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303B1 - 동적 자기장 제어를 이용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체 영상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동적 자기장 제어를 이용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체 영상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303B1
KR101844303B1 KR1020130019784A KR20130019784A KR101844303B1 KR 101844303 B1 KR101844303 B1 KR 101844303B1 KR 1020130019784 A KR1020130019784 A KR 1020130019784A KR 20130019784 A KR20130019784 A KR 20130019784A KR 101844303 B1 KR101844303 B1 KR 101844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eoscopic image
magnetic field
change
unit
stereo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5953A (ko
Inventor
유병인
이영범
장경자
조영철
황효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9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303B1/ko
Priority to US14/019,297 priority patent/US9507478B2/en
Publication of KR20140105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동적 자기장 제어를 이용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체 영상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는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기장 생성부 및 입체 영상과 관련된 입체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자기장 생성부를 동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적 자기장 제어를 이용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체 영상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방법{3D DISPLAY DEVICE OF PROVIDING INPUT-OUTPUT INTERFACE USING DYNAMIC MAGNETIC FIELD CONTROL AND METHOD THEREOF}
아래 실시예들은 동적 자기장 제어를 이용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체 영상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3차원 입체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3차원 입체 영상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일 측에 따른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체 영상 장치는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기장 생성부; 및 상기 입체 영상과 관련된 입체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상기 자기장 생성부를 동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체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체 영상에 대응되는 입체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상기 자기장 생성부를 제어하는 자기장 생성 제어부; 및 이용자의 입력으로 인한 상기 입체 자기장의 변화를 인식하는 자기장 변화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자성을 가지는 입력 객체로 인한 상기 입체 자기장의 변화를 인식하는 자기장 변화 인식부; 및 상기 입체 자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객체를 인식하는 입력 객체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체 자기장에 의하여 자성을 가지는 입력 객체의 움직임이 제어되도록 상기 자기장 생성부를 동적으로 제어하는 입력 객체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체 자기장에 의하여 전자 기기가 무선 충전되도록 상기 자기장 생성부를 동적으로 제어하는 무선 충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에 따른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체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은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전자석 배열을 이용하여 상기 입체 영상과 관련된 입체 자기장을 생성하는 단계; 및 이용자의 입력으로 인한 상기 입체 자기장의 변화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체 영상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배열을 이용한 입체 영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을 조작하기 위한 입체 자기장의 동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객체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입체 자기장의 동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무선 충전을 위한 입체 자기장의 동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체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체 영상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자기장 생성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입체 영상 장치(100)는 이용자에게 입체 영상을 제공하고, 이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로, 예를 들어 TV와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이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양안영상(stereoscopy)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디스플레이부(110)는 홀로그램(hologram)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방식들은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할 뿐 디스플레이부(110)의 구성을 제한하지 아니한다.
자기장 생성부(120)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기장 생성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의해 입체 영상이 표시되는 공간에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입체 영상 장치(100)는 자기장 생성부(120)를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입체 영상을 조작하는 실체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자기장 생성부(120)는 전자석 배열(Electro Magnet Array)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자석 배열에 포함된 개별 전자석(Electro Magnet)은 전기가 공급되면 자기장을 형성하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자기장 생성부(120)와 관련된 보다 상세한 사항들은 후술한다.
제어부(130)는 자기장 생성부(120)가 입체 영상과 관련된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자기장 생성부(120)를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 상, 제어부(130)의 동적 제어 하에서 자기장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입체 영상과 관련된 자기장을 입체 자기장이라고 한다.
