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524B1 - 풍력발전기용 진폭 댐퍼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용 진폭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524B1
KR101842524B1 KR1020170126898A KR20170126898A KR101842524B1 KR 101842524 B1 KR101842524 B1 KR 101842524B1 KR 1020170126898 A KR1020170126898 A KR 1020170126898A KR 20170126898 A KR20170126898 A KR 20170126898A KR 101842524 B1 KR101842524 B1 KR 101842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tude
outer tube
inner tube
damping module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문
정연종
서동환
박종훈
손영수
박진수
허철구
허철기
권종정
Original Assignee
(주)영광공작소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광공작소,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영광공작소
Priority to KR1020170126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Abstract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용 진폭 댐퍼는, 기둥을 감싸며 설치면에 고정설치된 외관; 상기 외관의 중앙에 설치되며 기둥과 밀착 설치된 내관; 및 상기 외관과 내관의 사이에 설치된 진폭 감쇠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진폭 감쇠 모듈에 의해 풍력발전기의 기둥에서 발생하는 진폭을 저감하여 피로파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풍력발전기용 진폭 댐퍼{Amplitude damper for wind power generator}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용 진폭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력발전기의 기둥에서 발생하는 진폭을 저감하는 풍력발전기용 진폭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기는 풍하중에 의해 발전 중 기둥(타워)이 고유주파수로 진동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진동은 기둥의 피로하중을 발생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기존에는 풍력발전기 기둥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기둥 내부에 트러스 구조물 등의 물리적인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하기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413565호(선행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63568호(선행문헌 2)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선행문헌 1은 검증된 소프트웨어 툴을 사용하여 풍력터빈 동역학 모델식을 세우되, 풍력터빈의 회전기 회전 속도뿐만 아니라 회전날개들에 가해지는 기계적 피로 하중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회전날개의 루트 부분의 회전기 회전 평면 외 굽힘 모멘트를 계산하여 그 값을 피치제어기에 전달한다. 이에, 개발기간 단축, 비용절감, 성능시험의 용이성을 도모한다.
선행문헌 2에 의하면 진동 저감을 위한 조치는, 예정된 유지 시간 주기 동안 현재 피치각을 현재값으로 유지하는 단계, 특히 조절 속도가 감소하도록, 사용된 피치-조절 알고리즘을 교체하는 단계, 예정된 아지무스 각도만큼 아지무스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특성 곡선에 기초한 운전을 전환하는 단계 등을 포함한다. 이에, 간단한 방식으로 길이방향 진동을 저지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1은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 속도를 이용하여 굽힘모멘트를 계산하여 피치를 제어하므로 진동 저감의 모델링을 달성하기 미흡하고, 선행문헌 2는 과도하게 알고리즘 지향적이면서 로터의 길이(축) 방향 진동 감소를 요지로 하여 기둥의 진동을 저감하기에는 한계성을 보인다.
뿐만 아니라, 선행문헌 1과 2는 소프트웨어 툴이 고장나면 진동 저감 기능이 완전히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풍력발전기의 기둥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물리적인 수단에 의해 빠르게 저감하는 개선된 형태의 풍력발전기용 진폭 댐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413565호(2014.06.13.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2015-0063568호(2014.04.17.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2017-0054828호(2017.05.18.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풍력발전기의 기둥에서 발생하는 진폭을 저감하여 피로파괴를 방지하는 풍력박전기용 진폭 댐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용 진폭 댐퍼는, 기둥을 감싸며 설치면에 고정설치된 외관; 상기 외관의 중앙에 설치되며 기둥과 밀착 설치된 내관; 및 상기 외관과 내관의 사이에 설치된 진폭 감쇠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폭 감쇠 모듈은, 상기 외관의 상부와 내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진폭 감쇠 모듈과, 상기 제1진폭 감쇠 모듈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진폭 감쇠 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진폭 감쇠 모듈과 제2진폭 감쇠 모듈은 댐핑 주파수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진폭 감쇠 모듈은, 상기 외관과 내관의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 복원력을 감쇠시키는 쇼크업소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과 쇼크업소버는 상기 외관과 내관의 사이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진폭 감쇠 모듈은, 상기 외관과 내관의 사이에 배치된 판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외관과 접촉하는 제1탄성지지부재와 상기 내관과 접촉하는 제2탄성지지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2탄성지지부재 상기 외관과 내관의 사이에 지그재그로 방사상 연속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진폭 댐퍼에 따르면, 진폭 감쇠 모듈에 의해 풍력발전기의 기둥에서 발생하는 진폭을 저감하여 피로파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설치된 풍력발전기의 기둥에 본 발명의 진폭 댐퍼의 설치가 가능하다. 즉,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의 댐핑 기능에 물리적인 댐핑 기능을 손쉽게 추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폭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진폭 감쇠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은 도 1의 제2진폭 감쇠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폭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제1진폭 감쇠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은 도 1의 제2진폭 감쇠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진폭 댐퍼(D)는, 기둥(P)을 감싸며 설치면인 지면에 고정설치된 외관(100)과, 상기 외관(100)의 중앙에 설치되며 기둥(P)과 밀착 설치된 내관(200) 및 상기 외관(100)과 내관(200)의 사이에 설치된 진폭 감쇠 모듈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진폭 감쇠 모듈은 상기 외관(100)의 상부와 내관(20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진폭 감쇠 모듈(300)과, 상기 제1진폭 감쇠 모듈(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진폭 감쇠 모듈(400)로 구성된다.
