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539B1 -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539B1
KR101843539B1 KR1020170021987A KR20170021987A KR101843539B1 KR 101843539 B1 KR101843539 B1 KR 101843539B1 KR 1020170021987 A KR1020170021987 A KR 1020170021987A KR 20170021987 A KR20170021987 A KR 20170021987A KR 101843539 B1 KR101843539 B1 KR 101843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pipe
valve
pressure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룡
조규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두
Priority to KR1020170021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539B1/ko
Priority to PCT/KR2017/001967 priority patent/WO201815136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24Operated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계통의 고장으로 인해 오수배관에 부압(대기압)이 조성되어 있어도 변기의 오수를 오수배관으로 강제로 배출할 수 있어서 진공계통의 고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설비 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Vacuum and hydraulic discharge equipment}
본 발명은 진공변기시스템의 진공계통에 연계된 오수배출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진공계통의 진공압력이 해제된 상태에서도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어 오수 배출을 할 수 있어서 변기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변기시스템의 변기의 하부 배출구에는 진공압력이 작용하는 오수배관이 연결되며, 상기 오수배관에는 오수배출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오수배출밸브는 상기 오수배관의 통로를 폐쇄하다가 상기 진공라인을 통해 진공압력이 작용하면 상기 오수배관의 통로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오수배출밸브는 진공계통의 고장으로 인해 오수배관에 진공압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오수배출밸브가 개방되지 못하여 상기 오수배관의 통로를 개방하지 못하기 때문에 변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오수배출밸브는 진공계통의 고장으로 인해 오수배관에 진공압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오수배출밸브를 상시 개방 상태로 강제 작동시켜 변기를 사용 가능하게 할 경우, 상기 오수배관의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오수배관에 별도의 사이펀배관을 설치하여야 되며, 진공계통의 고장이 해소되어 오수배관에 다시 진공압력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진공펌프를 작동시킬 경우 상기 오수배출밸브가 상시 개방되어 있으므로, 오수배관에 진공압력이 형성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진공펌프를 작동시키기 전에 변기의 하부 배출구를 폐쇄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진공시스템에 다수의 변기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다수의 변기를 폐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진공변기시스템의 진공계통에 연계된 오수배출밸브에 관한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479163호와, 한국등록특허 제1479164호를 제시한 적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479163호(2014.12.29) 한국등록특허 제1479164호(2014.12.2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계통의 고장으로 인해 오수배관에 정압(대기압)이 조성되어 있어도 변기의 오수를 오수배관으로 강제로 배출할 수 있어서 진공계통의 고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설비 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는 변기(1)의 하부 배출구(2)와 진공계통에 의해 부압(진공압력)이 조성되어 있는 오수배관(3) 사이에 설치되는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기(1)의 하부 배출구(2)와 오수배관(3)을 서로 연통하는 탄성배관(10); 상기 탄성배관(10)이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며, 상면 및 하면이 개구되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수납되는 상부벨로우즈(31) 및 하부벨로우즈(32); 상기 상부벨로우즈(31)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41)와, 상기 상부플레이트(41)의 하면에서 서로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바(42)와, 상기 하부벨로우즈(32)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43)와, 상기 하부플레이트(43)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바(42) 사이로 삽입되는 하부바(44)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배관(10)이 상기 상부바(42)의 내부와 하부바(44)의 내부가 중첩되도록 삽입되는 탄성배관개폐세트(40); 상기 상부플레이트(41)와 하부플레이트(43)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41)와 하부플레이트(43)에 탄성을 가하여 상기 상부바(42)와 하부바(44)가 서로 멀어지게 하여 상기 상부바(42)와 하부바(44)가 상기 탄성배관(10)을 잡아당겨서 상기 탄성배관(10)의 내부통로가 좁아져서 폐쇄되게 하는 다수의 스프링(50); 상기 하우징(20)의 상면 및 하면을 각각 덮는 한 쌍의 커버(60);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포트(71); 상기 제1포트(71)와 오수배관(3)을 서로 연결하는 진공라인(81); 상기 