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683B1 - Reinforcing member of guardrail post and apparatus for improvement horizontal bearing capacity of guardrail post - Google Patents

Reinforcing member of guardrail post and apparatus for improvement horizontal bearing capacity of guardrail po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683B1
KR101842683B1 KR1020170050124A KR20170050124A KR101842683B1 KR 101842683 B1 KR101842683 B1 KR 101842683B1 KR 1020170050124 A KR1020170050124 A KR 1020170050124A KR 20170050124 A KR20170050124 A KR 20170050124A KR 101842683 B1 KR101842683 B1 KR 101842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guard rail
reinforcing
guardrail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1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갑기
Original Assignee
조양산업 주식회사
이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양산업 주식회사, 이갑기 filed Critical 조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0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6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6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76Foundation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member of a guardrail main support and a reinforcing apparatus for reinforcing a horizontal bearing capacity of the main support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reinfor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auxiliary supports can be installed around the guardrail main support. In addition, a gap between the auxiliary supports can be integrally connected, and an auxiliary reinforcing member of the guardrail main support for supporting a rear surface of the main support can be install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guardrail main support from being bent or fallen in the rear direction due to external shocks so that damage to vehicles along with humans caused by vehicles deviated or fallen from the road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와 이를 이용한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Reinforcing member of guardrail post and apparatus for improvement horizontal bearing capacity of guardrail pos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ardrail main reinforcement member, and a reinforcing member reinforcing a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main suppor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기 보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주변에 두 개 이상의 보조지주를 설치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보조지주의 사이를 일체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메인지주의 후면을 지지하는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가 후방으로 휘어지거나 넘어져서 차량 등이 도로 밖으로 이탈 또는 추락하여 차량의 파손뿐만 아니라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와 이를 이용한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ment device for reinforcing a horizontal support force of a main rail of a guardrail,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auxiliary supports are provided in the periphery of a main rail of a guardrail, The guard rail main support is bent or fallen backward due to an external impact and the vehicle or the like is taken off or out of the road and the vehicle is damaged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a main support using the reinforcement member of the guardrail main support.

일반적으로 도로의 양측에는 차량이 주행도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가드레일이 설치된다. 가드레일은 도로의 양측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가드레일 메인지주와,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가드레일용 패널로 구성되어 차량의 충돌시 차량이 주행도로를 이탈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차량의 파손뿐만 아니라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도로 시설물이다.Generally, on both sides of the road, guard rails are installed so that the vehicle does not depart from the traveling road. The guard rail includes a plurality of guard rail main posts arranged vertically on the ground at regular intervals along both sides of the road and a guard rail panel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guard rail main posts and arrang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ad This is a road facility that minimizes the damage of the vehicle as well as the damage of the vehicle by blocking the vehicle from leaving the road when the vehicle collides.

이러한 가드레일에 차량 등이 충돌할 경우, 그 충격은 그대로 가드레일 메인지주에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 자체의 강도가 떨어지거나 가스레일용 메인지주가 매립된 지반이 단단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가 후방으로 휘어지거나 회전하게 된다. When a vehicle or the like collides with such a guardrail, the impact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ain rail of the guardrail. Therefore, when the strength of the main rail of the guard rail itself falls or the ground where the main rail for gas rails is embedded is not rigid, the main rail of the guard rail is bent or rotated backward.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국토교통부에서 발행한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에는, 성토부의 경사 시작점 부근에 설치하는 가드레일은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현장지지력)을 측정하여야 하며 그 값은 실물충돌 시험장에서 측정한 수평지지력의 90% 이상이 되어야 하고, 현장지지력이 시험장지지력의 90% 이상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매립깊이증대나 기타 보강시설추가 등의 보강방안을 세워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어, 성토부에 설치되는 종래의 가드레일 메인지주에는 보강방안을 세워야 할 필요성이 있게 된다.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guideline for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road safety facilities issued by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should measure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main rail of the guardrail (on-site support force) Should be at least 90% of the horizontal bearing capacity measured at the impact test site, and if the field bearing capacity is not more than 90% of the bearing capacity of the test site, reinforcement 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such as increasing the depth of the main rail of the guardrail main body or adding other reinforcement faciliti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et up reinforcement measures in the conventional guardrail main pillar installed in the embankment.

종래의 가드레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방법으로는, 단순히 가드레일의 매립 깊이를 증가시키는 방법, 토압 판을 이용하는 방법, 콘크리트 기초 보강방법, 보조지주 연결 또는 브레이싱(bracing) 보강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이 알려졌다. 그러나 종래의 보강 방법들은 성능이 검증되지 않은 가드레일에 대해서 일정한 성능 증진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는 있지만 기존에 설치된 가드레일을 해체 내지 수정하는 작업을 수반하기 때문에 경제성과 시공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다.As a method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conventional guard rail, various methods such as simply increasing the depth of embedding of the guard rail, using the earth pressure plate, reinforcing the concrete base, connecting auxiliary supports or reinforcing the bracing Was announced. However, the conventional reinforcement methods have been reported to exhibit a certain performance enhancement effect on the guard rails whose performance has not been verified,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economical efficiency and workability since they involve disassembling or correcting the existing guard rails .

이에 따라서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충분히 증대시킬 수 있고 시공이 편리하며,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가드레일 메인지주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와 이를 이용한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increase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main rail of the guardrail, to provide a convenient construction, and to easily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main rail of the existing guardrail main reinforcement member, A reinforcement device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reinforcement is required.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0859호(등록일: 2016. 07.13)(000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640859 (Registered on July 27, 2016)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5777호(등록일: 2014. 12. 17)(000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75777 (Registered on December 17, 2014) (000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76992호(등록일: 2014. 12. 22)(0003)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476992 (Registered on December 22, 2014)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주변 지반에 두 개 이상의 보조지주를 매립설치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보조지주의 사이를 일체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메인지주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가 후방으로 휘어지거나 넘어져서 차량이 도로 밖으로 이탈하거나 추락하여 차량의 파손뿐만 아니라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와 이를 이용한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uardrail main pillar in which two or more auxiliary supports are embedded in a peripheral ground, The guard rail main support may be bent or fallen backward due to an external impact so that the vehicle may be detached or fall out of the road due to external impact, To a reinforcing member of a main rail of a guard rail and a reinforcement device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main rail using the reinforcing member.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장치는,As a mean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inforcing member of a main rail of guard rai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inforcement device for reinforcing a horizontal support force of a main support using the same,

