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722B1 - 이송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권출 장치 - Google Patents

이송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권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722B1
KR101845722B1 KR1020160037553A KR20160037553A KR101845722B1 KR 101845722 B1 KR101845722 B1 KR 101845722B1 KR 1020160037553 A KR1020160037553 A KR 1020160037553A KR 20160037553 A KR20160037553 A KR 20160037553A KR 101845722 B1 KR101845722 B1 KR 101845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lm
core
pai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664A (ko
Inventor
이강재
허재영
채성욱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7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72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1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6Supporting web roll both-ends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10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web roll
    • B65H16/103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web roll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4Both ends type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65H2402/32Sliding support means
    • B65H2402/3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2Bearings, e.g. magnetic or hydrostatic bearings
    • B65H2402/522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61Display device manufacture, e.g.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Winding Of Webs (AREA)
  • Unwinding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송 유닛 및 이를 포함한 필름 권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어에 권취되어 있는 필름을 권출하는 필름 권출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지지대가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코어의 공간에 삽입되어 필름을 권출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암; 상기 회전축암 측으로 상기 필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리프트; 상기 코어의 양 측단을 지지하여, 상기 이송 리프트에서 상기 회전축암으로 상기 코어에 권취되어 있는 필름을 이송 시키는 이송 유닛;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선형 이동하는 한 쌍의 지지암; 및 상기 한 쌍의 지지암과 연결되어, 상기 필름의 코어를 지지 가능한 받침부;를 포함하는 필름 권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송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권출 장치{TRANSFERING UNIT AND UNWINDING APPARATUS OF FILM COMPRISING 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송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권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디스플레이가 대형화됨에 따라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편광필름과 같은 필름들의 크기가 대형화되고 있다. 편광 필름과 같은 필름은 박판이면서 면적이 크기 때문에, 낱장씩 분리하여 이송하는 설비를 필요로 한다. 작업자가 한 장씩 분리하여 이송하는 경우에 별도의 인력이 필요하게 되며, 편광필름이 대형화됨에 따라 작업자가 취급하기가 어려우며 이송 도중에 필름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대형화된 필름 또는 원단을 이송시키기 위해 권출된 필름을 외팔보 형태의 이동축을 이용하여 이송시켰다. 그러나, 외팔보 형태의 이동축을 이용하여 필름을 이송시키게 되면, 필름의 무게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외팔보가 한쪽으로 처짐이 발생했다. 따라서, 외팔보 형태의 이동축에서 권출 장치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처짐에 발생하게 되고, 처짐으로 인한 마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1215호 (2006. 11. 0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송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권출 장치에 있어서, 이송 유닛을 이용해 필름이 권취되어 있는 코어를 지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시키고, 권출할 수 있는 이송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권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외팔보 형태의 회전축암 및 이송 리프트가 한 쪽으로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송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권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에 권취되어 있는 필름을 권출하는 필름 권출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지지대가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코어의 공간에 삽입되어 필름을 권출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암; 상기 회전축암 측으로 상기 필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리프트; 및 상기 코어의 양 측단을 지지하여, 상기 이송 리프트에서 상기 회전축암으로 상기 코어에 권취되어 있는 필름을 이송 시키는 이송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선형 이동하는 한 쌍의 지지암; 및 상기 한 쌍의 지지암과 연결되어, 상기 필름의 코어를 지지 가능한 받침부;를 포함하는 필름 권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linear motion guide) 또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암 중 하나와 상기 받침부의 일단은 힌지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지지암을 서로 고정해 주는 지지축; 및 상기 한 쌍의 지지암을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해주는 연결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암은 모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암의 일단에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기 위해 배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이 권취되어 있는 코어를 이송 가능한 이송 유닛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을 선형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선형 이동하는 한 쌍의 지지암; 및 상기 한 쌍의 지지암과 연결되어, 상기 필름의 코어를 지지 가능한 받침부;를 포함하는 이송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linear motion guide) 또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암 중 하나와 상기 받침부의 일단은 힌지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지지암을 서로 고정해 주는 지지축; 및 상기 한 쌍의 지지암을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해주는 연결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권출 장치에 있어서, 이송 유닛을 이용해 필름이 권취되어 있는 코어를 지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시키고, 권출시킬 수 있는 이송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권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팔보 형태의 회전축암 및 이송 리프트가 한 쪽으로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송 유닛(40)을 이용하여, 고중량의 필름 또는 원단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키고, 권출시킬 수 있는 필름 권출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출 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필름 권출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필름(F)이 권취 되어 있는 코어(C)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시키고, 권출할 수 있다. 필름 권출 장치(100)는 베이스부(10), 지지대(20), 이송 리프트(30), 이송 유닛(40), 회전축암(50), 베어링(60), 지지부재(70) 및 모터(8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대(20)가 설치되는 베이스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지지대(20;20-a,20-b,20-c,20-d)가 배치될 수 있다.