진공라인(81) 상에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오수배관(3)에 조성되어 있는 부압이 상기 하우징(20)의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상부벨로우즈(31)와 하부벨로우즈(32)가 상기 탄성배관(10)을 향하여 팽창되면서 상기 상부바(42)와 하부바(44)가 서로 가까워져서 상기 탄성배관(10)을 잡아당기는 힘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배관(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탄성배관(10)의 내부통로가 개방되도록 유도하는 진공밸브(91); 상기 커버(60)와 상부벨로우즈(31) 사이에 형성된 제1챔버(21) 및 다른 커버(60)와 하부벨로우즈(32) 사이에 형성된 제2챔버(22)와 각각 연통되는 한 쌍의 제2포트(72); 상기 한 쌍의 제2포트(72)와 연결되며 압력수가 유통되는 급수라인(82); 상기 급수라인(82) 상에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급수라인(82)에서 유통되는 압력수가 상기 한 쌍의 제2포트(72)로 공급되어 상기 상부벨로우즈(31)와 하부벨로우즈(32)가 상기 탄성배관(10)을 향하여 강제로 팽창되면서 상기 상부바(42)와 하부바(44)가 서로 가까워져서 상기 탄성배관(10)을 잡아당기는 힘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배관(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탄성배관(10)의 내부통로가 개방되도록 유도하는 분사밸브(92); 상기 급수라인(82)과 변기(1)에 설치된 수세노즐(101)을 서로 연결하는 공급라인(83); 상기 공급라인(83) 상에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급수라인(82)에서 유통되는 압력수가 상기 수세노즐(101)로 유출되게 하는 급수밸브(93); 및 상기 진공밸브(91), 분사밸브(92), 급수밸브(93)로 각각 제어신호를 개별적으로 전송하는 컨트롤러(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기(1)의 하부 배출구(2)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분사밸브(92)가 작동되면 상기 변기(1)의 하부 배출구(2)에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분사밸브(92)에서 이송된 압력수를 상기 탄성배관(10)의 내부통로를 향하여 분사하는 제트노즐(10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세노즐(101)과 오수배관(3)을 서로 연결하는 벤팅라인(84); 및 상기 벤팅라인(84) 상에 설치되며 상기 변기(1)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배출되도록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수세노즐(101)을 통해 변기(1)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상기 오수배관(3)으로 흡입되게 하는 벤팅밸브(9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라인(81) 상에 설치되는 체크밸브(95); 및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진공밸브(91), 분사밸브(92), 급수밸브(93)와 벤팅밸브(94)를 조종하는 압력스위치(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챔버(21) 및 제2챔버(22)와 각각 연통되는 한 쌍의 제3포트(73); 상기 한 쌍의 제3포트(73)와 변기(1)에 형성된 퍼지홀(4)을 서로 연결하는 균형라인(85); 및 상기 균형라인(85)과 급수라인(82) 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챔버(21)와 제2챔버(22)의 압력을 강하하는 한 쌍의 오리피스(130, 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는 진공계통의 고장으로 인해 오수배관에 정압(대기압)이 조성되어 있어도 변기의 오수를 오수배관으로 강제로 배출할 수 있어서 진공계통의 고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설비 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의 오수배관에 부압(진공압력)이 조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탄성배관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의 오수배관에 부압(진공압력)이 조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탄성배관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의 오수배관에 진공계통의 고장으로 인해 정압(대기압)이 조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탄성배관이 강제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상부벨로우즈, 하부벨로우즈, 탄성배관개폐세트, 스프링, 커버, 제1포트, 제2포트, 제3포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의 오수배관(3)에 부압(진공압력)이 조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탄성배관(10)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의 오수배관(3)에 부압(진공압력)이 조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탄성배관(10)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의 오수배관(3)에 진공계통의 고장으로 인해 정압(대기압)이 조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탄성배관(10)이 강제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20), 상부벨로우즈(31), 하부벨로우즈(32), 탄성배관개폐세트(40), 스프링(50), 커버(60), 제1포트(71), 제2포트(72), 제3포트(73)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는 변기(1)의 하부 배출구(2)와 진공계통에 의해 부압(진공압력)이 조성되어 있는 오수배관(3)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탄성배관(10), 하우징(20), 상부벨로우즈(31), 하부벨로우즈(32), 탄성배관개폐세트(40), 스프링(50), 커버(60), 제1포트(71), 진공라인(81), 진공밸브(91), 제2포트(72), 급수라인(82), 분사밸브(92), 공급라인(83), 급수밸브(93), 컨트롤러(11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진공계통은 상기 오수배관(3)과 연결되는 진공펌프일 수 있다.
