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563B1 - 장력 조절이 가능한 로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장력 조절이 가능한 로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563B1
KR101208563B1 KR1020110074026A KR20110074026A KR101208563B1 KR 101208563 B1 KR101208563 B1 KR 101208563B1 KR 1020110074026 A KR1020110074026 A KR 1020110074026A KR 20110074026 A KR20110074026 A KR 20110074026A KR 101208563 B1 KR101208563 B1 KR 101208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hollow pipe
connecting shaft
adjusting rod
skele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옥근
Original Assignee
(주)신흥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흥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신흥이앤지
Priority to KR1020110074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놀이시설과 같은 구조물의 뼈대에 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로프 연결구로서, 상기 뼈대를 관통하면서 형성되는 설치공; 좌우로 개구되며, 상기 설치공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내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중공 파이프;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의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연결고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공 파이프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중공 파이프의 내부로 상기 수나사부가 삽입되는 연결축; 상기 중공 파이프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중공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걸림턱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일측 단부로부터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간격 조정봉;을 포함하여 상기 연결고리에 묶이는 로프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력 조절이 가능한 로프 연결구{Device for rope coupling which having function of controlling tension}
본 발명은 놀이터 등에 설치되는 놀이시설에 사용되는 로프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장력 조절이 가능한 로프 연결구에 대한 기술이다.
놀이터에는 다양한 종류의 놀이시설들이 설치되지만 근래에는 로프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놀이시설들이 많이 보급되고 있다. 로프를 이용한 놀이시설들은 보통 기본 형태를 잡기 위한 뼈대들이 마련되고, 뼈대에 다수의 로프들을 연결하여 어린이들이 로프를 타고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다.
첨부되는 도 1은 공지의 로프를 이용한 놀이기구들의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반원형 뼈대를 지면에 고정 설치하고 다수의 로프를 연결하는 형태가 있고, 두 개의 반원형 뼈대를 서로 교차시키면서 지면에 고정하여 구조물을 만들고 로프를 연결하는 형태가 있고, 혹은 직립되게 하나의 뼈대를 지면상에 세우고 이 뼈대를 중심으로 다수의 로프를 엮어 뼈대와 지면을 로프로 연결하기도 한다.
도 2는 공지의 로프 놀이기구에 적용되는 로프 연결구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을 이루는 뼈대(10)는 내부가 빈 중공 파이프와 같은 것으로 만들어지며, 뼈대(10)의 외면 소정 위치에 로프(20) 연결을 위한 체결구(30)가 마련된다. 뼈대(10)를 따라 다수의 체결구(30)가 형성되며, 각 체결구(30)는 뼈대(10)를 감싸는 두개의 반원체(31)가 볼트(32)에 의해 결합되면서 뼈대(10)에 밀착 고정된다. 그리고 어느 일측 반원체(31)에 로프 연결을 위한 연결고리(33)가 결합된다. 보통 연결고리(33)는 반원체(31)에 암나사를 형성시키고 연결고리(33)에 수나사를 형성하여 체결시키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로프 체결구(30)는 뼈대(10) 외면을 반원체(31)가 감싸도록 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반원체(31)가 뼈대에 완전히 고정되지 못하고 미끄러져 내리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반원체(31)가 완전히 노출되기 때문에 미관이 좋지 않게 되고, 누구라도 쉽게 반원체(31)를 고정시키는 볼트(32)를 조정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놀이기구에 사용되는 로프(20)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러 요인에 의해 장력이 변하게 되는데, 기존의 로프 체결구(30)로는 이러한 장력변화에 적절히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놀이시설과 같은 구조물의 뼈대에 로프를 연결시킴에 있어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로프의 체결위치가 변하지 않으며, 로프의 장력을 쉽게 조정할 수 있는 로프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부분의 요소들이 뼈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보다 우수한 로프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아이들이 장난삼아 로프의 체결구조를 조작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로프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로프 연결구는, 뼈대를 관통하면서 형성되는 설치공; 좌우로 개구되며, 상기 설치공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내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중공 파이프;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의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연결고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공 파이프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중공 파이프의 내부로 상기 수나사부가 삽입되는 연결축; 상기 중공 파이프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중공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걸림턱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일측 단부로부터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간격 조정봉;을 포함하여 상기 연결고리에 묶이는 로프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간격 조정봉의 타측 단부에 렌치 결합부가 형성되어 렌치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축의 돌출 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축의 수나사부에는 고정용 너트가 체결되어 상기 연결축의 돌출 정도가 조정된 후 상기 뼈대에 상기 고정용 너트가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연결구는 구조물을 이루는 뼈대의 원하는 위치에 로프를 견고하게 고정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그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고, 로프의 장력이 변하는 경우에도 간편하게 로프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뼈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작기 때문에 외관이 깔끔하고 일반인이나 아이들이 로프 연결구를 조작하기가 용이치 않아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공지의 로프를 이용한 놀이기구들의 예시도.
