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423B1 -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423B1
KR101845423B1 KR1020160082714A KR20160082714A KR101845423B1 KR 101845423 B1 KR101845423 B1 KR 101845423B1 KR 1020160082714 A KR1020160082714 A KR 1020160082714A KR 20160082714 A KR20160082714 A KR 20160082714A KR 101845423 B1 KR101845423 B1 KR 101845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model
inspection
inspection target
real imag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193A (ko
Inventor
박정서
김호구
박인하
홍지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주)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160082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423B1/ko
Publication of KR20180003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는, 구조물의 검사 대상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을 촬영하여 얻은 실물 이미지에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의 3차원 모델을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처리부; 상기 합성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사 대상 영역에 대한 코멘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코멘트를 상기 검사 대상 영역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INSPECTION OF STRUCTURE}
본 발명은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나 해양플랜트는 제작 후 발주자에게 인도되기 전에 발주자나 선급의 검사를 받는다. 발주자는 발주한 선박이나 해양플랜트가 설계대로 제작되었는지 그리고 하자는 없는지 검사하며, 선급은 선박이나 해양플랜트가 일정 기준이나 관련 규정을 만족하는지 검사한다.
이러한 검사는 제작된 구조물과 관련된 다양한 문서 및 도면을 가지고 진행되는데, 조선소에서 제작되는 구조물의 규모가 매우 크다보니 검사 자체에 드는 시간이나 수고가 상당하며 검사 후 지적받은 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수정에도 많은 시간과 여러 사람의 협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박이나 해양플랜트와 같은 구조물의 검사 과정 및 검사 후 수정 과정에서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는, 구조물의 검사 대상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을 촬영하여 얻은 실물 이미지에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의 3차원 모델을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처리부; 상기 합성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사 대상 영역에 대한 코멘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코멘트를 상기 검사 대상 영역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가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를 촬영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식별 데이터 또는 상기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을 불러와 상기 실물 이미지에 합성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실물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점과 상기 기준점에 대응하는 상기 3차원 모델의 대응점이 일치되도록 상기 실물 이미지에 상기 3차원 모델을 정합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부가 상기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기 전, 상기 표시부는 상기 3차원 모델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표시된 3차원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을 촬영한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입력받은 촬영 위치를 기초로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의 촬영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3차원 모델의 시선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합성 이미지에서 상기 실물 이미지와 상기 3차원 모델이 서로 불일치하는 부분을 검출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합성 이미지에서 상기 불일치하는 부분이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불일치하는 부분이 상기 3차원 모델에 속하는 경우, 해당 부분을 누락 부분으로 결정하고, 상기 불일치하는 부분이 상기 실물 이미지에 속하는 경우, 해당 부분을 오작 부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검사 대상 영역에 대한 작업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불러오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불러온 작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코멘트를 상기 검사 대상 영역과 관련된 관련자에게 알리도록 상기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관련자가 상기 코멘트에 대하여 작성한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신된 응답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검사 지원 방법은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가 구조물의 검사를 지원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구조물의 검사 대상 영역을 촬영한 실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실물 이미지에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의 3차원 모델을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합성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사 대상 영역에 대한 코멘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코멘트를 상기 검사 대상 영역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의 검사 과정 및 검사 후 수정 과정에서 여러 당사자들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촬영되는 구조물의 검사 대상 영역의 예시적인 모습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조물의 검사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사 대상 영역의 실물 이미지와 3차원 모델을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사 대상 영역의 촬영 방향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의 시선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사 대상 영역의 합성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사 대상 영역에 대한 작업 정보를 불러와 합성 이미지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검사 대상 영역에 대한 코멘트를 입력받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사 대상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코멘트를 관련자와 공유하고 관련자로부터 받은 의견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검사 지원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는 카메라부(110), 이미지 처리부(120), 표시부(130), 입력부(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부(110)는 구조물의 검사 대상 영역을 촬영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부(110)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 장치로서, 일 예로 CCD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는 검사 대상 영역을 촬영하여 얻은 실물 이미지에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의 3차원 모델을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는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로서, 일 예로 CPU, GPU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에 의해 생성된 합성 이미지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130)는 화면에 텍스트나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일 예로 LCD, PD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검사 대상 영역에 대한 코멘트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로서, 일 예로 키패드, 마우스, 터치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널로 구성된 입력부(140)가 표시부(130)와 결합하여 터치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터치 버튼 등을 터치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코멘트를 검사 대상 영역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2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150)는 소정의 통신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송하고 출발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로서, 일 예로 무선 데이터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는 저장부(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6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로서, 일 예로 SSD, 메모리, RAM, ROM, 레지스터, 캐쉬 등 각종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에 의한 합성 이미지 생성에 사용되는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는 제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서,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소프트웨어를 실행시켜 그에 따라 명령이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하드웨어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7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CPU, AP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촬영되는 구조물의 검사 대상 영역(10)의 예시적인 모습이다.