가드레일 메인지주와;A guard rail main support;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양측 면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와 평행을 이루도록 지반에 매립 설치되는 두 개의 보조지주와;Two auxiliary supports embedded in the groun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main guard rail at positions spaced a distance from both sides of the main guard rail;

상기 두 개의 보조지주 사이를 일체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후면을 지지하여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가 후방으로 넘어지거나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1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제1 보강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reinforcing member (a second reinforcing member) of the first guardrail main support which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rail of the guard rail and supports the main rail so that the main rail does not fall back or is bent, And a reinforcing memb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는, 상기 두 개의 보조지주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후면을 지지하는 일정 길이의 보강대와; 상기 보강대의 전면 양단에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게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보조지주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 구멍이 형성된 고정 판과; 상기 보강대의 길이방향 중간 부분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후면을 감쌀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이탈방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member of the first guardrail main strut may include: a reinforcing bar provided between the two auxiliary struts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A fixing plate integral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so as to protrude fo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through holes so that the auxiliary supports can pass through; And a release preventing plate integrally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또한, 상기 보강대는 일정 높이와 길이를 갖는 수직 판과, 상기 수직 판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상부 판과, 상기 수직 판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상부 판과 평행하게 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하부 판으로 이루어진다. The reinforcing bar includes a vertic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length, an upper plat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rea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and a lower plate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late in parallel to the upper plate, It is made of plates.

또한, 상기 고정판은 상기 보강 부재의 전면 양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 판의 전면 상단에 일체로 용접되는 상부 고정 판과, 상기 수직 판의 전면 하단에 일체로 용접되는 하부 고정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고정 판과 하부 고정 판에는 상기 보조지주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각각 형성된다. The fixing plate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includes an upper fixing plate integrally welded to an upper end of a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and a lower fixing plate integrally welded to a lower front of the vertical plate, And the upper fixing plate and the lower fixing plate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auxiliary supports extend.

또한, 상기 이탈방지판은 상기 보강 부재의 전면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외주 면을 감싸서 밀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The detachment prevention plate may be integrally fix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rail.

바람직하게, 상기 이탈방지판은 원호 형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호형 금속판의 곡률은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외주 면의 곡률과 대응하도록 한다. Preferably, the separation preventing plate is made of a circular arc metal plate, and the curvature of the arc-shaped metal plate corresponds to the curvatur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그리고 상기 보강대의 길이방향 가운데에는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외주 면을 감쌀 수 있도록 일정한 각도로 구부러지는 절곡부가 더 형성된다. Further, a bending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so as to cov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rail of the guard rail.

또한, 상기 보강대의 길이방향 가운데에 형성된 절곡부의 후면에는,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후방에 일정 거리 떨어져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3 보조지주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제3 고정 판이 상기 절곡부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된다. A third fixing plate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a third auxiliary support vertical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hind the guard rail main support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enter of the reinforcing bar,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장치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후방에 일정 거리 떨어져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4 보조지주와; 상기 제4 보조지주의 상단부에서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후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연장되는 외팔보 부재와, 상기 외팔보 부재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외주 면을 감싸는 이탈방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제2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member of the main rail of the guard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inforcement device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main support using the reinforcement member may include a fourth auxiliary support Wow; A cantilevered member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ourth auxiliary strut so as to contact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rail of the guard rail and a detachment preventing plate installed at a tip of the cantilevered member and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guardrail, And a reinforcing member (second reinforcing member) of the second guardrail main stanchion.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전방에서 일정 거리 떨어져 설치되는 측구와; 상기 측구의 후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의 후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일정 길이의 결합 대가 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결합 부재와;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후면을 감싸면서 양단이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전방으로 일정 거리 연장되는 밴드 부재와; 상기 밴드 부재와 결합 부재 사이의 간격에 따라 길이가 신장 및 수축되고 상기 밴드 부재를 상기 결합 부재에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3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제3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inforcement member for a main rail of a guard rail and a reinforcing device for reinforcing a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main support using the reinforcing member, comprising: a sidewall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the front of the main rail; A fixing member installed horizontally on a rear surface of the sphere; An engaging member integrally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rea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A band member which surrounds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guard rail and has both ends exten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of the main rail of the guard rail; A third reinforcing member (third reinforcing member) of the third guardrail main support comprising a connecting member that is elongated and contracted in length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band member and the engaging member and integrally connecting the band member to the engaging member, .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설치되는 측구와; 상기 측구의 후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의 후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일정 길이의 결합 대가 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결합 부재와;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양측 면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와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두 개의 보조지주와; 상기 두 개의 보조지주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후면을 지지하여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가 후방으로 넘어지거나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1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제1 보강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와 제1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 사이의 간격에 따라 길이가 신장 및 수축되고 상기 제1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를 상기 결합 부재에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4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제4 보강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device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main rail of the guard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ide wall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the front of the main rail of the guard rail; A fixing member installed horizontally on a rear surface of the sphere; An engaging member integrally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rea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Two auxiliary supports installed parallel to the main guard rail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main guard rail; A reinforcing member of a first guardrail main support which integrally connects the two auxiliary struts and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guard rail main support to prevent the main rail from falling or being bent backward Member); And a connecting member which is elongated and contracted along the distance between the engaging member and the reinforcing member of the first guardrail main support and which integrally connects the reinforcing member of the first guardrail main support to the engaging member And a reinforcing member (fourth reinforcing member) of the four-guard rail main stanch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는 상기 가드레일용 가드레일 메인지주와 상기 보조지주의 이탈방지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이탈방지판이 가압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위치 및 기울어짐 정도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와; 상기 터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감지된 전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비교하여 현재의 가드레일 지주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가드레인 지주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거나 상기 제어부에서 송신하는 가드레인 지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리더기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태양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전지판;을 포함하는 가드레일 메인지주 원격감시장치를 더 포함한다. The reinforcing device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main rail of the guard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guard rail main support for the guard rail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of the auxiliary support, A touch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and inclination of the main rail of the rail;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to convert the electrical signal sensed by the touch sensor into digital data or to compare the sensed electrical signal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guardrail support, A reader for requesting information on the guardraiser to the control unit 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guardraiser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And a solar panel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generates electrical energy from the sun.