이송 리프트(30)는 베어링 또는 롤러 형태로 긴 막대의 외팔보 형상일 수 있다. 이송 리프트(30)는 회전축암(50)으로 필름을 이송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 리프트(30)는 코어(C)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코어(C)의 공간에 일부 또는 전부 삽입되어 체결된 이송 리프트(30)는 코어(C)를 이송 유닛(4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송 리프트(30)는 지지대(20-a)에 배치되어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20-a)에 배치되어 있는 이송 리프트는 지지대(20-b)와 지지대(20-c)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이송 유닛(40)으로 코어(C)를 이송시켜, 이송 유닛(4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송 리프트(30)로부터 코어(C)를 이송 받은 이송 유닛(40)은 외팔보 형태의 회전축암(50)으로 코어(C)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 유닛(40)은 코어(C)를 이송할 때, 코어(C)를 받치면서 지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도 2내지 도3을 참조하면, 이송 유닛(40)은 가이드부(41), 지지축(42), 지지암(43), 받침부(44), 연결편(45), 힌지(46) 및 체결수단(47)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41)는 베이스부(10)의 일측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정확히는, 베이스부(10)의 하측면에 이송 유닛(40)이 선형 이동할 수 있는 거리만큼 가이드부(41)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41)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linear motion guide) 또는 레일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송 유닛(40)이 이동할 수 있는 이송 수단일 수 있다.
지지암(43)은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암(43)은 가이드부(41)에 의해 선형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부(41)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지지암(43)은 연결편(45)을 통해 가이드부(41)와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암(43)이 상호간에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도록 고정해 주는 지지축(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암(43)에는 받침부(44)가 연결될 수 있다.
지지축(42)은 한 쌍의 지지암(43)을 고정해 주며, 지지축(42)에 의해 한 쌍의 지지암(43) 사이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코어(C)에 권취되어 있는 필름의 폭에 따라 한 쌍의 지지암(43)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받침부(44)는 코어(C)를 안착시켜 받쳐줄 수 있다. 받침부(44)는 지지암(43)과 연결되어, 코어(C)를 지지할 수 있다. 받침부(44)의 일측은 한 쌍의 지지암(43)중 하나와 힌지(46)로 연결될 수 있다. 받침부(44)의 타측은 한 쌍의 지지암(43)중 다른 하나와 체결수단(47)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받침부(44)와 지지암(43)이 체결수단(47)으로 체결되어 있는 경우, 코어(C)를 안착시킬 수 있고, 체결수단(47)이 해제되어 있는 경우, 코어(C)를 이탈 시킬 수 있다.
받침부(44)의 형상은 코어(C)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C)의 형상에 따라서 받침부(44)의 내부에는, 코어(C)가 안착될 수 있을 만큼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어(C)가 안착되는 받침부(44)의 부분에는 기 결정된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기 결정된 곡률반경은 코어(C)의 직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률반경이 코어(C)의 직경과 근접하게 결정되는 경우, 코어(C)가 받침부(44)에서 회전 또는 이탈 되지 않고 고정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는, 받침부(44)의 곡률반경이 코어(C)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코어(C)의 직경보다 크게 곡률반경을 가질 경우, 보다 쉽게 필름을 권출하고, 이탈시킬 수 있다.
받침부(44)와 지지암(43)을 연결하는 힌지(46)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44)의 일측과 한 쌍의 지지암(43)중 하나는 힌지(46)에 의해 기 결정된 각도로 회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44)의 타측과 한 쌍의 지지암(43)중 다른 하나는 체결수단(47)에 의해 체결 및 체결해제 가능하여, 지지암(43)과 받침부(44)를 체결 및 체결해제 할 수 있다.
