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233B1 -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233B1
KR101843233B1 KR1020150174182A KR20150174182A KR101843233B1 KR 101843233 B1 KR101843233 B1 KR 101843233B1 KR 1020150174182 A KR1020150174182 A KR 1020150174182A KR 20150174182 A KR20150174182 A KR 20150174182A KR 101843233 B1 KR101843233 B1 KR 101843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llet
raw material
electrical contact
contact material
bi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474A (ko
Inventor
이용광
김용희
임종빈
Original Assignee
희성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233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switch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24After-treatment of workpieces 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1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 B22F9/3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decomposition of metal compounds, e.g. by py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4Making non-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01H1/021Composite material
    • H01H1/023Composite material having a noble metal as the bas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펠렛 성형 및 압출 공법을 적용하여 전기 접점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IC CONTACT MATERIAL}
본 발명은 개폐기, 차단기 등에 사용되는 전기 접점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접점 재료는 개폐기, 차단기 등의 전기기기에서 전기회로의 개폐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통전용 접촉 재료로서, 모터 스위치, 스위치 기어, MCCB, 소형 모터 및 램프, 자동차 및 가전제품 등에 적용된다.
이러한 전기 접점 재료는 개폐기능과 관련하여 융점이 높고 전기전도도, 열전도도 및 내용착성이 우수하고 접촉저항이 낮은 것이 요구되며, 내마모성과 관련하여 경도가 높은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전기 접점 재료는 재질에 따라 텅스턴계, 은-산화물계, 은-흑연계, 귀금속계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 중 은-흑연계 전기 접점 재료는 흑연의 sliding 특성으로 인해 전기전도도가 우수하여 주로 고정 접점으로 사용된다.
종래에는 상기 은-흑연계 전기 접점 재료를 제조하기 위해 원료 분말을 혼합 및 소결한 후 프레스 성형하는 방법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프레스 성형하여 제조된 은-흑연계 전기 접점 재료는 고밀도 및 고경도를 나타내는데 한계가 있어, Full Life Test 진행 시 크랙이 발생하고, 이를 전기기기에 적용할 경우 전기기기의 통전성 및 차단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98881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밀도 및 고경도를 나타낼 수 있는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전기 접점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접점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원료와 용접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원료를 각각 혼합하여 제1 원료 파우더와 제2 원료 파우더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1 원료 파우더와 상기 제2 원료 파우더를 각각 펠렛 성형하여 제1 펠렛과 제2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제1 펠렛과 상기 제2 펠렛을 각각 소결하는 단계; d) 상기 소결된 제1 펠렛과 제2 펠렛을 각각 연마하는 단계; e) 상기 연마된 제1 펠렛과 제2 펠렛을 몰드에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가압하여 빌릿을 제조하는 단계; f) 상기 빌릿을 열간압축하는 단계; 및 g) 상기 열간압축된 빌릿을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전기 접점 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각 원료 파우더를 펠렛 성형한 후 열간압축 및 압출 과정을 거쳐 전기 접점 재료를 제조하기 때문에 고밀도 및 고경도를 가짐과 동시에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전기 접점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전기 접점 재료의 단면을 확인한 OM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전기 접점 재료의 단면을 확인한 OM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1.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원료 분말을 혼합 및 소결한 후 프레스 성형하여 전기 접점 재료를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과 달리 원료 분말을 펠렛 성형한 후 압출 과정을 거쳐 전기 접점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원료 파우더 준비
접점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원료와 용접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원료를 각각 혼합하여 제1 원료 파우더와 제2 원료 파우더를 준비한다. 즉, 제1 원료와 제2 원료 각각을 혼합기에 투입 및 혼합하여 각각의 원료 파우더를 제조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원료를 이루는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은(Ag), 니켈(Ni) 및 흑연(graphit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접점층의 특성을 고려할 때, 제1 원료 100 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3 중량%의 니켈(Ni); 2 내지 6 중량%의 흑연; 및 잔량으로 은(Ag)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원료에 포함된 흑연은 판상(flake type)이 아닌 괴상(massive type)인 것이 바람직하다. 괴상 흑연을 사용함에 따라 전기 접점의 경도(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 원료를 이루는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은(Ag) 및 니켈(Ni)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용접층의 특성을 고려할 때, 제2 원료 100 중량%를 기준으로, 13 내지 17 중량%의 니켈(Ni); 및 잔량으로 은(Ag)인 것이 바람직하다.