즉, 기둥(P)의 상부 진폭은 제1진폭 감쇠 모듈(300)이 감쇠시키며 기둥(P)의 하부 진폭은 제2진폭 감쇠 모듈(400)이 감쇠시킨다.
이때, 상기 제1진폭 감쇠 모듈(300)과 제2진폭 감쇠 모듈(400)은 댐핑 주파수를 달리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진폭 감쇠 모듈(300)은 상대적으로 진폭이 큰 기둥(P)의 상측의 진폭을 감쇠시키며, 상기 제2진폭 감쇠 모듈(400)은 상대적으로 진폭은 작으나 진폭의 세기가 강한 기둥(P)의 하측 진폭을 감쇠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진폭 감쇠 모듈(300)은, 상기 외관(100)과 내관(2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진폭을 탄성력에 의해 감쇠시키는 스프링(310)과, 상기 스프링(310)의 탄성 복원력을 감쇠시키는 쇼크업소버(3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스프링(310)이 기둥(P)의 진폭을 감쇠시키며, 상기 쇼크업소버(320)는 스프링(310)의 신축작용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310)과 쇼크업소버(320)는 상기 외관(100)과 내관(200)의 사이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기둥(P)의 외주면 어떤 방향에서든 발생하는 진폭을 모두 감쇠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진폭 감쇠 모듈(400)은 상기 외관(100)과 내관(200)의 사이에 배치된 판스프링(41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410)은 외관(100)과 접촉하는 제1탄성지지부재(411)와 상기 내관(200)과 접촉하는 제2탄성지지부재(412)로 구성되며, 상기 제1,2탄성지지부재(411,412) 상기 외관(100)과 내관(200)의 사이에 지그재그로 방사상 연속배치된다.
즉, 상기 판스프링(410)에 의해 기둥(P)의 하부에서 발생하는 진폭을 감쇠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폭 감쇠 모듈에 의해 풍력발전기의 기둥(P)에서 발생하는 진폭을 저감하여 기둥의 피로파괴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기설치된 풍력발전기의 기둥에 본 발명의 진폭 댐퍼의 추가 설치가 가능하다. 즉,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의 댐핑 기능에 물리적인 댐핑 기능을 손쉽게 추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위의 설명에서는 풍력발전기용 기둥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진폭이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기둥에 모두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D - 풍력발전기용 진폭 댐퍼
100 - 외관
200 - 내관
300 - 제1진폭 감쇠 모듈
400 - 제2진폭 감쇠 모듈

Claims (7)

  1. 기둥(P)을 감싸며 설치면에 고정설치된 외관(100);
    상기 외관(100)의 중앙에 설치되며 기둥(P)과 밀착 설치된 내관(200); 및
    상기 외관(100)의 상부와 내관(20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진폭 감쇠 모듈(300)과, 상기 제1진폭 감쇠 모듈(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진폭 감쇠 모듈(400)로 구성된 진폭 감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진폭 감쇠 모듈(300)은 상기 외관(100)과 내관(200)의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310)과, 상기 스프링(310)의 탄성력 복원력을 감쇠시키는 쇼크업소버(320)로 구성되며,
    상기 제2진폭 감쇠 모듈(400)은 상기 외관과 내관의 사이에 배치된 판스프링(41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진폭 감쇠 모듈(300)과 제2진폭 감쇠 모듈(400)은 댐핑 주파수를 달리하도록 구성하여 제1진폭 감쇠 모듈(300)은 상대적으로 진폭이 큰 기둥(P)의 상측의 진폭을 감쇠시키며, 상기 제2진폭 감쇠 모듈(400)은 상대적으로 진폭은 작으나 진폭의 세기가 강한 기둥(P)의 하측 진폭을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진폭 댐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10)과 쇼크업소버(320)는 상기 외관(100)과 내관(200)의 사이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진폭 댐퍼.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410)은 외관(100)과 접촉하는 제1탄성지지부재(411)와 상기 내관(200)과 접촉하는 제2탄성지지부재(412)로 형성되며, 상기 제1,2탄성지지부재(411,412)는 상기 외관(100)과 내관(200)의 사이에 지그재그로 방사상 연속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진폭 댐퍼.
