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153B1 -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 - Google Patents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6153B1 KR101846153B1 KR1020170085810A KR20170085810A KR101846153B1 KR 101846153 B1 KR101846153 B1 KR 101846153B1 KR 1020170085810 A KR1020170085810 A KR 1020170085810A KR 20170085810 A KR20170085810 A KR 20170085810A KR 101846153 B1 KR101846153 B1 KR 1018461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latch
- base
- coupled
- open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E04F11/1804—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E04F2011/1806—Balcony guard with additional child safet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코니, 베란다 또는 창문과 같이, 외부로 통하는 개방공간을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에 사용될 수 있는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로서, 상기 개방공간의 상부와 맞닿는 상기 건축 구조물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상측 베이스와 상기 개방공간의 하부와 맞닿는 상기 건축 구조물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측 베이스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와이어가 관통될 수 있는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베이스와 상기 하측 베이스 각각에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지지부; 상기 상측 베이스에 결합된 상기 와이어 지지부와 상기 하측 베이스에 결합된 상기 와이어 지지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건축 구조물의 상기 개방공간을 망 형태로 폐쇄하는 와이어부 및 상기 와이어부의 길이와 장력을 조절하는 와이어 조절부를 포함하는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코니, 베란다 또는 창문 등의 개방공간이 있는 건축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는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 아파트나 상가 건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와 통하는 개방공간을 와이어로 간편하게 폐쇄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던 추락 방지 구조체는 창틀이나 난간에 여닫이식 안전망을 설치하여 고층 발코니, 베란다 또는 창문 등에서 일어날 수 있는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안전망은 개방이 쉽고, 약한 충격에도 찢어질 수 있어 아이들이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다른 추락 방지 구조체로서, 창틀에 고정 설치되고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의 견고한 방범봉을 설치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선행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7040호에 게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범봉은 쉽게 떨어지거나 파괴되지 않는 장점은 있지만, 설치와 해제가 용이하지 않고, 외관상 좋지 않은 인상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보다 안전하고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다양한 와이어 패턴을 구성할 수 있는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발코니 또는 베란다와 같이, 외부로 통하는 개방공간을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에 사용될 수 있는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로서, 상기 개방공간의 상부와 맞닿는 상기 건축 구조물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상측 베이스와 상기 개방공간의 하부와 맞닿는 상기 건축 구조물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측 베이스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와이어가 관통될 수 있는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베이스와 상기 하측 베이스 각각에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지지부; 상기 상측 베이스에 결합된 상기 와이어 지지부와 상기 하측 베이스에 결합된 상기 와이어 지지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건축 구조물의 상기 개방공간을 망 형태로 폐쇄하는 와이어부 및 상기 와이어부의 길이와 장력을 조절하는 와이어 조절부를 포함하는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발코니 또는 베란다와 같이, 외부로 통하는 개방공간을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에 사용될 수 있는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로서, 상기 개방공간의 좌측부와 맞닿는 상기 건축 구조물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좌측 베이스와 상기 개방공간의 우측부와 맞닿는 상기 건축 구조물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우측 베이스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와이어가 관통될 수 있는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베이스와 상기 우측 베이스 각각에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지지부; 상기 좌측 베이스에 결합된 상기 와이어 지지부와 상기 우측 베이스에 결합된 상기 와이어 지지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건축 구조물의 상기 개방공간을 망 형태로 폐쇄하는 와이어부 및 상기 와이어부의 길이와 장력을 조절하는 와이어 조절부를 포함하는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지지부는 아이 볼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지지부는 양측 베이스와 결합되는 위치가 대칭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는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면서 상기 와이어 지지부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조절부는, 일측이 제1 하우징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는 회전시 잡을 수 있도록 회전 손잡이가 장착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부의 일단이 고정 결합되는 고정 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부를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해주는 스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톱니 형상인 래치 기어; 및 상기 래치 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려서 상기 회전축이 