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419B1 -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 - Google Patents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419B1
KR101842419B1 KR1020180009308A KR20180009308A KR101842419B1 KR 101842419 B1 KR101842419 B1 KR 101842419B1 KR 1020180009308 A KR1020180009308 A KR 1020180009308A KR 20180009308 A KR20180009308 A KR 20180009308A KR 101842419 B1 KR101842419 B1 KR 101842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ilage
bone
perforation
ho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4121A (ko
Inventor
민병현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9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419B1/ko
Publication of KR20180014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2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bones, e.g. intraosseus in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둘레를 통해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부와, 일측단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지정 길이를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단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지정 각도로 굴곡 형성된 연골하골을 천공하는 천공팁부이 포함되어, 상기 천공팁부로 연골하골을 천공하는 것이 용이하고, 연골하골이 천공되면서 발생한 골조각은 천공팁부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내부에 수용되거나, 외부로 배출되므로, 종래와 같이 천공의 내면에 골조각이 잔류하는 문제가 해소되어, 골수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해 연골재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Boring device for minute fracture surgery}
본 발명은 연골하골에 연골 재생을 위한 천공을 형성하는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골 결손에 따른 연골 치료를 위해 결손된 연골을 제거한 후, 그 부분에 골수를 누출시켜 연골이 재생되도록, 연골하골을 천공하는 것으로, 이때 천공에 의해 발생한 골조각들이 다시 천공을 메우지 않도록 천공과 함께 골조각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절 연골의 손상은 물리적 외상에 의한 골절 및 여러 형태의 관절염으로 인해 오는데, 이때 연골이 서서히 닳아서 연골 밑의 뼈를 노출시켜 통증과 기타 증상을 나타내게 된다.
관절 연골을 복구시키기 위한 체내에서의 자연적인 반응이 일어나는데, (연골은 혈관 형성이 적고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이 풍부한 밀도 높은 세포외 기질(ECM: Extracellular matrix)때문에 세포의 이동을 통한 재생에 제한을 받는다.) 연골하골(subchondral)을 관통하는 병변은 혈관이 풍부한 뼈로 향하는 통로를 형성하여 병변 부위에 골수에 기원을 두고 있는 뼈 및 골수세포들이 혈액과 같이 만들어진 통로를 통해 분출되어 혈병을 형성한 후 과립조직을 만들게 된다.
과립 조직의 심층부위는 연골하골의 판을 재구성하는 반면 상층부위는 섬유연골성 조직으로 변하게 된다.
이 조직은 일시적으로는 초자(hyaline) 연골조직의 모습을 가지지만 기계적 특징은 초자연골에 비해 약하므로 물리적인 환경에서 지탱할 수 없어서 외상이 있은 후 최초 1년 안에 퇴행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단, 미성숙한 관절 연골에 있는 두꺼운 병변은 성인에 비해 더 잘 치유되며, 태아의 경우에는 다른 도움 없이도 한 달 안에 완전히 치유되므로 연골 조직의 자연적 복구에 있어서 나이도 중요한 인자이다.
관절 연골의 손상에 대해서, 조직 공학은 적절한 지지체에 생존가능한 세포 또는 조직 재생을 유도하는 다양한 인자를 이식하는 것으로 적용될 수 있다.
관절 연골 손상에 대한 연골하골(subchondral bone)의 미세천공수술 (Microfracture)은 관절내시경검사에 의한 연골 형성의 다른 기술들과 달리 장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09-0005334호(2009.01.13)에서와 같이 고속으로 작동하는 장비의 사용에 의해 발생하는 고열 때문에 뼈와 주변의 연골이 열 괴사할 수 있다.
그러나 미세천공수술은 작은 바늘 구멍을 내기 위해 제작된 골용 송곳(cartilage awl)이 사용되므로 열이 발생하지 않고, 연골하골에 최소한의 구멍만 형성하여 골수와 연골손상 부위를 연결하는 통로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송곳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구멍을 내는 것이 드릴(drill)이나 절삭도구(burr)에 비해 더 조절하기 용이하고, 송곳의 끝은 상대적으로 날카로워서 원하는 스팟대로 구멍을 만들 수 있다.
다른 내시경 기구나 팁에 비해 관절용 천공기구는 재사용도 가능하므로 가격도 절약되고, 미세천공수술에 의해 생긴 거친 표면은 재생된 섬유형연골의 부착성도 향상시킨다.
하지만, 상기한 기술에서 천공기구를 이용하여 관절에 천공을 형성할 시, 천공 시술에 의해 주변의 연골하골이 으스러지면서, 으스러진 골조각이 천공의 내측에 벽을 형성하여 내측의 골수성분이 외부로 나오는 것을 방해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골수 성분의 외부분출이 방해되어 연골 조직 재생을 유도해도 손상부위에 충분히 조직이 재생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연골하골을 천공하는 천공팁부가 몸체부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편향지게 경사진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고, 천공팁부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유입단과 유출단을 일직선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의 끝단 외주연을 따라 칼날이 형성되어, 상기 천공팁부가 연골하골을 천공하는 것이 용이하고, 연골하골이 천공되면서 발생하는 골조각은 천공팁부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유입단과 유출단을 일직선으로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수용되거나, 연골하골에서 외부로 이탈되도록 안내되므로, 종래와 같이 천공의 내면에 골조각이 잔류하는 문제가 해소되어, 골수의 원활한 배출을 도와 연골재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골하골의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는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부와,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연장형성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되어 연골하골을 천공하는 천공팁부를 포함하고, 상기 천공팁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기준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편향지게 경사진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면서, 상기 천공팁부의 관통홀 유입단과 유출단을 일직선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관통홀을 따라 삽입되고, 관통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삽입되면서, 관통홀에 수용된 골조각을 관통홀에서 제거하는 니들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천공팁부는 끝단의 주연을 따라 연골하공을 파고드는 칼날이 형성되며, 상기 천공티부의 표면에는 연골하골을 천공할 시 천공깊이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연골하골을 천공하는 천공팁부가 몸체부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편향지게 경사진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고, 천공팁부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유입단과 유출단을 일직선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의 끝단 외주연을 따라 칼날이 형성되어, 상기 천공팁부가 연골하골을 천공하는 것이 용이하고, 연골하골이 천공되면서 발생하는 골조각은 천공팁부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유입단과 유출단을 일직선으로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수용되거나, 연골하골에서 외부로 이탈되도록 안내되므로, 종래와 같이 천공의 내면에 골조각이 잔류하는 문제가 해소되어, 골수의 원활한 배출을 도와 연골재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의 천공팁을 확대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의 사용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의 천공팁에 니들을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의 천공팁을 확대하여 보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의 사용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의 천공팁에 니들을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연골 결손에 따른 연골 치료를 위해 결손된 연골을 제거한 후, 그 부분에 골수를 누출시켜 연골이 재생되도록 연골하골에 천공을 형성하는데, 이때 천공에 의해 발생한 골조각들이 다시 천공을 메우지않도록 천공과 함께 골조각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손잡이부(10)와, 몸체부(20), 천공팁부(30)로 구분하는데, 먼저 상기 손잡이부(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둘레를 통해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한다.
상기 손잡이부(1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일반적인 수공구의 손잡이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루고, 일단은 둥근게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홈(11)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때 형성되는 홈(11)은 시술자가 파지하였을 때, 마찰력을 증가시켜 미끄럼을 방지하고,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10)의 타단에는 몸체부(20)의 일측단이 연결된다.
상기 몸체부(20)는 위생을 위해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고, 지정 길이를 갖는 봉 형상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공팁부(30)은 상기 손잡이부(10)와 연결된 몸체부(20)의 일측단과 대향진 상기 몸체부(20)의 타측단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몸체부(20)를 기준으로 어느 한 방향으로 편향지게 지정 각도로 경사지게 굴곡 형성되어 연골하골을 천공한다.
상기 천공팁부(30)의 굴곡 각도는 어느 한 각도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공팁부(30)의 표면에는 천공 깊이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을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천공팁부(3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홀(31)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홀(31) 끝단의 주연을 따라 칼날(32)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를 이용하여 연골하골에 천공을 형성하는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천공팁부(30)가 연골하골을 천공하는 것이 용이하고, 연골하골이 천공되면서 생성하는 골조각은 천공팁부(3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홀(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관통홀(31)을 형성한 천공팁부(30)의 천공을 통해 연골하골 하부에 위치하는 골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연골재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의 다른 실시예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니들(40)을 더 포함하여, 상기 니들(40)은 상기 관통홀(3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삽입되면서, 연골하골 천공 시 관통홀(31)에 수용된 골조각을 상기 니들(40)의 끝단으로 밀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여, 관통홀(31)에서 골조각을 제거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손잡이부
11: 홈
20: 몸체부
30: 천공팁부
31: 관통홀
32: 칼날
40: 니들