사용자는 구조물의 제작 후 또는 제작 도중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검사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은 사전에 마련된 설계 내용에 따라 제작되는 유형의 물건으로서, 일 예로 조선소에서 제작되는 선박이나 해양플랜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구조물의 규모가 큰 경우, 사용자는 구조물의 안팎을 이동하면서 영역별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검사 대상 영역(10)을 촬영할 수 있다. 검사 대상 영역(10)에는 의장품과 같이 구조물의 기능 수행을 위해 마련된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부품들 역시 구조물 검사 시 확인되는 검사 대상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구조물의 검사 대상 영역(10)을 촬영하면, 상기 카메라부(110)는 촬영된 검사 대상 영역의 실물 이미지(11)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는 검사 대상 영역(10)을 촬영하여 얻은 실물 이미지(11)에 상기 검사 대상 영역(10)의 3차원 모델을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조물의 검사 대상 영역(10)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21)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는 검사 대상 영역(10)에 대한 3차원 모델(21)을 불러올 수 있다. 상기 3차원 모델(21)은 구조물의 일 영역 및 그에 설치된 부품의 3차원 형상을 나타내는 형상 모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차원 모델(21)은 검사 대상 영역(10)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는 통신부(150)를 통해 상기 서버(200)에 접속하여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의 3차원 모델(21)을 불러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차원 모델(21)은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에 구비된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는 상기 저장부(160)로부터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의 3차원 모델(21)을 불러와 실물 이미지(11)와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의 3차원 모델(21)을 불러오기 위해, 상기 입력부(140)는 검사 대상 영역(1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40)를 통해 검사 대상 영역(10)을 식별하기 위한 ID나 일련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는 상기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21)을 상기 서버(200)나 상기 저장부(160)로부터 불러와 실물 이미지(11)에 합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의 3차원 모델(21)을 불러오기 위해, 상기 카메라부(110)는 검사 대상 영역(1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부(120)로 검사 대상 영역(10)에 표시되어 있는 바코드나 QR 코드를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는 상기 촬영된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21)을 상기 서버(200)나 상기 저장부(160)로부터 불러와 실물 이미지(11)에 합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는 RFID 리더를 구비하여 검사 대상 영역(10)에 구비된 RFID 태그로부터 RFID 데이터를 읽어와 상기 검사 대상 영역(10)을 식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는 읽어들인 RFID 데이터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21)을 상기 서버(200)나 상기 저장부(160)로부터 불러와 실물 이미지(11)에 합성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는 검사 대상 영역(10)의 실물 이미지(11)에 상기 검사 대상 영역(10)의 3차원 모델(21)을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사 대상 영역의 실물 이미지(11)와 3차원 모델(21)을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31)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는 실물 이미지(11)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점(●)과 상기 기준점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21)의 대응점(×)이 일치되도록 상기 실물 이미지(11)에 상기 3차원 모델(21)을 정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는 검사 대상 영역(10)을 촬영하여 얻은 실물 이미지(11)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기준점(●)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는 검사 대상 영역(10)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21)로부터 대응점(×)을 추출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는 실물 이미지(11)의 기준점(●)과 3차원 모델(21)의 대응점(×)이 서로 일치되도록 실물 이미지(11)와 3차원 모델(21)을 정합하여 합성 이미지(31)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차원의 실물 이미지(11)에 3차원 모델(21)을 정합하기 위해서는, 상기 실물 이미지(11)의 촬영 방향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21)의 시선 방향이 필요할 수 있다. 