구속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부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도록 설치된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풀과 상기 회전축은 제1 탄성체를 매개로 하여 결합되고, 상기 구속력이 해제된 경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탄성체가 가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벽에 설치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래치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래치의 일측은 상기 래치 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래치의 타측에는 상기 래치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해주는 래치 구동체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래치 구동체는 제2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과 상기 래치는 제2 탄성체를 매개로 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2 탄성체는 상기 래치 구동체가 힘을 받아 상기 래치가 상기 래치 기어와 맞물리지 않게 된 상태에서 탄성 바이어스 상태가 되며, 상기 래치 구동체에 가해진 힘이 해제된 경우, 상기 래치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래치가 상기 래치 기어와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보다 안전하고 구조체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다양한 와이어 패턴을 구성할 수 있는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와이어 구조체가 난간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와이어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절부를 나타낸 투영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절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와이어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절부를 나타낸 투영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절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가 난간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와이어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베이스부(100), 와이어 지지부(200), 와이어부(300), 와이어 조절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0)는 발코니, 베란다 또는 창문과 같이 외부로 통하는 개방공간을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의 일측과 이와 대향되는 타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0)는 개방공간의 하부와 맞닿는 건축 구조물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측 베이스(101)와 개방공간의 상부와 맞닿는 건출 구조물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상측 베이스(102)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태일 수도 있고, 천장과 바닥에 평행하게 펼쳐지는 플레이트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발코니, 베란다 또는 창문과 같이 추락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베이스부(100)의 횡방향의 길이는 외부와 개방된 공간의 횡방향 길이보다는 긴 것이 바람직하다.
난간(10)이나 창틀은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고 본 발명은 이 곳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베이스부(100)는 온도와 습도의 변화를 견딜 수 있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베이스부(100)는 내열성을 확보하고, 부식을 예방하기 위하여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SUS-304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도 3은 와이어 지지부(200)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와이어 지지부(200)는 몸체(210)와 지지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10)는 베이스부(10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는 부분이며, 지지체(220)는 와이어부(300)를 지지할 수 있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몸체(210)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어 베이스부(10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지지체(220)에는 관통되어 있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어, 와이어부(300)가 관통하면서 끼워질 수 있다. 몸체(210)의 지름과 몸체(210)에 형성된 나사산의 피치, 그리고 지지체(220)에 형성된 구멍의 모양, 크기 등은 당업자에게 용이한 범위 내에서 목적에 맞게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와이어 지지부(200)는 몸체(210)가 원기둥 형상이고, 지지체(220)는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아이 볼트일 수 있다. 와이어 지지부(200)는 내열성을 확보하고, 부식을 예방하기 위하여 스테인리스강(SUS)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SUS-304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와이어 지지부(200)는 상기 상측 베이스(102)와 하측 베이스(101)에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하게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 지지부(200)와 베이스부(100)간의 결합은 베이스부(100)에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곳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지지부(200)의 몸체(210)가 끼워지면서 결합될 수 있다. 상측 베이스(101)에 결합된 와이어 지지부(200)의 위치와 하측 베이스(102)에 결합된 와이어 지지부(200)의 위치는 대칭적일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와이어 지지부(200)의 위치는 와이어부(300)가 베이스부(100)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는 패턴을 다양하게 하기 위하여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부(300)는 와이어 지지부(200)의 지지체(220)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면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체(220)에 형성된 구멍의 단면적은 와이어부(300)의 단면적보다 커야 한다. 또한 와이어부(300)는 지지체(220)의 구멍을 관통하여 지지된 상태에서도 와이어부(300)가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야 하므로 지지체(220)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그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의 형상이 됨이 바람직하다. 