본 발명은 두 개의 보조지주는 일정한 깊이로 지반에 매립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보조지주 사이에는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후면과 접촉되어있는 보강 부재가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가 외부 충격에 의해서 후방으로 넘어지거나 휘어질 때, 상기 보강 부재가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에 가해지는 충격 하중을 두 개의 보조지주로 분산시켜서,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가 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이 도로 밖으로 추락 또는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inforcing memb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is provided between the two auxiliary supports and the two auxiliary supports are embedded in the ground with a predetermined depth, When the vehicle falls or buckles rearward due to an impact, the reinforcing member disperses the impact load applied to the guard rail main support by two auxiliary supports, thereby preventing the guard rail main support from falling backward,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vehicle falls out or overturn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드레일 메인지주에 대해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보조지주를 소정 거리 및 깊이로 단순 항타 방식으로 매설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가드레일 메인지주에 대해 저비용 및 시공성을 가지고 우수한 보강 성능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auxiliary supports are buri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depth in a simple navigation manner without performing any special operation on the guard rail main support, so that low cost and good workability can be achieved for the existing guard rail main support Thereby providing an excellent reinforcing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은 가드레일 메인지주가 설치된 도로 사면 측에 소정의 깊이로 두 개 이상의 보조지주를 설치하되, 두 개 이상의 보조지주를 일체로 연결하는 보강 부재를 이용하여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외주 면과 항상 접촉하거나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조지주가 가드레일 메인지주에 반력을 작용하도록 하여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auxiliary struts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side of a road slope provided with the guard rail main stanchion. By using a reinforcing member integrally connecting two or more auxiliary struts, So that the auxiliary support can exert a reaction force on the main rail of the guard rail, thereby improv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main rail of the guard rail.

또한, 본 발명은 일정 두께의 철판을 가공하여 "ㄷ"자 형태의 단면을 보강대를 제공함으로써 보강 부재의 무게는 낮추면서도 자체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 부재의 전면에 가드레일 지주의 외주 면을 감싸서 수용하는 원호 홈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이탈방지판을 설치하여 항상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외주 면과 접촉할 수 있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reinforcement member while reducing the weight of the reinforcement member by machining an iron plate having a certain thickness to provide a cross section of a " C "shap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detachment prevention plate made of a metal plate of an arcuate groove that encloses and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ardrail support, so that it can always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ardrail main support, There is an effect.

또한, 본 발명은 원격에서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메인지주 원격감시장치를 제공하여 관리자가 직접 눈으로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상태를 직접 관찰하지 않아도 현재 가드레일 지주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파손되거나 기울어진 가드레일을 교체하거나 수리하여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in support remote monitoring device capable of monitoring the state of a main rail of a guardrail from a remote loc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econdary accident by replacing or repairing broken or tilted guard rai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의 일 예(제1 보강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가 설치된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가 설치된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의 또 다른 실시 예(제2 보강 부재, 제3 보강 부재 및 제4 보강 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지주 원격감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a first reinforcing member) of a reinforcing member of a guard rail main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reinforcing member of the guardrail main support shown in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reinforcing member of a main rail of a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a reinforcing device for reinforcing a horizontal support force of a main support provided with a reinforcing member of a guardrail main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rear view of a reinforcing device for reinforcing a horizontal support force of a main support provided with a reinforcing member of a guard rail main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member of the main rail of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nother embodiment (a second reinforcing member, a third reinforcing member, and a fourth reinforcing member) of a reinforcing member of a guardrail main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11 and 12 are schematic block diagrams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support remot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와 이를 이용한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reinforcing member of a guardrail main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inforcement device for reinforcing a horizontal support force of a main support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구성요소에서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번호를 부여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mponent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but the dimensions of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In the same components, the same numbers are assigned to other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가 설치된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가 설치된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inforcing member of a main rail of a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a reinforcing member of a main rail of a guardrail shown in FIG. 1, FIG. 4 is a front view of a reinforcement device for reinforcing a horizontal support force of a main support provided with a reinforcement member of a guardrail main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ement member The reinforcing device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main support provided with the reinforcing member of the main rail of the guardrail is viewed from the rear.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1)는, 크게 가드레일 메인지주(2)와,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양측 면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와 평행을 이루도록 매립 설치되는 두 개의 보조지주(5a)(5b)와, 상기 두 개의 보조지주(5a)(5b) 사이를 일체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후면을 지지하여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가 후방으로 넘어지거나 휘어지지 않도록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4 and 5, the reinforcing device 1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main rail of the guard ra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guard rail main support 2, Two auxiliary struts 5a and 5b buried in parallel to the guard rail main struts 2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main rail 2 by two auxiliary struts 5a and 5b, And a reinforcing member (not shown)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so as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and prevent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from falling backward or being bent 30).

여기서,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는 가드레일이 설치된 도로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지반에 수직으로 매립된다.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는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부에는 가드레일 패널(3)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Here, the guard rail main posts 2 are vertically buried in the groun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roads where the guard rails are installed.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is formed in a circular pipe shape, and a guard rail panel 3 is horizontally provided at an upper end portion thereof.

상기 보조지주(5a)(5b)는,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양 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수직으로 매립된다. 상기 보조지주(5a)(5b)는 바람직하게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나, 이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조지주(5a)(5b)의 형태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보조지주(5a)(5b)는 H빔이나 원형 파이프 등 다양한 단면을 갖는 기둥 부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지주(5a)(5b)는 항타나 중장비를 이용하여 지반에 일정 깊이로 매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지주(5a)(5b)의 상단은 지표의 아래에 묻히거나 또는 지표의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될 수 있다.The auxiliary struts 5a and 5b are vertically buried at positions separated from both sides of the main guard rail 2 by a certain distance. The auxiliary struts 5a and 5b are preferably circular pipes and thus are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auxiliary struts 5a and 5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auxiliary struts 5a and 5b may be columnar members having various cross sections such as an H beam or a circular pipe. Preferably, the auxiliary struts 5a and 5b may be embedded in the ground to a certain depth using a spanner or a heavy equipment. And the upper ends of the auxiliary struts 5a and 5b may be buried under the ground surface or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round surface to a certain height.

상기 보조지주(5a)(5b)는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좌우 측면으로부터 파괴 선(L)을 벗어난 위치에 매립된다. 즉, 상기 보조지주(5a)(5b)는 가드레일 메인지주(2)에 의한 지반의 파괴 범위를 벗어난 곳, 즉 파괴 선을 벗어나는 곳에 설치한다. 즉, 보조지주(5a)(5b)를 가드레일 메인지주(2)에 너무 근접하게 설치하면, 외부 충격에 의해서 가드레일 메인지주(2)가 넘어갈 때, 상기 보조지주(5a)(5b)가 매립되어 있는 지반도 함께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The auxiliary struts 5a and 5b are embedded at positions away from the fracture line L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 That is, the auxiliary struts 5a and 5b are installed at a place out of the destruction range of the ground by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that is, at a position deviating from the destruction line. That is, when the auxiliary struts 5a and 5b are installed too close to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the auxiliary struts 5a and 5b are moved The ground that is buried can also collapse together.