비록 실물 이미지(11)와 3차원 모델(21)이 모두 동일한 검사 대상 영역(10)에 대한 형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지만, 2차원의 평면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실물 이미지(11)와 달리 3차원 모델(21)은 3차원의 입체 데이터를 포함하므로, 합성 이미지(31)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실물 이미지(11)의 촬영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바라본 3차원 모델(21)을 상기 실물 이미지(11)에 정합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차원 모델(21)의 시선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가 합성 이미지(31)를 생성하기 전, 상기 표시부(130)는 3차원 모델(21)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140)는 표시된 3차원 모델(21)을 기반으로 검사 대상 영역(10)을 촬영한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는 입력받은 촬영 위치를 기초로 검사 대상 영역(10)의 촬영 방향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21)의 시선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사 대상 영역(10)의 촬영 방향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21)의 시선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에 검사 대상 영역(10)을 촬영한 촬영 지점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로 하여금 3차원 모델(21)의 시선 방향을 보다 적은 연산량으로 신속하게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의 표시부(150)는 화면에 검사 대상 영역(10)의 3차원 모델(21)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부(110)를 통해 상기 표시된 3차원 모델(21)을 기반으로 검사 대상 영역 촬영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는 상기 표시된 3차원 모델(21)을 3차원 좌표 공간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터치 버튼(111, 112, 113)을 터치스크린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서 x축에 관한 터치 버튼(111)은 상기 3차원 모델(21)을 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버튼이고, y축에 관한 터치 버튼(112)은 상기 3차원 모델(21)을 y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버튼이고, z축에 관한 터치 버튼(113)은 상기 3차원 모델(21)을 z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사용자는 상기 터치 버튼(111, 112, 113)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표시부(150)에 표시된 3차원 모델(21)을 3차원 좌표 공간에서 회전시켜 사용자가 검사 대상 영역(10)을 촬영한 방향에 대응하도록 3차원 모델(21)을 조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3차원 좌표 공간에서 3차원 모델(21)을 회전시키기 위한 터치 버튼(111, 112, 113) 외에, 상기 3차원 모델(21)을 확대 및 축소시키기 위한 터치 버튼(114, 115)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고 나서, 사용자가 확인 버튼(116)을 터치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표시부(150)에 표시된 3차원 모델(21)의 시선 방향을 기초로, 상기 이미지 처리부(130)는 검사 대상 영역 촬영 방향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21)의 시선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는 3차원 좌표 공간의 전 영역에 걸쳐 실물 이미지(11)의 촬영 방향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21)의 시선 방향을 탐색할 필요 없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의장품 촬영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영역에 대해서만 3차원 모델(21)의 시선 방향을 탐색하여 실물 이미지(11)의 촬영 방향에 대응하는 시선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미지 정합에 필요한 3차원 모델(21)의 데이터 처리량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고 연산에 사용되는 하드웨어 리소스를 줄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터치스크린에 제공된 터치 버튼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검사 대상 영역 촬영 위치를 입력받았으나, 촬영 위치를 입력받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사 대상 영역의 합성 이미지(31)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는 합성 이미지(31)에서 실물 이미지(11)와 3차원 모델(21)이 서로 불일치하는 부분을 검출하고, 상기 표시부(130)는 합성 이미지(31)에서 상기 불일치하는 부분이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즉, 이 실시예에서,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는 단순히 검사 대상 영역(10)의 실물 이미지(11)와 3차원 모델(21)을 합성한 합성 이미지(31)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실물 이미지(11)와 3차원 모델(21) 간의 오브젝트 비교를 통해 불일치하는 부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서 실물 이미지(11)와 3차원 모델(21) 간에 서로 일치하는 부분은 오브젝트의 에지가 굵은 선으로 표시되었으나, 불일치하는 부분은 가는 선으로 표시되어 합성 이미지(31)에서 불일치하는 부분이 구분되도록 표시되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는 불일치하는 부분이 3차원 모델(21)에 속하는 경우 해당 부분을 누락 부분으로 결정하고, 불일치하는 부분이 실물 이미지(11)에 속하는 경우 해당 부분을 오작 부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합성 이미지(31)에서 실물 이미지(11)와 3차원 모델(21)이 서로 불일치하는 부분은 두 부분(311, 312)이 있다. 이 중에서 불일치 부분(311)은 실물 이미지(11)에는 없고 3차원 모델(21)에만 포함되어 있는 부분이고, 불일치 부분(312)은 3차원 모델(21)에는 없고 실물 이미지(11)에만 있는 부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는 3차원 모델(21)에 속하는 불일치 부분(311)은 누락 부분으로 결정하고, 실물 이미지(11)에 속하는 불일치 부분(312)은 오작 부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불일치 부분(311)과 같이 3차원 모델(21)에는 포함되어 있는데 실물 이미지(11)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촬영 시 아직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지 않았지만 제작 완료된 구조물에는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누락된 부분으로 간주될 수 있다.