와이어부(300)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와이어부(300)는 내열성을 확보하고, 부식을 예방하기 위하여 스테인리스강(SUS)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SUS-304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와이어 조절부(400)는 와이어부(300)가 인출되는 길이와 인출된 와이어부(3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와이어부(300)의 길이가 짧아서 외부로 통하는 개방공간을 전부 폐쇄할 수 없거나, 와이어부(300)의 장력이 약해서 와이어가 느슨해진다면, 달성하려는 목적을 이룰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조절은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와이어 조절부(400)의 구체적 구성과 그 연결관계를 서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표현하는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은 도 4 및 도 5를 기준으로 서술한다. 즉, 스풀(43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와이어부(300)는 스풀(430)에서 풀리면서 길이가 연장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와이어부(300)는 스풀(430)에 감기면서 길이가 단축된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방향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4는 와이어 조절부(400)에서 스풀(430)이 제외된 투영 사시도이고, 도 5는 와이어 조절부(400)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와이어 조절부(400)는 제1 하우징(401), 제2 하우징(405), 회전축(410), 래치 기어(420), 스풀(430), 래치(440)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401)은 회전축(410), 래치 기어(420), 스풀(430), 래치(440)를 내부에 실장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직육면체의 형상이나, 다른 다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401)의 한쪽면은 내부 구성을 조작할 수 있도록 열고 닫을 수 있는 제1 문체(402)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축(410)은 일측이 제1 하우징(401)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래치 기어(420) 및 스풀(430)이 회전축(410)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축(410)의 타측에는 축 홈(412)이 형성될 수 있고, 축 홈(412)은 육각, 오각, 사각, 다각 등의 모양이 될 수 있다. 축 홈(412)에는 회전축(4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손잡이(415)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410)을 회전 손잡이(415)를 이용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래치 기어(420)와 스풀(430)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이하에서는 편의상 회전축(410), 래치 기어(420), 스풀(430)을 하나의 "회전 구조체"로 지칭함). 다만 래치(440)의 상측인 스토퍼(441)가 래치 기어(420)의 톱니(421)에 맞물려있게 되면, 회전 구조체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구속력에 의하여 단속되고,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만 가능하다. 다시 말해, 래치 기어(420)의 톱니 구조상 래치 기어(420)는 래치(440)를 바깥쪽으로 밀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같은 원리에 의하여, 외부에서 와이어부(300)에 충격을 가하여 와이어부(300)가 인출되려는 방향으로 스풀(430)이 외력을 받으면 스풀(43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토크를 받게 되지만, 스토퍼(441)와 톱니(421)에 의하여 스풀(430)을 포함하는 회전 구조체는 회전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와이어부(300)는 외력에 의하여 와이어 조절부(400)에서 인출되지 못한다. 이 원리는 추락 방지의 기본적 원리가 될 수 있다.
스풀(430)은 원반 형상일 수 있고, 그 외주의 한 부분에 와이어부(300)의 일단이 고정 결합될 수 있는 고정 홈(431)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홈(431)에 와이어부(300)의 일단이 고정된 후에 스풀(430)이 회전하게 되면 와이어부(300)는 스풀(430)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와이어 조절부(400)로부터 인출된 길이가 단축, 연장될 수 있다.
스풀(430)에는 탄성을 갖는 제1 탄성체(432)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탄성체(432)는 스풀(430)과 회전축(410)을 일체로 결합시켜주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체(432)의 일단은 스풀(430)과 결합될 수 있고, 반대편 타단은 회전축(410)의 결합 홈(411)과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탄성체(432)는 스풀(43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441)가 톱니(421)에 맞물려 있지 않으면, 회전 구조체는 탄성력에 의해 일체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부(300)의 인출된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래치(440)는 제1 하우징(401)의 내벽에 설치되는 힌지축(44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래치(440)의 회전은 래치(440)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래치 구동체(442)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래치 구동체(442)는 래치(440)에게 토크를 제공할 수 있고, 래치 구동체(442)의 결합 위치는 힌지축(445)의 위치보다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래치 구동체(442)를 래치(440)쪽으로 밀어서 래치(4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래치(440)의 상측인 스토퍼(441)가 톱니(421)로부터 이탈되어 래치 기어(420)가 받고 있던 구속력이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속력이 해제되면 스풀(430)에 결합되어 있는 제1 탄성체(432)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 구조체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서 스풀(430)에 감겨있는 와이어부(300)가 풀리면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하우징(405)은 래치 구동체(442)를 내부에 실장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고, 한 면은 열고 닫을 수 있는 제2 문체(406)로 되어 있다. 래치 구동체(442)가 의도치 않게 래치(440)쪽으로 밀리게 되어 스토퍼(441)가 톱니(4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평상시에는 제2 문체(406)가 닫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구조체를 회전시켜서 와이어부(300)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서는 제2 문체(406)를 열어서 래치 구동체(442)를 래치(440)쪽으로 밀어야 한다.
