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160B1 -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 - Google Patents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160B1
KR101844160B1 KR1020160146303A KR20160146303A KR101844160B1 KR 101844160 B1 KR101844160 B1 KR 101844160B1 KR 1020160146303 A KR1020160146303 A KR 1020160146303A KR 20160146303 A KR20160146303 A KR 20160146303A KR 101844160 B1 KR101844160 B1 KR 101844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s
antenna
node
transmit
rece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규
장석주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6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160B1/ko
Priority to US15/661,293 priority patent/US1021189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04B7/0608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0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74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subgroups of receiv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널 정보를 근거로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송수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송수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방법은 제1노드와 제2노드가 통신하는 전이중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에 있어서, Ni개의 안테나를 가지는 노드 i에서 NC가 최대값을 갖도록 송신 안테나 수와 수신 안테나 수를 계산하는 하는 단계-상기 NC는 모든 가능한 안테나 세트 후보의 수를 의미하고, 상기 N은 2이상의 자연수로 상기 노드 i에서 송신 안테나 수와 수신 안테나 수의 합은 Ni이고, 상기 i는 1 또는 2임-; 및 전송률을 고려하여 상기 노드 i에서의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METHOD FOR SELECTING ANTENNA IN BI-DIRECTIONAL FULL-DUPLEX MIMO SYSTEMS}
본 발명은 양 방향으로 동시에 송수신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전이중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널 정보를 근거로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송수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이중 통신 기술 (Full-duplex communication)은 한 노드에서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시간 자원 또는 주파수 자원을 직교하도록 분할하여 사용하는 기존의 반이중 통신(Half-duplex communication)에 비해서 시스템의 용량(capacity)를 이론적으로 2배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노드 내에서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특성 때문에 강한 자기 간섭(Self-interference)을 겪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이중 통신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자기 간섭을 제거하는 방법들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통해서 제안 및 구현되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6654호가 있다.
기존의 반이중 통신 시스템에서는 송신단의 안테나는 송신만 수신단의 안테나는 수신만 가능하여 송수신 그룹이 고정되어 있었다.
반면, 전이중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노드에서 송신과 수신 모두 가능하므로 여러 송수신 안테나 그룹이 가능하다.
기존의 전이중 단일안테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안된 송수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기법은 모든 경우의 수를 다 고려하여 성능이 가장 좋은 그룹을 선택하는 것으로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적용하기에는 복잡도가 너무 높다.
따라서 복잡도를 최소로 하면서도 성능이 향상된 전이중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복잡도의 알고리즘으로 최적의 송수신 안테나 그룹을 선택할 수 있는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1노드와 제2노드가 통신하는 전이중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에 있어서, Ni개의 안테나를 가지는 노드 i에서 NC가 최대값을 갖도록 송신 안테나 수와 수신 안테나 수를 계산하는 하는 단계-상기 NC는 모든 가능한 안테나 세트 후보의 수를 의미하고, 상기 N은 2이상의 자연수로 상기 노드 i에서 송신 안테나 수와 수신 안테나 수의 합은 Ni이고, 상기 i는 1 또는 2임-; 및 전송률을 고려하여 상기 노드 i에서의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은 채널 정보를 바탕으로 송수신 안테나 그룹을 만들어 무선통신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저복잡도로 전이중 통신 시스템에서 최적의 송수신 안테나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송수신 안테나 세트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을 이용한 성능과 다른 방법을 이용한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전이중 다중안테나 시스템을 고려한다.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 두 개의 노드(즉, 제1노드(Node 1)와 제2노드(Node 2))가 신호를 같은 주파수에서 동시에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다.
반이중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노드별로 송신단과 수신단이 정해져 있고 송신단 노드의 안테나는 송신만 가능하고 수신단 노드의 안테나는 수신만 가능하다.
