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323B1 - 3d 프린터 - Google Patents

3d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323B1
KR101843323B1 KR1020170130071A KR20170130071A KR101843323B1 KR 101843323 B1 KR101843323 B1 KR 101843323B1 KR 1020170130071 A KR1020170130071 A KR 1020170130071A KR 20170130071 A KR20170130071 A KR 20170130071A KR 101843323 B1 KR101843323 B1 KR 101843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axis
bed
ball screw
induct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0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연
Original Assignee
이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연 filed Critical 이수연
Priority to KR1020170130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8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filamentary material being melted, e.g. fused deposition modelling [FD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27Driving means
    • B29C64/232Driving means for motion along the axis orthogonal to the plane of a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27Driving means
    • B29C64/236Driving means for motion in a direction within the plane of a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27Driving means
    • B29C64/241Driving means for rotary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95He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라멘트 형태의 금속 프린팅 소재를 용융시킨 후 적층하여 조형물을 제작하는 3D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는 조형물을 받치는 베드와, 상기 베드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하로 연장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단부에 형성된 헤드를 포함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 내부로 필라멘트 형태의 프린팅 소재를 공급하는 소재공급부와, 상기 노즐의 헤드 외측 둘레를 따라 감기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인덕션코일과, 상기 인덕션코일에 고주파전류를 공급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노즐의 바디를 감싸는 냉각챔버와, 상기 인덕션코일의 내부와 상기 냉각챔버의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D 프린터{3D PRINTER}
본 발명은 3D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라멘트 형태의 금속 프린팅 소재를 용융시킨 후 적층하여 조형물을 제작하는 3D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D 프린터란 입체로 디자인된 형상을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등 각종 소재를 층층이 쌓아 제조하는 장치를 말한다. 3D 프린터는 소재를 출력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되는데, 고체인 펠릿으로 된 소재를 레이저로 소결하는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방식, 빛으로 소재를 굳히는 SLA(Stereolithography) 방식, 필라멘트를 용융하는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 방식이 있다.
이들 방식 중 FFF 방식을 이용한 3D 프린터에 관한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764058호에 금속합금 필라멘트용 3D 프린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노즐과 유사한 온도로 가열된 챔버의 내부에서 3차원 적층 물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수축작용으로 인한 3차원 적층 물의 변형을 방지하고, 견고한 3차원 적층 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3D 프린터를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방식을 이용한 3D 프린터는 노즐의 외부에 코일을 감아 노즐을 유도가열 함으로써, 노즐 내부로 공급된 소재가 용융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3D 프린터에 의하면, 노즐이 유도가열 됨에 따라 발생한 열이 점차 노즐 전체로 전달됨으로써 결국 노즐 전체가 가열되는데, 이는 노즐에 근접한 소재가 가열되어 변형되게 하거나, 노즐 내부로 공급된 소재가 노즐의 하단부에 도달하기 전에 용융되도록 함으로써 소재의 원활한 공급을 저해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64058호, 금속합금 필라멘트용 3D 프린터 등록특허공보 제10-1704354호, 다이렉트 멜팅 방식의 메탈 3D 프린터 등록특허공보 제10-1635720호, 인덕션 코일을 구비한 메탈 3D 프린터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9149호, 3D 프린터 장치
