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531B1 -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 - Google Patents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531B1
KR101842531B1 KR1020160156752A KR20160156752A KR101842531B1 KR 101842531 B1 KR101842531 B1 KR 101842531B1 KR 1020160156752 A KR1020160156752 A KR 1020160156752A KR 20160156752 A KR20160156752 A KR 20160156752A KR 101842531 B1 KR101842531 B1 KR 101842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g
handle
shaft
receiving groove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대
Original Assignee
(주)영창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창기업 filed Critical (주)영창기업
Priority to KR102016015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28Driving mechanisms allowing angular displacement of the operating part to be effective or possible in only one direction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그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회동식 핸들을 구비하여, 회동식 핸들을 일측으로 회동시켰을 때, 파지부가 하측을 향하면서 조그의 일측면에 수납되어 핸들을 미사용 시 파지부의 걸림 내지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파지부가 조그의 표시부로 기능하며, 회동식 핸들을 타측으로 회동시켰을 때, 파지부가 상측을 향하면서 조그의 상면 타측에 돌출되어 파지부를 이용해 조그를 회전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JOG OF ROTARY SWITCH}
본 발명은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그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회동식 핸들을 구비하여, 회동식 핸들을 일측으로 회동시켰을 때, 파지부가 하측을 향하면서 조그의 일측면에 수납되어 핸들을 미사용 시 파지부의 걸림 내지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파지부가 조그의 표시부로 기능하며, 회동식 핸들을 타측으로 회동시켰을 때, 파지부가 상측을 향하면서 조그의 상면 타측에 돌출되어 파지부를 이용해 조그를 회전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각종 설비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정 내지 콘트롤하기 위한 조작 패널에는 다양한 종류의 버튼 내지 스위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조작 패널에서, 특히 설비의 출력 조절이나 기능 선택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로터리 스위치(일명 조그다이얼(jog dial))가 있다.
로터리 스위치란, 양방향 회전 가능한 조그를 원하는 위치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회전각 변경에 따른 전기 접속을 선택적으로 인가하여, 설비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로터리 스위치는, 사용자가 조그의 외측면을 직접 잡고, 조그를 회전시켜 조절하게 되는데, 종류에 따라 조그의 회전이 단계별 스토핑 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조그의 회전이 단계별로 스토핑되면서 부분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그의 회전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하도록, 조그의 외측면에 높이 단차가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는, 조그의 상면 일측에 공회전하도록 연결된 핸들을 구비하여, 사용 시 조그가 아닌 핸들을 잡고 조그를 회전시키는 모델이 있다.
이러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는, 핸들이 조그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중된 위치에 구비되어 있어, 조그의 회전 동작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조그의 상면에 핸들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핸들의 파지부가 조그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이 걸려 조그를 오작동하거나, 핸들이 파손될 위험성이 크다.
즉, 조그 상면에 핸들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조작 패널을 사용 중에 부주의로 인하여 핸들의 파지부가 사용자의 옷가지 등에 걸려 의도치 않게 조그가 회전하여 설비의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조그의 회전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파지부에 힘이 가해져 파지부가 부러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로터리 스위치를 전문으로 제작하여, 판매, 납품하는 업체의 경우, 핸들이 조그 상면에 돌출되어 있어, 운송 중 핸들의 파손 방지를 위해 필요 이상의 포장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에어캡 등을 이용해 포장을 하더라도 핸들이 돌출된 부분으로 인해 파손 위험성이 여전히 존재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로터리 스위치를 한 번에 운반 및 보관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즉, 로터리 스위치와 같은 부품의 특성 상, 로터리 스위치를 낱개별로 개별 포장하는 것은 비용 대비 효율적이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다수개의 로터리 스위치를 함께 수납하여 한 번에 운반 및 보관하게 되는데,