반대로, 불일치 부분(312)과 같이 실물 이미지(11)에는 표시되어 있는데 3차원 모델(21)에는 포함되지 않은 부분은 촬영 시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지만 최종 구조물에는 없어야 하는 것이므로 잘못 제작된 부분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는 검사 대상 영역(10)의 실물 이미지(11)와 3차원 모델(21)을 합성한 합성 이미지(31)로부터 미설치된 누락 부분과 잘못 설치된 오작 부분을 검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표시부(130)는 합성 이미지(31)에서 누락 부분(311)과 오작 부분(312)을 서로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락 부분(311)과 오작 부분(312)은 합성 이미지(31)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분되어 표시부(130)에 표시될 수 있다. 누락 부분(311)과 오작 부분(312)의 구분은 오브젝트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오브젝트의 에지를 서로 다른 색상의 선이나 서로 다른 모양의 선으로 표시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나 구분 표시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표시부(130)에 표시된 합성 이미지(31)로부터 누락 부분(311)과 오작 부분(312)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구조물 검사 시 검사 대상 영역(10)에서 설계와 다른 부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사 대상 영역(10)에 대한 작업 정보(41)를 불러와 합성 이미지(31)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150)는 검사 대상 영역(10)에 대한 작업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불러오고, 상기 표시부(130)는 불러온 작업 정보(41)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는 상기 표시부(130)에 검사 대상 영역(10)의 합성 이미지(31)와 검사 대상 영역(10)에 대한 작업 정보(41), 예컨대 작업 담당자, 작업 시기, 작업 내용 등에 관한 세부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검사 대상 영역(10)과 설계 정보 간의 형상 비교 외에 검사 대상 영역(10)에 관한 비-형상 정보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검사 대상 영역(10)에 대한 코멘트(51)를 입력받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검사 대상 영역(10)에 대한 코멘트(51)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코멘트(51)는 구조물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검사 대상 영역(10)에 대하여 작성하는 검사 결과 내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는 상기 입력부(1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검사 대상 영역(10)에 대한 코멘트(51)를 입력받아 상기 검사 대상 영역(10)에 대한 검사 결과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상기 검사 결과서는 검사 대상 영역(10)을 식별하는 정보(예컨대, 위치 정보)에 상기 검사 대상 영역(10)의 합성 이미지(31) 및 상기 검사 대상 영역(10)에 대한 검사 결과 내용, 예컨대 검사자의 요구 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를 이용하여 검사 대상 영역(10)에서 발견한 누락 부분(311) 및 오작 부분(312)에 대한 보완 사항을 검사 결과서에 코멘트(51)로 기재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40)를 통해 코멘트(51)를 등록하는 명령을 입력하면(예컨대, 도 8에서 등록 버튼을 터치함), 상기 통신부(150)는 상기 코멘트(51)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코멘트(51)를 검사 대상 영역(10)과 연관지어 저장한다. 그리고, 검사 대상 영역(10)과 관련된 관련자가 상기 서버(200)에 접속하는 경우, 관련자로 하여금 코멘트(51)를 확인할 수 있도록 코멘트(51)를 관련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통신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코멘트(51)를 검사 대상 영역(10)과 관련된 관련자에게 알리도록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200)는 관련자의 PC나 단말기(300)로 푸쉬 알람 메시지나 메일을 전송하여 상기 관련자로 하여금 본인이 담당한 검사 대상 영역(10)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코멘트(51)가 등록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150)는 서버(200)로부터 관련자가 코멘트(51)에 대하여 작성한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130)는 수신된 응답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사 대상 영역(10)에 대한 사용자의 코멘트(51)를 관련자와 공유하고 관련자로부터 받은 의견(52)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관련자는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를 통해 등록된 사용자의 코멘트(51)에 응답하여 서버(200)에 의견 내용을 등록할 수 있다. 관련자에 의한 의견 내용의 등록은 관련자의 PC나 단말기(3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서버(200)에 관련자의 의견 내용이 등록되면, 상기 서버(200)는 코멘트(51)를 등록한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로 상기 코멘트(51)에 응답하는 의견 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통신부(150)는 서버(200)로부터 관련자가 코멘트(51)에 대하여 작성한 의견을 수신하고, 도 9와 같이 상기 표시부(130)는 수신된 의견(52)을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검사 대상 영역(10)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면서 검사 대상 영역(10)의 작업 결과와 설계 내용 간의 일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를 통해 검사 대상 영역(10)에 대한 각종 작업 정보를 조회하여 검사 시 확인할 수 있으며, 검사 결과 검사 대상 영역(10)에 대한 요청 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를 이용하여 요청 사항이 기재된 검사 결과서를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다.