본 발명은 필라멘트 형태의 금속 프린팅 소재를 사용하여 디자인된 조형물을 만들 수 있는 3D 프린터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융된 금속 프린팅 소재가 원활하게 공급 및 토출될 수 있도록 한 3D 프린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는 조형물을 받치는 베드와, 상기 베드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하로 연장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단부에 형성된 헤드를 포함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 내부로 필라멘트 형태의 프린팅 소재를 공급하는 소재공급부와, 상기 노즐의 헤드 외측 둘레를 따라 감기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인덕션코일과, 상기 인덕션코일에 고주파전류를 공급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노즐의 바디를 감싸는 냉각챔버와, 상기 인덕션코일의 내부와 상기 냉각챔버의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드의 상면에는 용융된 프린팅 소재가 유입되는 다수의 네트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드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베드이동부와, 상기 노즐을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노즐이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베드이동부는 상기 베드의 하측에 전후로 연장되게 설치된 X축 가이드와, 상기 X축 가이드를 따라 설치된 X축 볼스크류와, 상기 X축 볼스크류에 결합된 X축 모터와, 상기 X축 가이드의 상면에 놓이도록 상기 X축 볼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베드를 받치는 받침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이동부는 상기 베드의 상측에 좌우로 연장되게 설치된 Y축 가이드와, 상기 Y축 가이드를 따라 설치된 Y축 볼스크류와, 상기 Y축 볼스크류에 결합된 Y축 모터와, 상기 베드의 상측에 상하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상기 Y축 가이드의 전면에 놓이도록 상기 Y축 볼스크류에 결합된 Z축 가이드와, 상기 Z축 가이드를 따라 설치된 Z축 볼스크류와, 상기 Z축 볼스크류에 결합된 Z축 모터와, 상기 Z축 가이드의 전면에 놓이도록 상기 Z축 볼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노즐을 지지하는 고정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는 인덕션코일의 내부로 냉각수가 공급됨에 따라 노즐 헤드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노즐의 바디에 냉각챔버가 설치되고 이 냉각챔버에 냉각수가 공급됨에 따라 노즐 바디의 온도를 노즐 헤드보다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는 노즐로 공급된 소재가 노즐의 헤드에 도달한 후에 용융되도록 함으로써 소재를 원활하게 공급 및 토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드의 상면에 네트홈이 형성됨에 따라, 조형물이 베드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D 프린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D 프린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즐과 인덕션코일과 냉각챔버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서 브래킷(1000) 부분만을 발췌한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D 프린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D 프린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즐과 인덕션코일과 냉각챔버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D 프린터는 크게 베드(100), 노즐(200), 소재 공급부(300), 인덕션 코일(400), 컨트롤러(500), 냉각챔버(600), 냉각수 공급부(700), 베드 이동부(800) 및 노즐 이동부(900)로 이루어진다.
베드(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00)의 하측에 설치되어 노즐(200)에서 토출되는 프린팅 소재(10)에 의해 생성되는 조형물을 받친다. 베드(100)는 사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베드(100)의 상면에는 노즐(200)에서 토출되는 용융된 프린팅 소재(10)가 적층되는 네트홈(110)이 형성된다. 이 네트홈(110)이 형성됨에 따라 조형물이 미끄러지지 않고 베드(100)에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네트홈(110)은 베드(100)의 상면에 네트 형상의 홈을 내거나 베드(100)의 상면을 널링(knurling) 가공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노즐(200)은 베드(100)의 상측에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노즐(200)은 상하로 연장된 바디(210)와, 이 바디(210)의 하단부에 형성된 헤드(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디(210)는 수나사 형상으로 이루어져 후술될 브래킷(1000)에 결합된다. 헤드(220)는 바디(210)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바디(210)의 상면 중앙에 프린팅 소재(10)가 진입하게 되는 투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헤드(220)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 입구와 연결된 출구가 형성된다. 헤드(220)가 인덕션 코일(400)에 의해 유도가열되고, 이에 따라 내부로 공급된 프린팅 소재(10)를 용융시켜 베드(100)로 토출한다.
소재 공급부(300)는 노즐(200)의 상측에 설치되어 노즐(200)의 내부로 프린팅 소재(10)를 공급한다. 소재 공급부에 공급되는 프린팅 소재(10)는 필라멘트 형태로 이루어진 금속(metal)일 수 있다. 필라멘트 형태의 프린팅 소재(10)는 릴(20)에 감겨 제공되며, 상기 릴(20)은 3D 프린터의 일측에 설치된다. 소재 공급부(300)는 노즐(200)의 상측에 프린팅 소재(10)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인접하게 설치된 한 쌍의 롤러(310)와, 이들 롤러(310) 중 어느 하나의 롤러(310)에 결합된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프린팅 소재(1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롤러(310) 사이에 인입됨으로써 노즐(200) 측으로 공급된다.
인덕션 코일(400)은 노즐(200)의 헤드(220) 외측 둘레를 따라 감긴다. 인덕션 코일(400)의 양단부는 컨트롤러(500)에 연결된다. 인덕션 코일(400)은 컨트롤러(500)로부터 고주파전류를 공급받아 노즐(200)의 헤드(220)를 유도가열하게 된다. 인덕션 코일(400)은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인덕션코일(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410)이 형성된다. 프린팅 도중에 노즐의 헤드는 가열되고 가열된 헤드에 감겨진 인덕션 코일 또한 가열된다. 인덕션 코일을 구리 재질인 경우 대략 1,000도 내지 1,100도에서 용융될 수 있다. 비록 용융온도 보다 낮을 경우에도 인덕션 코일이 가열되면, 인덕션 코일은 반복 사용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덕션 코일의 중공에는 냉각수가 흐른다.