핸들이 구비된 모델의 경우, 운반 및 보관 중에 핸들의 고장 내지 파손이 발생할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로터리 스위치에 관한 종래 기술로써, 등록실용신안 제20-0239240호, 등록특허 제10-1151161호, 등록실용신안 제20-0274053호, 등록특허 제10-1568395호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그를 사용하지 않을 때 조그의 오작동 및 핸들의 파손을 방지하고, 조그의 포장 비용 절감과 함께 조그의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며, 조그 사용 중에는 핸들을 이용해 조그를 쉽게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조그의 상면에 양측으로 회동하여 핸들의 파지부가 조그의 일측면에 수납되거나, 핸들의 파지부가 조그의 상면 타측에 돌출될 수 있는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동식 핸들을 회동 완료하였을 때, 핸들바를 조그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핸들바의 안전한 사용 및 조그를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조그의 상면에 오목 형성된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홈의 중앙에 핸들바의 힌지축이 힌지 결합되어, 핸들의 회동 완료 시 핸들바가 수용홈에 수용되는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회동식 핸들을 사용하지 않을 때, 파지부의 일부가 조그의 일측면에 수납되면서 파지부가 조그의 회전 위치를 표시하는 일종의 표시부로 기능할 수 있도록, 조그의 일측면에 수용홈과 연결되어 오목 형성된 수납홈을 구비하고, 파지부의 외측면에 각이 진 구조로 돌출된 모서리부를 구비하여, 회동식 핸들을 접었을 때 파지부가 수납홈에 수납되면서 모서리부가 조그의 일측면에서 돌출되는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회동식 핸들이 회동 완료하였을 때, 핸들바가 조그의 상면에 수용된 채로 고정, 유지되어, 회동식 핸들이 불필요하게 회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핸들바의 외측면에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있고, 조그의 수용홈 내측면에서 축 결합부를 중심으로 양측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 결합되도록 오목 형성된 걸림홈이 구비되어 있는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는,
하우징에 축설된 회전축에 결합되어, 양방향 회전하는 조그;
일측단이 상기 조그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축으로 회동하도록 구비된 핸들바와, 상기 핸들바의 타측단에 구비된 회전형 파지부로 이루어진 회동식 핸들;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회동식 핸들을 일측으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파지부가 하측을 향하면서 상기 조그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회동식 핸들을 타측으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파지부가 상측을 향하면서 상기 조그의 상면 타측에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에서,
상기 조그는, 상면을 가로지르면서 오목 형성된 수용홈을 구비하여,
상기 핸들바의 힌지축이, 상기 수용홈의 중앙에 형성된 축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회동식 핸들의 회동 완료 시에, 상기 핸들바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에서,
상기 조그는, 일측면에, 상기 수용홈의 일측 끝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오목 형성된 수납홈을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는, 외측면에 각이 진 구조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모서리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동식 핸들을 일측으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파지부가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면서, 상기 모서리부가 상기 조그의 일측면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에서,
상기 회동식 핸들은, 상기 핸들바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조그는,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에서, 상기 축 결합부를 중심으로 양측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 형성된 걸림홈을 구비하여,
상기 회동식 핸들의 회동 완료 시에,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걸림 결합되면서, 회동식 핸들의 회동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는, 조그의 회전 중심에서 벗어난 편중된 위치에 회전 가능한 파지부가 구비되어 조그의 회전 작동을 보다 편리하게 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필요에 따라 핸들을 양측으로 회동시켜 파지부가 조그와 동일 높이에 위치하거나 파지부를 조그의 상부로 돌출시킬 수 있어, 핸들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로터리 스위치의 사용, 운반, 보관 등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는, 회동식 핸들의 회동 작동이 편리함과 아울러, 회동식 핸들로 인해 조그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동식 핸들을 사용하지 않을 때, 파지부가 조그의 일측면에 일부 수납되면서 조그의 현재 회전 외치를 표시함으로써, 조그의 회전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는, 회동식 핸들을 양측 어느 일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 핸들바가 조그의 수용홈에 고정, 유지되므로, 회동식 핸들이 회동하여 의도치 않게 조그의 오작동을 야기하거나, 핸들이 고장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에 있어서, 회동식 핸들의 회동 상태별 측면도 및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부 외관 사시도인 도 1, 분해 사시도인 도2 및 측면도와 평면도로 이루어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는 크게, 조그(J) 및 상기 조그(J)에 구비된 회동식 핸들(H)을 포함한다.
상기 조그(J)는, 로터리 스위치의 하우징(미도시)에 축설된 회전축에 결합되어, 양방향 회전하는 것으로,
조그(J)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판(미도시)이 회전하며, 회전판에 회전측 회로패턴 및 브러쉬가 구비되고, 회전판에 대응하는 제어판(미도시)에 고정측 회로패턴이 구비되어, 브러쉬가 고정측 회로패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어,
조그(J)의 회전 각도에 따라, 브러쉬를 매개로, 회전측 회로패턴과 고정측 회로패턴의 전기 접속 상태가 달라지면서 제어신호가 발생하여, 로터리 스위치를 통한 설비의 작동 단계 변경 등이 제어된다.
