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152B1 - 이동식 화장실 - Google Patents

이동식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152B1
KR101846152B1 KR1020160057851A KR20160057851A KR101846152B1 KR 101846152 B1 KR101846152 B1 KR 101846152B1 KR 1020160057851 A KR1020160057851 A KR 1020160057851A KR 20160057851 A KR20160057851 A KR 20160057851A KR 101846152 B1 KR101846152 B1 KR 101846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itating
screw
waste heat
dryer
conne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7331A (ko
Inventor
백승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공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공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공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057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152B1/ko
Publication of KR20170127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47K11/03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having means for adding powder, e.g. eart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뇨 등의 폐기물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종래기술들에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설치되는 변기와 연결되는 투입로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낙하하는 대소변을 일측단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스크류가 구비되는 이송기, 상기 이송기 일측단과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의 타단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이송기에 나란히 설치되되 상기 연결구의 타단에 연결되는 일측단은 타측단에 비해 낮게 설치됨으로써 지면과 경사지게 설치되며 내부에 제 2 스크류가 구비되는 원통형의 교반 건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화장실{Movable type toilet}
본 발명은 이동식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뇨 등의 폐기물의 배출 및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친환경적인 이동식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 화장실은 옥내 화장실이 설치될 수 없는 곳에 간이로 설치되는 화장실로 필요에 따라 위치를 옮겨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화장실이다.
이러한 이동식 화장실은 단순히 분뇨를 저장하는 탱크를 하부나 측부에 구비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며, 이로 인해 심한 악취가 발생되어 사용이 꺼려질 뿐만 아니라 처리에도 어려움이 있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다양한 형태의 이동식 화장실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러한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79439호(2014.3.28.공고)가 있으며, 이 종래기술은 용변시 사용자가 수동으로 플레이트를 개방하는 형태로 분뇨를 하부의 저장부로 공급하고는 있으나, 사용자의 수작업이 필요하고 저장부에 톱밥 등이 놓여지므로 사용자가 조금만 많아도 저장부에 넘침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79439호(2014.3.28.공고)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분뇨 등의 폐기물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종래기술들에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속하고 효과적인 교반 및 건조를 통해 악취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인원이 사용하더라도 빈번히 저장통을 비우지 않아도 되도록 한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악취 발생이나 오염물의 누출, 배출 등이 없어 환경적인 문제를 유발시키지 않도록 한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작이 쉽고 고장 발생이 적어 제작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지 않도록 한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이동식 화장실은,
상부에 설치되는 변기와 연결되는 투입로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낙하하는 대소변을 일측단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스크류가 구비되는 이송기,
상기 이송기 일측단과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의 타단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이송기에 나란히 설치되되 상기 연결구의 타단에 연결되는 일측단은 타측단에 비해 낮게 설치됨으로써 지면과 경사지게 설치되며 내부에 제 2 스크류가 구비되는 원통형의 교반 건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 건조기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양단이 연결되는 폐열회수라인 및
상기 교반 건조기의 일측단과 연결되는 상기 폐열회수라인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히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 건조기의 타측단과 연결되는 상기 폐열회수라인의 타단부에서 분기되어 설치되는 잔열배출로,
상기 잔열배출로 상에 설치되는 제2히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기의 일측단에 하부로부터 이격되어 입구부가 설치되고 출구부는 정화조에 연결되는 과잉분 배출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 건조기는 일측에 설치되는 일반부와 타측에 설치되는 특수부로 나누어 구성되되 특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스크류는 일정한 피치로 블레이드의 외주연부에 홈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릿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 건조기의 특수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슬릿은 상기 교반 건조기의 타측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잉분 배출로 입구부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교반 건조기의 특수부의 시작점 하단부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인 이동식 화장실은 분뇨 등의 폐기물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종래기술들에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효과적인 교반 및 건조를 통해 악취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인원이 사용하더라도 빈번히 저장통을 비우지 않아도 되며, 악취 발생이나 오염물의 누출, 배출 등이 없어 환경적인 문제를 유발시키지 않으며, 제작이 쉽고 고장 발생이 적어 제작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지 않으며, 건조된 분뇨를 타 목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어 환경적으로도 우수한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 및 3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의 교반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 및 3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의 교반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이동식 화장실은 복수 개의 변기(T)가 구비되는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변기(T)로부터 낙하하는 분뇨를 처리하기 위해 그 하부에 이송기(10), 연결구(20), 교반 건조기(30) 등이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각 구성요소들과 그 결합관계를 각 구성요소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송기(10)는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부에 설치되는 변기(T)와 연결되는 투입로(11)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는 중공 원통형의 부재로서, 그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낙하하는 대소변을 일측단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스크류(12)가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구비된다.