상기 탄성배관(10)은 상기 변기(1)의 하부 배출구(2)와 오수배관(3)을 서로 연통하며, 고무재질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탄성배관(10)이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며, 상면 및 하면이 개구되며,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벨로우즈(31) 및 하부벨로우즈(32)는 상하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자바라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수납된다. 이 때, 상기 상부벨로우즈(31)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밀폐패널(33)과, 상기 하부벨로우즈(32)의 하면에 결합되는 하부밀폐패널(34)이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상부밀폐패널(33)은 상기 상부벨로우즈(31)의 상면을 밀폐하며, 상기 하부밀폐패널(34)은 상기 하부벨로우즈(32)의 하면을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배관개폐세트(40)은 상기 탄성배관(10)의 내부통로를 폐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플레이트(41), 한 쌍의 상부바(42), 하부플레이트(43), 하부바(44)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41)는 상기 상부벨로우즈(31)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벨로우즈(31)의 하면 직경에 대응하는 원반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상부바(42)는 상기 상부플레이트(41)의 하면에서 서로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며, 모두 내부가 중공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43)는 상기 하부벨로우즈(32)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벨로우즈(32)의 상면 직경에 대응하는 원반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바(44)는 상기 하부플레이트(43)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바(42) 사이로 삽입되며, 내부가 중공된다.
한편, 상기 탄성배관(10)은 상기 상부바(42)의 내부와 하부바(44)의 내부가 중첩된 중첩부(45)에 삽입된다.
상기 다수의 스프링(50)은 상기 상부플레이트(41)와 하부플레이트(43) 사이에 서로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41)와 하부플레이트(43)에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가하여 상기 상부바(42)와 하부바(44)가 서로 멀어지게 하여 상기 상부바(42)와 하부바(44)가 상기 탄성배관(10)을 잡아당겨서 상기 중첩부(45)가 상하방향으로 좁아지면서 상기 탄성배관(10)의 내부통로가 좁아져서 폐쇄되게 한다.
상기 한 쌍의 커버(60)는 상기 하우징(20)의 상면 및 하면을 각각 덮을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커버(60)는 상기 하우징(2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포트(71)는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와 연통되는 주입구이다.
상기 진공라인(81)은 상기 제1포트(71)와 오수배관(3)을 서로 연결하는 배관이다.
상기 진공밸브(91)는 상기 진공라인(81) 상에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오수배관(3)에 조성되어 있는 부압이 상기 하우징(20)의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상부벨로우즈(31)와 하부벨로우즈(32)가 상기 탄성배관(10)을 향하여 팽창되면서 상기 상부바(42)와 하부바(44)가 서로 가까워져서 상기 중첩부(45)가 다시 상하방향으로 넓어지면서 상기 탄성배관(10)을 잡아당기는 힘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배관(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탄성배관(10)의 내부통로가 개방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한 쌍의 제2포트(72)는 상기 커버(60)와 상부벨로우즈(31) 사이에 형성된 제1챔버(21) 및 다른 커버(60)와 하부벨로우즈(32) 사이에 형성된 제2챔버(22)와 각각 연통된다.
상기 급수라인(82)은 상기 한 쌍의 제2포트(72)와 연결되며 압력수가 유통된다.