제어부(13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입체 영상과 관련된 입체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자기장 생성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입체 영상 데이터를 미리 저장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통신부(도면 미표시)에 의해 수신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임시적 또는 지속적으로 저장한 뒤 제어부(130)로 해당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입체 영상과 더불어 해당 입체 영상과 관련된 입체 자기장을 생성함으로써, 3차원 가상 객체의 조작감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이용자가 3차원 가상 객체를 조작할 때, 실제 객체를 조작하는 경우 느낄 수 있는 물리적인 저항감 또는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배열을 이용한 입체 영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10), 자기장 생성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이 때, 제어부(230)는 자기장 생성 제어부(231) 및 자기장 변화 인식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장 생성 제어부(231)는 디스플레이부(210)에 의해 표시되는 입체 영상에 기초하여 입체 영상에 대응되는 입체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자기장 생성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장 생성 제어부(231)는 해당 입체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입체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자기장 생성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입체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의 위치 정보는 해당 픽셀들의 3차원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픽셀들의 3차원 좌표는 디스플레이부(210)를 기준으로 하는 상대적 좌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체 영상 데이터는 입체 영상의 비디오 콘텐츠 또는 그래픽 콘텐츠와 상관없이 입체 영상의 3차원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지도(3D Map)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장 생성 제어부(231)는 3차원 지도에 따라 입체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자기장 생성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자기장 생성 제어부(231)는 입체 자기장의 형상이 입체 영상의 형상과 일치되도록 자기장 생성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자기장 생성 제어부(231)의 동작과 관련된 보다 상세한 사항들은 도 3을 통하여 후술한다.
한편, 이용자는 자기장 생성부(220)에 의해 생성된 입체 자기장에 영향을 미치는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는 입체 자기장을 변화시키는 자성을 가지는 입력 객체를 이용하여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용자가 입체 자기장이 생성된 공간 내에서 자성을 가지는 입력 객체를 이용하여 3차원 가상 객체를 조작하는 경우, 이용자는 실제 객체를 조작하는 경우 느낄 수 있는 물리적인 저항감 또는 촉감을 느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이용자가 3차원 가상 객체를 조작할 때, 실제 객체를 조작하는 경우 느낄 수 있는 물리적인 저항감 또는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자기장 변화 인식부(232)는 이용자의 입력으로 인한 입체 자기장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자기장 변화 인식부(232)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의 입력으로 인하여 입체 자기장이 변하는 경우 자기장 변화 인식부(232)는 자기장 생성부(220)를 이용하여 입체 자기장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자기장 변화 인식부(232)는 별도로 구비된 자기장 센서(도면 미표시)를 이용하여 입체 자기장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도면에 표시하지 않았으나, 제어부(230)는 입체 영상 변형부 및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체 영상 변형부는 자기장 변화 인식부(232)에 의해 인식된 자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10)에 의해 표시되는 입체 영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입체 영상 변형부에 의해 변형된 입체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체 영상 변형부는 자기장 생성부(220)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 및 영구 자석 등 자성을 가지는 입력 객체에 의하여 변화된 입체 자기장을 비교할 수 있다. 입체 영상 변형부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3차원 자기장 차영상(Magnetic Field Difference Map)을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입체 영상 변형부는 3차원 자기장 차영상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3차원 지도 또는 입체 영상 자체를 변형(Deformation)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장 생성부(220)는 전자석 배열(221)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석 배열(221)은 매트릭스 구조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자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장 생성부(220)는 제어부(230)와 연동하여 전자석 배열(221)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자석 노드 컨트롤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은 입력되는 전류가 있는 경우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 자기장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입체 자기장을 발생시킬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석은 입력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이한 극성의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석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되는 경우, 전자석은 N극의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반면, 전자석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되는 경우, 전자석은 S극의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자석은 인가되는 전류의 양에 따라 상이한 세기의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석은 인가되는 전류의 양이 많은 경우 인가되는 전류의 양이 적은 경우에 비하여 센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장치는 복수의 전자석들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 또는 전류의 방향을 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생성되는 입체 자기장의 세기 또는 극성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입체 영상 장치는 입체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3차원 지도에 기초하여 입체 자기장이 생성되도록 전자석 배열을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 표시하지 않았으나, 자기장 생성 제어부(231)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제어부는 입체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하여 전자석 배열(221)에 입력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자석 노드 컨트롤러(222)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 제어부는 입체 자기장의 형상이 입체 영상의 형상과 일치되도록 전자석 배열(221)에 입력되는 전류의 방향 및 전자석 배열(221)에 입력되는 전류의 양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용자는 자기장 생성부(220)에 의해 생성된 입체 자기장에 영향을 미치는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표시하지 않았으나, 자기장 변화 인식부(232)는 전류 변화 감지부를 이용하여 입체 자기장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류 변화 감지부는 전자석 배열(221)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전류 