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727B1 - 이동통신단말기용 사이드키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용 사이드키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727B1
KR100711727B1 KR1020050128543A KR20050128543A KR100711727B1 KR 100711727 B1 KR100711727 B1 KR 100711727B1 KR 1020050128543 A KR1020050128543 A KR 1020050128543A KR 20050128543 A KR20050128543 A KR 20050128543A KR 100711727 B1 KR100711727 B1 KR 100711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key
terminal
assembly structure
fixing groove
vertically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8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용 사이드키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사이드키가 장착되는 단말기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수직돌출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고정홈을 갖도록 형성된 한쌍의 지지리브와; 양단이 상방향으로 수직절곡된 후 서로 반대방향으로 다시 수직절곡되어 상기 지지리브의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단을 갖는 서스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사이드키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동일한 폭을 가진 단말기에서 메인피시비의 실장영역이 증대되며, 또한 단말기의 폭을 줄일 수 있고, 나아가 조립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관리치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사이드키, 조립구조, 경량화, 슬림화, 돔스위치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용 사이드키 조립구조{SIDE KEY ASSEMBLY STRUCTURE FOR TELE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이드키 조립구조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키 조립구조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단말기케이스 110....지지리브
120....고정홈 200....서스플레이트
210....고정단 300....돔스위치
400....키버튼 410....엑츄에이터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용 사이드키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림화, 소형화되고 있는 단말기의 추세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사이드키의 조립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이동통신단말기용 사이드키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정보를 입력하고 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키 입력수단이 구성되고, 이의 경량화, 소형화, 박형화의 추세에 따라 인쇄회로기판 위에 회로의 접점을 온/오프시키는 메탈돔스위치를 올려 놓고 그 위에 키패드를 장착하도록 하는 구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구조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이드키(Side Key)에도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이드키는 주로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되고,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의해 단말기본체에 내장된 메인피시비와 연결되어 조작가능한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예컨대, 도 1은 종래 사이트키 조립구조의 일 예를 보여 주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케이스(10)의 내측에 형성되 지지리브(Support Rib)(12)상에 서스플레이트(Sus Plate)(14), 돔스위치(16), 액츄에이터(18) 및 키버튼(20)이 순차로 적층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상기 지지리브(12)의 하단으로부터 키버튼(20)의 상단에 이르는 거리(두께)가 3.65mm에 이르는 설계사양을 갖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두께 사양은 최근 단말기의 슬림화, 경량화의 경향에 반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본체에 내장되는 메인피시비의 실장공간에 까지 영향을 미쳐 공간 협소화를 초래하는 하나의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단말기의 최근 슬림화, 경량화 추세에 적극적으로 대응 하면서 단말기의 측면에 부착되는 사이드키의 두께를 줄여 메인피시비의 실장공간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사이드키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이드키가 장착되는 단말기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수직돌출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고정홈을 갖도록 형성된 한쌍의 지지리브와; 양단이 상방향으로 수직절곡된 후 서로 반대방향으로 다시 수직절곡되어 상기 지지리브의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단을 갖는 서스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사이드키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키 조립구조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키 조립구조는 단말기본체에 내장되는 메인피시비와 연결되는 서스플레이트(Sus Plate)(200)의 구조를 개조하여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단말기본체를 구성하는 단말기케이스(100)의 측면, 다시 말해 본 발명 사이드키가 조립되는 단말기케이스(100)의 측면 하측에는 그로부터 직하방으로 연장된 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직절곡된 지지리브(110)가 연장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리브(110)는 기존과 달리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기존의 연 장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연장된다.
그리하여, 상기 지지리브(110)는 그 절곡된 부위에 고정홈(120)을 갖는다.
한편, 본체케이스(100)에 내장되고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인피시비와 연결되는 서스플레이트(200)는 상기 고정홈(120)에 끼움될 수 있도록 그 양단인 고정단(210)이 상방향으로 수직절곡된 후 각각 서로 반대방향, 즉 외측으로 다시 수직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단(210)의 연장길이는 상기 고정홈(120)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고정단(210)의 두께도 상기 고정홈(120)의 상하폭, 즉 고정홈(120)의 크기와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서스플레이트(200)의 상단면에는 기존과 동일한 구조와 형상의 돔스위치(300)가 설치되고, 상기 돔스위치(300)의 상단에는 이와 접촉가능한 엑츄에이터(410)가 배치된다.
상기 엑츄에이터(410)는 키버튼(400), 즉 사이드키를 구성하는 키버튼(400)의 하단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서스플레이트(200)의 하단면으로부터 상기 키버튼(400)의 상단면에 이르는 거리, 즉 사이드키의 두께(D)는 대략 2.8mm에 맞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두께(D) 2.8mm는 상기 서스플레이트(200)의 두께나 지지리브(110)의 두께를 종래 사양과 동일하게 구성하였을 때 나타나는 서스플레이트의 하단면으로부터 키버튼의 상단면에 이르는 종래 두께 3.65mm와 비교한 것으로서 대략 0.8mm의 두께 차이를 갖게 되며, 이와 같은 구조로 사이드키를 설계하면 기존과 동일조건에서 대략 0.8mm의 두께만큼 줄일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서스플레이트(200)와 지지리브(110)의 두께를 좀더 줄임으로써 상기 사이드키의 두께(D)를 더욱 줄일 수도 있을 것이나 최소한의 강도를 갖고 동작할 수 있을 정도의 기준은 상술한 두께가 적당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사이드키를 구성하기 위해, 먼저 서스플레이트(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서스플레이트(200)의 일측 고정단(210)을 일측 고정홈(120)에 끼워 넣는다.
이어, 나머지 고정단(210)도 나머지 고정홈(120)에 끼워 넣게 되면 상기 서스플레이트(200)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런 다음, 상기 서스플레이트(200)의 상면 적소, 즉 스위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분에 준비된 돔스위치(300)를 거치시킨다.
상기 과정을 통해 돔스위치(300)가 구비되면, 엑츄에이터(410)가 형성된 커버튼(400)를 상기 단말기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홈(도면번호 생략)에 끼워 넣어 그 양단이 걸림되도록 조립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 사이드키의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키버튼(400)을 누르게 되면 그 하단면에 형성된 엑츄에이터(410)가 하강되면서 돔스위치(300)를 누르게 되고, 상기 돔스위치(300)가 변형되면서 서스플레이트(200)상의 스위치를 동작시켜 메인피시비 상의 스위칭동작을 유 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서스플레이트(200)와 지지리브(110)의 구조를 변형시킴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며 전체 두께도 줄일 수 있는 사이드키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사이드키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동일한 폭을 가진 단말기에서 메인피시비의 실장영역이 증대되며, 또한 단말기의 폭을 줄일 수 있고, 나아가 조립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관리치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1)

