부 개구 아래에 복수 층의 통로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하부에 하부 개구가 있으며, 하단 양쪽에 수평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천정 패널에 체결되는 수평 연결판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분리형 조이너 바는, 상기 분리형 티바의 최하부에 있는 통로부의 내벽부에 접촉되게 삽입되는 한 쌍의 상부 절곡 지지판; 및 상기 한 쌍의 상부 절곡 지지판에 수평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상부 절곡 지지판의 중앙 하부에서 상부가 상호 접촉되며, 하부가 상부에 대해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수평 절곡되어 하단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천정 패널의 외벽부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한 쌍의 하부 절곡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형 티바의 최하부 통로부의 측벽에서 상기 분리형 조이너 바의 상부 절곡 지지판 측으로 나사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티바의 최하부 통로부의 상면부에는 하방으로 향해 한 쌍의 상부 끼움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분리형 조이너 바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 끼움 돌기와 상기 최하부 통로부의 내벽부 사이에 끼움 가능한 끼움 편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티형 조이너는, 상기 복수의 천정 패널의 상호 마주하는 양쪽 상면부에 거치되는 조이너 수평판; 및 상기 조이너 수평판의 저면에서 상기 복수의 천정 패널의 한쪽에 지지되도록 상기 복수의 천정 패널 사이로 위치하는 조이너 수직판을 포함하며, 상기 조이너 수평판의 상부에서 상기 천정 패널 측으로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천정 패널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천정 패널들 사이의 실리콘과 같은 마감 처리가 제거되어 클린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천정의 설치 프레임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천정 패널이 조립된 일 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천정 패널 연결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리형 티바와 분리형 조이너 바의 조립도이다.
도 5는 도 1에 천정 패널이 조립된 다른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천정 패널 연결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티형 조이너이다.
도 8은 도 2의 천정 패널 분해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5의 천정 패널 분해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도면의 방향과 위치는 XYZ 직교 좌표계를 상정하여 설명하며, 상하좌우는 XY좌표 평면계와 일치하며, 전후좌우는 YZ 좌표의 평면계와 일치하는 것으로 상정한다. 실시예들의 도면에서 하부 요소들이 설명되지 않은 각각의 유닛, 모듈, 부, 부재는 각기 부여된 기능을 갖기 위한 통상적인 하부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하며, 도면에 도시된 하부 요소들에 제한하진 않는다. 도시되었으나 통상적으로 설명이 생략된 구성 요소들은 실시예들에 포함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특별히 정의된 용어를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한자, 국어 혹은 영어의 사전적인 의미 혹은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부합하는 속성을 가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포함한다, 구성된다, 또는 구비한다"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가질 수 있음을, "고정 및 구속된다"는 이동과 움직임이 제한됨을, "회전 및 힌지"는 대상 객체의 일부 혹은 전부가 회전하여 이동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4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천정은, 천정에 배치되는 분리형 티바(100), 분리형 티바(100)의 하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분리형 조이너 바(110), 한 쌍의 분리형 조이너 바(110)에 연결되는 복수의 천정 패널(120), 그리고 복수의 천정 패널(120)을 연결하는 티형 조이너(130)를 포함한다.
전산 볼트(10)의 하단부에는, 분리형 티바(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행거 세트(20)가 연결된다. 행거 세트(20)는 전산 볼트(10)의 하부에 연결되는 턴버클(30)과 연결된다. 이러한 행거 세트(20)는 분리형 티바(100)의 상판부의 상면부와 저면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 패널(40)과 고정 패널(40)을 분리형 티바(100)의 상판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하 한 쌍의 고정 너트(42)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형 티바(100)는 상기와 같은 복수의 행거 세트(20)에 의해 천정에 위치 고정된 복수의 전산 볼트(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복수 열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분리형 티바(100)는 행거 세트(20)가 결합되기 위한 상부 개구(101)가 상부에 마련되며, 상부 개구(101) 아래에 복수 층의 통로부(102a, 102b, 102c)가 마련되어 있으며, 하부에 하부 개구(105)가 있으며, 하단 양쪽에 수평 형상으로 마련되며 천정 패널(120)에 나사(141)에 의해 체결되는 수평 연결판(107)이 연결되어 있다.