힌지축(445)과 래치(440)는 제2 탄성체(미도시)를 매개로 하여 결합될 수 있다. 래치 구동체(442)에 힘을 가하여 래치(440)가 래치 기어(420)와 맞물려 있지 않은 상태가 되면, 제2 탄성체는 탄성 바이어스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래치 구동체(442)에 가하는 힘이 해제되면, 제2 탄성체는 래치(440)가 래치 기어(420)와 맞물리도록 래치(440)에게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탄성체가 탄성 바이어스 상태일 때, 래치 구동체(442)에 가하는 힘이 해제되면, 제2 탄성체는 래치(440)를 반시계 방향, 즉 스토퍼(441)가 톱니(421)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탄성력을 래치(440)에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래치 구동체(442)를 래치(440)쪽으로 계속 힘을 가하면서 밀고 있지 않으면, 스토퍼(441)는 톱니(421)에 맞물려 회전이 단속된다.
다만, 제2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래치(440)가 래치 기어(42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멈춤판(443)을 구비할 수 있다. 멈춤판(443)은 제1 하우징(401)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래치(440)가 반시계 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와이어 조절부(400)는 내열성을 확보하고, 부식을 예방하기 위하여 스테인리스강(SUS)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SUS-304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와이어 조절부(40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와이어부(300)의 일단에만 설치되어 있으나, 와이어부(300)의 양단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와이어부(300)의 일단에만 와이어 조절부(400)가 설치된다면, 와이어부(300)는 와이어 조절부(400)에서부터 인출되면서 연장되고, 인출된 와이어부(300)는 상측 베이스(102)와 결합된 와이어 지지부(200)와 하측 베이스(101)와 결합된 와이어 지지부(200)에 필요에 맞게 끼워진 후 반대편 일단이 와이어 지지부(200)에 체결될 수 있다. 와이어 조절부(400)가 와이어부(300)의 양단에 설치된다면 와이어 지지부(200)에 필요에 맞게 끼워진 후 양단이 모두 와이어 조절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와이어부(300)의 패턴 형성 방법에 대하여 서술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와이어부(300)의 구체적인 패턴 형성 방식을 설명한다. 와이어부(300)는 지그재그의 패턴을 형성하면서 와이어 지지부(200)에 지지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하측 베이스(101)의 좌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와이어 조절부(400)에서부터 인출되어 나온 와이어부(300)는 상측 베이스(102) 좌측 첫번째에 배치된 와이어 지지부(202a)에 지지된 후 하측 베이스(101)의 좌측 첫번째에 배치된 와이어 지지부(201a)에 지지되고, 다시 상측 베이스(102)의 좌측 두번째 배치된 와이어 지지부(202b)에 지지된다. 동일한 규칙으로 하측 베이스(101)에 배치된 와이어 지지부(200)들과 상측 베이스(102)에 배치된 와이어 지지부(200)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지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와이어부(300)는 마치 '∧'와'∨'의 반복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 6의 와이어부(300) 패턴 형성 방식을 서술한다. 도 6에 도시된 와이어부(300)는 하측 베이스(101)의 좌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와이어 조절부(400)에서부터 인출되어 나와서 상측 베이스(102)의 좌측에 배치된 와이어 지지부(202a)에 지지된 후, 수직 우향으로 연장되어 상측 베이스(102)에 배치된 이웃한 와이어 지지부(202b)에 지지되고, 다시 수직 하향으로 연장되어 하측 베이스(101)에 배치된 와이어 지지부(201a)에 지지된다. 동일한 규칙으로 하측 베이스(101)에 배치된 이웃한 와이어 지지부(201b)에 지지되어, 와이어 지지부(200)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지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와이어부(300)는 마치 'ㄷ'형상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한 형상의 반복 패턴으로 형성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 외에도 와이어부(300)가 와이어 지지부(200)에 지지되면서 만드는 패턴은 여러 가지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와이어부(300)의 패턴 뿐 아니라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여러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러가지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와이어 지지부(200)에 와이어부(300)가 여러 번 관통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한 내용은 외부와 통하는 개방공간을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개방공간의 상부와 맞닿는 건축 구조물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상측 베이스와 상기 개방공간의 하부와 맞닿는 건축 구조물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측 베이스를 설치하고 두 베이스(101,102)사이의 개방공간을 와이어부(300)가 와이어 지지부(200)에 의해 지지되면서 망 형태로 폐쇄하는 내용이다. 그러나 베이스는 상측과 하측에만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 개방공간의 좌측부와 맞닿는 건축 구조물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좌측 베이스와 개방공간의 우측부와 맞닿는 상기 건축 구조물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우측 베이스를 설치하고 좌측과 우측의 두 베이스 사이의 개방공간을 와이어부(300)가 와이어 지지부(200)에 의해 지지되면서 망 형태로 폐쇄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난간 100 : 베이스부
