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924B1 -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924B1
KR101843924B1 KR1020160131808A KR20160131808A KR101843924B1 KR 101843924 B1 KR101843924 B1 KR 101843924B1 KR 1020160131808 A KR1020160131808 A KR 1020160131808A KR 20160131808 A KR20160131808 A KR 20160131808A KR 101843924 B1 KR101843924 B1 KR 101843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frame
sensitivity
digital piano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상인
허주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나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나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나톤
Priority to KR1020160131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4Structural association with individual keys
    • G10H1/346Keys with an arrangement for simulating the feeling of a piano key, e.g. using counterweights, springs, ca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9/00Methods, tools or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usical instrument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2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피아노의 분해 없이 유지보수를 진행할 건반만 탈부착할 수 있으며, 건반의 탈부착을 위한 구조로 인해 타건 위치에 따른 건반의 처짐이나, 건반 내부에 배치되는 목재의 사이즈에 따른 타건 감도 하락을 방지하기 위한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keyboard structure of digital piano for improving assembly and sensitivity}
본 발명은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피아노의 분해 없이 유지보수를 진행할 건반만 탈부착할 수 있으며, 건반의 탈부착을 위한 구조로 인해 타건 위치에 따른 건반의 처짐이나, 건반 내부에 배치되는 목재의 사이즈에 따른 타건 감도 하락을 방지하기 위한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반의 타건을 센싱하여 기 설정된 전자음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디지털 피아노라고 하며, 종래의 어쿠스틱 피아노에 비해 내부의 현이 생략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적은 부피를 차지함에 따라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반면, 어쿠스틱 피아노에 비해 생략되거나, 변경된 구조로 인해 어쿠스틱 피아노와는 타건 감도가 차이를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디지털 피아노가 종래의 어쿠스틱 피아노의 타건 감도를 가질 수 있도록 헤머를 추가하는 등 많은 구조적인 장치를 추가하고 있다.
특히, 한국등록특허 제10-0673937호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구조"는 해머부재의 액션을 위한 건반의 해머액션부와 맞닿는 중심이동추의 일측부 접촉면 상에 단턱지는 드롭부를 구성되게 함으로써 건반의 터치시 건반의 하강이 일정지점에 도달되면 드롭부의 기능에 의해 해머액션부가 순간 드롭되면서 해머부재를 들어올리는 지지력을 상실하게 되는 중공상태가 되어 해머부재의 무게감 상실에 따른 애프터 터치감을 느낄 수 있도록하여 향상된 터치 감도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등록특허 제10-0673937호를 비롯한 종래의 디지털 피아노 건반은 건반 및 건반의 회전축 상부를 덮는 커버를 조립한 이후에 건반의 분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디지털 피아노의 생산이 완료(출고)된 이후에 커버를 비롯한 디지털 피아노의 분해없이 건반의 유지보수를 진행하기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생산성 향상 및 원가 절감을 위해 대부분의 건반이 수지를 이용한 사출 후 내부에 목재를 삽입하였으나, 삽입되는 목제의 사이즈를 일정하게 제조,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사출된 수지에 비해 목재의 사이즈가 작을 경우, 빈 공간에 의해 타건 감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음에 따라, 수지로 구성된 건반 내부를 목재가 빈 공간이 최소화되도록 조립되어야 하나, 빈 공간이 적을수록 수지로 구성된 건반에 목재를 삽입하기 어려우며, 건반에 형성된 공간보다 목재의 부피가 더 클 경우 수지로 구성된 건반에 목재를 삽입할 수 없거나, 수지로 구성된 건반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73937호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구조"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디지털 피아노의 분해 없이 유지보수를 진행할 건반만 탈부착하기 위한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반 내부에 삽입되는 목재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건반 내부에 목재를 배치하기 위한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반의 탈부착을 통한 유지 보수가 용이하면서, 건반의 탈부착을 위한 구조로 인해 타건 위치에 따라 건반의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는 일측 상부에 오목한 형태를 가진 복수 개의 수용부가 배치된 복수 개의 건반과, 상기 복수 개의 건반이 평행하게 배열되는 프레임과, 상기 건반의 일측이 소정의 길이만큼 삽입되도록 프레임의 상측에서 상기 건반측으로 돌출되되 하측으로 상기 수용부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단과, 상기 건반의 일측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건반의 수용부를 프레임의 돌출단에 밀착시키되, 건반의 탈부착을 위해 탄성을 가지는 지지부와, 타건 시 상기 지지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건반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건반의 일측을 상기 돌출단에 