상기 분사밸브(92)는 상기 급수라인(82) 상에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급수라인(82)에서 유통되는 압력수가 상기 한 쌍의 제2포트(72)를 통해 상기 제1챔버(21) 및 제2챔버(22)로 공급되어 상기 상부벨로우즈(31)와 하부벨로우즈(32)가 상기 탄성배관(10)을 향하여 강제로 팽창되면서 상기 상부바(42)와 하부바(44)가 서로 가까워져서 상기 중첩부(45)가 다시 넓어지면서 상기 탄성배관(10)을 잡아당기는 힘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배관(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탄성배관(10)의 내부통로가 개방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공급라인(83)은 상기 급수라인(82)과 변기(1)에 형성된 수세노즐(101)을 서로 연결하는 배관이다. 이 때, 상기 수세노즐(101)은 상기 급수라인(82)에서 이송된 압력수를 변기(1)의 내부 세척수로 활용될 수 있게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93)는 상기 공급라인(83) 상에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급수라인(82)에서 유통되는 압력수가 상기 수세노즐(101)을 통해 변기(1)의 내부 세척수로 활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10)는 상기 진공밸브(91), 분사밸브(92), 급수밸브(93), 벤팅밸브(94)로 각각 제어신호를 개별적으로 전송한다. 이 ??, 상기 컨트롤러(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진공밸브(91), 분사밸브(92), 급수밸브(93), 벤팅밸브(94)로 각각 제어신호를 개별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진공모드와 중력모드로 작동될 수 있는 데, 이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오수배관(3)에 부압이 조성되어 있는 진공계통 정상 작동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50)이 상기 상부플레이트(41)와 하부플레이트(43)를 탄성 가압함에 따라, 상기 상부플레이트(41)와 하부플레이트(43)에 각각 결합된 상부바(42)와 하부바(44)가 서로 밀어지면서 상기 탄성배관(10)을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탄성배관(10)의 내부통로가 폐쇄되며, 상기 탄성배관(10)의 내부통로는 상기 스프링(50)의 탄성력이 해제되기 않는 한 항상 차단되어 상기 오수배관(3)의 냄새가 변기(1)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오수배관(3)에 부압이 조성되어 있는 진공계통 정상 작동 상태에서 변기(1)의 오수를 오수배관(3)으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컨트롤러(11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진공모드로 작동되며, 상기 급수밸브(93)가 상기 컨트롤러(110)에서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급수라인(82)에서 유통되는 압력수가 상기 수세노즐(101)로 유출되어 변기(1)의 내부가 세척되며, 상기 진공밸브(91)가 상기 컨트롤러(110)에서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오수배관(3)의 부압이 상기 진공라인(81)을 통해 상기 하우징(20)의 내부로 공급된 후, 상기 상부벨로우즈(31)와 하부벨로우즈(32)가 상기 탄성배관(10)을 향하여 팽창된 후, 상기 스프링(50)이 압축되면서 상기 상부바(42)와 하부바(44)가 서로 가까워져서 상기 중첩부(45)가 넓어진 후, 상기 탄성배관(10)을 잡아당기는 힘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탄성배관(10)의 내부통로가 상기 탄성배관(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개방된 후, 변기(1)의 오수가 상기 탄성배관(10)의 내부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오수배관(3)으로 배출된다.
즉, 상기 오수배관(3)에 부압이 조성되어 있는 진공계통 정상 작동 상태에서 변기(1)의 오수를 오수배관(3)으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컨트롤러(110)가 진공모드로 작동되며, 상기 급수밸브(93)가 개방되어 변기(1)의 내부가 세척되며, 상기 진공밸브(91)의 개방되며 상기 탄성배관(10)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개방되어 변기(1)의 오수가 상기 탄성배관(10)의 내부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오수배관(3)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오수배관(3)에 정압이 조성되어 있는 진공계통 고장 상태에서 변기(1)의 오수를 오수배관(3)으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컨트롤러(11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중력모드로 작동되며, 상기 급수밸브(93)가 상기 컨트롤러(110)에서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급수라인(82)에서 유통되는 압력수가 상기 수세노즐(101)로 유출되어 변기(1)의 내부가 세척되며, 상기 분사밸브(92)가 상기 컨트롤러(110)에서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급수라인(82)에서 유통되는 압력수가 상기 한 쌍의 제2포트(72)를 통해 상기 제1챔버(21)와 제2챔버(22)로 공급되어 상기 제1챔버(21)와 제2챔버(22)의 내부압력이 상승하여 상기 상부벨로우즈(31)와 하부벨로우즈(32)가 상기 탄성배관(10)을 향하여 팽창된 후, 상기 스프링(50)이 압축되면서 상기 상부바(42)와 하부바(44)가 서로 가까워져서 상기 중첩부(45)가 넓어진 후, 상기 탄성배관(10)을 잡아당기는 힘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탄성배관(10)의 내부통로가 상기 탄성배관(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개방된 후, 변기(1)의 오수가 상기 탄성배관(10)을 경유하여 상기 오수배관(3)으로 배출된다.