필름이 권취되어 있는 코어(C)를 이송시키거나, 회전축암(50)으로부터 필름을 권출할 때, 체결수단(47)으로 체결되어 있는 지지암(43)과 받침부(44)를 체결하여, 코어(C)를 지지할 수 있다. 반면, 코어(C)를 이송 유닛(40)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싶은 경우, 체결수단(47)으로 체결되어 있는 지지암(43)과 받침부(44)를 체결해제 하여 코어(C)를 이탈시킬 수 있다.
연결편(45)은 가이드부(41)와 지지암(43)을 연결시켜줄 수 있다. 가이드부(41)는 가이드 레일(411)과 가이드 블럭(41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편(45)은 가이드 레일(411)의 상측에서 선형 이동 하는 가이드 블럭(412)과 연결되어, 가이드 레일(41)을 따라서 선형 이동할 수 있다.
회전축암(50)은 코어(C)의 공간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회전축암(50)의 직경은 코어(C)의 공간 직경과 일치하여, 회전축암(50)이 코어(C)에 삽입되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회전축암(50)의 일측은 지지대(20-b)에 배치되어 있는 모터(80)와 연결될 수 있다. 모터(80)는 회전축암(50)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클러치(81)가 모터(80)와 고정척(82) 사이에 배치되어, 모터(80)의 동력을 고정척(82)에 전달할 수 있다. 고정척(82)은 동력을 전달받아, 고정척(82)과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암(5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축암(50)이 회전함에 따라, 필름을 권출 시킬 수 있다.
베어링(60)은 회전축암(5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60)은 이송 리프트(30) 측의 회전축암(50)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60)은 외팔보 형태의 회전축암(5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한 지지부재(70)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지지부재(70)는 회전축암(5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송 리프트(30) 측의 회전축암(50) 일단이 공중에 떠있는 상태에서, 필름이 권취되어 있는 코어(C)가 장착되거나, 모터에 의해 회전축암(50)이 회전할 때 받는 힘에 의해 회전축암(50)이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지지부재(70)는 이러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다. 지지부재(70)는 회전축암(50)의 일단에 형성된 베어링(60)을 지지할 수 있다. 베어링(60)을 지지함에 따라, 외팔보 형태의 회전축함(50)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권출 장치(100)에 있어서, 이송 리프트(30)는 필름이 권취되어 있는 코어(C)를 회전축암(50)으로 이송시켜서, 모터(80)의 동력을 받은 회전축암(50)은 필름을 권출시킬 수 있다. 이때, 코어(C)의 양단을 지지하는 이송 유닛(40)을 통해 이송 리프트(30) 또는 회전축암(50)이 일측으로 무게가 쏠리는 처짐을 방지하고, 코어(C)를 평행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 리프트(30)가 필름이 권취되어 있는 코어(C)를 이송 유닛(40)에 안착시키고, 이송 유닛(40)은 필름이 권취되어 있는 코어(C)를 회전축암(50)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된 코어(C)는 모터(80)의 동력을 전달받은 회전축암(50)에 의해 필름을 권출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4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3을 참조하면, 이송 유닛(40)은 가이드부(41), 지지축(42), 지지암(43), 받침부(44), 연결편(45) 힌지(46) 및 체결수단(47)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41)는 베이스부(10)의 일측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정확히는, 베이스부(10)의 하측면에 이송 유닛(40)이 선형 이동할 수 있는 거리만큼 가이드부(41)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41)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linear motion guide) 또는 레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유닛(40)이 이동할 수 있는 이송 수단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41)는 가이드 레일(411) 및 가이드 블럭(41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블록(412)과 연결된 지지암(43)은 가이드를 따라서 선형 이동하면서 필름을 이송시킬 수 있다.
지지암(43)은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암(43)은 가이드부(41)에 연결되어 선형이동 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암(43)에는 상호간에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해 주는 지지축(4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암(43)에는 받침부(44)가 연결될 수 있다.