컨트롤러(500)는 노즐(200)의 상방 일측에 설치되어 인덕션 코일(400)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한다. 또한 컨트롤러는 냉각수 공급부로부터 냉각수를 제공받고 인덕션 코일의 중공(410)에 냉각수를 공급한다. 컨트롤러는 온도 센서(1100)로부터 검출된 노즐 헤드의 온도를 기초로 인덕션 코일에 인가하는 고주파 전류를 조절한다. 실시예로서 노즐 헤드의 온도는 필라멘트 소재의 용융온도 보다 훨씬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챔버(600)는 노즐(200)의 바디(21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냉각챔버(600)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흐르는 공간이 마련된다. 냉각챔버에 공급되는 냉각수는 냉각수 공급부로부터 제공된다. 노즐의 헤드가 가열되면 헤드와 연결된 바디에 열이 전달되고 노즐 바디로 인입되는 필라멘트가 용융되므로, 필라멘트가 원활이 노즐 헤드로 공급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냉각챔버는 노즐 헤드로부터 바디로 전달되는 열의 이동을 방지한다.
냉각챔버(600)는 노즐(200)의 바디(210)와 비(非)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중앙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노즐(200)의 바디(210)와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노즐(200)의 바디(210)와 면밀하게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냉각수 공급부(700)는 수냉식 냉각기(710), 상기 냉각기(710)와 컨트롤러(500)의 일측을 연결하는 코일측 공급관(720), 상기 냉각기(710)와 컨트롤러(500)의 타측을 연결하는 코일측 회수관(730), 상기 냉각기(710)와 냉각챔버(600)의 일측을 연결하는 챔버측 공급관(740), 그리고 상기 냉각기(710)와 냉각챔버(600)의 타측을 연결하는 챔버측 회수관(7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코일측 공급관(720)과 코일측 회수관(730)은 컨트롤러(500)를 통해 인덕션 코일(400)과 연결된다. 결국 냉각수 공급부(700)는 인덕션 코일(400)의 내부와 냉각챔버(600)의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함으로써 인덕션 코일(400)과 노즐 바디(210)를 냉각시킨다.
인덕션 코일과 냉각챔버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온도는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인덕션 코일로 유입되는 냉각수는 컨트롤러에 의해 냉각수의 온도가 정밀하게 조절되어 인덕션 코일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과도한 냉각으로 인덕션 코일 표면에 수분이 생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각수의 온도는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드 이동부(800)는 베드(1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100)의 하측에 전후로 연장되게 설치된 X축 가이드(810)와, 상기 X축 가이드(810)를 따라 설치된 X축 볼스크류(820)와, 상기 X축 볼스크류(820)에 결합된 X축 모터(830)와, 상기 X축 가이드(810)의 상면에 놓이도록 상기 X축 볼스크류(820)에 결합된 받침판(8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X축 가이드(810)는 기다란 사각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다. X축 가이드(810)의 상면 중앙에는 X축 볼스크류(820)를 배치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X축 볼스크류(820)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공지의 볼스크류(ball screw)로 이루어진다. 즉, X축 볼스크류(820)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에 체결된 너트로 이루어져, 상기 나사축이 X축 가이드에 결합되고, 상기 너트가 받침판(840)에 결합된다.
X축 모터(830)는 스텝모터 또는 서보모터로 이루어져 X축 볼스크류(820)를 회전시킨다.
받침판(840)은 베드(100)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사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베드(100)를 받친다.