즉, 상기 오수배관(3)에 정압이 조성되어 있는 진공계통 고장 상태에서 변기(1)의 오수를 오수배관(3)으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컨트롤러(110)가 중력모드로 작동되며, 상기 급수밸브(93)가 개방되어 변기(1)의 내부가 세척되며, 상기 분사밸브(92)가 개방되며 상기 탄성배관(10)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개방되어 변기(1)의 오수가 상기 탄성배관(10)의 내부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오수배관(3)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는 진공계통의 고장으로 인해 오수배관(3)에 정압(대기압)이 조성되어 있어도 변기(1)의 오수를 오수배관(3)으로 강제로 배출할 수 있어서 진공계통의 고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설비 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는 상기 오수배관(3)에 정압이 조성되어 있는 진공계통 고장 상태에서 변기(1)의 오수를 오수배관(3)으로 배출하는 상태에서, 상기 탄성배관(10)이 좀 더 잘 개방되게 하기 위한 제트노즐(1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트노즐(102)은 상기 변기(1)의 하부 배출구(2)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분사밸브(92)가 작동되면 상기 분사밸브(92)에서 이송된 압력수를 상기 탄성배관(10)의 내부통로를 향하여 분사하여 상기 변기(1)의 하부 배출구(2)에 부압에 의한 흡입력이 발생하여 상기 변기(1)의 오수가 좀 더 잘 배출되게 한다.
또한, 상기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는 상기 오수배관(3)에 부압이 조성되어 있는 진공계통 정상 작동 상태에서 변기(1)의 냄새를 오수배관(3)으로 배출하기 위한 벤팅라인(84), 벤팅밸브(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팅라인(84)은 상기 수세노즐(101)과 오수배관(3)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벤팅밸브(94)는 상기 벤팅라인(84) 상에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수세노즐(101)을 통해 변기의 냄새가 상기 오수배관(3)으로 흡입되게 한다. 이 때, 상기 벤팅밸브(94)는 상기 컨트롤러(110)에서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는 오수의 역류의 방지 및 상기 진공라인(81)의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체크밸브(95), 상기 오수배관(3)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스위치(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95)는 상기 진공라인(81) 상에 설치된다.
상기 압력스위치(120)는 상기 오수배관(3)의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110)를 진공모드 또는 중력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진공밸브(91), 분사밸브(92), 급수밸브(93), 벤팅밸브(94)의 작동을 정지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는 상기 제1챔버(21)와 제2챔버(22)의 압력을 강하하기 위한 한 쌍의 제3포트(73), 균형라인(85), 한 쌍의 오리피스(130, 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3포트(73)는 상기 제1챔버(21) 및 제2챔버(22)와 각각 연통된다.
상기 균형라인(85)은 상기 한 쌍의 제3포트(73)와 변기(1)에 형성된 퍼지홀(4)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한 쌍의 오리피스(130, 130`)는 상기 균형라인(85)과 급수라인(82) 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급수라인(82)에 유통되는 유체와 상기 제1챔버(21)와 제2챔버(22)에 유통되는 유체의 압력을 강하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오리피스(130, 130`)는 상기 제1챔버(21)와 제2챔버(22)에 유통되는 유체의 압력 강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라인(82)에 설치되는 오리피스(130)의 직경이 상기 균형라인(85)에 설치되는 오리피스(130`)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는 상기 스프링(50)의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상에서 팽창 및 압축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상부스페이서(46), 상부핀(47), 하부스페이서(48), 하부스프링하우징(49)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조)
상기 상부스페이서(46)는 상기 상부벨로우즈(31)와 상부플레이트(41)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상부핀(47)은 상기 상부스페이서(46)의 하면 테두리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41)에 관통되며, 상기 상부핀(47)의 내부에 상기 스프링(50)의 상부가 삽입된다.
상기 하부스페이서(48)는 상기 하부벨로우즈(32)와 하부플레이트(43)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하부스프링하우징(49)은 상기 하부스페이서(48)의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스프링하우징(49)의 중공된 내부에 상기 스프링(50)의 하부가 삽입된다.