이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30)(이하, '제1 보강 부재'라 한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 보강 부재(30)는, 두 개의 보조지주(5a)(5b)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두 개의 보조지주(5a)(5b) 사이를 일체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가 후방으로 넘어지거나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Next, a reinforcing member 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reinforcing member') of the guardrail main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3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two auxiliary struts 5a and 5b so as to integrally connect the two auxiliary struts 5a and 5b together with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So as to support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so as not to fall or be bent backward.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보강 부재(30)는, 양단에 상기 두 개의 보조지주(5a)(5b)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35)이 각각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가운데에는 상기 메인지주(2)의 후면을 감싸서 일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이탈 방지 판(37)이 설치된다.Preferably,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30 has through holes 35 at both ends thereof through which the two auxiliary supports 5a and 5b pass, respectively. In the center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s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elease prevention plate 37 for supporting the rear surface so as not to deviate.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1)는,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양쪽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두 개의 보조지주(5a)(5b)를 수직으로 매립한 다음, 상기 두 개의 보조지주(5a)(5b) 사이에 상기 두 개의 보조지주(5a)(5b)를 일체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후면을 밀착 지지하는 제1 보강 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reinforcing device 1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guardrail main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wo auxiliary supports 5a (5b) and 5a (5b) at positions separated from both sides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The two auxiliary struts 5a and 5b are integrally connected between the two auxiliary struts 5a and 5b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guardrail 2 And a first reinforcing member (30) for tightly supporting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3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장치(1)는,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수평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두 개의 보조지주(5a)(5b)는 일정한 깊이로 지반에 매립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보조지주(5a)(5b) 사이에는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후면과 접촉되어있는 제1 보강 부재(30)가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가 외부 충격에 의해서 후방으로 넘어지거나 휘어질 때, 상기 보강 부재(30)가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에 가해지는 충격 하중을 두 개의 보조지주(5a)(5b)로 분산시켜서,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가 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그럼으로써 차량이 도로 밖으로 추락 또는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ing device 1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for increas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and the two auxiliary supports 5a, Since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3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guard rail 2 is provided between the two auxiliary supports 5a and 5b, When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falls rearward or curves due to an external impact, the impact load imposed on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by the reinforcing member 30 is transmitted to the two auxiliary supports 5a So as to prevent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from falling backward. Also,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vehicle falls or overturns out of the roa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 보강 부재(30)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보강 부재(30)는, 크게 상기 두 개의 보조지주(5a)(5b)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후면을 지지하는 일정 길이의 보강대(31)와, 상기 보강대(31)의 전면 양단에서 전방(가드레일 메인지주 쪽)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보조지주(5a)(5b)가 관통할 수 있도록 가운데에 관통 구멍(35)이 형성된 두 개의 고정 판(33a)(33b)과, 상기 보강대(31)의 길이방향의 가운데 부분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후면을 감쌀 수 있도록 원호 형으로 이루어진 이탈방지판(37)으로 이루어진다.Hereinafter,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S. 1, 2 and 3,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30 is installed between the two auxiliary supports 5a and 5b and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A reinforcing bar 31 integrally install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both end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31 (the guard rail main support side) and to penetrate through the auxiliary supports 5a and 5b, Two fixing plates 33a and 33b with holes 35 formed thereon and a circular arc type arm 33 integrally provided at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31 so as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37).

더욱 구체적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대(31)는 일정 높이와 길이를 갖는 수직 판(31a)과, 상기 수직 판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거리 연장되는 상부 판(31b)과, 상기 수직 판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상부 판(31b)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부 판(31c)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보강대(31)는 "ㄷ"자 형의 단면을 갖고, 상기 상부 판(31b)과 하부 판(31c)은 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다. 이와 같이, 상부 판(31b)과 하부 판(31c)이 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됨으로써, 보강대(31)의 강도가 커지게 되고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에 대한 수평지지력이 커지게 된다. 3, the reinforcing bar 31 includes a vertical plate 31a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predetermined length, an upper plate 31b exten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rea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And a lower plate 31c extending parallel to the upper plate 31b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late. That is, the reinforcing bar 31 has a "C" -shaped cross section, and the upper plate 31b and the lower plate 31c extend a certain length rearward. The upper plate 31b and the lower plate 31c are extended to the rear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 31 is increased and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is increased.

이어, 상기 고정 판(33)은 상기 수직 판(31a)의 전면 상단에 일체로 용접되고 가운데에 상기 보조지주(5a)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35)이 형성된 상부 고정 판(33a-1)과, 상기 수직 판(31a)의 전면 하단에 일체로 용접되고 가운데에 상기 보조지주(5a)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35)이 형성된 하부 고정 판(33a-2)으로 된다. The fixing plate 33 is integrally weld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31a and has an upper fixing plate 33a-1 formed with a through hole 35 through which the auxiliary support 5a passes, And a lower fixing plate 33a-2 integrally welded to a lower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31a and having a through hole 35 through which the auxiliary support 5a passes.

이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고정 판(33a-1)(33a-1)을 상하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보조지주(5)에 대한 고정 또는 지지력이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 부재(30)는 상부 판(31b)과 하부 판(31c) 그리고 한 쌍의 고정 판(33a-1)(33a-2)을 상하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시켜 설치함으로써 보강 부재의 무게는 줄이면서도 보강대(31)의 강도를 높이고, 상기 보조지주(5a)(5b)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게 할 수 있다. In this manner, the pair of fixing plates 33a-1 and 33a-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up-and-down direction, so that the fixing or support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support 5 becomes large. 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ing memb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inforced by installing the upper plate 31b, the lower plate 31c and the pair of fixing plates 33a-1, 33a-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 31 can be increased while the weight of the member is reduced and the auxiliary pillars 5a and 5b can be fixed without being shaken.

그리고 이탈방지판(37)은 상기 보강대(31)의 길이방향의 전면 가운데 부분에 일체로 용접되고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외주 면을 감쌀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이탈방지판(37)은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후면을 감쌀 수 있도록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외주 면의 곡면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원호 형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이탈방지판(37)은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가 후방으로 이동하거나 휘어질 때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원호형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것도 가능하므로 상기 이탈방지판(37)의 형태가 반드시 원호 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detachment prevention plate 37 is integrally weld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31 in the lengthwise direction and can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 For example, the escape prevention plate 37 is formed of an arc-shaped metal plate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so as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 However, the escape prevention plate 37 prevents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from being detached when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is moved backward or bent, The shape of the release prevention plate 37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n arc shape.