200 : 와이어 지지부 300 : 와이어부
400 : 와이어 조절부 401 : 제1 하우징
405 : 제2 하우징 410 : 회전축
420 : 래치 기어 430 : 스풀
440 : 래치
200 : 와이어 지지부 300 : 와이어부
400 : 와이어 조절부 401 : 제1 하우징
405 : 제2 하우징 410 : 회전축
420 : 래치 기어 430 : 스풀
440 : 래치
Claims (10)
- 발코니 또는 베란다와 같이, 외부로 통하는 개방공간을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에 사용될 수 있는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로서,
상기 개방공간의 상부와 맞닿는 상기 건축 구조물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상측 베이스와 상기 개방공간의 하부와 맞닿는 상기 건축 구조물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측 베이스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와이어가 관통될 수 있는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베이스와 상기 하측 베이스 각각에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지지부; 상기 상측 베이스에 결합된 상기 와이어 지지부와 상기 하측 베이스에 결합된 상기 와이어 지지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건축 구조물의 상기 개방공간을 망 형태로 폐쇄하는 와이어부 및 상기 와이어부의 길이와 장력을 조절하는 와이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조절부는, 일측이 제1 하우징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는 회전시 잡을 수 있도록 회전 손잡이가 장착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부의 일단이 고정 결합되는 고정 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부를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해주는 스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톱니 형상인 래치 기어; 및 상기 래치 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려서 상기 회전축이 구속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부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도록 설치된 래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풀과 상기 회전축은 제1 탄성체를 매개로 하여 결합되고, 상기 구속력이 해제된 경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탄성체가 가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
- 발코니 또는 베란다와 같이, 외부로 통하는 개방공간을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에 사용될 수 있는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로서,
상기 개방공간의 좌측부와 맞닿는 상기 건축 구조물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좌측 베이스와 상기 개방공간의 우측부와 맞닿는 상기 건축 구조물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우측 베이스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와이어가 관통될 수 있는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베이스와 상기 우측 베이스 각각에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지지부; 상기 좌측 베이스에 결합된 상기 와이어 지지부와 상기 우측 베이스에 결합된 상기 와이어 지지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건축 구조물의 상기 개방공간을 망 형태로 폐쇄하는 와이어부 및 상기 와이어부의 길이와 장력을 조절하는 와이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조절부는, 일측이 제1 하우징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는 회전시 잡을 수 있도록 회전 손잡이가 장착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부의 일단이 고정 결합되는 고정 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부를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해주는 스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톱니 형상인 래치 기어; 및 상기 래치 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려서 상기 회전축이 구속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부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도록 설치된 래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풀과 상기 회전축은 제1 탄성체를 매개로 하여 결합되고, 상기 구속력이 해제된 경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탄성체가 가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지지부는 아이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지지부는 양측 베이스와 결합되는 위치가 대칭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는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면서 상기 와이어 지지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