도 2는 공지의 로프 놀이기구에 적용되는 로프 연결구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프 연결구를 일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프 연결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프 연결구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수직방향 단면 구성도.
도 6 및 도 7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프 연결구의 결합 관계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연결구는 로프가 사용되는 각종 놀이기구를 비롯하여 기타 각종 시설물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대표적으로 놀이터에 주로 시설되는 놀이기구를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프 연결구를 일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프 연결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프 연결구의 결합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도 4의 수직방향 단면 구성도이다.
놀이기구와 같은 구조물의 뼈대(100)는 직선형 파이프나 곡선형 파이프 등이 될 수 있고, 뼈대(100)에 로프(200)를 연결하기 위해 적당한 위치에 뼈대(100)를 관통하는 설치공(110)이 형성된다.
설치공(110)에 중공 파이프(300)가 삽입 고정되며, 중공 파이프(300)는 좌우로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공 파이프(300)의 내부에는 내경이 감소되면서 걸림턱(31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중공 파이프(300) 내부에 형성되는 걸림턱(310)의 위치는 중공 파이프(300)의 전체 길이 중 후술될 연결축(400)이 삽입되는 단부측에 보다 인접한 위치가 되는 것으로 한다.
설치공(110)에 삽입되는 중공 파이프(300)는 용접을 통해 완전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 파이프(300)의 일 측을 통해 삽입되는 연결축(400)은 수나사부(410)와 연결고리(420)로 이루어진다. 수나사부(410)의 일측 단부에 연결고리(420)가 형성되며, 연결고리(420)에 로프(200)가 묶이게 되고, 수나사부(410)가 중공 파이프(300) 내부로 삽입된다. 후술될 간격 조정봉(500)과의 결합 정도에 의해 연결축(400)의 외부로의 돌출 정도가 달라지며, 연결고리(420)는 항상 중공 파이프(300) 외부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중공 파이프(300)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축(400)의 수나사부(410)는 걸림턱(310)을 관통하면서 삽입되며, 수나사부(410)는 간격 조정봉(500)에 형성되는 암나사(510)와 나사 결합된다.
간격 조정봉(500) 역시 중공 파이프(300) 내부로 삽입되며, 연결축(400)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인 중공 파이프(300)의 타측으로부터 삽입된다. 중공 파이프(300) 내부로 삽입되는 간격 조정봉(500)의 일측 단부는 걸림턱(31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가 되며, 간격 조정봉(500)의 일측 단부에 암나사(51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간격 조정봉(500)의 암나사(510)와 연결축(400)의 수나사부(410)가 서로 나사 결합되면서 하나의 뭉치를 이루게 된다. 간격 조정봉(500)의 타측 단부는 적어도 중공 파이프(300)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간격 조정봉(500)의 최대 길이는 걸림턱(310)의 형성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간격 조정봉(500)의 일측 단부로부터 형성되는 암나사(510)의 깊이는 최대한 깊게 하여 연결축(400)의 돌출 정도를 폭 넓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축(400)이 간격 조정봉(500)과 결합되고, 간격 조정봉(500)은 걸림턱(31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연결축(400)의 연결고리(420)에 묶이게 되는 로프(200)의 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연결축(400)과 간격 조정봉(500)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나사 결합되는 연결축(400)과 간격 조정봉(500)의 결합 정도는 연결축 또는 조정캡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른 하나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즉, 연결축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간격 조정봉을 회전시키거나, 또는 간격 조정봉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연결축의 연결고리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간격 조정봉(500)의 타측 단부에는 렌치 결합부(5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렌치 결합부를 통해 연결축(400)과 간격 조정봉(500)의 결합 정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간격 조정봉(500)은 중공 파이프(30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수도 있기 때문에 렌치 결합부(520)에 렌치홈(521)이 더욱 구비될 수도 있다.