고정시켜주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는 일측 상부에 오목한 형태를 가진 복수 개의 수용부가 배치된 복수 개의 건반과, 상기 복수 개의 건반이 평행하게 배열되는 프레임과, 상기 건반의 일측이 소정의 길이만큼 삽입되도록 프레임의 상측에서 상기 건반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건반의 탈부착을 위해 탄성을 가지며, 하측으로 상기 수용부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돌출단과, 상기 건반의 일측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건반의 수용부를 프레임의 돌출단에 밀착시키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건반의 일측 상단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돌출단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건반의 고정부재가 수용되는 수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건반의 일측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건반의 후방으로 돌출된 후크와, 상기 프레임의 돌출단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건반의 후크가 걸리는 걸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의 상기 프레임은 타측에 상기 건반의 상하 동작시 건반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하게 형성된 판상의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반의 타측에는 상기 프레임의 가이드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의 상기 건반은 목재가 삽입되기 위해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목재의 상측을 덮어 고정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상기 하우징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목재의 크기에 의해 발생되는 유격에 관계없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에 의하면, 디지털 피아노의 분해 없이 유지보수를 진행할 건반만 탈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에 의하면, 건반 내부에 삽입되는 목재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건반 내부에 목재를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에 의하면, 건반의 탈부착을 통한 유지 보수가 용이하면서, 건반의 탈부착을 위한 구조로 인해 타건 위치에 따라 건반의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의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의 건반을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의 프레임을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의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의 건반을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의 프레임을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의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의 건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피아노의 분해 없이 유지보수를 진행할 건반만 탈부착할 수 있으며, 건반의 탈부착을 위한 구조로 인해 타건 위치에 따른 건반의 처짐이나, 건반 내부에 배치되는 목재의 사이즈에 따른 타건 감도 하락을 방지하기 위한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100) 구조의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100) 구조는 일측 상부에 오목한 형태를 가진 복수 개의 수용부(110)가 배치된 복수 개의 건반(100)과, 복수 개의 건반(100)이 평행하게 배열되는 프레임(200)과, 건반(100)의 일측이 소정의 길이만큼 삽입되도록 프레임(200)의 상측에서 건반(100)측으로 돌출되되 하측으로 수용부(110)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단(210)과, 건반(100)의 일측 하단을 지지하여 건반(100)의 수용부(110)를 프레임(200)의 돌출단(210)에 밀착시키되, 건반(100)의 탈부착을 위해 탄성을 가지는 지지부(300)와, 타건 시 지지부(300)의 탄성에 의해 건반(10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건반(100)의 일측을 돌출단(210)에 고정시켜주기 위한 고정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200)은 건반(100)이 설치되어 건반(100)이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건반(100)이 설치된 모습만 도시되어 있으나 건반(100)이 설치되는 수량에 맞춰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건반(100)은 일측이 프레임(200)에 결합되어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하부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프레임(200)과 결합되는 건반(100)의 일측에는 프레임(200)의 돌출단(2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파여진 수용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건반(100)의 일측 하부에는 프레임(200)에 결합되며 탄성력을 가진 지지부(300)가 건반(100)을 돌출단(210) 방향으로 가압하여 돌출단(210)이 건반(100)의 수용부(110)에 밀착된 상태로 만들어 건반(100)이 프레임(200)에서 분리되지 않게 한다.
즉, 건반(100)을 프레임(200)에 결합할 때 수용부(110)가 형성된 건반(100)의 일측을 지지부(300)와 돌출단(210) 사이로 밀어주게 되면 건반(100)의 일측 전면이 돌출단(210)에 걸리게 되는데, 이때 탄성력을 가지는 지지부(300)가 건반(100)이 이동함에 따라 가압되어 하강하고 지지부(300)의 하강에 의해 생긴 높이 차이로 인해 건반(100)의 일측이 돌출단(210) 하부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후 건반(100)이 이동하면서 건반(100)에 형성된 수용부(110)가 돌출단(21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하강된 지지부(300)가 복원되면서 수용부(110)가 돌출단(2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압하게 된다.