이어서,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가 설치된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1)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4는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도 5는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4 and 5 show a reinforcing device 1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main support provided with the reinforcing member of the guardrail main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main support, Is the rear view.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보조지주(5a)(5b)는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양측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와 평행하도록 매립 설치된다. 이때, 상기 두 개의 보조지주(5a)(5b)와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는 일직선상으로 설치되거나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가 약간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two auxiliary struts 5a and 5b are buri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main guard rail 2 at a distance from both sides of the main guard rail 2. At this time, the two auxiliary struts 5a and 5b and the guard rail main struts 2 may be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or the guard rail main struts 2 may be installed slightly rearward.

그리고 상기 제1 보강 부재(30)는 상기 두 개의 보조지주(5a)(5b) 사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후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보강 부재(30)는 상기 두 개의 보조지주(5a)(5b)를 매립할 때, 상기 제1 보강 부재(30)의 관통 구멍(35)을 관통하도록 지반에 매립하거나, 상기 보조지주(5a)(5b)를 먼저 지반에 매립한 후, 상기 보조지주(5a)(5b)의 상단부를 상기 제1 보강 부재(30)의 관통 구멍(35)으로 통과시켜서 설치할 수도 있다. 이것은 현장의 여건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어느 것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보강 부재(30)는 두 개의 보조지주(5a)(5b)에 용접으로 고정되거나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해서 고정될 수 있다.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30 is installed between the two auxiliary struts 5a and 5b and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guard rail 2. [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30 is embedded in the ground so as to penetrate the through hole 35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30 when the two auxiliary struts 5a and 5b are burie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auxiliary struts 5a and 5b are first embedded in the ground and then the upper ends of the auxiliary struts 5a and 5b are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35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30. [ This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field, and is not limited to any one here. The first reinforcement member 30 may be fixed to the two auxiliary struts 5a and 5b by welding or by separate fastening means.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1)는, 두 개의 보조지주(5a)(5b)가 지반에 단단히 땅에 박혀 있고, 상기 제1 보강 부재(30)는 두 개의 보조지주(5a)(5b)를 연결하여 일체로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외주 면에 밀착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에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이 가해질 때, 그 하중은 상기 두 개의 보조지주(5a)(5b)에 분산함으로써 가드레일 메인지주(2)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reinforcing apparatus 1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main guardrail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wo auxiliary supports 5a and 5b are firmly grounded on the ground, and the first reinforcement member 30 are integrally fixed by connecting two auxiliary struts 5a and 5b and ar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guardrail 2 so that the main rail 2 has a strong When the impact is applied, the load is distributed to the two auxiliary struts 5a and 5b so that the guard rail main strut 2 can be firmly supported.

이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30A)(35B)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대(31)의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에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외주 면을 감쌀 수 있도록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구부러진 절곡부(36)가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는 상기 절곡부(36)의 전면에 형성된 V자 형태의 이탈방지대(37a)에 의해서 이탈이 방지된다. 6 and 7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members 30A and 35B of the guardrail main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 bent portion 36 is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31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V-shaped escape prevention bar 37a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ent portion 36. [

이어,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대(31)의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에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외주 면을 감쌀 수 있도록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구부러진 절곡부(36)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36)의 후면에는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후방에 일정 거리 떨어져 수직으로 매립 설치되어 있는 제3 보조지주(5c)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35)이 형성된 제3 고정 판(33c)이 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좌우 양쪽 및 후방에 제1 내지 제3 보조지주(5a)(5b)(5c)를 각각 매립설치하고, 3개의 고정 판(33a)(33b)(33c)에 형성된 관통 구멍(35)에 3개의 보조지주(5a)(5b)(5c)의 상단부를 관통시켜서 상기 보강 부재(30B)를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3개의 보조지주(5a)(5b)(5c)를 이용하여 하나의 가드레일 메인지주(2)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수평방향의 지지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7, a bent portion 36 is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31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A third fixing plate (not shown) having a through hole 35 through which a third auxiliary support 5c, which is vertically buried and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the rear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33c are formed to protrude rea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first to third auxiliary struts 5a, 5b and 5c are respectively buried i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main guard rail 2 and the three fixing plates 33a, 33b and 33c, The reinforcing member 30B can be provided by passing the upper end of the three auxiliary struts 5a, 5b, 5c through the through-hole 35 formed in the base member 35. [ The present embodiment can further increase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by supporting one guard rail main support 2 by using three auxiliary supports 5a, 5b and 5c have.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1)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보조지주(5a)(5b) 사이에 제1 보강 부재(30)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후방에 일정 거리 이격 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4 보조지주(5d)와; 상기 제4 보조지주(5d)의 상단부에서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후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는 외팔보 부재(43)와, 상기 외팔보 부재(43)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외주 면을 감싸는 이탈방지판(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40))(이하 '제2 보강 부재'라 함)를 더 포함한다.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reinforcement device 1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guardrail main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first reinforcement 5a, A fourth auxiliary strut 5d provided with a member 30 and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cantilevered member 43 integrally fixed at an upper end of the fourth auxiliary strut 5d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rear surface of the guardrail main stem 2,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reinforcing member") of the second guardrail main stanchion which is provided with a detachment preventing plate 47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

이와 같이, 제1 보강 부재(30)와 제2 보강 부재(40)를 함께 설치하면,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수평지지력을 더욱 증대된다. 특히, 상기 제2 보강 부재(40)는,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후방에서 상기 제1 보강 부재(30)와 다른 부분을 지지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수평지지력이 더욱 증대된다. 특히, 상기 제4 보조지주(5d)의 높이를 제1 및 제2 보조지주(5a)(5b)의 높이와 다르게 설계하고, 그 상단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판(47)과 상기 제1 보강 부재(31)의 이탈방지판(37)의 설치위치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가 후방으로 휘어지거나 회동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3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40 are provided together,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is further increased. Particularly, since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40 supports a por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30 from the rear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Is further increased. Especially, the height of the fourth auxiliary struts 5d is designed to be different from the height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struts 5a and 5b,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plate 47 provided at the upper end thereof, Preventing plate 37 of the guardrail main stanchions 31 are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upport the guardrail main stanchion 2 to bend or turn backward.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1)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보조지주(5a)(5b) 사이에 제1 보강 부재(30)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되게 설치되어 있는 측구(7)와; 상기 측구(7)의 후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 부재(51)와, 상기 고정 부재(51)의 후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결합 대(54)가 구비되는 결합 부재(53)와,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후면을 감싸면서 양단이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전방으로 일정 거리 연장되는 밴드 부재(57)와, 상기 밴드 부재(57)와 결합 부재(53) 사이의 간격에 따라 그 길이가 신장 및 축소되고 상기 밴드 부재(57)를 상기 결합 부재(53)에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3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50)(이하 '제3 보강 부재'라 함)를 더 포함한다. 9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device 1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auxiliary support 5a, (7) provided with a reinforcing member (30) and spaced apart from a front surface of the main guardrail (2); A fixing member 51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7 and a coupling member 54 integrally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51 and having a coupling base 54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backward A band member 57 which surrounds the rear surfa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and has both ends exten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And a connecting member (55) whose length is elongated and contracted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53) and the connecting member (55) integrally connecting the band member (57) to the engaging member (53) Member 50 (hereinafter referred to as " third reinforcing member ").