연결축(400)의 수나사부(410)에는 연결축(400)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는 고정용 너트(600)가 체결된다. 고정용 너트(600)를 연결축,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고리(420)의 단부로부터 어느 정도의 간격만큼 이격시켜 체결할지 여부는 완전히 임의 사항이다. 고정용 너트(600)는 중공 파이프(3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외경은 중공 파이프 내경보다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용 너트(600)를 연결축(400)에 체결하여 돌출 정도를 조절한 다음, 고정용 너트(600)가 체결된 상태로 연결축(400)을 중공 파이프(300)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용 너트가 걸림턱(310)과 밀착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간격 조정봉(500)을 연결축(400)과 나사 결합시키면 연결축(400)과 간격 조정봉(500)은 뼈대(100)에 고정되어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이지 않게 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700은 마개이다. 상기 마개는 다양한 재질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연결구의 구체적인 결합 구성을 도 6 및 도 7 각각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놀이기구의 뼈대(100)에 로프(200)가 연결될 위치를 선정하여 설치공(110)을 형성시키도록 하며, 놀이기구의 형태에 따라서 하나의 뼈대(100)에는 다수의 설치공(110)들이 형성될 수 있다. 설치공(110)에 중공 파이프(300)가 삽입되어 고정 연결되며, 중공 파이프(300)의 일측으로 고정용 너트(600)가 체결된 연결축(400)을 삽입시키고, 중공 파이프(300)의 타측으로는 간격 조정봉(500)을 삽입시키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축(400)의 연결고리(420)로부터 고정용 너트(600)를 어느 정도 이격시켜 체결할지 여부는 완전히 임의사항이나, 연결고리(420)에 묶이는 로프(200)의 길이 및 그 장력의 정도, 그리고 추후 작업 내용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 파이프(300) 내부로 삽입되는 간격 조정봉(500)의 단부를 걸림턱(31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연결축(400)을 회전하여 연결축의 수나사부(410)가 간격 조저정봉(500)의 암나사(510)와 체결되도록 하거나, 또는 중공 파이프(300)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축(400)의 고정용 너트(600)를 걸림턱(31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간격 조정봉(500)을 회전하여 연결축의 수나사부(410)가 간격 조정봉(500)의 암나사(510)와 체결되도록 한다. 전자의 경우, 연결축(400)의 연결고리(420)에는 로프(200)가 묶이지 않은 상태이므로 간격 조정봉(500)에 형성되는 렌치 결합부(520) 또는 렌치홈(521)에 적절한 렌치 결합하여 간격 조정봉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턱(310)에 고정용 너트(600)가 밀착된 상태로 연결축(400)과 간격 조정봉(500) 상호 간을 나사 결합하면, 연결축(400) 및 간격 조정봉(500)은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뼈대(100)와 연결된다. 이후 연결축(400)의 연결고리(420)에 로프(200)를 묶어 다수의 다른 로프들과 엮음으로써 아이들이 타고 오르내릴 수 있는 놀이기구가 완성된다. 연결축(400)과 간격 조정봉(500) 상호 간의 나사 결합 중에 필요하다면 연결고리(420) 단부와 고정용 너트(600)의 사이 간격을 다시 조절하여 작업을 이어나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연결축(400)의 연결고리(420)에 묶이게 되는 로프(200)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최초 셋팅된 로프(200)의 장력에 변화가 생기게 되며, 따라서 수시로 로프의 장력을 느슨하게 풀어주거나 또는 이와 반대로 강하게 당겨줄 필요가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간격 조정봉(500)의 렌치 결합부(520) 또는 렌치홈(521)에 렌치를 결합시킨 다음, 간격 조정봉을 회전시킴으로써 연결축(400)의 돌출 정도가 조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로프의 장력을 느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도, 간격 조정봉을 회전하여 연결축의 고정용 너트를 외부로 노출시킨 다음, 고정용 너트와 연결고리 단부 사이의 간격을 좁게 조정하여 간격 조정봉을 회전시키면 로프는 보다 강하게 당겨진 상태로 뼈대(100)에 묶이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연결구는 간격 조정봉(500)이 항상 중공 파이프(300) 내부에 삽입된 채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보다 깔끔하며, 로프(200)의 장력은 변하더라도 로프(200)의 체결 포인트는 변하지 않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간격 조정봉(500)이 중공 파이프(300) 내부에 위치되고 장력조정을 위해서는 렌치와 같은 것이 필요하여 관리자 외의 사람들이 장난삼아 조작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뼈대 110 : 설치공
200 : 로프 300 : 중공 파이프
310 : 걸림턱 400 : 연결축
410 : 수나사부 420 : 연결고리
500 : 간격 조정봉 510 : 암나사
520 : 렌치 결합부 600 : 고정용 너트
700 : 마개

Claims (3)