상기 제 1 스크류(12)는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형 블레이트가 설치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제 1 스크류(12)의 회전축은 구동수단에 의해 강제 회전되게 되는데, 구동수단은 상기 이송기(10)의 일측단 또는 타측단으로 돌출된 제 1 스크류(12)의 회전축과 동력전달을 위한 기계요소와 연결되어 구동력이 전달되게 된다.
상기 제 1 스크류(12)가 회전하면 상기 투입로(11)를 통해 자중 낙하한 분뇨는 일측단으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 연결구(20)는 상기 이송기(10) 일측단과 일단이 연결되는 관로로서, 상기 제 1 스크류(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기(10)의 일측단으로 이송된 분뇨 등은 상기 연결구(20)를 통해 상기 이송기(10)로부터 배출되게 된다.
상기 연결구(20)는 상기 이송기(10)의 하측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교반 건조기(30)는 상기 연결구(20)의 타단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이송기(10)에 나란히 설치되되 상기 연결구(20)의 타단에 연결되는 일측단은 타측단에 비해 낮게 설치됨으로써 지면과 경사지게 설치는 중공 원통형의 부재로서, 그 내부에는 제 2 스크류(31)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스크류(31)는 상기 제 1 스크류(12)와 마찬가지로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형 블레이트가 설치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제 2 스크류(31)의 회전축은 구동수단에 의해 강제 회전되게 되는데, 구동수단은 상기 이송기(10)의 일측단 또는 타측단으로 돌출된 제 2 스크류(31)의 회전축과 동력전달을 위한 기계요소와 연결되어 구동력이 전달되게 된다.
상기 제 1 스크류(12)와 제 2 스크류(31)의 구동수단은 단일의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교반 건조기(30)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양단이 연결되는 폐열회수라인(40)이 설치되며, 상기 교반 건조기(30)의 일측단과 연결되는 상기 폐열회수라인(40)의 일단에는 제1히터(41)가 설치되며, 상기 교반 건조기(30)의 일측단과 연결되는 상기 폐열회수라인(40)의 타단부에는 상기 폐열회수라인(40)에서 분기되어 설치되는 잔열배출로(42)가 구비되며, 상기 잔열배출로(42) 상에는 제2히터(4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송기(10)의 일측단에 하부로부터 이격되어 입구부가 설치되고 출구부는 정화조(W)에 연결되는 과잉분 배출로(32)가 구비되며, 상기 교반 건조기(30)는 일측에 설치되는 일반부와 타측에 설치되는 특수부로 나누어 구성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스크류(31)에는 일정한 피치로 블레이드의 외주연부에 홈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릿(33)이 구비되되 상기 교반 건조기(30)의 특수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슬릿(33)은 상기 교반 건조기(30)의 타측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과잉분 배출로(32) 입구부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교반 건조기(30)의 특수부의 시작점 하단부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의 각 구성요소별 기능과 작동원리 및 그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이동식 화장실에 사용자가 입실하게 되면, 각종 감지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값에 따라 별도로 마련된 제어부는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제 1 스크류(12)와 제 2 스크류(31)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사용자가 용변을 보는 경우에 상기 투입로(11)를 통해 이송기(10)에 낙하된 분뇨 등은 상기 제 1 스크류(12)의 회전에 의해 이송기(10)의 일측단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분뇨 등은 연결구(20)를 통해 상기 교반 건조기(30)로 이동하게 된다.
교반 건조기(30)로 이동된 분뇨 등은 회전하는 제 2 스크류(31)에 의해 경사진 교반 건조기(30)의 내주면을 따라서 교반 건조기(30)의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교반과 건조가 반복되어 상기 교반 건조기(30)의 타측단의 배출구로 배출된 후 저장통에 저장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교반 건조기(30) 내의 공기는 상기 폐열회수라인(40)을 통해 순환하면서 제 1 히터에 의해 연속적으로 가열되어 상기 교반 건조기(30) 내에 다시 공급됨으로써 교반 건조기(30) 내의 온도를 높여 건조 효과를 증대시키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많아서 과도하게 상기 교반 건조기(30) 내로 분뇨 등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수분이 상기 과잉분 배출로(32)를 통해 정화조(W)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교반 건조기(30)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미건조된 분뇨 등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교반 건조기(30)의 건조가 충분히 이루어지고 작동이 중지되면 상기 잔열배출로(42)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게 되는데 상기 제2히터(43)에 의해 가열, 연소되어 배출됨으로써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히터(43)는 상기 교반 건조기(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동시 가열되어 비중이 감소된 공기가 배출되면서 교반 건조기(30) 내의 일정 부압을 형성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배출수단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내부의 악취를 포함하는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스크류(31)의 일반부는 수분을 포함하는 분뇨 등에서 고형물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이송하도록 하며, 특수부는 슬릿(33)을 구비함으로써 상승하는 분뇨 등을 교반 건조기(30)의 타측단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일부를 낙하하도록 하는 작용을 통해 교반과 건조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 분뇨 등은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져 배출되게 됨으로써 분뇨 등을 농업용 거름 등으로 활용하는 데 편리성을 도모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교반 건조기(30)의 일측단에도 별도의 배출구를 구비함으로써 이동 및 세척의 용이성, 고형분의 제거 편의성 등을 높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인 이동식 화장실은 분뇨 등의 폐기물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종래기술들에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효과적인 교반 및 건조를 통해 악취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인원이 사용하더라도 빈번히 저장통을 비우지 않아도 되며, 악취 발생이나 오염물의 누출, 배출 등이 없어 환경적인 문제를 유발시키지 않으며, 제작이 쉽고 고장 발생이 적어 제작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지 않으며, 건조된 분뇨를 타 목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어 환경적으로도 우수한 등의 이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10: 이송기 11: 투입로
12: 제 1 스크류
20: 연결구
30: 교반 건조기 31: 제 2 스크류
32: 과잉분 배출로 33: 슬릿
40: 폐열회수라인 41: 제1히터
42: 잔열배출로 43: 제2히터
T: 변기
W: 정화조