결국, 베드이동부(800)는 X축 모터(830)가 작동하여 X축 볼스크류(820)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받침판(840)이 X축 볼스크류(820)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베드(1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노즐이동부(900)는 노즐(200)을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100)의 상측에 좌우로 연장되게 설치된 Y축 가이드(910)와, 상기 Y축 가이드(910)를 따라 설치된 Y축 볼스크류(920)와, 상기 Y축 볼스크류(920)에 결합된 Y축 모터(930)와, 베드(100)의 상측에 상하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상기 Y축 가이드(910)의 전면에 놓이도록 상기 Y축 볼스크류(920)에 결합된 Z축 가이드(940)와, 상기 Z축 가이드(940)를 따라 설치된 Z축 볼스크류(950)와, 상기 Z축 볼스크류(950)에 결합된 Z축 모터(960)와, 상기 Z축 가이드(940)의 전면에 놓이도록 상기 Z축 볼스크류(950)에 결합된 고정판(9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Y축 가이드(910)와 Z축 가이드(940)는 기다란 사각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다. Y축 가이드(910)와 Z축 가이드(940)의 전면 중앙에는 각각 Y축 볼스크류(920)와 Z축 볼스크류(950)를 배치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Y축 볼스크류(920)와 Z축 볼스크류(950)는 X축 볼스크류(820)와 마찬가지로 나사축과 너트를 포함하는 공지의 볼스크류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Y축 볼스크류(920)는 그 나사축이 Y축 가이드(910)에 결합되고, 너트가 Z축 가이드(940)에 결합된다. 그리고 Z축 볼스크류(950)는 그 나사축이 Z축 가이드(940)에 결합되고, 너트가 고정판(970)에 결합된다.
Y축 모터(930)와 Z축 모터(960)는 스텝모터 또는 서보모터로 이루어진다. Y축 모터(930)와 Z축 모터(960)는 각각 Y축 볼스크류(920)와 Z축 볼스크류(950)를 회전시킨다.
고정판(970)은 대략 'ㄱ'자 형의 판재로 이루어진다. 고정판(970)의 전면 하부에는 노즐(200)이 설치되고, 전면 상부에는 소재공급부(300)가 설치되며, 전면 상부 일측에는 컨트롤러(500)가 설치된다. 즉, 고정판(970)은 노즐(200)과 소재공급부(300)와 컨트롤러(500)를 지지한다.
결국, 노즐이동부(900)는 Y축 모터(930)가 작동하여 Y축 볼스크류(920)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Z축 가이드(940)와 고정판(970)이 Y축 볼스크류(920)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노즐(20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노즐이동부(900)는 Z축 모터(960)가 작동하여 Z축 볼스크류(950)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고정판(970)이 Z축 볼스크류(950)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노즐(20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고정판(970)의 전면에는 노즐(200)을 고정판(970)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1000)이 설치된다.
도 4는 도 1에서 브래킷(1000) 부분만을 발췌한 확대도이다.
브래킷(10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고정판(970)에 결합된다. 브래킷(1000)의 하면 중앙에는 노즐(200)의 바디(210)와 냉각챔버(600)가 결합된다. 브래킷(1000)의 상면 중앙에는 프린팅 소재(10)가 인입되는 투입구(1010)가 형성된다. 이 투입구(1010)는 노즐(200)의 입구까지 연결되어 프린팅 소재(10)를 노즐(200)까지 안내한다. 브래킷(1000)의 일측에는 인덕션코일(400)이 삽입되는 고정홈(1020)이 형성된다. 고정홈(1020)은 두 개가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각각 브래킷(100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에 따라 일측 고정홈(1020)에는 컨트롤러(500)에서 나와 노즐(200)의 헤드(220) 측으로 들어가는 인덕션코일(400)의 일측 부분이 삽입되고, 타측 고정홈(1020)에는 노즐(200)의 헤드(220)를 돌아 나와 컨트롤러(500)로 들어가는 인덕션코일(400)의 타측 부분이 삽입된다. 그리고 브래킷(1000)의 일측에는 고정부재(1030)가 결합된다. 이 고정부재(1030)는 각 고정홈(1020)을 막도록 설치됨으로써 각 고정홈(1020)에 삽입된 인덕션코일(400)이 이탈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즐에는 블로워가 더욱 구비될 수 있다. 메탈 필라멘트를 프린팅 소재로 사용하는 프린터는 프린팅 완료 후에 용융된 필라멘트가 노즐 내부에 남아 있을 수 있다. 블로워는 노즐의 상측 필라멘트 투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하여 프린팅 후에 블로워로 고압 공기를 필라멘트 투입구에 불어넣음으로써 노즐 내부에 남아있는 용융된 필라멘트를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3D 프린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소재 20 : 릴
100 : 베드 110 : 네트홈
200 : 노즐 210 : 바디
220 : 헤드 300 : 소재공급부
310 : 롤러 400 : 인덕션코일
410 : 중공 500 : 컨트롤러
600 : 냉각챔버 700 : 냉각수공급부
710 : 냉각기 720 : 코일 측 공급관
730 : 코일 측 회수관 740 : 챔버 측 공급관
750 : 챔버 측 회수관 800 : 베드이동부
810 : X축 가이드 820 : X축 볼스트류
830 : X축 모터 840 : 받침판
900 : 노즐이동부 910 : Y축 가이드