  1. 구조물의 뼈대에 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로프 연결구로서,
    상기 뼈대를 관통하면서 형성되는 설치공;
    좌우로 개구되며, 상기 설치공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내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중공 파이프;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의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연결고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공 파이프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중공 파이프의 내부로 상기 수나사부가 삽입되는 연결축;
    상기 중공 파이프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중공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걸림턱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일측 단부로부터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간격 조정봉;을 포함하여 상기 연결고리에 묶이는 로프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정봉의 타측 단부에 렌치 결합부가 형성되어 렌치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축의 돌출 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연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수나사부에는 고정용 너트가 체결되어 상기 연결축의 돌출 정도가 조정된 후 상기 뼈대에 상기 고정용 너트가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연결구.
KR1020110074026A 2011-07-26 2011-07-26 장력 조절이 가능한 로프 연결구 KR101208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026A KR101208563B1 (ko) 2011-07-26 2011-07-26 장력 조절이 가능한 로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026A KR101208563B1 (ko) 2011-07-26 2011-07-26 장력 조절이 가능한 로프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563B1 true KR101208563B1 (ko) 2012-12-06

Family

ID=4790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026A KR101208563B1 (ko) 2011-07-26 2011-07-26 장력 조절이 가능한 로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5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8662A (ko) 2021-01-04 2022-07-12 강다정 그물 놀이기구용 로프 연결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3968A1 (de) 2002-02-01 2003-08-07 Udb Urban Design Berlin Gmbh Seilspannvorrichtung für raumnetze von raumfachwerk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3968A1 (de) 2002-02-01 2003-08-07 Udb Urban Design Berlin Gmbh Seilspannvorrichtung für raumnetze von raumfachwerk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8662A (ko) 2021-01-04 2022-07-12 강다정 그물 놀이기구용 로프 연결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8349B2 (ja) レール吊り下げ装置、特に高架コンベアのレールあるいは吊り上げ機のレール吊り下げ装置
US20060189441A1 (en) Recreational structure using a coupling member
US20090249738A1 (en) Toggle pin
KR101680968B1 (ko) 갱폼 하부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KR20160109033A (ko) 착탈식 안전난간대
KR101208563B1 (ko) 장력 조절이 가능한 로프 연결구
US8695174B1 (en) Anchor apparatus for bead chain of window covering
KR20210017638A (ko) 간격조절이 가능한 안전망 고정장치
CN105276350B (zh) 固定结构及方法、包括该固定结构的相机固定装置和吊床
DE202006011204U1 (de) Spannvorrichtung für Drahtseile zur Montage eines Spannseils
KR101398158B1 (ko) 도난방지 스틸 그레이팅
US20120126192A1 (en) Safety barrier for balconies and like structures
JP6099178B1 (ja) 天井施工用クリップ
US1767432A (en) Cable-fastening device
KR101645094B1 (ko) 펜스형 차단봉
CA2843070A1 (en) Active tensioning device
US11885137B1 (en) Cable system for attaching cables between two structures
KR101149912B1 (ko) 케이블 결합장치용 턴버클 잠금장치
KR20120113393A (ko) 자립식 낙하방지유닛
KR101057871B1 (ko) 입상관 지지구
AU2017101470B4 (en) Tension Membrane Dee Ring with Locating Eye
KR102071450B1 (ko) 조립식 트레이
CN202176668U (zh) 一种u型绳扣
US397110A (en) cleaveland
KR101346918B1 (ko) 로프 설치가 용이한 도르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