Claims (1)

  1. 상부에 설치되는 변기와 연결되는 투입로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낙하하는 대소변을 일측단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스크류가 구비되는 이송기,
    상기 이송기 일측단과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구,
    상기 연결구의 타단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이송기에 나란히 설치되되 상기 연결구의 타단에 연결되는 일측단은 타측단에 비해 낮게 설치됨으로써 지면과 경사지게 설치되며 내부에 제 2 스크류가 구비되는 원통형의 교반 건조기,
    상기 교반 건조기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양단이 연결되는 폐열회수라인,
    상기 교반 건조기의 일측단과 연결되는 상기 폐열회수라인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히터,
    상기 교반 건조기의 타측단과 연결되는 상기 폐열회수라인의 타단부에서 분기되어 설치되는 잔열배출로,
    상기 잔열배출로 상에 설치되는 제2히터 및
    상기 이송기의 일측단에 하부로부터 이격되어 입구부가 설치되고 출구부는 정화조에 연결되는 과잉분 배출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교반 건조기는 일측에 설치되는 일반부와 타측에 설치되는 특수부로 나누어 구성되되 특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스크류는 일정한 피치로 블레이드의 외주연부에 홈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릿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
KR1020160057851A 2016-05-11 2016-05-11 이동식 화장실 KR101846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851A KR101846152B1 (ko) 2016-05-11 2016-05-11 이동식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851A KR101846152B1 (ko) 2016-05-11 2016-05-11 이동식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331A KR20170127331A (ko) 2017-11-21
KR101846152B1 true KR101846152B1 (ko) 2018-04-09

Family

ID=60808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851A KR101846152B1 (ko) 2016-05-11 2016-05-11 이동식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1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375B1 (ko) * 2012-09-04 2014-01-02 정철민 화장실 배설물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375B1 (ko) * 2012-09-04 2014-01-02 정철민 화장실 배설물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331A (ko) 201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410B1 (ko) 회전 스크류를 구비한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 장치
JP5222183B2 (ja) 連続式乾燥装置
JP5506928B2 (ja) 乾燥装置及び乾燥方法
KR102057682B1 (ko) 오니 건조장치
KR101046492B1 (ko) 오니 건조 장치
KR20180095169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846152B1 (ko) 이동식 화장실
CN109028068A (zh) 一种预清洗式垃圾焚烧装置
JP2001124474A (ja) 乾燥機
KR101365155B1 (ko) 씽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5680938B2 (ja) 含水有機物の乾燥装置
KR101819547B1 (ko) 폐합성수지 재생을 위한 연속탈수장치
JP3808315B2 (ja) 縦型乾燥機及び乾燥装置
KR101746184B1 (ko) 음식물분쇄건조처리기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CN200989714Y (zh) 具有沸腾床的立式干燥装置
KR20180054531A (ko) 슬럿지 처리장치
KR101685667B1 (ko) 하수 및 폐수 슬러지를 이용한 펠렛 제조시스템
KR100407226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연료화를 위한 건조로
JP2000192063A (ja) 湿潤廃棄物の混合・乾燥方法及び装置
KR20180010785A (ko) 건조기용 스크류
KR20070113343A (ko) 슬러지 건조장치
CN204693987U (zh) 耙式干燥器
KR100887622B1 (ko) 하수고도처리장의 슬러지 건조장치
JP4149830B2 (ja) 脱水汚泥処理装置
JP2007168210A (ja) 射出成形機の成形材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