변화 감지부는 제어부(230)에 의해 전자석 배열(221)에 입력되도록 제어된 전류의 방향 또는 전류의 양을 기준으로 실제 전자석 배열(221)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 또는 전류의 양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전류 변화 감지부는 해당하는 변화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 변화 감지부는 전자석 노드 컨트롤러(222)를 이용하여 전자석 배열(221)에 흐르는 전류가 전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 전류와 상이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류 변화 감지부는 전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 전류의 양과 실제 전자석 배열(221)에 흐르는 전류 사이의 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자기장 변화 인식부(232)는 전류 변화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전류의 변화에 기초하여 입체 자기장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장 변화 인식부(230)는 전류 변화 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입체 자기장의 변화량을 추정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입체 영상 장치가 전자석 배열을 이용하여 자기장 생성부를 구성함을 가정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에 의하여 입체 영상 장치의 구성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을 조작하기 위한 입체 자기장의 동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10)는 3차원 지형, 3차원 물체 등과 같은 입체 영상(315)을 출력할 수 있다. 자기장 생성부(320)는 디스플레이부(310)에 의해 출력되는 입체 영상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입체 자기장(325)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장 생성부(320)는 자기장 배열에 포함된 개별 전자석(321) 각각을 이용하여 입체 자기장(325)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입체 자기장(325)의 형상은 개별 전자석(321) 각각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 및 전류의 세기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이용자가 자성을 가지는 입력 객체(331)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315)을 터치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이용자는 자성을 가지는 입력 객체(331)를 손(330)에 장착한 상태로 입체 영상(315)을 조작하는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는 영구 자석이 부착된 된 반지, 골무, 또는 장갑을 손 등의 신체 부위에 장착한 상태로 입체 영상(315)을 만질 수 있다. 이 경우, 자기장 생성부(320)에 의해 형성된 입체 자기장 및 이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된 영구 자석의 자기장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이용자는 입체 영상(315)을 실제로 조작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가 입체 영상(315)을 세게 쥐는 등 입체 영상(315)의 모양을 변형하려는 의도의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이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된 영구 자석의 자기장이 전자석 배열의 자기장에 영향을 미친다. 그 결과, 전자석 배열에 포함된 개별 전자석(321)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장치는 이러한 전류량의 변화를 인식하고, 인식된 전류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3차원 자기장 차영상을 구하며, 3차원 자기장 차영상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3차원 지도 또는 입체 영상 자체를 변형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는 도 2를 통하여 기술한 사항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장치는 자성을 가지는 입력 객체(331)에 의한 입체 자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입력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체 영상 장치는 입체 자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입력 객체의 위치, 움직임, 외형, 또는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영구 자석이 부착된 입력 객체를 이용하여 입체 자기장에 영향을 미치는 입력 동작을 수행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영구 자석의 자기장에 의하여 입체 자기장이 변할 수 있고, 나아가 전자석 배열에 포함된 개별 전자석들의 출력 전류가 변할 수 있다.
입체 영상 장치는 출력 전류가 변하는지 여부 및 출력 전류의 변화량을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입체 영상 장치는 인식된 출력 전류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입력 객체에 부착된 영구 자석의 3차원 위치 및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입체 영상이 표시되는 공간에서 전술한 입체 자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입력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입체 영상 장치는 디스플레이 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일정한 거리까지 끊김 없이(seamless) 입력 객체를 인식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장치는 적외선 센서 등 광을 이용하는 객체 인식 방법에 비하여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덜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체 영상 장치는 야외 또는 낮 시간에도 향상된 인식률을 가지는 객체 인식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입력 객체에 부착된 영구 자석은 특정한 모양(예를 들어, 별, 삼각형, 사각형 등)을 가진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영구 자석의 모양에 따라 전자석 배열이 영향을 받는 패턴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입체 영상 장치는 전자석 배열에 포함된 복수의 전자석들의 출력 전류가 변하는 패턴을 인식함으로써, 영구 자석이 부착된 입력 객체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객체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입체 자기장의 동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장치는 자기장 생성부(420)에 의해 생성되는 입체 자기장을 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자성을 가지는 입력 객체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을 가지는 체스말(430)이 디스플레이부(410) 위에 놓여 있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때, 체스말(430)의 자성을 위하여 체스말(430)의 밑면에 영구 자석(431)이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입체 영상 장치는 자기장 생성부(420)에 포함된 전자석 배열에 의해 생성되는 입체 자기장을 동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실제 객체인 체스말(430)을 이동시키는 등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입체 영상 장치는 디스플레이부(410)를 이용하여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415)을 표시함으로써, 실제 객체와 가상 객체를 연동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무선 충전을 위한 입체 자기장의 동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장치는 자기장 생성부(510)에 의해 생성되는 입체 자기장(515)을 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전자 기기(520)를 무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무선 충전을 위해 디스플레이 위에 놓여 있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자기장 생성부(510)는 무선 충전을 위한 유도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기장 생성부(510)는 복수의 전자석들을 포함하는 전자석 배열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전자석에서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솔레노이드가 자기 유도(Magnetic Induction)를 위한 유도 전류 발생 코일 역할을 할 수 있다.