나아가, 이 검사 결과서는 서버(200)를 통해 검사 대상 영역(10)과 관련된 관련자에게 전달되어, 사용자는 요청 사항에 대한 관련자의 응답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전달받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검사 지원 방법(1000)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방법(100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방법(1000)은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100)가 구조물의 검사를 지원하는 방법으로서, 구조물의 검사 대상 영역(10)을 촬영한 실물 이미지(11)를 생성하는 단계(S1100), 상기 실물 이미지(11)에 검사 대상 영역(10)의 3차원 모델(21)을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31)를 생성하는 단계(S1200), 상기 합성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S1300), 사용자로부터 검사 대상 영역(10)에 대한 코멘트(51)를 입력받는 단계(S1400), 및 상기 코멘트(51)를 검사 대상 영역(10)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S1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합성 이미지(31)를 생성하는 단계(S1200)는, 검사 대상 영역(1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21)을 불러와 실물 이미지(11)에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합성 이미지(31)를 생성하는 단계(S1200)는, 검사 대상 영역(1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21)을 불러와 실물 이미지(11)에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합성 이미지(31)를 생성하는 단계(S1200)는, 실물 이미지(11)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점과 상기 기준점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21)의 대응점이 일치되도록 상기 실물 이미지(11)에 상기 3차원 모델(21)을 정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방법(1000)은 상기 합성 이미지(31)를 생성하는 단계(S1200) 전, 3차원 모델(21)을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3차원 모델(21)을 기반으로 검사 대상 영역(10)을 촬영한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받은 촬영 위치를 기초로 검사 대상 영역(10)의 촬영 방향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21)의 시선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방법(1000)은 상기 합성 이미지(31)를 생성하는 단계(S1200) 후, 상기 합성 이미지(31)에서 실물 이미지(11)와 3차원 모델(21)이 서로 불일치하는 부분(311, 312)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 이미지(31)에서 상기 불일치하는 부분(311, 312)이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불일치하는 부분(311, 312)을 검출하는 단계는, 불일치하는 부분이 3차원 모델(21)에 속하는 경우 해당 부분을 누락 부분(311)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불일치하는 부분이 실물 이미지(11)에 속하는 경우 해당 부분을 오작 부분(312)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방법(1000)은 검사 대상 영역(10)에 대한 작업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불러오는 단계, 및 불러온 작업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방법(1000)은 상기 코멘트(51)를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S1500) 후, 상기 코멘트(51)를 검사 대상 영역(10)과 관련된 관련자에게 알리도록 서버(200)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방법(1000)은 서버(200)로부터 관련자가 코멘트(51)에 대하여 작성한 응답(52)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응답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방법(1000)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 검사 지원 방법(1000)은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
100: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
110: 카메라부
120: 이미지 처리부
130: 표시부
140: 입력부
150: 통신부
160: 저장부
170: 제어부
200: 서버
300: 관련자 단말기

Claims (10)

  1. 구조물의 검사 대상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을 촬영하여 얻은 실물 이미지에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의 3차원 모델을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합성 이미지에서 상기 실물 이미지와 상기 3차원 모델이 서로 불일치하는 부분을 검출하는 이미지 처리부;
    상기 합성 이미지를 표시하며, 상기 합성 이미지에서 상기 불일치하는 부분이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사 대상 영역에 대한 코멘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코멘트를 상기 검사 대상 영역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불일치하는 부분이 상기 실물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상기 3차원 모델에만 포함되어 있는 부분인 경우, 해당 부분을 누락 부분으로 결정하고,
    상기 불일치하는 부분이 상기 3차원 모델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상기 실물 이미지에만 포함되어 있는 부분인 경우, 해당 부분을 오작 부분으로 결정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의 3차원 모델을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3차원 모델에서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을 촬영한 촬영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는 3차원 모델을 3차원 좌표 공간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터치 버튼과, 상기 3차원 모델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기 위한 제2 터치 버튼이 상기 화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1 터치 버튼이 터치됨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3차원 모델이 3차원 좌표 공간에서 회전되고, 상기 제2 터치 버튼이 터치됨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3차원 모델이 확대 또는 축소되고,
    상기 제1 터치 버튼 및 상기 제2 터치 버튼이 터치됨에 따라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을 촬영한 방향에 대응하도록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는 3차원 모델이 조작되면,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는 3차원 모델을 기초로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의 촬영 방향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의 시선 방향을 검출하되,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촬영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영역에 대해서만 3차원 모델의 시선 방향을 탐색하는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를 촬영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식별 데이터 또는 상기 식별 기호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을 불러와 상기 실물 이미지에 합성하는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실물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점과 상기 기준점에 대응하는 상기 3차원 모델의 대응점이 일치되도록 상기 실물 이미지에 상기 3차원 모델을 정합하는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검사 대상 영역에 대한 작업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불러오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불러온 작업 정보를 표시하는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코멘트를 상기 검사 대상 영역과 관련된 관련자에게 알리도록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관련자가 상기 코멘트에 대하여 작성한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신된 응답을 표시하는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