건반(100)이 프레임(200)에 결합되게 되면 건반(100)의 하부는 지지부(300)에 의해 가압된 상태가 되고 내측으로 파여진 수용부(110)에는 돌출단(210)에 의해 밀착되어 고정되므로 건반(100)이 프레임(200)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건반(100)을 타건할 때 타건되는 위치가 일측에 가까워질수록 지지부(300)가 가압되어 건반(100)의 일측이 함께 하강되어 처짐으로써 타건 감도가 덜어지거나 건반(100)이 프레임(2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건반(100)의 일측과 건반(100)이 결합되는 프레임(200)의 일측에는 고정부(400)가 형성되어 건반(100)의 일측을 프레임(200)의 돌출단(210)에 고정시켜 타건되는 위치에 관계없이 건반(100)이 고정부(400)를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40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100) 구조의 건반(100)을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100) 구조의 프레임(200)을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100) 구조의 고정부(400)는 건반(100)의 일측 상단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고정부재(410)와, 프레임(200)의 돌출단(210) 상부에 형성되며 건반(100)의 고정부재(410)가 수용되는 수용부재(4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부(400)는 건반(100)이 프레임(200)에 결합되었을 때 건반(100)이 고정부(400)를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건반(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부재(410)와 프레임(200)의 돌출단(210) 상부에 형성된 수용부재(420)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재(410)는 건반(100)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부(110)의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된 후 좌우 방향을 향해 반구가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되고, 수용부재(420)는 돌출단(210)의 상부에 위치하여 반구로 형성된 고정부재(4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수용홈(421)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재(410)가 수용부재(420)의 수용홈(4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용부재(420) 사이에는 개구부(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230)를 통해 고정부재(410)가 인입하여 수용부재(420)의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부재(410)가 수용부재(420)의 수용홈(421)에 삽입될 때 개구부(230)의 폭이 너무 넓은 경우 고정부재(410)가 수용부재(420)의 수용홈(421)에 인입되지 못하므로 개구부(230)의 폭은 고정부재(410)보다 좁게 형성되어야 하고, 너무 좁은 경우 고정부재(410)가 개구부(230)에 인입하지 못하므로 하중을 가하였을 때 인입이 가능할 정도로 개구부(230)의 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부재(420)의 수용홈(421)에 고정부재(410)가 삽입되면 건반(100)은 수용부재(420)에 고정된 상태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건반(100)을 타건할 때 건반(100)의 일측을 타건하더라도 고정부(400)에 의해 고정된 건반(100)이 하강하지 않아 타건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건반(100)을 프레임(200)에서 분리할 경우 고정부재(410)가 수용부재(420)의 수용홈(421)에서 이탈되도록 건반(100)에 하중을 가하면 되므로 건반(100)이 수용부재(420)에서 분리되면서 지지부(300)가 하강하고 하강된 상태에서 건반(100)을 타측으로 밀어내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지지부(300)와 돌출단(210)을 제거하고 고정부(400)만 이용하여 건반(100)을 고정 및 회동시킬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사용되는 부품의 수가 줄어들게 되므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지지부(300)를 별도로 가공하여 프레임(200)에 부착하지 않고 사출을 통해 프레임(200)을 제조할 때 지지부(300)를 함께 형성시킴으로써 일체형으로 만들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0)은 타측에 건반(100)의 상하 동작시 건반(100)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하게 형성된 판상의 가이드(220)를 더 포함하며, 건반(100)의 타측에는 프레임(200)의 가이드(220)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1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200)의 타측에 형성된 가이드(220)는 건반(100)이 타건되어 회동할 때 건반(100)이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200)의 상부 타측으로 돌출된 후 건반(100)에 타측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20)에 삽입되게 된다.