b) 펠렛 성형
상기 제1 원료 파우더와 상기 제2 원료 파우더를 각각 펠렛 성형하여 제1 펠렛과 제2 펠렛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Rotary Press를 이용하여 각각의 원료 파우더를 펠렛 형태로 성형하는 것이다. 이때, 펠렛 성형된 제1 펠렛과 제2 펠렛 각각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직경이 1 내지 5 Φ이고, 두께가 1 내지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c) 소결
상기 제1 펠렛과 상기 제2 펠렛을 각각 소결한다. 즉, 제1 펠렛과 제2 펠렛 각각을 소결하여 제1 소결체와 제2 소결체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제1 펠렛과 제2 펠렛 각각을 소결하는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소결하는 온도는 900 내지 960 ℃이고, 소결하는 시간은 20 분 내지 10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펠렛과 제2 펠렛 각각을 소결함으로써 각 펠렛의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 연마
상기 소결된 제1 펠렛(제1 소결체)과 제2 펠렛(제2 소결체)을 각각 연마한다. 이때 연마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렐(barrel) 연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렐 연마를 함으로써 각 펠렛의 표면에 은(Ag)이 유도되어 펠렛을 접합하여 후술되는 빌릿 제조 시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e) 빌릿 제조
상기 연마된 제1 펠렛과 제2 펠렛을 몰드에 투입하고 가압하여 제1 펠렛과 제2 펠렛이 접합된 빌릿(billet)을 제조한다. 이때, 가압하는 압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00 내지 180 kgf/㎠인 것이 바람직하다.
f) 열간압축
상기 빌릿의 밀도를 높이기 위해 열간압축한다. 이때, 열간압축하는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열간압축하는 온도는 650 내지 850 ℃이고, 열간압축하는 압력은 100 내지 180 kgf/㎠이며, 열간압축하는 시간은 1 내지 10 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열간압축된 빌릿은 후술되는 압출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표면 면삭 및 열처리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빌릿을 표면 면삭 및 열처리함에 따라 압출기에서의 투입 및 인출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g) 압출
상기 열간압축된 빌릿을 압출한다. 즉, 열간압축된 빌릿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띠형상을 가지는 소재로 압출하는 것이다. 이때, 압출하는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압출하는 온도는 650 내지 850 ℃이고, 압출하는 압력은 100 내지 180 kgf/㎠이며, 압출하는 시간은 1 내지 30 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띠형상의 소재를 프레스를 이용하여 요구되는 크기에 맞게 타발하고, 타발된 소재를 다시 바렐 연마한 후, 잔존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열처리하는 과정을 추가로 거칠 수 있다.
2. 전기 접점 재료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전기 접점 재료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기 접점 재료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치밀한 조직구조를 가져 고밀도 및 고경도를 나타내며, 전기전도도도 우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기 접점 재료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개폐기, 차단기 등의 전기기기의 전기회로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
니켈 2중량%, 흑연 4중량% 및 잔량의 은으로 이루어진 제1 원료와 니켈 15 중량% 및 잔량의 은으로 이루어진 제2 원료 각각을 혼합기에 투입하고 혼합하여 제1 원료 파우더와 제2 원료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이후 제1 원료 파우더로 제1 펠렛을 성형하고, 제2 원료 파우더로 제2 펠렛을 성형하였다. 성형된 제1 펠렛과 제2 펠렛 각각의 크기는 직경이 3~4 Φ이고, 두께가 2~4 ㎜ 정도였다.
다음, 각각의 펠렛을 945 ℃에서 소결한 후 표면에 Ag Rich층을 형성하기 위해 바렐공정을 진행하였다.