이와 같이, 제1 보강 부재(30)와 제3 보강 부재(50)를 함께 설치하면,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수평지지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제3 보강 부재(40)는, 도로변을 따라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측구(7)에 고정하기 때문에 지반의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및 제2 보조지주(5a)(5b)의 지반이 단단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3 보강 부재를 함께 설치하면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30 and the third reinforcing member 50 are provided together,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can be further increased. Particularly, since the third reinforcing member 40 is fixed to the side wall 7, which is a concrete structure installed along the road side, the third reinforcing member 40 is not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 Therefore, when the ground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struts 5a and 5b is not rigid,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main rail of the guardrail can be greatly improved by installing the third reinforcing members together.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1)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양측 면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와 평행을 이루도록 매립설치되는 두 개의 보조지주(5a)(5b)와; 상기 두 개의 보조지주(5a)(5b) 사이를 일체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후면을 지지하는 제1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30)와;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되게 설치되는 측구(7)와; 상기 측구(7)의 후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 부재(51)와; 상기 고정 부재(51)의 후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결합 대(153)가 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결합 부재(53)와; 상기 결합 부재(53)와 제1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30) 사이의 간격에 따라 길이가 신장 되고 상기 제1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30)를 상기 결합 부재(53)에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4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60)(이하 '제4 보강 부재'라 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0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reinforcement device 1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guardrail main po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the guard rail main post 2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both sides of the main rail 2 Two auxiliary struts 5a and 5b buried in parallel to the guardrail main struts 2 at the position of the guard rail main land 2; A reinforcing member 30 of the first guardrail main support which integrally connects the two auxiliary supports 5a and 5b and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guard rail 2; (7)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A fixing member (51)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7); A coupling member 53 integrally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51 and having a pair of upper and lower coupling pads 153 extending rea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length of the first guardrail main stanchion is extend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engaging member 53 and the reinforcing member 30 of the first guardrail main stanchion and the reinforcing member 30 of the first guardrail main stanch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engaging member 53 And a reinforcing member 6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ourth reinforcing member) of the fourth guardrail main stanchion including a connecting member 54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member 54 to the connecting member.

이와 같이, 제1 보강 부재(30)와 제4 보강 부재(50)를 함께 설치하면,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수평지지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4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40)는, 도로변을 따라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즉, 측구(7))의 후면에 다수의 앵커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므로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에 대한 수평지지력이 커지게 된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 보조지주(5a)(5b)가 설치되는 지반이 연약할 경우, 지면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측구(7)를 이용하여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를 지지하는 구조이므로 지반의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가 후방으로 휘어지거나 회전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Thus, by providing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30 and the fourth reinforcing member 50 together,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can be further increased. That is, since the reinforcing member 40 of the main guardrail main stanchion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i.e., the side wall 7) provided along the road using a plurality of anchor bolts, 2) is increased. Particularly, when the ground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struts 5a and 5b are installed is weak, the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guard rail main strut 2 by means of the cros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from being bent or rotated backward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ground.

한편,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장치(1)는,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2)가 후방으로 넘어가거나 기울어지는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메인지주 원격감시장치(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지주 원격감시장치(80)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손상되거나 기울어진 가드레일 메인지주(2)를 신속하게 찾아낼 수 있다. 11 and 12, the reinforcing device 1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is moved rearward A main holding remote monitoring device 80 for detecting the degree of tilting may be further provided. The main support remote monitoring device 80 can quickly detect the guard rail main support 2 damaged or tilted by an external impact.

상기 메인지주 원격감시장치(80)는,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터치 센서(82)와, 상기 터치 센서(8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81)와, 상기 제어부(8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전지판(84)과, 상기 제어부(81)로부터 정보를 읽기 위한 리더기(8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1 and 12, the main remote monitoring apparatus 80 includes a touch sensor 82, a control unit 8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82, a control unit 81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81, And a reader 86 for reading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81. The control unit 8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olar panel 84,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 센서(8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부재(30)의 이탈방지판(37)와 메인지주(2)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메인지주(2)의 외주 면에 설치된 터치 센서(82)는 상기 이탈방지판(37)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판(37)의 전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는 상기 터치 센서(82)의 특정 부위와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 센서(82)에는 횡렬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도선(82a)(82b)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탈방지판(37)에 설치된 돌기가 상기 도선들과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도선들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이탈방지판(37)의 돌기가 접촉되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ouch sensor 82 is installed between the separation protector 37 of the reinforcing member 30 and the main column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touch sensor 82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column 2 can contact th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37. At this time, one or more protrusions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late 37. That is, the protrusion makes contact with a specific portion of the touch sensor 82. The touch sensor 8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ires 82a and 82b arranged in a row. Therefore, the protrusion provided on the detachment prevention plate 37 contacts the lead wires or presses the lead wires, thereby detecting the contact position of the protrusions of the release prevention plate 37.