반면, 전이중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노드의 안테나가 송신과 수신 모두 가능하므로 상황에 맞춰서 송신과 수신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이중 통신 시스템의 특성을 이용하여, 기존 전이중 통신시스템과는 다르게 채널 정보에 따라 전송률 향상을 시킬 수 있는 송수신 안테나 그룹을 만드는 기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Ni는노드 i에서 총 안테나 수를 의미하고, Nt,i는 노드 i에서 전송 안테나 수, Nr,i는 노드 i에서 수신 안테나 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Ni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6107773310-pat00001
전이중 다중안테나 통신시스템에서 어떤 송수신 안테나 그룹 S를 가지는 노드
Figure 112016107773310-pat00002
의 수신신호
Figure 112016107773310-pat00003
는 다음의 수학식 2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6107773310-pat00004
여기서
Figure 112016107773310-pat00005
는 노드
Figure 112016107773310-pat00006
의 전송파워, xi(S)와 ni(S)는 각각 송수신 안테나 그룹 S를 가지는 노드
Figure 112016107773310-pat00007
의 송신신호벡터와 가우시안 잡음벡터이며
Figure 112016107773310-pat00008
이다.
Figure 112016107773310-pat00009
는 송수신 안테나 그룹 S를 가지는 노드
Figure 112016107773310-pat00010
에서 노드
Figure 112016107773310-pat00011
로의 채널,
Figure 112016107773310-pat00012
는 송수신 안테나 그룹 S를 가지는 노드
Figure 112016107773310-pat00013
의 자기회귀채널이며
Figure 112016107773310-pat00014
이다.
이 때, 송수신 안테나 그룹 S를 가지는 노드
Figure 112016107773310-pat00015
의 전송률
Figure 112016107773310-pat00016
는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쓸 수 있다.
Figure 112016107773310-pat00017
여기서
Figure 112016107773310-pat00018
이다. 위 식에서 확인할 수 있듯, 그룹 S에 따라 채널
Figure 112016107773310-pat00019
Figure 112016107773310-pat00020
가 달라지며 이는 전송률이 달라짐을 의미한다.
전이중 통신 시스템에서 최적의 안테나 선택 방법에 따라 평균 전송률을 구하면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6107773310-pat00021
여기서 Sj는 모든 가능한 안테나 세트 후보 중에서 j번째 안테나 세트이고, Nc는 모든 가능한 안테나 세트 후보의 수이다.
그리고 R(Sj)는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6107773310-pat00022
상기 수학식 4는 복잡하기에 근사화하여 간단하게 나타내면, 수학식 6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6107773310-pat00023
여기서
Figure 112016107773310-pat00024
는 안테나 선택기법을 사용하지 않은 일반적인 전이중 시스템에서의 평균 전송률이다. 그리고 Nc는 하기 수학식 7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6107773310-pat00025
Nc를 최대로 하게 하는 송신 안테나 수(Nt,i)와 수신 안테나 수(Nr,i)는 하기 수학식 8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6107773310-pat00026
여기서
Figure 112016107773310-pat00027
는 노드 i에서의 NC가 최대값을 갖도록 송신 안테나 수와 수신 안테나 수를 순서쌍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수학식 8에 의해 계산된 송신 안테나 수 및 수신 안테나 수는 NC가 최대값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i노드에서의 최적의 송수신 안테나 수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각 노드에서의 총안테나 수를 확인하여 최적의 송수신 안테나 수를 계산할 수 있다(S210). 상기 최적의 송수신 안테나 수는 상기 수학식 8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송수신 안테나 세트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근거로 하여 안테나 세트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겠다.
노드 1 및 노드 2 모두 총 안테나 수가 6개 이므로, 노드 1 및 노드 2 각각의 송신 안테나 수 및 수신 안테나 수는 3이 될 수 있다.
최적의 송수신 안테나 수가 계산되면, 초기 단계에서는 노드 1 및 노드 2 모든 안테나가 송신 안테나로 사용될 지 수신 안테나로 사용될 지 결정되어 있지 않다.