미설명된 부호 F는 연결배관(F)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변기
2 : 하부 배출구
3 : 오수배관
4 : 퍼지홀
10 : 탄성배관
20 : 하우징
21 : 제1챔버
22 : 제2챔버
31 : 상부벨로우즈
32 : 하부벨로우즈
33 : 상부밀폐패널
34 : 하부밀폐패널
40 : 탄성배관개폐세트
41 : 상부플레이트
42 : 상부바
43 : 하부플레이트
44 : 하부바
45 : 중첩부
46 : 상부스페이서
47 : 상부핀
48 : 하부스페이서
49 : 하부스프링하우징
50 : 스프링
60 : 커버
71 : 제1포트
72 : 제2포트
73 : 제3포트
81 : 진공라인
82 : 급수라인
83 : 공급라인
84 : 벤팅라인
85 : 균형라인
91 : 진공밸브
92 : 분사밸브
93 : 급수밸브
94 : 벤팅밸브
95 : 체크밸브
101 : 수세노즐
102 : 제트노즐
110 : 컨트롤러
120 : 압력스위치
130, 130` : 오리피스

Claims (5)

  1. 변기(1)의 하부 배출구(2)와 진공계통에 의해 부압(진공압력)이 조성되어 있는 오수배관(3) 사이에 설치되는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기(1)의 하부 배출구(2)와 오수배관(3)을 서로 연통하는 탄성배관(10);
    상기 탄성배관(10)이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며, 상면 및 하면이 개구되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수납되는 상부벨로우즈(31) 및 하부벨로우즈(32);
    상기 상부벨로우즈(31)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41)와, 상기 상부플레이트(41)의 하면에서 서로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바(42)와, 상기 하부벨로우즈(32)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43)와, 상기 하부플레이트(43)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바(42) 사이로 삽입되는 하부바(44)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배관(10)이 상기 상부바(42)의 내부와 하부바(44)의 내부가 중첩된 중첩부(45)에 삽입되는 탄성배관개폐세트(40);
    상기 상부플레이트(41)와 하부플레이트(43)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41)와 하부플레이트(43)에 탄성을 가하여 상기 상부바(42)와 하부바(44)가 서로 멀어지게 하여 상기 상부바(42)와 하부바(44)가 상기 탄성배관(10)을 잡아당겨서 상기 탄성배관(10)의 내부통로가 좁아져서 폐쇄되게 하는 다수의 스프링(50);
    상기 하우징(20)의 상면 및 하면을 각각 덮는 한 쌍의 커버(60);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포트(71);
    상기 제1포트(71)와 오수배관(3)을 서로 연결하는 진공라인(81);
    상기 진공라인(81) 상에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오수배관(3)에 조성되어 있는 부압이 상기 하우징(20)의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상부벨로우즈(31)와 하부벨로우즈(32)가 상기 탄성배관(10)을 향하여 팽창되면서 상기 상부바(42)와 하부바(44)가 서로 가까워져서 상기 탄성배관(10)을 잡아당기는 힘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배관(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탄성배관(10)의 내부통로가 개방되도록 유도하는 진공밸브(91);
    상기 커버(60)와 상부벨로우즈(31) 사이에 형성된 제1챔버(21) 및 다른 커버(60)와 하부벨로우즈(32) 사이에 형성된 제2챔버(22)와 각각 연통되는 한 쌍의 제2포트(72);
    상기 한 쌍의 제2포트(72)와 연결되며 압력수가 유통되는 급수라인(82);
    상기 급수라인(82) 상에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급수라인(82)에서 유통되는 압력수가 상기 한 쌍의 제2포트(72)로 공급되어 상기 상부벨로우즈(31)와 하부벨로우즈(32)가 상기 탄성배관(10)을 향하여 강제로 팽창되면서 상기 상부바(42)와 하부바(44)가 서로 가까워져서 상기 탄성배관(10)을 잡아당기는 힘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배관(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탄성배관(10)의 내부통로가 개방되도록 유도하는 분사밸브(92);
    상기 급수라인(82)과 변기(1)에 설치된 수세노즐(101)을 서로 연결하는 공급라인(83);
    상기 공급라인(83) 상에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급수라인(82)에서 유통되는 압력수가 상기 수세노즐(101)로 유출되게 하는 급수밸브(93); 및
    상기 진공밸브(91), 분사밸브(92), 급수밸브(93)로 각각 제어신호를 개별적으로 전송하는 컨트롤러(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1)의 하부 배출구(2)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분사밸브(92)가 작동되면 상기 변기(1)의 하부 배출구(2)에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분사밸브(92)에서 이송된 압력수를 상기 탄성배관(10)의 내부통로를 향하여 분사하는 제트노즐(10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노즐(101)과 오수배관(3)을 서로 연결하는 벤팅라인(84); 및