그리고 상기 제어부(81)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센서(82)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변환하는 센서부(92), 상기 센서부(92)의 감지신호를 디코딩, 증폭 및 비교하는 메인프로세서(91)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프로세서(91)는 상기 센서부(92) 및 각 구성요소로부터 입출력되는 신호를 연산 및 제어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로세서(91)는 감지데이터를 메모리(95)에 저장하거나 메모리(95)에 저장된 감지테이터를 무선송신부(96)를 통해서 외부로 송신한다. 상기 무선송수신부(96)는 무선/지그비 전송모듈이 내장되어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4)에서 필요한 전기는 태양으로부터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판(86)으로부터 공급받는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판(86)에서 생성된 전기는 축전지(97)에 저장되어 상기 제어부(81)로 공급될 수 있다.12, the control unit 81 includes a sensor unit 92 for converting a signal sensed by the touch sensor 82, a main unit 92 for decoding, amplifying and compar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92, A processor 91 is constructed. Therefore, the main processor 91 computes and controls signals input and output from the sensor unit 92 and the respective components. The main processor 91 stores the sensed data in the memory 95 or transmits the sensed data stored in the memory 95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96. [ The wireless transceiver unit 96 may include a wireless / ZigBee transmission module to transmit / receive wireless signals. The electricity required by the control unit 84 is supplied from the solar panel 86 that produces electricity from the sun. The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solar panel 86 may be stored in the battery 97 and supplied to the controller 81. [

따라서 상기 이탈방지판(37)와 메인지주(2)의 외주 면 사이에 터치 센서(82)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센서(82)는 상기 이탈방지판(37)의 돌기(도시되지 않음)가 접촉되는 위치를 파악하여 현재의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센서(82)에 배열된 다수의 도선(82a)(82b)에는 각각 고유번호가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이탈방지판(37)의 접촉 여부에 따라 특정한 전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로세서(91)는 터치 센서(82)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근거로 메인지주(2)의 위치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수의 도선을 통해 수신되는 전기신호의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기울어진 정도 등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패턴 신호는 메모리(95)에 저장된다.The touch sensor 82 is disposed between the separation preventing plate 37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column 2 so that the touch sensor 82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jection The state of the present guardrail main post 2 can be grasped. That is, since a plurality of wires 82a and 82b arranged in the touch sensor 82 are assigned unique numbers, a specific electric signal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37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main processor 91 may analyze the position of the main post 2 based on the electric signal generated by the touch sensor 82. [ For example,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main rail 2 of the guard rail can be determined by analyzing patterns of electrical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plurality of leads. The pattern signal is stored in the memory 95.

한편, 리더기(86)가 가드레일 메인지주(2)에 근접하면, 예를 들어, 관리자가 도로를 따라 도보로 이동하거나 차량을 타고 서서히 이동할 때, 상기 리더기(86)는 제어부(81)로 정보 요청신호, 즉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전기신호를 보내라는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리더기(86)의 정보 요청신호는 무선송수신부(96)를 통해서 메인프로세스(91)에서 처리된다. 상기 메인프로세서(91)는 리더기(86)의 요청에 따라 메모리(95)에 저장되어 있는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현재 상태를 읽어서 상기 리더기(86)로 송신하게 된다. 그러면 관리자는 눈으로 직접 가드레일 메인지주(2)를 일일이 관찰하지 않고서도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상기 리더기(86)에 저장되어 있는 가드레일 메인지주(2)의 시계열적 변화를 관찰하여 수리나 교체가 필요한 가스레일용 메인지주(2)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ader 86 approaches the guardrail main post 2, for example, when the manager moves on foot or slowly rides on the vehicle, the reader 86 sends the information Transmits a request signal, that is, a signal to send an electric signal relating to the current state of the guard rail main post 2. The information request signal of the reader 86 is processed in the main process 91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96. The main processor 91 reads the current state of the guard rail main post 2 stored in the memory 95 and transmits the read current state to the reader 86 at the request of the reader 86. [ Then, the manager can grasp the current state of the guard rail main post 2 without observing the guard rail main post 2 directly by eyes. In addition, the manager observes the time-series change of the guard rail main post 2 stored in the reader 86 to quickly grasp the main post 2 for the gas rail that needs to be repaired or replaced.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아니하고 개시된 실시 예에 대해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수정과 변경은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범위 또는 이들의 균등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shown by way of example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all such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following claims or their equivalents.

1: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
2: 가드레일 메인지주 3: 가드레일용 패널
5: 보조지주 7: 측구
30: 제1 보강 부재 31: 보강대
33: 고정판 35: 관통 구멍
36: 절곡부 37: 이탈방지대
41: 제2 보강 부재 43: 외팔보 부재
50: 제3 보강 부재 51: 고정 부재
53: 결합 부재 56: 연결 부재
57: 밴드 부재 60: 제4 보강 부재
80: 메인지주 원격감시장치 81: 제어부
82: 터치 센서 84: 태양전지판
86: 리더기
1: Reinforcement device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main rail of the guardrail
2: Guard rail Main column 3: Guard rail panel
5: auxiliary support 7:
30: first reinforcing member 31: reinforcing bar
33: Fixing plate 35: Through hole
36: Bending section 37:
41: second reinforcing member 43: cantilever member
50: third reinforcing member 51: fixing member
53: engaging member 56: connecting member
57: band member 60: fourth reinforcing member
80: Main holding remote monitoring device 81:
82: touch sensor 84: solar panel
86: Reader

Claims (10)