첫 번째 단계(step 1)로, 노드 1에서는 송신 안테나인지 수신 안테나인지 결정되지 않은 안테나(총 6개) 중 어느 하나는 수신 안테나로 나머지(5개 안테나)는 송신 안테나로 가정하고, 노드 2에서는 송신 안테나인지 수신 안테나인지 결정되지 않은 안테나(총 6개 안테나) 중 어느 하나는 송신 안테나로 나머지(5개 안테나)는 수신 안테나로 가정하여 모든 가능한 안테나 세트 후보에 대한 전송률을 계산할 수 있다(S220).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가능한 안테나 세트 후보는 총 36(=6x6)가지이다.
상기 36가지 경우 중, 전송률이 최대값을 가지는 안테나 세트 후보를 각 노드의 송수신 안테나로 결정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도 3의 첫 번째 단계에서는 36가지 경우 전송률이 최대값을 갖게 하는 노드 1의 안테나 하나를 수신 안테나 및 노드 2의 안테나 하나를 송신 안테나를 세트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안테나인지 수신 안테나인지 역할이 결정된 안테나 수가 계산된 최적의 안테나 수보다 작은 경우는 S220 단계 및 S230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첫 번째 단계까지 수행한 결과, 결정된 송수신 안테나 수가 1이므로(즉, 계산된 송수신 안테나 수가 3보다 작으므로), 두 번째 단계(step 2)가 수행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이미 송신 안테나인지 수신 안테나인지 역할이 결정된 안테나를 제외하고, 각 노드에서 역할이 결정되지 않은 총 5개의 안테나 중 하나에 에 대해 송신 안테나인지 수신 안테나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에서 노드 1에서는 송신 안테나인지 수신 안테나인지 결정되지 않은 안테나(총 5개) 중 어느 하나는 수신 안테나로 나머지(4개 안테나)는 송신 안테나로 가정하고, 노드 2에서는 송신 안테나인지 수신 안테나인지 결정되지 않은 안테나(총 5개 안테나) 중 어느 하나는 송신 안테나로 나머지(4개 안테나)는 수신 안테나로 가정하여 모든 가능한 안테나 세트 후보에 대한 전송률을 계산할 수 있다(S220).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가능한 안테나 세트 후보는 총 25(=5x5)가지이다. 여기서 이미 역할이 결정된 안테나는 결정된 대로 송신 안테나 또는 수신 안테나로 전송률이 계산된다.
상기 25가지 경우 중, 전송률이 최대값을 가지는 안테나 세트 후보를 각 노드의 송수신 안테나로 결정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도 3의 두 번째 단계에서는 25가지 경우 전송률이 최대값을 갖게 하는 노드 1의 안테나 하나를 수신 안테나 및 노드 2의 안테나 하나를 송신 안테나를 세트로 결정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까지 진행되면, 각 노드에서 총 2개의 안테나는 송신 안테나 또는 수신 안테나로 역할이 결정된다.
그런데, 도 3의 두 번째 단계까지 수행한 결과, 결정된 송수신 안테나 수가 2이므로(즉, 계산된 송수신 안테나 수가 3보다 작으므로), 세 번째 단계(step 3)가 수행된다.
세 번째 단계에서 노드 1에서는 송신 안테나인지 수신 안테나인지 결정되지 않은 안테나(총 4개) 중 어느 하나는 수신 안테나로 나머지(3개 안테나)는 송신 안테나로 가정하고, 노드 2에서는 송신 안테나인지 수신 안테나인지 결정되지 않은 안테나(총 4개 안테나) 중 어느 하나는 송신 안테나로 나머지(3개 안테나)는 수신 안테나로 가정하여 모든 가능한 안테나 세트 후보에 대한 전송률을 계산할 수 있다(S220).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가능한 안테나 세트 후보는 총 16(=4x4)가지이다. 여기서 이미 역할이 결정된 안테나는 결정된 대로 송신 안테나 또는 수신 안테나로 전송률이 계산된다.