상술한 회로패턴들과 브러쉬를 이용한 로터리 스위치의 제어 작동은 하나의 일례일 뿐이며, 공지된 다른 방식(예를 들어 기구적인 접촉을 통한 스위칭 방식 등)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며, 이러한 로터리 스위치의 하우징과 관련된 구체 구성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과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적으므로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그(J)는, 원통형 몸체(10)와, 상기 몸체(10)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재(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상부에 상측으로 연장 연결된 측벽(11a)으로 형성되는 수용부(11)가 구비되고, 몸체(10)의 외측면을 따라 외측면이 높이 단차를 갖도록 소정 간격 이격하여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부(12)가 구비되며, 몸체(10)의 하측 테두리부에는 하우징의 장착부를 덮는 플랜지부(13)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몸체(10)의 수용부(11)에는 테두리 내측을 따라 상하로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후크 결합공(14)이 구비되며, 수용부(11)의 일측 테두리에서 수용부(11)의 중앙까지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단(15)이 구비되어 있고, 이 돌출단(15)의 내측 끝단부, 즉 수용부(11)의 중앙에 홈 형태의 축 지지부(16)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몸체(10)는, 상기 돌출단(15)의 외측 끝단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상기 돌기부(12)와 별개로 외측면이 내측으로 오목 형성된 수납홈(17)이 구비되고, 이 수납홈(17)은 후술하는 커버부재(20)의 수용홈(21)과 연장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수납홈(17)의 반대편, 수용부(11)의 측벽(11a)에는, 수납홈(17)에 대응하는 통과홈(11b)이 측벽(11a) 일부를 내외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20)는,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1)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돌출단(15)과 동일선 상으로, 상면을 가로지르면서 하측으로 오목 형성된 수용홈(21)을 구비하며,
이 수용홈(21)의 중앙에 상기 축 지지부(16)에 대응하는 홈 형태의 축 결합부(22)가 구비되어, 몸체(10)와 커버부재(20)의 결합으로 축 지지부(16)와 축 결합부(22) 사이에 회동식 핸들(H)의 힌지축(32)이 힌지 결합되어, 회동식 핸들(H)이 힌지축(32)을 축으로 좌우 양측으로 회동한다.
나아가 상기 커버부재(20)는, 상기 수용홈(21)의 바닥 중, 상기 돌출단(15)과 대응하는 부위가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된 개구부(23)가 구비되어, 이 개구부(23)로 돌출단(15)이 삽입되면서 수용부(11)의 바닥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20)는, 하측 외측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후크(24)가 구비되어, 후크(24)가 상기 후크 결합공(14)으로 삽입되어, 몸체(10)와 커버부재(20)가 서로 후크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재(20)는, 상기 수용홈(21)의 내측면에서, 상기 축 결합부(22)를 중심으로 양측 서로 대응하는 위치(즉, 축 결합부(22)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외측으로 오목 형성된 걸림홈(25)(26)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회동식 핸들(H)은, 상기 조그(J)의 상면(보다 엄밀하게는 커버부재(20))에 힌지 결합되어 양측으로 회동하는 핸들바(30)와, 상기 핸들바(30)에 구비된 회전형 파지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핸들바(30)는, 일측단에 축공(31)이 관통 형성되어, 힌지축(32)이 축공(31)에 끼워진 상태에서 축 결합부(22)와 축 지지부(16) 사이에 힌지 결합됨에 따라, 힌지축(32)을 축으로 핸들바(30)가 좌우 양측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핸들바(30)는, 축공(31)의 반대편 타측단에 회전축(33)이 돌설되어, 회전축(33)에 결합된 파지부(40)가 회전축(33)을 축으로 수평방향으로 양방향 회전한다.
또한 상기 핸들바(30)는 외측면에 걸림돌기(34)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40)는, 상기 회전축(33)이 삽입되어 축 결합되는 끼움홀(4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있어, 파지부(40)를 잡은 상태에서 회동식 핸들(H)을 양측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조그(J)가 회전한다.
특히 상기 파지부(40)는, 외측면에 각이 진 구조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모서리부(42)를 구비하며, 도면에서는 파지부(40)가 삼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총 3개의 모서리부(4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회동식 핸들(H)은,
힌지축(32)을 축으로 일측(도면 상 우측)으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파지부(40)가 하측을 향하면서 상기 조그(J)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힌지축(32)을 축으로 타측(도면 상 좌측)으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파지부(40)가 상측을 향하면서 상기 조그(J)의 상면 타측에 돌출된다.