  1. 사이드키가 장착되는 단말기케이스의 내측면에서 수직돌출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고정홈을 갖도록 형성된 한쌍의 지지리브와;
    양단이 상방향으로 수직절곡된 후 서로 반대방향으로 다시 수직절곡되어 상기 지지리브의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단을 갖는 서스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사이드키 조립구조.
KR1020050128543A 2005-12-23 2005-12-23 이동통신단말기용 사이드키 조립구조 KR100711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543A KR100711727B1 (ko) 2005-12-23 2005-12-23 이동통신단말기용 사이드키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543A KR100711727B1 (ko) 2005-12-23 2005-12-23 이동통신단말기용 사이드키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1727B1 true KR100711727B1 (ko) 2007-04-25

Family

ID=3818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543A KR100711727B1 (ko) 2005-12-23 2005-12-23 이동통신단말기용 사이드키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7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61989A (zh) * 2016-04-26 2016-07-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按键结构、移动终端
US10285285B2 (en) 2016-02-24 2019-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de ke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365A (ko) * 2004-11-05 2006-05-1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체형 사이드키 구조
KR20070009032A (ko) * 2005-07-15 200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이드키 고정구조
KR20070011891A (ko) * 2005-07-22 2007-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목적 사이드키를 갖는 이동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365A (ko) * 2004-11-05 2006-05-1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체형 사이드키 구조
KR20070009032A (ko) * 2005-07-15 200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이드키 고정구조
KR20070011891A (ko) * 2005-07-22 2007-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목적 사이드키를 갖는 이동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5285B2 (en) 2016-02-24 2019-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de ke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5761989A (zh) * 2016-04-26 2016-07-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按键结构、移动终端
CN105761989B (zh) * 2016-04-26 2017-10-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按键结构、移动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3588C (zh) 开关一体型壳体和具有该壳体的电子设备
KR100834633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KR10173913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KR100711727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사이드키 조립구조
KR20060044604A (ko) 휴대형 전자 기기 및 휴대 전화 장치
JP4652168B2 (ja) 携帯電子機器
JP4394047B2 (ja) キーフレームおよび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KR1010973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KR20032679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
KR200184577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이드키 어셈블리 고정구조
JP2012022793A (ja) シートスイッチ及び入力装置
KR200274032Y1 (ko) 휴대용 전화기의 메탈 돔 스위치 모듈
KR20050085248A (ko) 이동 전화용 입력 디바이스,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모듈, 이동 전화 및 그 제조 방법
KR100542364B1 (ko) 유선 통신 단말기
JP4472326B2 (ja) 実装構造および携帯端末
JP4071579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電話機器並びに電子機器
KR101126380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10065275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버튼 지지용 브라켓 설치구조
KR200351476Y1 (ko) 택트 스위치 구조
KR200280101Y1 (ko) 휴대폰의 키버튼 장치
KR10059630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KR100625949B1 (ko) 복층형 키패드 프레임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6211581A (ja) 電子機器のサイドキースィッチ
KR200256011Y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6281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