- 삭제
- 삭제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벽에 설치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래치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래치의 일측은 상기 래치 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래치의 타측에는 상기 래치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해주는 래치 구동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래치 구동체는 제2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과 상기 래치는 제2 탄성체를 매개로 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2 탄성체는 상기 래치 구동체가 힘을 받아 상기 래치가 상기 래치 기어와 맞물리지 않게 된 상태에서 탄성 바이어스 상태가 되며, 상기 래치 구동체에 가해진 힘이 해제된 경우, 상기 래치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래치가 상기 래치 기어와 맞물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5810A KR101846153B1 (ko) | 2017-07-06 | 2017-07-06 |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5810A KR101846153B1 (ko) | 2017-07-06 | 2017-07-06 |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6153B1 true KR101846153B1 (ko) | 2018-04-06 |
Family
ID=61973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5810A KR101846153B1 (ko) | 2017-07-06 | 2017-07-06 |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615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5518B1 (ko) * | 2019-03-18 | 2020-05-26 | 주식회사 택한 | 장경간 프레임 구조 |
KR102470259B1 (ko) * | 2022-07-22 | 2022-11-28 | (주)대한엔지니어링 | 투신자살 방지용 안전 펜스 |
KR102539800B1 (ko) * | 2023-01-02 | 2023-06-08 | (주)이알코리아 | 탄성을 이용한 월담과 투신 방지용 관절형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9281Y1 (ko) * | 2008-03-11 | 2010-06-28 | 최형준 | 목재의 휨 방지용 펜스 |
-
2017
- 2017-07-06 KR KR1020170085810A patent/KR10184615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9281Y1 (ko) * | 2008-03-11 | 2010-06-28 | 최형준 | 목재의 휨 방지용 펜스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5518B1 (ko) * | 2019-03-18 | 2020-05-26 | 주식회사 택한 | 장경간 프레임 구조 |
KR102470259B1 (ko) * | 2022-07-22 | 2022-11-28 | (주)대한엔지니어링 | 투신자살 방지용 안전 펜스 |
KR102539800B1 (ko) * | 2023-01-02 | 2023-06-08 | (주)이알코리아 | 탄성을 이용한 월담과 투신 방지용 관절형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6153B1 (ko) | 추락 방지용 와이어 구조체 | |
US5845696A (en) | Chain and cord safety device for adjustable blinds | |
US5553649A (en) | Blind apparatus | |
US9458664B2 (en) | Adjustable cord locker and window blind having such adjustable cord locker | |
US8695680B2 (en) | Disabling device for window treatment | |
AU2002249451A2 (en) | Child barriers | |
US8640762B2 (en) | Blind slat controller with braking function | |
US20160069131A1 (en) | Actuating device, especially for a shading system, for actuation with a string element | |
JP2005521815A (ja) | 閉鎖又は日除け設備のための補償スプリングに張力を加える機構 | |
DE60307868T2 (de) | Hubseilwickelvorrichtung für sonnenenergieabschirmvorrichtung | |
TWM527914U (zh) | 簾體安全繫繩構造 | |
EP2096229A1 (de) | Abstandhalter für Dickputzsystem | |
DE10316836A1 (de) | Elektrisch betätigbare Jalousie | |
ITTO941021A1 (it) | Dispositivo di sopporto e comando per una tenda a rullo. | |
KR200491252Y1 (ko) | 래칫버클 | |
EP2943098B1 (de) | Werkzeuglos montierbare haltevorrichtung für flächenelemente | |
DE102012203945B4 (de) | Horizontal-Jalousie | |
EP2450523A2 (de) | Antrieb für eine Verdunklungsvorrichtung | |
JP2005090196A (ja) | 昇降コード下端部固定機構 | |
KR102233497B1 (ko) | 문틈 간격 조절 장치 | |
KR20210067349A (ko) | 방충망 프레임이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잠금장치 | |
WO2015076330A1 (ja) | シャッター装置 | |
KR101883454B1 (ko) | 복합기능을 갖는 창호 | |
JP6182759B2 (ja) | シャッター装置 | |
KR101208563B1 (ko) | 장력 조절이 가능한 로프 연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