상기 16가지 경우 중, 전송률이 최대값을 가지는 안테나 세트 후보를 각 노드의 송수신 안테나로 결정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도 3의 세 번째 단계에서는 16가지 경우 전송률이 최대값을 갖게 하는 노드 1의 안테나 하나를 수신 안테나 및 노드 2의 안테나 하나를 송신 안테나를 세트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의 세 번째 단계까지 수행한 결과, 결정된 송수신 안테나 수가 3이므로(즉, 계산된 송수신 안테나 수가 3과 같으므로) 더 이상 안테나 세트를 결정하는 S220 및 S230 단계를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각 노드의 총 안테나 수가 둘 다 동일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각 노드의 총 안테나 수가 다른 경우에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을 이용한 성능과 다른 방법을 이용한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그래프에서 Optimal AS Scheme은 모든 경우(즉, 수학식 8에 의한 최적의 송수신 안테나 수를 고려하지 않고, 모든 안테나 세트 후보를 다 고려한 경우)에 대해 전송률을 계산하여 안테나를 선택하는 기법에 대한 성능이고, Proposed AS algorithm 상기 수학식 8에 의한 최적의 송수신 안테나 수를 고려하여 가능한 안테나 세트 후보에 대해서만 전송률을 계산하는 기법에 대한 성능이고, Conventional BD FD는 안테나 선택 기법을 사용하지 않은 일반적인 경우의 성능을 나타낸다.
도 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 의한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은 모든 경우를 고려한 Optimal AS Scheme보다 훨씬 더 복잡도를 줄이면서도 대등한 성능을 나타내고, 일반적인 경우보다는 훨씬 성능이 좋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은 채널 정보를 바탕으로 송수신 안테나 그룹을 만들어 무선통신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저복잡도로 전이중 통신 시스템에서 최적의 송수신 안테나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한편, 이러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안테나 선택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Node 1: 제1노드
Node 2: 제2노드

Claims (5)

  1. 제1노드와 제2노드가 통신하는 전이중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에 있어서,
    Ni개의 안테나를 가지는 노드 i에서 NC가 최대값을 갖도록 송신 안테나 수와 수신 안테나 수를 계산하는 하는 단계-상기 NC는 모든 가능한 안테나 세트 후보의 수를 의미하고, 상기 Ni는 2이상의 자연수로 상기 노드 i에서 송신 안테나 수와 수신 안테나 수의 합이고, 상기 i는 1 또는 2임-; 및
    전송률을 고려하여 상기 노드 i에서의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노드 i에서 NC가 최대값을 갖도록 송신 안테나 수와 수신 안테나 수는 하기 수학식 1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18024923755-pat00034

    (여기서
    Figure 112018024923755-pat00035
    는 노드 i에서의 NC가 최대값을 갖도록 송신 안테나 수와 수신 안테나 수를 순서쌍으로 나타낸 것이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를 결정하는 단계는
    노드 1에서는 송신 안테나인지 수신 안테나인지 결정되지 않은 안테나 중 어느 하나는 수신 안테나로 나머지는 송신 안테나로 가정하고,
    노드 2에서는 송신 안테나인지 수신 안테나인지 결정되지 않은 안테나 중 어느 하나는 송신 안테나로 나머지는 수신 안테나로 가정하여 전송률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전송률 중 최대값을 가지는 상기 노드 1의 수신 안테나 및 상기 노드 2의 송신 안테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률 계산 단계는
    상기 노드 i에서의 결정된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의 수가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
KR1020160146303A 2016-11-04 2016-11-04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 KR101844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303A KR101844160B1 (ko) 2016-11-04 2016-11-04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
US15/661,293 US10211897B2 (en) 2016-11-04 2017-07-27 Method for selecting antennas in full-duplex MIMO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303A KR101844160B1 (ko) 2016-11-04 2016-11-04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160B1 true KR101844160B1 (ko) 2018-05-14

Family

ID=62064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303A KR101844160B1 (ko) 2016-11-04 2016-11-04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11897B2 (ko)
KR (1) KR1018441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5233B2 (en) * 2017-08-31 2020-07-14 Qualcomm Incorporated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transmit antenna sel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100A (ko) * 2005-10-17 2007-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통신시스템의 송ㆍ수신기 및송ㆍ수신방법