920 : Y축 볼스크류 930 : Y축 모터
940 : Z축 가이드 950 : Z축 볼스크류
960 : Z축 모터 970 : 고정판
1000 : 브래킷 1010 : 투입구
1020 : 고정홈 1030 : 고정부재
1100 : 온도센서

Claims (3)

  1. 조형물을 받치는 베드(100);
    상기 베드(10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하로 연장된 바디(210)와, 상기 바디(210)의 하단부에 형성된 헤드(220)를 포함하는 노즐(200);
    상기 노즐(200) 내부로 필라멘트 형태의 프린팅 소재(10)를 공급하는 소재 공급부(300);
    상기 노즐(200)의 헤드(220) 외측 둘레를 따라 감기고, 내부에 중공(410)이 형성된 인덕션 코일(400);
    상기 인덕션 코일(400)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는 컨트롤러(500);
    상기 노즐(200)의 바디(210)를 감싸는 냉각챔버(600); 및
    상기 인덕션코일(400)의 내부와 상기 냉각챔버(600)의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냉각수 공급부(700)는 수냉식 냉각기(710), 상기 수냉식 냉각기(710)와 컨트롤러(500)의 일측을 연결하는 코일측 공급관(720), 상기 냉각기(710)와 컨트롤러(500)의 타측을 연결하는 코일측 회수관(730), 상기 냉각기(710)와 냉각챔버(600)의 일측을 연결하는 챔버측 공급관(740), 상기 냉각기(710)와 냉각챔버(600)의 타측을 연결하는 챔버측 회수관(7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코일측 공급관(720)과 코일측 회수관(730)은 컨트롤러(500)를 통해 인덕션 코일(400)과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온도 센서로부터 검출된 노즐 헤드의 온도를 기초로 인덕션 코일에 인가하는 고주파 전류를 조절하고,
    상기 인덕션 코일로 유입되는 냉각수는 컨트롤러에 의해 냉각수의 온도가 조절되어 인덕션 코일의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노즐에는 블로워가 더욱 구비되며, 상기 블로워는 프린팅 후에 노즐 상측의 필라멘트 투입구와 연통되도록 고압 공기를 필라멘트 투입구에 불어넣어 노즐 내부에 남아있는 용융된 필라멘트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드(100)의 상면에는 용융된 프린팅 소재(10)가 유입되는 네트홈(1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드(1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베드 이동부(800); 및
    상기 노즐(200)을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노즐 이동부(9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베드 이동부(800)는
    상기 베드(100)의 하측에 전후로 연장되게 설치된 X축 가이드(810);
    상기 X축 가이드(810)를 따라 설치된 X축 볼스크류(820);
    상기 X축 볼스크류(820)에 결합된 X축 모터(830); 및
    상기 X축 가이드(810)의 상면에 놓이도록 상기 X축 볼스크류(820)에 결합되고, 상기 베드(100)를 받치는 받침판(8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 이동부(900)는
    상기 베드(100)의 상측에 좌우로 연장되게 설치된 Y축 가이드(910);
    상기 Y축 가이드(910)를 따라 설치된 Y축 볼스크류(920);
    상기 Y축 볼스크류(920)에 결합된 Y축 모터(930);
    상기 베드(100)의 상측에 상하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상기 Y축 가이드(910)의 전면에 놓이도록 상기 Y축 볼스크류(920)에 결합된 Z축 가이드(940);
    상기 Z축 가이드(940)를 따라 설치된 Z축 볼스크류(950);
    상기 Z축 볼스크류(950)에 결합된 Z축 모터(960); 및
    상기 Z축 가이드(940)의 전면에 놓이도록 상기 Z축 볼스크류(950)에 결합되고, 상기 노즐(200)을 지지하는 고정판(9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KR1020170130071A 2017-10-11 2017-10-11 3d 프린터 KR101843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071A KR101843323B1 (ko) 2017-10-11 2017-10-11 3d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071A KR101843323B1 (ko) 2017-10-11 2017-10-11 3d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323B1 true KR101843323B1 (ko) 2018-03-28

Family

ID=6190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0071A KR101843323B1 (ko) 2017-10-11 2017-10-11 3d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32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781A (ko) 2018-07-26 2018-08-16 주식회사 팔복인더스트리 3d 프린터 및 이에 이용되는 xyz축 구동장치
EP3663073A1 (en) * 2018-12-07 2020-06-10 Northoff, Jan 3d print head system with combined processing portions and an integrally integrally formed processing channel for additive manufacturing
US20210323072A1 (en) * 2020-04-16 2021-10-21 Ut-Battelle, Llc Alignment system for magnetic particulate material us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EP3842216A4 (en) * 2018-08-21 2022-01-05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MOLDING APPARATUS, MOLDING PROCESS AND MOLDED ARTICLE PRODUCTION PROCESS