가드레일 메인지주와;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와 평행을 이루도록 지반에 매립 설치되는 두 개의 보조지주와;
상기 두 개의 보조지주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후면을 지지하는 일정 길이의 보강대와, 상기 보강대의 전면 양단에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게 일체로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보강대의 길이방향 중간 부분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후면을 감싸는 이탈방지판으로 이루어진 제1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대는, 일정 높이와 길이를 갖는 수직 판과, 상기 수직 판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상부 판과, 상기 수직 판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상부 판과 평행하게 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하부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판은, 상기 수직 판의 전면 상단에 일체로 용접되는 상부 고정 판과, 상기 수직 판의 전면 하단에 일체로 용접되는 하부 고정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고정 판과 하부 고정 판에는 상기 보조지주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판은,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외주 면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곡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와 이를 이용한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
A guard rail main support;
Two auxiliary supports embedded in the groun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main guard rail at a positio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main guard rail;
A reinforcing bar provided between the two auxiliary supports and supporting a rear surfa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a fixing plate integral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to protrude fo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reinforcement member of a first guardrail main post made of a detachment prevention plate that is integrally installed at a portion of the main guard rail and surrounds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guard rail,
The reinforcing bar includes a vertic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length, an upper plat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rea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late, and a lower plate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late, Wherein the fixing plate comprises an upper fixing plate integrally weld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and a lower fixing plate integrally welded to the lower front end of the vertical plate, Wherein a curved surface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 curvatur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and a reinforcing member of the main rail of the guard rail, A reinforcing device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main strut using the reinforcement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의 길이방향 가운데에는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외주 면을 감쌀 수 있도록 일정한 각도로 구부러지는 절곡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와 이를 이용한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inforcing member of the guardrail main support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rail of the guardrail,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의 길이방향 가운데에 형성된 절곡부의 후면에는,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후방에 일정 거리 떨어져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3 보조지주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제3 고정 판이 상기 절곡부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와 이를 이용한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 third fixing plate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third auxiliary support vertical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enter of the reinforcing bar, And a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main support using the reinforcing member.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전방에서 일정 거리 떨어져 설치되는 측구와; 상기 측구의 후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의 후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일정 길이의 결합 대가 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결합 부재와;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후면을 감싸면서 양단이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전방으로 일정 거리 연장되는 밴드 부재와; 상기 밴드 부재와 결합 부재 사이의 간격에 따라 길이가 신장 및 수축되고 상기 밴드 부재를 상기 결합 부재에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3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제3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와 이를 이용한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ide wall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of the guard rail main support; A fixing member installed horizontally on a rear surface of the sphere; An engaging member integrally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rea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A band member which surrounds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guard rail and has both ends exten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of the main rail of the guard rail; A third reinforcing member (third reinforcing member) of the third guardrail main support comprising a connecting member that is elongated and contracted in length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band member and the engaging member and integrally connecting the band member to the engaging member,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of the main support using the reinforcing member of the guardrail main support.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와 상기 보조지주의 이탈방지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이탈방지판이 가압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위치 및 기울어짐 정도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와; 상기 터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감지된 전기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비교하여 현재의 가드레일 지주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가드레인 지주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거나 상기 제어부에서 송신하는 가드레인 지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리더기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태양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전지판;을 포함하는 가드레일 메인지주 원격감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메인지주의 보강 부재와 이를 이용한 메인지주의 수평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ouch sensor installed between the main rail of the guard rail and the detachment prevention plate of the auxiliary support and detecting a position and an inclination of the main rail of the guard rail according to a position where the detachment prevention plate is presse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to convert the electrical signal sensed by the touch sensor into digital data or to compare the sensed electrical signal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guardrail support, A reader for requesting information on the guardraiser to the control unit 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guardraiser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And a solar panel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generating electric energy from the sun. The guardrail main stay remot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
KR1020170050124A 2017-04-18 2017-04-18 Reinforcing member of guardrail post and apparatus for improvement horizontal bearing capacity of guardrail post KR1018426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124A KR101842683B1 (en) 2017-04-18 2017-04-18 Reinforcing member of guardrail post and apparatus for improvement horizontal bearing capacity of guardrail po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124A KR101842683B1 (en) 2017-04-18 2017-04-18 Reinforcing member of guardrail post and apparatus for improvement horizontal bearing capacity of guardrail po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683B1 true KR101842683B1 (en) 2018-05-14

Family

ID=6218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124A KR101842683B1 (en) 2017-04-18 2017-04-18 Reinforcing member of guardrail post and apparatus for improvement horizontal bearing capacity of guardrail po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68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728B1 (en) * 2018-07-09 2019-02-01 유한회사 아가페테크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iffener having rod grip prevention and pest control
KR20200022261A (en) * 2018-08-22 2020-03-03 수형산업개발 주식회사 Reinforcement structure and reinforcement method of guardrail with improved horizontal support force
KR102085907B1 (en) * 2019-04-08 2020-03-06 채상원 Protection structure of shock-absorbing for road
KR102325032B1 (en) 2021-02-18 2021-11-11 (주)연호 Guard rail with post reinforcing means and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092B1 (en) * 2010-10-08 2011-02-17 신희수 Guide rail foundation reinforcing structure and reinforcing method thereof
KR101707140B1 (en) * 2016-08-18 2017-02-15 정도산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inforcing guard rail
KR101709576B1 (en) * 2016-05-27 2017-02-23 ㈜유신피플 Reinforcement Structure for Support of Guard Rai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092B1 (en) * 2010-10-08 2011-02-17 신희수 Guide rail foundation reinforcing structure and reinforcing method thereof
KR101709576B1 (en) * 2016-05-27 2017-02-23 ㈜유신피플 Reinforcement Structure for Support of Guard Rail
KR101707140B1 (en) * 2016-08-18 2017-02-15 정도산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inforcing guard rai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728B1 (en) * 2018-07-09 2019-02-01 유한회사 아가페테크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iffener having rod grip prevention and pest control
KR20200022261A (en) * 2018-08-22 2020-03-03 수형산업개발 주식회사 Reinforcement structure and reinforcement method of guardrail with improved horizontal support force
KR102266734B1 (en) * 2018-08-22 2021-06-21 수형산업개발 주식회사 Guard rail reinforcement structure with improved horizontal support
KR102085907B1 (en) * 2019-04-08 2020-03-06 채상원 Protection structure of shock-absorbing for road
KR102325032B1 (en) 2021-02-18 2021-11-11 (주)연호 Guard rail with post reinforcing means and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683B1 (en) Reinforcing member of guardrail post and apparatus for improvement horizontal bearing capacity of guardrail post
JP4975420B2 (en) Structure state detection apparatus and state detection system
KR101880472B1 (en) Manhole cover for monitoring underground facility based on lpwan
JP2003082625A (en) Guard fence with distortion detecting function, and abnormality detecting system
CN112771229A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ydrogeological risk
US20060185922A1 (en) Obstacle discrimination device for vehicle
KR101200473B1 (en) Protection pipe for insulation mounting an underground line
KR101799982B1 (en) apparatus to reinforce of railway rail
KR101927499B1 (en) Reinforcing post for reinforcing guardrail post
JPH0813505A (en) Slope collapse detector
KR101160191B1 (en) The method for crackdown overcharge for vercharge the place of origin and a shaft exterior type truck scale
CN106638273B (en) A kind of stub formula bridge anti-deviation device and its Anti-deviation method
JP4422174B2 (en) Rock fall monitoring device
KR101513227B1 (en) Sensor module for measuring displacement of slope, dam, bank and bridg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1828520B1 (e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and the method for dangerous weak structure using the integrated triggering of electrical resistivity monitoring and earthquake data, and drone images
KR101833836B1 (en) System for monitering a corrugated steel plate culverts using laser sensor and method thereof
KR101338920B1 (en) Protection pipe for insulation mounting an underground line
JP2012112982A (en) Buried object
CN111749529A (en) Contact net pillar protector
KR20180126428A (en) Rail Mounting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ail Displacements Using the Same
KR102430871B1 (en) System for supporting and reinforcing retaining wall having means for detecting buckling of pipe
KR101718139B1 (en) On-gutter installed type supporting sturucture for roadside vehicle barrier
JP2009013656A (en) Falling rock detection device
EP2092120B1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subsidences of a ballast of a track over a great distance
KR102039145B1 (en) Reinforcing member fixed gutter for reinforcing guardrail po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