도 1과 같이 건반(100)이 프레임(200)과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220)는 슬라이드 홈(120)에 삽입된 상태가 되며 슬라이드 홈(120)은 가이드(220)의 높이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건반(100)이 회동할 때 가이드(220)의 상부에 건반(100)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반(100)이 회동하게 되면 슬라이드 홈(120)에 밀착된 가이드(220)에 의해 건반(100)이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되는데, 원활한 동작을 하기 위해 가이드(220)의 양측에는 구리스와 같은 점성이 있는 윤활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100) 구조의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100) 구조의 건반(100)을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100) 구조의 프레임(200)을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100) 구조는 일측 상부에 오목한 형태를 가진 복수 개의 수용부(110)가 배치된 복수 개의 건반(100)과, 복수 개의 건반(100)이 평행하게 배열되는 프레임(200)과, 건반(100)의 일측이 소정의 길이만큼 삽입되도록 프레임(200)의 상측에서 건반(100)측으로 돌출되되 하측으로 수용부(110)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단(210)과, 건반(100)의 일측 하단을 지지하여 건반(100)의 수용부(110)를 프레임(200)의 돌출단(210)에 밀착시키되, 건반(100)의 탈부착을 위해 탄성을 가지는 지지부(300)와, 타건 시 지지부(300)의 탄성에 의해 건반(10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건반(100)의 일측을 돌출단(210)에 고정시켜주기 위한 고정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부(400)는 건반(100)의 일측 상단에 형성되어 건반(100)의 후방으로 돌출된 후크(430)와, 프레임(200)의 돌출단(210)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건반(100)의 후크(430)가 걸리는 걸림부재(4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반(100)에 큰 하중을 가하지 않고 프레임(20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고정부(400)는 건반(100)의 일측 상단에 후크(430)를 형성시킨 후 후크(430)를 프레임(200)에 형성된 걸림부재(440)에 걸거나 분리하도록 형성된다.
후크(430)는 도 5와 같이, 건반(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타측 상부를 향해 갈고리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는 걸림부재(44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재(440)는 도 6과 같이, 개구부(230)에 형성되어 돌출단(210) 사이를 가로지르는 축으로 형성되어 있게 된다.
건반(100)의 일측을 프레임(200)의 돌출단(210)과 지지부(300) 사이로 밀어 넣게 되면 후크(430) 전면이 걸림부재(440)에 밀착되면서 건반(100)이 하강하여 지지부(300)를 가압하게 되고, 후크(430) 후면에 걸림부재(440)가 위치하게 되면 하강된 지지부(300)가 복원력에 의해 상승되어 후크(430) 내부에 걸림부재(440)가 삽입되어 걸리게 되고 돌출단(210)은 수용부(110)에 밀착된다.
이때 후크(430)가 걸림부재(440)에 걸리게 되면 후크(430)에 의해 건반(100)의 일측은 하강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가 건반(100)을 타건할 때 걸림부재(440)를 기준으로 건반(100)이 회동할 수 있어 건반(100)의 타건 위치에 따라 건반(100)이 처지지 않게 된다.
또한 건반(100)을 프레임(200)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는 건반(100)을 프레임(200) 일측으로 밀어내 후크(430)를 걸림부재(440)에서 분리시키고 건반(100)의 일측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지지부(300)를 하강시켜 공간을 만들어낸 후 타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손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200)은 타측에 건반(100)의 상하 동작시 건반(100)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하게 형성된 판상의 가이드(220)를 더 포함하며, 건반(100)의 타측에는 프레임(200)의 가이드(220)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1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200)의 타측에 형성된 가이드(220)는 건반(100)이 타건되어 회동할 때 건반(100)이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200)의 상부 타측으로 돌출된 후 건반(100)에 타측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20)에 삽입되게 된다.