이 후 제1 펠렛과 제2 펠렛을 몰드에 투입하고 170 kgf/㎠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제1 펠렛과 제2 펠렛이 접합된 빌릿(billet)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각각의 빌릿의 크기는 직경이 110 Φ이고, 두께가 100~300 ㎜정도였다.
다음, 제조된 빌릿의 밀도를 높이기 위해 750 ℃의 온도에서 170 kgf/㎠의 압력을 가하여 1 내지 5 분 동안 열간압축하였다. 그 다음, 열간압축된 빌릿을 표면 면삭 및 열처리한 후 빌릿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띠형상을 가지는 소재로 압출하였다. 이때, 압출은 750 ℃의 온도에서 165 내지 175 kgf/㎠의 압력 하에 1 내지 10 분 동안 이루어졌다.
이 후 띠형상의 소재를 프레스를 이용하여 타발하고, 추가 바렐 공정 및 열처리 공정을 거쳐 전기 접점 소재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
니켈 2 중량%, 흑연 4 중량% 및 잔량의 은으로 이루어진 제1 원료와 니켈 15 중량% 및 잔량의 은으로 이루어진 제2 원료 각각을 혼합기에 투입하고 혼합하여 제1 원료 파우더와 제2 원료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이 후 성형기에 각각의 파우더를 투입하여 2Layer의 접점을 규격에 맞게 성형하였다. 다음, 성형된 2Layer의 접점을 945 ℃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1 시간 동안 소결하여 소결체를 제조하고 코이닝 공정 및 바렐 공정을 거쳤다. 그 다음, 열처리 공정을 거쳐 전기 접점 재료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단면 조직 확인
상기 실시예 1 및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전기 접점 재료의 단면(구체적으로, 접점층의 단면)을 광학현미경(OM)으로 각각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각각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실시예 1의 전기 접점 재료의 조직(접점층의 조직)이 균일하면서도 치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2] 비중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전기 접점 재료의 비중을 비중측정기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측정 횟수 비교예 1 실시예 1
1회 8.72 9.34
2회 8.75 9.34
3회 8.77 9.37
4회 8.71 9.39
5회 8.80 9.35
평균 8.75 9.36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실시예 1의 전기 접점 재료는 비중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실시예 1의 접점 재료가 고밀도를 나타낸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 실험예 3] 전기전도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전기 접점 재료의 전기전도도를 전기전도도 측정기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측정 횟수 비교예 1 실시예 1
1회 58.65 78.76
2회 61.77 77.59
3회 59.69 77.17
4회 63.48 78.05
5회 62.33 79.21
6회 57.26 78.57
7회 58.04 80.39
8회 62.02 79.56
9회 61.89 78.04
10회 61.59 78.71
평균 60.67 78.61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실시예 1의 전기 접점 재료는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4] 경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전기 접점 재료의 경도를 비커스 경도 측정기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측정 횟수 비교예 1 실시예 1
1회 71.70 72.90
2회 66.60 67.50
3회 56.00 66.80
4회 54.70 70.30
5회 59.00 68.70
6회 58.00 67.30
7회 67.40 70.60
8회 54.70 69.80
9회 62.10 71.20
10회 70.10 72.90
평균 62.03 69.80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실시예 1의 전기 접점 재료는 고경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5] FLT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전기 접점 재료의 강도를 접점강도 Test기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측정 횟수 비교예 1 실시예 1
1회 6,521 36,219
2회 10,242 35,712
3회 8,014 40,121
4회 9,143 37,820
5회 8,219 39,421
6회 7,786 55,411
7회 6,615 34,521
8회 8,847 35,683
9회 7,461 45,951
10회 8,732 40,661
평균 8,158 40,152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실시예 1의 전기 접점 재료는 고강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8)

  1. a) 접점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원료와 용접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원료를 각각 혼합하여 제1 원료 파우더와 제2 원료 파우더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1 원료 파우더와 상기 제2 원료 파우더를 각각 펠렛 성형하여 제1 펠렛과 제2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제1 펠렛과 상기 제2 펠렛을 각각 소결하는 단계;
    d) 상기 소결된 제1 펠렛과 제2 펠렛을 각각 연마하는 단계;
    e) 상기 연마된 제1 펠렛과 제2 펠렛을 몰드에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가압하여 빌릿을 제조하는 단계;
    f) 상기 빌릿을 열간압축하는 단계; 및
    g) 상기 열간압축된 빌릿을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료는 은(Ag), 니켈(Ni) 및 흑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료는 은(Ag) 및 니켈(Ni)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소결은 900 내지 960 ℃의 온도에서 20 분 내지 10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열간압축은 650 내지 850 ℃의 온도 및 100 내지 180 kgf/㎠의 압력에서 1 내지 10 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의 압출은 650 내지 850 ℃의 온도 및 100 내지 180 kgf/㎠의 압력에서 1 내지 30 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는 바렐(barrel) 연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전기 접점 재료.