KR100726340B1 (ko) * 2005-08-08 2007-06-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의 안테나 선택장치 및 방법
KR20080028634A (ko) * 2006-09-27 2008-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81856A (ko) * 2009-01-07 2010-07-1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채널 용량 개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5428B2 (ja) * 2005-01-28 2010-11-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送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8279960B2 (en) * 2007-05-23 2012-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 method an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 system of enabling the method
KR101531053B1 (ko) * 2007-08-10 2015-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안테나 선택 기법을 이용한 적응 변조 장치 및 방법
JP4979814B2 (ja) * 2008-07-15 2012-07-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集積回路
KR101386654B1 (ko) 2012-12-27 2014-04-17 전자부품연구원 전이중 다중안테나 중계 장치 및 방법
WO2015178964A1 (en) * 2014-05-23 2015-11-26 Eltawil Ahmed Mohamed Full duplex reconfigurable antenna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340B1 (ko) * 2005-08-08 2007-06-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의 안테나 선택장치 및 방법
KR20070042100A (ko) * 2005-10-17 2007-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통신시스템의 송ㆍ수신기 및송ㆍ수신방법
KR20080028634A (ko) * 2006-09-27 2008-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81856A (ko) * 2009-01-07 2010-07-1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채널 용량 개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11897B2 (en) 2019-02-19
US20180131422A1 (en)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860B1 (ko) Mimo 시스템을 위한 낮은 복잡도의 송/수신 안테나선택 방법
KR101502148B1 (ko) 저 복잡도로 간섭 정렬 기법을 적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KR102038302B1 (ko) 비직교 다중 접속을 위한 빔포밍 장치 및 방법
KR20080028697A (ko) 증폭-순방향 릴레이 시스템의 릴레이 전력 제어 장치 및 그방법
US9531461B2 (en) Method of grouping transmitter-receiver pairs for communicating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KR102458563B1 (ko) 백스캐터 통신을 사용한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KR101963050B1 (ko) 에너지 수확 기반 간섭채널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KR101844160B1 (ko) 전이중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선택 방법
KR101624121B1 (ko) 무선 통신시스템의 간섭 정렬 및 제거 장치 및 그를 위한 방법
US87678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ight factor matrix determination for beam forming
KR101571998B1 (ko) 릴레이 필터 결정 방법 및 릴레이
KR101784625B1 (ko) 비직교 다중접속 기반 공간 편이 변조 및 다중입력 다중출력 멀티플렉싱 방법 및 장치
CN110191476B (zh) 一种基于可重构天线阵列的非正交多址接入方法
CN116155332A (zh) 波束训练方法、第一节点、第二节点、通信系统及介质
KR20220009713A (ko) Ofdma 기반 무선 전력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에너지 효율적인 자원 할당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144679A (ko) 지능형 반사 표면을 포함하는 mimo 시스템의 수확 에너지 및 전송 속도 최적화 방법 및 장치
KR101318297B1 (ko) 수신 snr과 궤환채널 정보에 기반한 자기간섭 신호 제거를 위한 다중 안테나 중계기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의 저장 매체
KR102656410B1 (ko) 정보 및 전력의 동시 무선 전송을 위한 수신 안테나 분할 장치 및 방법
KR101725664B1 (ko) Mimo 시스템 및 그것을 기반으로 하는 송신 신호 전력 제어 방법
KR102197649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1549305B1 (ko) 중계 장치 및 중계 필터 결정 방법
KR102656409B1 (ko) 다중 셀 다중 유저 swipt mimo 네트워크를 위한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KR101392103B1 (ko) 무선 통신 기지국의 신호 처리 방법, 장치, 그리고 수신 단말의 신호 처리 방법
KR101532838B1 (ko) 검출 되먹임 수신기가 있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무선 신호 처리 방법
KR101115706B1 (ko)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의 선택적 안테나 송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