도 1과 같이 건반(100)이 프레임(200)과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220)는 슬라이드 홈(120)에 삽입된 상태가 되며 슬라이드 홈(120)은 가이드(220)의 높이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건반(100)이 회동할 때 가이드(220)의 상부에 건반(100)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반(100)이 회동하게 되면 슬라이드 홈(120)에 밀착된 가이드(220)에 의해 건반(100)이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되는데, 원활한 동작을 하기 위해 가이드(220)의 양측에는 구리스와 같은 점성이 있는 윤활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100) 구조의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100) 구조는 일측 상부에 오목한 형태를 가진 복수 개의 수용부(110)가 배치된 복수 개의 건반(100)과, 복수 개의 건반(100)이 평행하게 배열되는 프레임(200)과, 건반(100)의 일측이 소정의 길이만큼 삽입되도록 프레임(200)의 상측에서 건반(100)측으로 돌출되되 건반(100)의 탈부착을 위해 탄성을 가지며, 하측으로 수용부(110)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돌출단(210)과, 건반(100)의 일측 하단을 지지하여 건반(100)의 수용부(110)를 프레임(200)의 돌출단(210)에 밀착시키기 위한 지지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반(100)은 일측이 프레임(200)에 결합되어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이 하부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프레임(200)과 결합되는 건반(100)의 일측에는 프레임(200)의 돌출단(2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파여진 수용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돌출단(210)은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건반(100)이 인입될 때 건반(100)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건반(100)의 수용부(110)가 돌출단(210) 하부에 위치하면 복원력에 의해 밀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지지부(300)는 탄성력 없이 프레임(200)에 형성되며 돌출단(210)을 향해 상부로 돌출되어 있고 건반(100)이 인입될 때 건반(100)이 돌출단(210)을 회동시키도록 건반(10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즉, 건반(100)을 프레임(200)에 결합할 때 수용부(110)가 형성된 건반(100)의 일측을 지지부(300)와 돌출단(210) 사이로 밀어주게 되면 지지부(300)가 프레임(2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건반(100)의 일측 전면의 경사진 부분을 따라 돌출단(210)을 상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돌출단(210)의 하부에 수용부(110)가 위치하게 되면 돌출단(210)이 복원력에 의해 수용부(110)에 밀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건반(100)이 프레임(200)에 결합되게 되면 건반(100)의 하부는 지지부(300)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되고 상부는 돌출단(210)이 수용부(110)에 밀착되어 고정되므로 건반(100)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지지부(300)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건반(100)의 일측을 타건하더라도 건반(100)이 하강하여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타건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건반(100)을 프레임(200)에서 분리시킬 때도 건반(100)을 타측으로 당기게 되면 수용부(110)의 경사면을 따라 돌출단(210)이 회동하여 수용부(110)에서 이탈되기 때문에 건반(100)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100) 구조의 건반(100)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100) 구조의 건반(100)은 목재(160)가 삽입되기 위해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130)과, 하우징(130)에 삽입된 목재(160)의 상측을 덮어 고정하는 커버(140)와, 커버(140)와 하우징(130)에 각각 형성되어 목재(160)의 크기에 의해 발생되는 유격에 관계없이 하우징(130)과 커버(140)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반(10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건반(100) 내부에 삽입되는 목재(160)의 크기와 건반(100)의 내부 공간 크기가 상이한 경우 건반(100)의 측면에서 목재(160)가 삽입되지 못하거나 내부에서 목재(160)가 움직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건반(100)은 목재(160)를 받쳐주는 하우징(130)과 목재(160)의 상부를 덮는 커버(140)로 각각 형성시킨 후 목재(160)를 하우징(130) 상부에 먼저 거치시킨 후 커버(140)로 목재(160) 상부를 덮음으로써 건반(100) 내부에 목재(160)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결합부재(150)는 커버(140)의 일측 하단에는 하우징(13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154)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결합대(153)와, 하우징(130)의 타측에 형성되어 커버(140)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홈(15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고정대(15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140)는 목재(160)가 하우징(130)의 상부에 거치되면 커버(140)에 형성된 고정홈(152)에 고정대(151)를 삽입시키고 이후 결합대(153)를 결합홈(154)에 인입시킴으로써 커버(140)와 하우징(130)이 밀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때 결합대(153)와 고정대(151)는 각각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결합홈(154)과 고정홈(152)을 관통하여 돌출되면 갈고리로 인해 결합홈(154)과 고정홈(152) 내부로 인입되지 않게 되므로 커버(140)를 하우징(13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목재(160)의 크기에 따라 유격이 발생하는 경우 커버(140) 또는 하우징(130)을 제조할 때 가공규격이 오차범위 내에서 큰 것 또는 작은 치수로 제작된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목재(160)를 가공하지 않고도 건반(100)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에 의하면, 디지털 피아노의 분해 없이 유지보수를 진행할 건반만 탈부착할 수 있고, 건반 내부에 삽입되는 목재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건반 내부에 목재를 배치할 수 있으며, 건반의 탈부착을 통한 유지 보수가 용이하면서, 건반의 탈부착을 위한 구조로 인해 타건 위치에 따라 건반의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건반 110 : 수용부
120 : 슬라이드 홈 130 : 하우징
140 : 커버 150 : 결합부재
151 : 고정대 152 : 고정홈
153 : 결합대 154 : 결합홈
160 : 목재 200 : 프레임
210 : 돌출단 220 : 가이드
230 : 개구부 300 : 지지부
400 : 고정부 410 : 고정부재
420 : 수용부재 421 : 수용홈
430 : 후크 440 : 걸림부재

Claims (6)

  1. 일측 상부에 오목한 형태를 가진 복수 개의 수용부가 배치된 복수 개의 건반과;
    상기 복수 개의 건반이 평행하게 배열되는 프레임과;