따라서 로터리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로터리 스위치의 운반 및 보관 중에는, 상기 회동식 핸들(H)을 일측으로 회동시켜, 파지부(40)가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로터리 스위치, 특히 조그(J)의 포장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파지부(40)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로터리 스위치를 사용할 때는, 상기 회동식 핸들(H)을 타측으로 회동시켜, 조그(J)의 상면에 돌출된 파지부(40)를 잡고 조그(J)를 보다 쉽게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바(30)의 힌지축(32)이, 상기 수용홈(21)의 중앙에 형성된 축 결합부(22)에 힌지 결합되어 핸들(H)이 회동함에 따라, 핸들(H)의 회동 완료 시에는, 상기 핸들바(30)가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되어 조그(J)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40)가 조그(J)의 일측면에 위치하도록 핸들(H)을 일측으로 회동시켰을 때에는, 상기 파지부(40)의 일부가 상기 수납홈(17)으로 수납되어, 파지부(40)가 조그(J)의 전체적인 평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로 접혀(즉, 파지부(40) 자체가 조그(J)의 일부분을 형성하게 됨.), 핸들(H)을 접은 상태에서도 조그(J) 자체를 회전시켜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며,
이때 상기 파지부(40)는, 모서리부(42)가 조그(J)의 일측면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수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그(J)의 돌기부(12)보다 돌출된 모서리부(42)가 조그(J)의 회전 위치를 표시하는 일종의 표시부로 기능하게 된다.
즉, 로터리 스위치의 경우, 조그(J)의 회전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조그(J) 둘레를 따라 눈금선(또는 눈금표시)이 구비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눈금선에 대응하는 별도의 표시부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파지부(40) 자체가 표시부로써의 기능을 대신하게 되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회동식 핸들(H)을 양측 어느 일방향으로 회동 완료하는 경우, 상기 핸들바(30)에 구비된 걸림돌기(34)가, 상기 수용홈(21)에 구비된 제1 걸림홈(25) 또는 상기 제2 걸림홈(26)에 끼워지면서 걸림 결합됨에 따라, 회동식 핸들(H)이 회동 완료되었을 때, 회동식 핸들(H)이 의도치 않게 반대 방향으로 다시 회동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34)는, 외측면이 반원형으로 만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동식 핸들(H)을 일정 압력 이상으로 회동하는 경우에만, 상기 걸림돌기(34)가, 상기 걸림홈(25)(26)에 억지 끼움되거나, 상기 걸림홈(25)(26)에서 억지 빠짐되도록 하여, 핸들(H)의 회동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J : 조그 H : 회동식 핸들
10 : 몸체 11 : 수용부
11a : 측벽 11b : 통과홈
12 : 돌기부 13 : 플랜지부
14 : 후크 결합공 15 : 돌출단
16 : 축 지지부 17 : 수납홈
20 : 커버부재 21 : 수용홈
22 : 축 결합부 23 : 개구부
24 : 후크 25, 26 : 걸림홈
30 : 핸들바 31 : 축공
32 : 힌지축 33 : 회전축
34 : 걸림돌기 40 : 파지부
41 : 끼움홀 42 : 모서리부

Claims (4)

  1. 조그(J)의 회전에 따라 전기 접속 상태가 달라지면서 제어신호가 발생하는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에 있어서,

    하우징에 축설된 회전축에 결합되어, 양방향 회전하는 조그(J);
    일측단이 상기 조그(J)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32)을 축으로 회동하도록 구비된 핸들바(30)와, 상기 핸들바(30)의 타측단에 구비된 파지부(40)로 이루어진 회동식 핸들(H);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파지부(40)는, 상기 핸들바(30)의 회전축(33)에 결합되어 회전축(33)을 축으로 양방향 회전하면서, 삼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측면에 각이 진 구조로 돌출된 모서리부(42)를 구비하여,

    상기 회동식 핸들(H)을 일측으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파지부(40)가 하측을 향하면서 상기 조그(J)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모서리부(42)가 상기 조그(J)의 일측면에서 돌출되면서, 돌출된 모서리부(42)가 조그(J)의 회전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기능하고,
    상기 회동식 핸들(H)을 타측으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파지부(40)가 상측을 향하면서 상기 조그(J)의 상면 타측에 돌출되고,
    상기 조그(J)는, 원통형 몸체(10)와, 상기 몸체(10)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재(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10)는, 상부에 상측으로 연장 연결된 측벽(11a)으로 형성되는 수용부(11)가 구비되고, 몸체(10)의 외측면을 따라 외측면이 높이 단차를 갖도록 소정 간격 이격하여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부(12)가 구비되며, 몸체(10)의 하측 테두리부에는 하우징의 장착부를 덮는 플랜지부(13)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결되어 있고, 수용부(11)의 일측 테두리에서 수용부(11)의 중앙까지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단(1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돌출단(15)의 