분리형 티바(100)의 최상부에 행거 세트(20)가 연결되며, 최하부에 분리형 조이너 바(110)가 연결된다. 분리형 티바(100)의 최하부 통로부(102c)의 상면부에는 하방을 향해 한 쌍의 상부 끼움 돌기(108)가 마련된다.
분리형 티바(100)의 끼움 돌기(108)는 최하부 통로부(102c)의 상판 저면부에 연결된 한 쌍의 돌기 형상으로서, 양측에 분리형 조이너 바(110)의 상단부가 배치되기 위한 끼움 틈새를 제공할 수 있다.
분리형 조이너 바(110)는 한 쌍으로서, 분리형 티바(100)의 하부에 끼워져 위치 고정되며,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분리형 조이너 바(110)의 하부에 천정 패널(120)이 끼워져 위치 고정된다.
이러한 한 쌍의 분리형 조이너 바(110)는, 분리형 티바(100)의 최하부에 있는 통로부(102c)의 내벽부에 접촉되게 삽입되는 한 쌍의 상부 절곡 지지판(111)과, 한 쌍의 상부 절곡 지지판(111)에 수평 연결되며 한 쌍의 상부 절곡 지지판(111)의 중앙 하부에서 상부가 상호 접촉되며 하부가 상부에 대해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수평 절곡되어 하단부로 연장 형성되며 천정 패널(120)의 외벽부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한 쌍의 하부 절곡 지지판(1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3,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티바(100)의 최하부 통로부(102a, 102b, 102c)의 측벽에서 분리형 조이너 바(110)의 상부 절곡 지지판(111) 측으로 나사(140)가 체결됨으로써 분리형 티바(100)에 분리형 조이너 바(110)가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 절곡 지지판(111)은 분리형 티바(100)의 최하부 통로부(102c)의 내벽부에 접촉되어 배치된다. 이때 한 쌍의 분리형 조이너 바(110)의 상단부에는 분리형 티바(100)의 상부 끼움 돌기(108)와 최하부 통로부(102c)의 내벽부 사이에 끼움 가능한 끼움 편(117)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하부 절곡 지지판(115)은, 양측에서 대면하게 연결 배치되는 천정 패널(120)들 사이로 배치되며, 천정 패널(120)들의 외벽부에 있는 홈부(122)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천정 패널(120)들은 하부 절곡 지지판(115)의 돌출부에 홈부(122)가 끼워짐으로써 걸쳐져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천정 패널(120)들은 상하 사이의 중앙부에 하부 절곡 지지판(115)이 삽입되어 배치되기 위한 홈부(122)를 제공하는 외벽 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
천정 패널(120)은 한 쌍의 분리형 조이너 바(110)의 측부에 외측 벽부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천정의 하부에 격자형의 복수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분리형 티바(100)에 연결된 분리형 조이너 바(110)에 가로 혹은 세로 방향을 따라 연결부(126)가 상호 연결되며, 다른 교차 방향을 따른 연결부가 후술되는 티형 조이너(1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천정 패널(120)은 하니콤 패널이며, 복수의 천정 패널(120)의 하단부는 위쪽 다른 영역보다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호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복수의 천정 패널(120)의 하단부는 상호 맞닿는 하단부가 V형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천정 패널(120)의 하단부에는 천정의 하부 공간으로 이물질이나 불필요한 가스가 새어 나가는 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기능을 갖춘 차단 구조가 마련된다.
이때 천정 패널(120)의 하단부는 V형 구조로 마감 처리됨으로써 천정 패널(120)의 상호 맞닿는 외벽의 하단부가 그 아래의 하부 공간에 대해 차단될 수 있다. V형 마감부재(127)는 천정 패널(120)에 대해 상호 접촉 시 벌어지면서 밀착이 가능한 연질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천정 패널(120)의 하단부는 V형 구조뿐만 아니라, 천정 패널(120)들 사이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는 마감 구조이면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는, 하방으로 볼록한 구조, 혹은 위로 돌출된 구조 또한 가능하다. 천정 패널(120)들 사이를 차단할 수 있는 마감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실리콘과 같은 차단재의 사용에 따른 유해 가스의 발생 현상을 미리 제거할 수 있다.