    상기 변기(1)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배출되도록 상기 벤팅라인(84) 상에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수세노즐(101)을 통해 변기(1)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상기 오수배관(3)으로 흡입되게 하는 벤팅밸브(9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라인(81) 상에 설치되는 체크밸브(95); 및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진공밸브(91), 분사밸브(92), 급수밸브(93)와 벤팅밸브(94)를 조종하는 압력스위치(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21) 및 제2챔버(22)와 각각 연통되는 한 쌍의 제3포트(73);
    상기 한 쌍의 제3포트(73)와 변기(1)에 형성된 퍼지홀(4)을 서로 연결하는 균형라인(85); 및
    상기 균형라인(85)과 급수라인(82) 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챔버(21)와 제2챔버(22)의 압력을 강하하는 한 쌍의 오리피스(130, 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
KR1020170021987A 2017-02-20 2017-02-20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 KR101843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987A KR101843539B1 (ko) 2017-02-20 2017-02-20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
PCT/KR2017/001967 WO2018151361A1 (ko) 2017-02-20 2017-02-23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987A KR101843539B1 (ko) 2017-02-20 2017-02-20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539B1 true KR101843539B1 (ko) 2018-04-02

Family

ID=61976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987A KR101843539B1 (ko) 2017-02-20 2017-02-20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3539B1 (ko)
WO (1) WO20181513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51063A1 (en) * 2019-06-12 2020-12-16 Kohler India Corporation Private Limited Flexible shape changing trapway arrangement for toilet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0062B2 (ja) 2001-09-28 2011-07-13 Toto株式会社 水洗便器装置
KR101479164B1 (ko) 2014-05-13 2015-01-05 주식회사 호두 진공변기시스템의 진공식 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6495A (ja) * 1996-04-30 1997-11-18 Inax Corp 真空水洗便器
FI100547B (fi) * 1996-07-09 1997-12-31 Evac Int Oy Alipaineklosetti
KR20100117923A (ko) * 2009-04-27 2010-11-04 대림비앤코주식회사 절수 기능을 구비한 양변기
KR20120084476A (ko) * 2011-01-20 2012-07-30 베스트오토앤시트 주식회사 팽창부재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0062B2 (ja) 2001-09-28 2011-07-13 Toto株式会社 水洗便器装置
KR101479164B1 (ko) 2014-05-13 2015-01-05 주식회사 호두 진공변기시스템의 진공식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1361A1 (ko)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919B1 (ko) 진공하수시스템
JP3729273B2 (ja) 便器装置
KR100447875B1 (ko)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CN110100066B (zh) 一种水箱
US10001787B2 (en) Controller for vacuum sewage system
JP2009287289A (ja) 洋風水洗式便器
KR101575958B1 (ko) 철도차량의 급수시스템
KR900014698A (ko) 변기의 세정 급수 장치
KR101843539B1 (ko) 진공/수압식 오수 배출 장치
US20100088813A1 (en) Air suction device for toilet drainage channel
KR101479164B1 (ko) 진공변기시스템의 진공식 배출장치
JP4305359B2 (ja) 便器装置
KR20070097529A (ko) 양변기 설비
CA2625716A1 (en) Water sensor apparatus
US5302088A (en) Water powered sump pump
KR101696865B1 (ko) 전자제어 양변기 및 비데 일체형 양변기용 배수밸브장치
KR101842493B1 (ko) 진공·수압식오수배출밸브
JP4305360B2 (ja) 便器装置
CN217299173U (zh) 一种液压式排水阀
CN114423977B (zh) 手动复位致动器
KR101506847B1 (ko) 진공변기의 진공식환기장치
US20210324620A1 (en) Anti-backflow device and bidet
CN108458135B (zh) 拉出式龙头水路切换控制机构
JP4281519B2 (ja) 便器洗浄装置
CN108457345A (zh) 真空/水压式污水排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