  10.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가 구조물의 검사를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검사 대상 영역을 촬영한 실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실물 이미지에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의 3차원 모델을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합성 이미지에서 상기 실물 이미지와 상기 3차원 모델이 서로 불일치하는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합성 이미지를 표시하며, 상기 합성 이미지에서 상기 불일치하는 부분이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사 대상 영역에 대한 코멘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코멘트를 상기 검사 대상 영역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실물 이미지와 상기 3차원 모델이 서로 불일치하는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불일치하는 부분이 상기 실물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상기 3차원 모델에만 포함되어 있는 부분인 경우, 해당 부분을 누락 부분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불일치하는 부분이 상기 3차원 모델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상기 실물 이미지에만 포함되어 있는 부분인 경우, 해당 부분을 오작 부분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의 3차원 모델을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3차원 모델에서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을 촬영한 촬영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는 3차원 모델을 3차원 좌표 공간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터치 버튼과, 상기 3차원 모델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기 위한 제2 터치 버튼을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버튼이 터치됨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3차원 모델이 3차원 좌표 공간에서 회전되고, 상기 제2 터치 버튼이 터치됨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3차원 모델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 버튼 및 상기 제2 터치 버튼이 터치됨에 따라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을 촬영한 방향에 대응하도록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는 3차원 모델이 조작되면,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는 3차원 모델을 기초로 상기 검사 대상 영역의 촬영 방향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의 시선 방향을 검출하되,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촬영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영역에 대해서만 3차원 모델의 시선 방향을 탐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검사 지원 방법.
KR1020160082714A 2016-06-30 2016-06-30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1845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714A KR101845423B1 (ko) 2016-06-30 2016-06-30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714A KR101845423B1 (ko) 2016-06-30 2016-06-30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193A KR20180003193A (ko) 2018-01-09
KR101845423B1 true KR101845423B1 (ko) 2018-04-05

Family

ID=61000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714A KR101845423B1 (ko) 2016-06-30 2016-06-30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4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902B1 (ko) * 2018-07-23 2019-11-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원격 기자재 정도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102031001B1 (ko) * 2018-11-05 2019-10-11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작물 감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8251A (ja) * 2010-03-23 2011-10-06 Fujifilm Corp 検査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8251A (ja) * 2010-03-23 2011-10-06 Fujifilm Corp 検査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193A (ko)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nji et al. Markerless cooperative augmented reality-based smart manufacturing double-check system: Case of safe PCBA inspection following automatic optical inspection
JP5374071B2 (ja) 携帯端末および領域特定処理実行方法
US7286725B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apparatus for suggesting a presentation accuracy of relate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US8751969B2 (en) Information processor,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displaying a virtual image
US8121353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information
US9996947B2 (en) Monitoring apparatus and monitoring method
CN104081307A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和程序
US11055869B2 (en) Security inspection based on scanned images
US11972533B2 (en) Automated measurement of interior spaces through guided modeling of dimensions
JP2020098568A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方法およ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20150063703A (ko) 증강현실 기반 선박의 블록 검사 방법
US10176552B2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for associating the same object in different images
KR101845423B1 (ko) 구조물 검사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1792701B1 (ko) 도면 검사 장치 및 방법
JP6262610B2 (ja) 情報登録装置及び情報継続登録装置並びに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211205A (ja) 制御装置及びイメージデータの表示方法
KR101756313B1 (ko) 부재 위치 안내 장치
JP2016170495A (ja) 点検支援装置、点検支援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点検支援システム
US118368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visual inspections
JP2019128728A (ja) 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1361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装置
US1126376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obtaining a position/orientation of an object
KR20170025439A (ko) 의장 공정 관리 장치 및 방법
JP4006869B2 (ja) 検査方法および装置
JP202402069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