도 5 내지 7과 도 9에는 티형 조이너에 의해 천정 패널이 연결된 천정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7과 도 9에 도시된 티형 조이너(130)는 분리형 조이너 바(110)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위치하며, 천정 패널(120)들의 상호 맞닿게 배치되는 연결부에서 복수의 천정 패널(120)을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티형 조이너(130)는, 복수의 천정 패널(120)의 상호 마주하는 양쪽 상면부에 거치되는 조이너 수평판(131), 조이너 수평판(131)의 저면에서 복수의 천정 패널(120)의 한쪽에 지지되도록 복수의 천정 패널(120) 사이로 위치하는 조이너 수직판(135)을 포함할 수 있다.
티형 조이너(130)는, 조이너 수평판(131)의 상부에서 천정 패널(120) 측으로 나사(143)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티형 조이너(130)의 한쪽 조이너 수평판(131)은, 한쪽의 천정 패널(120) 상에 거치되며, 다른 쪽의 조이너 수평판(131)은 천정 패널(120)에 나사(143)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조이너 수직판(135)이 복수의 천정 패널(12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티형 조이너(130)는 조이너 수평판(131)에 의해 천정 패널(120) 상에 거치되어 천정 패널(120) 사이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티형 조이너(130)에 의해 연결된 천정 패널(120)들의 하단부 또한 V형의 마감부재(127)로 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천정 패널(120)의 하단부 틈새가 차단된다. 천정 패널(120)의 하단부에는 상기와 같이 측방으로 돌출되어 한 쌍으로 V형상을 이루는 마감부재(127)가 구비된다.
한편, 도 8과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천정의 천정 패널의 분해 순서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천정 패널(120)은 양쪽에 대향하게 배치된 분리형 티바(100)와 분리형 조이너 바(110)의 나사(140, 141)를 풀어 분리함으로써 하방으로 분리가 가능해진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면, 천정 패널(120)의 다른 양쪽에 대향하게 배치된 티형 조이너(130)의 나사(143)를 천정 패널(120)로부터 풀어 분리함으로써 천정 패널(120)은 하방으로 분리가 완전히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천정 패널(120)의 상부 공간에 있는 라인 및 설비에 대한 수리가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 전산 볼트 20: 행거 세트 30: 턴버클
40: 고정 패널 42: 고정 너트
100: 분리형 티바 101: 상부 개구
102a, 102b, 102c: 통로부 105: 하부 개구
107: 수평 연결판 108: 끼움 돌기
110: 분리형 조이너 바 111: 상부 절곡 지지판
115: 하부 절곡 지지판 117: 끼움 편
120: 천정 패널 122: 홈부
125: 외벽 부재 126: 연결부
127: V형 마감부재 130: 티형 조이너
131: 조이너 수평판 135: 조이너 수직판

Claims (5)

  1. 전산 볼트의 하부에 턴버클로 연결되는 행거 세트가 결합되기 위한 상부 개구가 상부에 마련되며, 상부 개구 하부에 복수 층의 통로부가 마련되고, 하단 양측으로 돌출되어 천정 패널에 나사로 체결되는 수평 연결판이 마련되며, 최하부 통로부의 상면부에 조이너 바의 끼움편이 결합되는 한 쌍의 끼움 돌기가 마련되어 전산 볼트에 분리 가능하게 복수 열로 배치되는 분리형 티바;
    상기 분리형 티바의 최하부 통로부에 상부 절곡 지지판이 면접촉되면서 상단부에 끼움편이 돌출되어 분리형 티바의 끼움 돌기에 결합되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한 쌍의 분리형 조이너 바;
    상기 한 쌍의 분리형 조이너 바의 측부에 외측 벽부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배치되는 복수의 천정 패널; 및
    상기 분리형 조이너 바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호 맞닿게 배치되는 복수의 천정 패널 사이에 조이너 수직판이 위치하면서 천정 패널 양쪽 상면부에 거치되는 조이너 수평판의 상부에서 천정 패널 측으로 나사 체결되어 조립되는 티형 조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천정 패널의 하단부는, 위쪽 다른 영역보다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호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천정 패널 사이에 결합되면서 천정 패널 측면에 벌어지면서 밀착되어 마감하는 마감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천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천정 패널은 하니콤 패널이며, 상호 맞닿는 하단부가 V형으로 마련되는 조립식 천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분리형 조이너 바는, 상기 분리형 티바의 최하부에 있는 통로부의 내벽부에 접촉되게 삽입되는 한 쌍의 상부 절곡 지지판; 및
    상기 한 쌍의 상부 절곡 지지판에 수평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상부 절곡 지지판의 중앙 하부에서 상부가 상호 접촉되며, 하부가 상부에 대해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수평 절곡되어 하단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천정 패널의 외벽부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한 쌍의 하부 절곡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형 티바의 최하부 통로부의 측벽에서 상기 분리형 조이너 바의 상부 절곡 지지판 측으로 나사가 체결되는 조립식 천정.