    상기 건반의 일측이 소정의 길이만큼 삽입되도록 프레임의 상측에서 상기 건반측으로 돌출되되 하측으로 상기 수용부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단과;
    상기 건반의 일측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건반의 수용부를 프레임의 돌출단에 밀착시키되, 건반의 탈부착을 위해 탄성을 가지는 지지부와;
    타건 시 상기 지지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건반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건반의 일측을 상기 돌출단에 고정시켜주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건반의 일측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건반의 후방으로 돌출된 후크와;
    상기 프레임의 돌출단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건반의 후크가 걸리는 걸림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재에 걸리면 상기 건반의 일측이 하강되지 않게 되고 상기 건반을 타건할 때 상기 걸림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건반의 타측이 회동될 수 있어 상기 건반의 타건 위치에 따라 건반이 처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
  2. 일측 상부에 오목한 형태를 가진 복수 개의 수용부가 배치된 복수 개의 건반과;
    상기 복수 개의 건반이 평행하게 배열되는 프레임과;
    상기 건반의 일측이 소정의 길이만큼 삽입되도록 프레임의 상측에서 상기 건반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건반의 탈부착을 위해 탄성을 가지며, 하측으로 상기 수용부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돌출단과;
    상기 건반의 일측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건반의 수용부를 프레임의 돌출단에 밀착시키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단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건반이 인입되면 상기 건반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수용부가 상기 돌출단의 하부에 위치하면 복원력에 의해 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는 탄성력 없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건반이 인입될 대 상기 건반이 상기 돌출단을 회동시키도록 상기 건반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
  3. 삭제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타측에 상기 건반의 상하 동작시 건반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하게 형성된 판상의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반의 타측에는 상기 프레임의 가이드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반은 목재가 삽입되기 위해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목재의 상측을 덮어 고정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상기 하우징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목재의 크기에 의해 발생되는 유격에 관계없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

KR1020160131808A 2016-10-12 2016-10-12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 KR101843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808A KR101843924B1 (ko) 2016-10-12 2016-10-12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808A KR101843924B1 (ko) 2016-10-12 2016-10-12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924B1 true KR101843924B1 (ko) 2018-03-30

Family

ID=61900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808A KR101843924B1 (ko) 2016-10-12 2016-10-12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9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8574A (ja) * 2010-09-27 2012-04-05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鍵盤楽器の鍵
KR101594887B1 (ko) * 2015-02-27 2016-02-17 김진문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
JP2016081011A (ja) * 2014-10-22 2016-05-16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8574A (ja) * 2010-09-27 2012-04-05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鍵盤楽器の鍵
JP2016081011A (ja) * 2014-10-22 2016-05-16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KR101594887B1 (ko) * 2015-02-27 2016-02-17 김진문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3376B2 (en) Key structure with scissors-type connecting member
US7492585B2 (en) Mounting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
US7800008B2 (en) Side ke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00025213A1 (en) Key structure
US20150047959A1 (en) Key structure
US9040847B2 (en) Fasten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8210578B2 (e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US20090246609A1 (en) Battery cover latch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20140110546A1 (en) Mounting frame and supports to mount a component of a computing system
KR101042826B1 (ko) 모뎀과 같은 전자 장치를 위한 장착 어셈블리
US8238118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retractable hanger
US20070103859A1 (en) Modification of portable computer
US20070028753A1 (en) Key structures
KR101843924B1 (ko) 조립성과 타건 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피아노 건반 구조
US8581130B2 (en) Key structure with scissors-type connecting member
CN214705767U (zh) 键盘的长键装置
US9462717B1 (en) Mounting frame to mount a component
US20130043773A1 (en) Bezel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KR101130000B1 (ko)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
KR100711727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사이드키 조립구조
US2014032108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expansion card
CN220341100U (zh) 一种具有隐藏式弹片结构的墙壁开关
CN201054427Y (zh) 一种插槽屏蔽装置
US20100238614A1 (en) Electronic device with key module
CN216749309U (zh) 固态硬盘的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