내측 끝단부인 수용부(11)의 중앙에 홈 형태의 축 지지부(1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재(20)는,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1)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돌출단(15)과 동일선 상으로, 상면을 가로지르면서 하측으로 오목 형성된 수용홈(21)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홈(21)의 중앙에 상기 축 지지부(16)에 대응하는 홈 형태의 축 결합부(22)가 구비되어, 몸체(10)와 커버부재(20)의 결합으로 축 지지부(16)와 축 결합부(22) 사이에 회동식 핸들(H)의 축공(31)에 관통 결합된 힌지축(32)이 힌지 결합되어, 회동식 핸들(H)이 힌지축(32)을 축으로 좌우 양측으로 회동하고, 상기 수용홈(21)의 바닥 중, 상기 돌출단(15)과 대응하는 부위가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된 개구부(23)가 구비되어 개구부(23)로 돌출단(15)이 삽입되면서 수용부(11)의 바닥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재(20)는, 상기 수용홈(21)의 내측면에서, 상기 축 결합부(22)를 중심으로 양측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외측으로 오목 형성된 걸림홈(25)(26)이 구비되며,
    상기 회동식 핸들(H)은, 상기 핸들바(30)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34)를 구비하여,
    상기 회동식 핸들(H)의 회동 완료 시에, 상기 걸림돌기(34)가 상기 걸림홈(25)(26)에 걸림 결합되면서, 회동식 핸들(H)의 회동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상기 돌출단(15)의 외측 끝단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몸체(10)의 돌기부(12)와 별개로 외측면이 내측으로 오목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홈(21)과 연장 연결된 수납홈(17)을 구비하여,
    상기 회동식 핸들(H)을 일측으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파지부(40)의 일부가 상기 수납홈(17)에 수납되며,
    상기 수납홈(17) 반대편의 수용부(11)의 측벽(11a)에는 수납홈(17)에 대응하는 통과홈(11b)이 측벽(11a) 일부를 내외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회동식 핸들(H)을 타측으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핸들바(30)의 끝단부가 상기 통과홈(11b)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
  4. 삭제
KR1020160156752A 2016-11-23 2016-11-23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 KR101842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752A KR101842531B1 (ko) 2016-11-23 2016-11-23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752A KR101842531B1 (ko) 2016-11-23 2016-11-23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531B1 true KR101842531B1 (ko) 2018-03-27

Family

ID=61874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752A KR101842531B1 (ko) 2016-11-23 2016-11-23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5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8833A (ja) * 2010-07-08 2012-01-26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回転操作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8833A (ja) * 2010-07-08 2012-01-26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回転操作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537050A (ja) 電気ポット
CN104637731B (zh) 继电器、标志结构及标志组件
KR20030080082A (ko) 용기를 위한 덮개
US20040173101A1 (en) Coffee bean container for automatic coffee maker
KR101842531B1 (ko) 회동식 핸들을 구비한 로터리 스위치의 조그 구조체
JP2015096027A (ja) 過電流継電器及びそれを備えた配線用遮断器
KR20140141972A (ko) 전자 기기의 커버 개폐 장치
JP5948868B2 (ja) ミキサー
KR20090006714U (ko) 화장품 케이스
US6450825B1 (en) ZIF socket with indicator mechanism
US5772011A (en) Switch-fuse unit provided with a control block to activate auxiliary circuits
KR200474553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조작 핸들장치
TWM446079U (zh) 工具收納盒
WO2006115322A1 (en) Cover hinge structure
US7375298B2 (en) Indexing mechanism
JP3218611U (ja) ゲームコントローラ
JPH10112244A (ja) 中点自動復帰式ロータリスイッチ
JP3688936B2 (ja) 多方向入力装置
US7915551B2 (en) Switching device having a coupling element
CN218585825U (zh) 一种带工作状态切换机构的自动转换开关
JPH067549Y2 (ja) 中点自動復帰式ロータリスイッチ
JP2002008472A (ja) スイッチ装置およびこのスイッチ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H11111105A (ja) スイッチ
KR200228378Y1 (ko) 씨디 수납함
KR101338128B1 (ko) 차단기용 스위치 핸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