  4. 삭제
  5. 삭제
KR1020160174443A 2016-12-20 2016-12-20 조립식 천정 KR101846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443A KR101846334B1 (ko) 2016-12-20 2016-12-20 조립식 천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443A KR101846334B1 (ko) 2016-12-20 2016-12-20 조립식 천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334B1 true KR101846334B1 (ko) 2018-04-06

Family

ID=61973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443A KR101846334B1 (ko) 2016-12-20 2016-12-20 조립식 천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3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3780A (zh) * 2021-03-26 2021-07-06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拼接式铝蜂窝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244B2 (ja) 1995-07-26 2000-03-06 富士電気化学株式会社 電池セパレータ製造・挿入装置
KR200466621Y1 (ko) * 2012-09-25 2013-04-26 신일공영(주) 천장판넬 조립장치
KR101325670B1 (ko) * 2012-06-20 2013-11-06 유은하 시공이 용이한 천장패널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244B2 (ja) 1995-07-26 2000-03-06 富士電気化学株式会社 電池セパレータ製造・挿入装置
KR101325670B1 (ko) * 2012-06-20 2013-11-06 유은하 시공이 용이한 천장패널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KR200466621Y1 (ko) * 2012-09-25 2013-04-26 신일공영(주) 천장판넬 조립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3780A (zh) * 2021-03-26 2021-07-06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拼接式铝蜂窝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9840B (zh) 模块式隔音屋
US4038796A (en) Wall panel assembly
US2873828A (en) Illuminated electric ceiling fixture construction
KR20090117289A (ko) 채널형 클립이 적용되는 테크 자재의 결합 시스템
KR101826888B1 (ko)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지지바 및 이를 구비한 건물구조체
KR101846334B1 (ko) 조립식 천정
KR20190001595U (ko) 논코킹 시스템 실링과 논코킹 시스템 벽체
KR101803723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2192046B1 (ko) 칸막이 연결구조
KR200466621Y1 (ko) 천장판넬 조립장치
KR100878145B1 (ko) 패널용 천장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패널 조립시스템
KR20130131153A (ko) 천정재 고정 시스템
KR20190015913A (ko) 건물의 벽체 마감재 설치용 고정 구조물
KR101947429B1 (ko) 조립식 외장벽
KR20170119093A (ko) 건물 벽체
JP7421399B2 (ja) 外壁構造
KR20020036692A (ko) 내차판넬
JP2020165211A (ja) 天井構造
KR101897458B1 (ko) 판넬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68484A (ko) 차음성을 향상한 조립식 벽체패널
KR102031114B1 (ko) 조립식 결합구조를 갖는 천정패널
KR101713301B1 (ko) 파티션 결합 장치
KR20020036690A (ko) 내차판넬
JPH03103555A (ja) 不燃性間仕切パネルおよびその固定構造
KR200163845Y1 (ko) 칸막이용 골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