지지축(42)은 한 쌍의 지지암(43)을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해 줄 수 있다. 또한, 지지축(42)에 의해 한 쌍의 지지암(4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C)에 권취되어 있는 필름의 폭이 좁을 경우, 한 쌍의 지지암(43) 사이의 간격을 좁혀서 코어(C)를 지지할 수 있다. 반대로, 코어(C)에 권취되어 있는 필름의 폭이 넓은 경우, 지지암(43) 사이의 간격을 넓혀서 코어(C)를 지지할 수 있다.
받침부(44)는 코어(C)를 안착시켜 받쳐줄 수 있다. 받침부(44)는 지지암(43)과 연결되어, 코어(C)를 지지할 수 있다. 받침부(44)의 일측은 한 쌍의 지지암(43)중 하나와 힌지(46)로 연결될 수 있다. 받침부(44)의 타측은 한 쌍의 지지암(43)중 다른 하나와 체결수단(47)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받침부(44)와 지지암(43)이 체결수단(47)으로 체결되어 있는 경우, 코어(C)를 안착시킬 수 있고, 체결수단(47)이 해제되어 있는 경우, 코어(C)를 이탈 시킬 수 있다.
받침부(44)의 형상은 코어(C)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C)의 형상에 따라서 받침부(44)의 내부에는, 코어(C)가 안착될 수 있을 만큼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어(C)가 안착되는 받침부(44)의 부분에는 기 결정된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기 결정된 곡률반경은 코어(C)의 직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률반경이 코어(C)의 직경과 근접하게 결정되는 경우, 코어(C)가 받침부(44)에서 회전 또는 이탈 되지 않고 고정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는, 받침부(44)의 곡률반경이 코어(C)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코어(C)의 직경보다 크게 곡률반경을 가질 경우, 보다 쉽게 필름을 권출 하고, 이탈시킬 수 있다.
받침부(44)와 지지암(43)을 연결하는 힌지(46)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44)의 일측과 한 쌍의 지지암(43)중 하나는 힌지(46)에 의해 기 결정된 각도로 회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44)의 타측과 한 쌍의 지지암(43)중 다른 하나는 체결수단(47)에 의해 체결 및 체결해제 가능하여, 지지암(43)과 받침부(44)를 체결 및 체결해제 할 수 있다.
필름이 권취되어 있는 코어(C)를 이송시키거나, 회전축암(50)으로부터 필름을 권출할 때, 체결수단(47)으로 체결되어 있는 지지암(43)과 받침부(44)를 체결하여, 코어(C)를 지지할 수 있다. 반면, 코어(C)를 이송 유닛(40)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싶은 경우, 체결수단(47)으로 체결되어 있는 지지암(43)과 받침부(44)를 체결해제 하여 코어(C)를 이탈시킬 수 있다.
연결편(45)은 가이드부(41)와 지지암(43)을 연결시켜줄 수 있다. 가이드부(41)는 가이드 레일(411)과 가이드 블럭(41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편(45)은 가이드 레일(411)의 상측에서 선형 이동 하는 가이드 블럭(412)과 연결되어, 가이드 레일(41)을 따라서 선형 이동할 수 있다.
도 3a는 필름이 권취되어 있는 코어(C)가 지지암(43)과 받침부(44)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지지암(43)과 받침부(44)는 힌지(46)와 체결수단(47)에 의해 체결되어 있어, 이동 유닛(40)이 코어(C)를 안착 및 지지할 수 있다.