KR1020150174182A 2015-12-08 2015-12-08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방법 KR101843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182A KR101843233B1 (ko) 2015-12-08 2015-12-08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182A KR101843233B1 (ko) 2015-12-08 2015-12-08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474A KR20170067474A (ko) 2017-06-16
KR101843233B1 true KR101843233B1 (ko) 2018-03-28

Family

ID=5927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182A KR101843233B1 (ko) 2015-12-08 2015-12-08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2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162A (ko) * 2007-10-31 2009-05-07 유창금속공업(주) 판상형 복합 전기접점소자의 제조방법
KR20130035557A (ko) * 2011-09-30 2013-04-09 희성금속 주식회사 압출을 이용한 분말야금계 전기접점 재료의 제조방법
JP2014192007A (ja) * 2013-03-27 2014-10-06 Nippon Tungsten Co Ltd 電気接点材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4162A (ko) * 2007-10-31 2009-05-07 유창금속공업(주) 판상형 복합 전기접점소자의 제조방법
KR20130035557A (ko) * 2011-09-30 2013-04-09 희성금속 주식회사 압출을 이용한 분말야금계 전기접점 재료의 제조방법
JP2014192007A (ja) * 2013-03-27 2014-10-06 Nippon Tungsten Co Ltd 電気接点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474A (ko) 201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7415C (zh) 制造多层碳刷的方法
CN105132726B (zh) 一种适用于接触器的铜铬触头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589897B (zh) 银金属氧化物钨复合电触头材料的制备方法及其产品
CN103586470B (zh) 银金属氧化物石墨复合电触头材料的制备方法及其产品
CN102163496B (zh) 高性能无卤环保型橡塑铁氧体挤出磁条的制备方法及磁条
KR101756636B1 (ko) 다층 카본 브러시 및 그 제조 방법
US8048366B2 (en) Process for making copper tungsten and copper molybdenum composite electronic packaging materials
KR101609911B1 (ko) Ag-산화물계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기 접점 재료
KR101843233B1 (ko)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방법
CN110499435B (zh) 一种银基电接触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284767B (zh) 侧面具有连续纯银层的银石墨电触头的制备方法
CN100552845C (zh) 银基氧化锡梯度电触头材料及制备方法
CN1209778C (zh) 铜基粉末电触头的制备方法
CN113245547B (zh) 一种侧面具有连续脱碳层的银镍石墨电触头的制备方法
CN102347158A (zh) 大功率硬质铜钨铁复合电触头加工工艺
CN102446643A (zh) 复合电触头加工工艺
JP2005079511A5 (ko)
JP2002216788A (ja) 炭素質成形品の製造法
KR102129656B1 (ko) 전기 접점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접점
CN104078249A (zh) 一种银铜钨电触头及其加工工艺
KR101741010B1 (ko)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CN110498679B (zh) 一种高介电性能多层相结构bnt-bt陶瓷的制备方法
US7498712B2 (en) Grain orientation control through hot pressing techniques
KR102292421B1 (ko) 개폐기용 은-다이아몬드 전기접점 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9995B1 (ko) 전기접점소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