또는, 각각의 전자석에서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솔레노이드가 자기 공명(Magnetic Resonance)을 위한 송신 코일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체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장치는 단계(610)에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한다. 입체 영상 장치는 단계(620)에서 전자석 배열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과 관련된 입체 자기장을 생성한다. 또한, 입체 영상 장치는 단계(630)에서 이용자의 입력으로 인한 입체 자기장의 변화를 인식한다.
나아가, 입체 영상 장치는 단계(640)에서 자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입체 영상을 갱신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입체 영상 장치는 단계(610)으로 되돌아가 갱신된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각 단계들에는 도 1 내지 도 5를 통하여 기술된 사항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6)

  1.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체 영상 장치에 있어서,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기장 생성부; 및
    상기 입체 영상과 관련된 입체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상기 자기장 생성부를 동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체 자기장에 의하여 자성을 가지는 입력 객체의 움직임이 제어되도록 상기 자기장 생성부를 동적으로 제어하는 입력 객체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체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체 영상에 대응되는 입체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상기 자기장 생성부를 제어하는 자기장 생성 제어부; 및
    이용자의 입력으로 인한 상기 입체 자기장의 변화를 인식하는 자기장 변화 인식부
    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생성부는 전자석 배열로 구성되고,
    상기 자기장 생성 제어부는
    상기 입체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석 배열에 입력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입체 자기장의 형상이 상기 입체 영상의 형상과 일치되도록 상기 전류의 방향 및 상기 전류의 양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입체 영상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생성부는 전자석 배열로 구성되고,
    상기 자기장 변화 인식부는
    상기 입체 자기장의 변화를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석 배열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는 전류 변화 감지부
    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입체 영상을 변형시키는 입체 영상 변형부; 및
    상기 변형된 입체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입체 영상 장치.
  7.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체 영상 장치에 있어서,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기장 생성부; 및
    상기 입체 영상과 관련된 입체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상기 자기장 생성부를 동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자성을 가지는 입력 객체로 인한 상기 입체 자기장의 변화를 인식하는 자기장 변화 인식부; 및
    상기 입체 자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객체를 인식하는 입력 객체 인식부
    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생성부는 전자석 배열로 구성되고, 상기 자기장 변화 인식부는 상기 전자석 배열에 포함된 복수의 전자석들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들을 감지하며, 상기 입력 객체 인식부는 상기 전류의 변화들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객체의 위치, 외형, 또는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는 입체 영상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체 자기장에 의하여 전자 기기가 무선 충전되도록 상기 자기장 생성부를 동적으로 제어하는 무선 충전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장치.
  11.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체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전자석 배열을 이용하여 상기 입체 영상과 관련된 입체 자기장을 생성하는 단계;
    이용자의 입력으로 인한 상기 입체 자기장의 변화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입체 자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자의 입력에 이용된 입력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자기장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체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체 영상에 대응되는 입체 자기장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체 자기장 지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석 배열에 입력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자기장의 변화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석 배열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입체 영상을 갱신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갱신된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입체 영상 장치의 동작 방법.