반면에, 도 3b는 지지암(43)과 받침부(44)에서 코어(C)를 이탈시킬 수 있다. 지지암(43)과 받침부(44)를 체결하고 있던 체결수단(47)이 체결 해제되고, 힌 지(46)는 회동하여 코어(C)가 받침부(44)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따른 이송 유닛(40)을 통해, 필름이 권취되어 있는 코어(C)를 이송 시켜서, 이송 리프트(30) 및 회전축암(50)의 일단의 처짐을 방지하고, 평행하게 코어(C)를 이송시키고, 필름을 권출할 수 있는 이송 유닛(40) 및 필름 권출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베이스부
20 : 지지대
30 : 이송 리프트
40 : 이송 유닛
41 : 가이드부
411 : 가이드 레일
412 : 가이드 블럭
42 : 지지축
43 : 지지암
44 : 받침부
45 : 연결편
46 : 힌지
47 : 체결수단
50 : 회전축암
60 : 베어링
70 : 지지부재
80 : 모터
81 : 클러치
82 : 고정척
100 : 필름 권출 장치

Claims (13)

  1. 코어에 권취되어 있는 필름을 권출하는 필름 권출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지지대가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코어의 공간에 삽입되어 필름을 권출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암;
    상기 회전축암 측으로 상기 필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리프트; 및
    상기 코어의 양 측단을 지지하여, 상기 이송 리프트에서 상기 회전축암으로 상기 코어에 권취되어 있는 필름을 이송 시키는 이송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선형 이동하는 한 쌍의 지지암; 및
    상기 한 쌍의 지지암과 연결되어, 상기 필름의 코어를 지지 가능한 받침부;를 포함하는 필름 권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linear motion guide) 또는 레일을 포함하는 필름 권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블럭을 포함하는 필름 권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암 중 하나와 상기 받침부의 일단은 힌지로 연결되는 필름 권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지지암을 서로 고정해 주는 지지축; 및
    상기 한 쌍의 지지암을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해주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필름 권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암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필름 권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암의 일단에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필름 권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기 위해 배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필름 권출 장치.
  9. 필름이 권취되어 있는 코어를 이송 가능한 이송 유닛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을 선형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선형 이동하는 한 쌍의 지지암; 및
    상기 한 쌍의 지지암과 연결되어, 상기 필름의 코어를 지지 가능한 받침부;를 포함하는 이송 유닛.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linear motion guide) 또는 레일을 포함하는 이송 유닛.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블럭을 포함하는 이송 유닛.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암 중 하나와 상기 받침부의 일단은 힌지로 연결되는 이송 유닛.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지지암을 서로 고정해 주는 지지축; 및
    상기 한 쌍의 지지암을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해주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이송 유닛.
KR1020160037553A 2016-03-29 2016-03-29 이송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권출 장치 KR101845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553A KR101845722B1 (ko) 2016-03-29 2016-03-29 이송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권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553A KR101845722B1 (ko) 2016-03-29 2016-03-29 이송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권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664A KR20170111664A (ko) 2017-10-12
KR101845722B1 true KR101845722B1 (ko) 2018-04-05

Family

ID=6014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553A KR101845722B1 (ko) 2016-03-29 2016-03-29 이송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권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7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9020A (zh) * 2018-04-23 2018-08-24 北京铂阳顶荣光伏科技有限公司 下料辅助设备、下料装置和分条机
KR101976158B1 (ko) 2019-02-08 2019-05-09 강범식 금속판재용 보호필름 인출장치
KR101976159B1 (ko) 2019-02-08 2019-05-09 강범식 금속판재용 보호필름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급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36330B2 (ja) 2007-01-25 2012-09-2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車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36330B2 (ja) 2007-01-25 2012-09-2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664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722B1 (ko) 이송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권출 장치
JP2017088407A (ja) 導体輸送装置、とりわけケーブル処理マシンにて処理されるべきケーブル用の装置
US20100181166A1 (en) Belt junction conveyor
TW200902405A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JP2015218016A (ja) シート供給装置およびプリント装置
JP2012153456A (ja) 記録装置、ロール媒体持ち上げ装置
US20190382226A1 (en) Unwinding or winding rolls of print substrate
KR101590370B1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
US20160001996A1 (en) Web roll handling & loading system
US10138072B2 (en) Product conveying device
JP4967069B1 (ja) ロール体搬送装置
JP2016074490A (ja) アキューム装置
US20170073027A1 (en) Rotisserie fixture for assembly of a vehicle
CN106627685B (zh) 物流推车以及使用该物流推车的生产线
CN105417226A (zh) 进料系统和打包套袋机
JP2012116662A (ja) バルク材料輸送用コンベア
JP2014136619A (ja) 金属線送出装置
JP5762347B2 (ja) ロール体搬送装置
KR101443225B1 (ko) 육류 이송캐리어
JP5800965B1 (ja) 搬送装置
JP2009166946A (ja) フィルムロール支持装置
CN110371416A (zh) 防尘剥标装置
CN205169672U (zh) 一种用于输送带成型卷取架上的定位装置
CN216235071U (zh) 一种包装袋纸带绕卷装置
KR101593220B1 (ko)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