KR1020170126898A 2017-09-29 2017-09-29 풍력발전기용 진폭 댐퍼 KR101842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898A KR101842524B1 (ko) 2017-09-29 2017-09-29 풍력발전기용 진폭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898A KR101842524B1 (ko) 2017-09-29 2017-09-29 풍력발전기용 진폭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524B1 true KR101842524B1 (ko) 2018-05-14

Family

ID=6218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898A KR101842524B1 (ko) 2017-09-29 2017-09-29 풍력발전기용 진폭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5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5109B2 (en) 2018-06-28 2022-08-16 Beijing Goldwind Science & Creation Windpower Equipment Co., Ltd. Damper and load-bearing enclosure structure hav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215660U (zh) 2011-08-12 2012-05-09 华锐风电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风力发电机齿轮箱减震装置
JP2013253536A (ja) * 2012-06-06 2013-12-19 Nippon Steel & Sumikin Engineering Co Ltd 洋上風力発電設備の連結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215660U (zh) 2011-08-12 2012-05-09 华锐风电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风力发电机齿轮箱减震装置
JP2013253536A (ja) * 2012-06-06 2013-12-19 Nippon Steel & Sumikin Engineering Co Ltd 洋上風力発電設備の連結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5109B2 (en) 2018-06-28 2022-08-16 Beijing Goldwind Science & Creation Windpower Equipment Co., Ltd. Damper and load-bearing enclosure structure hav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0716B2 (ja) タワー制振装置
US8876092B2 (en) Motor mounting assembly with tunable vibration and noise reduction capabilities
KR100269034B1 (ko) 자기조정형진동감쇄장치
JP6643339B2 (ja) 垂直バネ機構を有する適応性のある振り子ダンパ
EP2644886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ttenuating noise in a wind turbine
KR101842524B1 (ko) 풍력발전기용 진폭 댐퍼
KR20080037804A (ko) 모듈형 동조질량감쇠기
US20170248127A1 (en) Acoustic Damping System for a Wind Turbine Tower
JP4936175B2 (ja) 振動低減機構およびその諸元設定方法
KR102065670B1 (ko) 구조물의 진동 제어 시스템
CN112888876B (zh) 用于高压设备的减震器
CN205639453U (zh) 一种自适应tmd控制装置
KR100296174B1 (ko)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진동및소음감쇄방법및감쇠장치
US20230358214A1 (en) Use of a tuned mass damper in a nacelle for a wind turbine
JP2007040146A (ja) 風力発電装置
JP2000205108A (ja) 制振機能を備えた風力発電装置
JP2014132201A (ja) 振動低減機構およびその諸元設定方法
KR100933971B1 (ko) 발전소의 터빈 케이싱 완충용 댐퍼
KR200354352Y1 (ko) 대칭 2축 동시제어 제진장치
CN219587706U (zh) 多叶轮风力发电机组
CN113931794B (zh) 弹性模块和抑振组件
JP2005330799A (ja) 免震構造
CN209398779U (zh) 一种用于微型质谱仪隔膜泵上的减振装置
RU190947U1 (ru) Внутрифазная дистанционная распорка-демпфер для воздуш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KR200159494Y1 (ko) 동흡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