  15. 삭제
  16. 제11항 내지 제14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019784A 2013-02-25 2013-02-25 동적 자기장 제어를 이용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체 영상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방법 KR101844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784A KR101844303B1 (ko) 2013-02-25 2013-02-25 동적 자기장 제어를 이용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체 영상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방법
US14/019,297 US9507478B2 (en) 2013-02-25 2013-09-05 Three-dimensional (3D)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input-output interface using dynamic magnetic field control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784A KR101844303B1 (ko) 2013-02-25 2013-02-25 동적 자기장 제어를 이용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체 영상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953A KR20140105953A (ko) 2014-09-03
KR101844303B1 true KR101844303B1 (ko) 2018-04-02

Family

ID=51387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784A KR101844303B1 (ko) 2013-02-25 2013-02-25 동적 자기장 제어를 이용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체 영상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07478B2 (ko)
KR (1) KR1018443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4789A1 (en) * 2013-10-18 2015-04-23 Hagedorn Douglas Systems and methods for non-visual spatial interfacing with a computer
KR101626949B1 (ko) * 2014-11-27 2016-06-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자기장을 이용한 감각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EP3341324B1 (en) 2015-08-28 2021-09-29 University Of South Florida Magnetic coprocessor and method of use
US10198402B1 (en) 2015-08-28 2019-02-05 University Of South Florida Magnetic coprocessor and method of use
KR101721204B1 (ko) * 2015-09-17 2017-03-29 한국기계연구원 자기력을 이용한 햅틱 장치
EP3214528B1 (en) * 2016-03-04 2019-09-11 Nxp B.V. Gesture feedback
CN107066165B (zh) * 2017-02-13 2018-06-12 深圳市华鼎星科技有限公司 一种阵列编码磁信号定位感应装置
US11837019B1 (en) 2023-09-26 2023-12-05 Dauntless Labs, Llc Evaluating face recognition algorithms in view of image classification features affected by smart makeup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6659A (ja) 1993-07-05 1995-06-06 Aiki Denko Kk 磁性流体ディスプレイ、磁性流体ディスプレイの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EP0702494B1 (en) * 1994-09-19 2001-12-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5227349A (ja) 2004-02-10 2005-08-25 Goto Ikueikai 画面表示装置
KR101422214B1 (ko) * 2008-01-28 2014-07-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력 유체를 이용하여 입력 지점을 감지할 수 있는 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097764B1 (ko) 2008-12-23 2011-12-23 한국과학기술원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강성구현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이용한 햅틱제공장치
KR101616875B1 (ko) 2010-01-07 201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1114750B1 (ko) 2010-01-29 2012-03-05 주식회사 팬택 다차원 영상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US20120105058A1 (en) * 2010-10-29 2012-05-03 Iakov Veniaminovitch Kopelevitch Magnetic field sensing
KR101091206B1 (ko) 2011-01-10 2011-12-0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영구 자석과 자기 유변유체를 이용한 햅틱 액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햅틱 제공 방법
US9298264B2 (en) * 2011-05-16 2016-03-2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s and apparatus for actuated 3D surface with gestural interacti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953A (ko) 2014-09-03
US9507478B2 (en) 2016-11-29
US20140240277A1 (en) 201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303B1 (ko) 동적 자기장 제어를 이용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체 영상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방법
US11550156B2 (en) Sensor fusion for electromagnetic tracking
CN109791435B (zh) 虚拟现实或增强现实显示系统中磁传感器和光学传感器的校准
EP3721284B1 (en) Selective tracking of a head-mounted display
JP707923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20210141448A1 (en) Pose estimation using electromagnetic tracking
KR102130892B1 (ko)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제공 방법
CN106210538A (zh) 在用户设备上显示基于光场的图像的方法和装置及程序
CN104756154A (zh) 参考坐标系统确定
KR101470757B1 (ko)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1943982A (zh) 基于被跟踪的眼睛运动的图像操作
CN102226880A (zh) 一种基于虚拟现实的体感操作方法及系统
EP3871034A2 (en) Ambient electromagnetic distortion correction for electromagnetic tracking
CN105683868B (zh) 用于空间交互中的额外模态的面部跟踪
KR20140104597A (ko) 제스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바일 기기들
KR10256127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927150B1 (ko)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1888491B1 (ko) 가상 공간 이동 장치 및 방법
US20210142511A1 (en) Method of generating 3-dimensional model data
US10133470B2 (en) Interfac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exploiting multi-modality
CN108027647B (zh) 用于与虚拟对象交互的方法和设备
Díaz et al. Augmented reality without fiducial markers
CN105723422B (zh) 针对多视点图像的标签信息的处理装置以及处理方法
RE Low cost augmented reality for industrial problems
Bågling Navigating to real life objects in indoor environments using an Augmented Reality head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