WO2023067271A1 (fr) * 2021-10-21 2023-04-27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Machine d'impression en 3d equipée d'une chambre secondaire transparente permettant une fabrication sous atmosphère contrôlée
CN117600502A (zh) * 2023-08-23 2024-02-27 郑州轻工业大学 金属3d打印机用热、锻复合装置及控制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781A (ko) 2018-07-26 2018-08-16 주식회사 팔복인더스트리 3d 프린터 및 이에 이용되는 xyz축 구동장치
EP3842216A4 (en) * 2018-08-21 2022-01-05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MOLDING APPARATUS, MOLDING PROCESS AND MOLDED ARTICLE PRODUCTION PROCESS
US11938676B2 (en) 2018-08-21 2024-03-26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Molding apparatus, molding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molded article
EP3663073A1 (en) * 2018-12-07 2020-06-10 Northoff, Jan 3d print head system with combined processing portions and an integrally integrally formed processing channel for additive manufacturing
US20210323072A1 (en) * 2020-04-16 2021-10-21 Ut-Battelle, Llc Alignment system for magnetic particulate material us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US11980939B2 (en) * 2020-04-16 2024-05-14 Ut-Battelle, Llc Alignment system for magnetic particulate material us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WO2023067271A1 (fr) * 2021-10-21 2023-04-27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Machine d'impression en 3d equipée d'une chambre secondaire transparente permettant une fabrication sous atmosphère contrôlée
FR3128397A1 (fr) * 2021-10-21 2023-04-28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Machine d’impression en 3d équipée d’une chambre secondaire transparente permettant une fabrication sous atmosphère contrôlée
CN117600502A (zh) * 2023-08-23 2024-02-27 郑州轻工业大学 金属3d打印机用热、锻复合装置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323B1 (ko) 3d 프린터
EP3202574B1 (en) Three-dimensional fabricating chamber and three-dimensional fabricating method
KR101718967B1 (ko) 복수의 유도가열 헤드를 구비한 3d 프린터
EP3040184A1 (en) Three-dimensional printing head
US201600963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objects utilizing three-dimensional printing
KR20180026730A (ko) 3-d 프린팅 장치
EP3281726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workpiece with temperature-controlled shielding gas
KR20160125614A (ko) 3d 프린터용 압출기의 온도조절장치
ES2664082T3 (es)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ón de un útil de moldeo
JP7376320B2 (ja) 造形装置、造形方法および造形システム
ES2841915T3 (es) Impresión 3D en metal con precalentamiento local
KR101814916B1 (ko) 초코렛 가공용 3d 프린터
KR101773134B1 (ko) 3d 프린터의 플렉서블 필라멘트 피딩장치
EP3321005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work piece with process temperature control
KR20200052396A (ko) 3d프린터용 카트리지 및 노즐 다중 온도 제어 장치
JP2017165998A (ja) 三次元造形方法
EP3663073A1 (en) 3d print head system with combined processing portions and an integrally integrally formed processing channel for additive manufacturing
KR101635720B1 (ko) 인덕션 코일을 구비한 메탈 3d 프린터
KR102207315B1 (ko) Fdm방식의 3d 프린터용 노즐 장치
WO2016170003A1 (en) Fused deposition modeling process and apparatus
KR20170077301A (ko) 삼차원 프린터용 노즐 어셈블리
CN101531040B (zh) 模具
CN114734634B (zh) 熔融挤出增材制造喷头和增材制造设备
KR102165179B1 (ko) 연질 소재 프린팅이 가능한 삼차원 프린터의 방열 시스템
JP6696182B2 (ja) ブロー成形金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