Claims (3)

  1.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부와,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연장형성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되어 연골하골을 천공하는 천공팁부를 포함하는 연골하골의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에 있어서,
    상기 천공팁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기준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편향지게 경사진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면서, 상기 천공팁부의 관통홀 유입단과 유출단을 일직선으로 형성하는 연골하골의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을 따라 삽입되고, 관통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삽입되면서, 관통홀에 수용된 골조각을 관통홀에서 제거하는 니들을 더 포함하는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공팁부는 끝단의 주연을 따라 연골하공을 파고드는 칼날이 형성되며,
    상기 청공팁부의 표면에는 연골하골을 천공할 시 천공깊이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
KR1020180009308A 2018-01-25 2018-01-25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 KR101842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308A KR101842419B1 (ko) 2018-01-25 2018-01-25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308A KR101842419B1 (ko) 2018-01-25 2018-01-25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962A Division KR101825270B1 (ko) 2015-10-26 2015-10-26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121A KR20180014121A (ko) 2018-02-07
KR101842419B1 true KR101842419B1 (ko) 2018-05-14

Family

ID=61204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308A KR101842419B1 (ko) 2018-01-25 2018-01-25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4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3782A1 (en) 2007-11-30 2009-06-04 Levi James H Microfracture surgery apparatus and method
KR101206524B1 (ko) * 2011-05-24 2012-11-30 (주)이비아이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용 드릴
US9510840B2 (en) 2012-03-09 2016-12-06 Arthrosurface, Inc. Microfracture apparatuse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3782A1 (en) 2007-11-30 2009-06-04 Levi James H Microfracture surgery apparatus and method
KR101206524B1 (ko) * 2011-05-24 2012-11-30 (주)이비아이 치과 임플란트용 시술용 드릴
US9510840B2 (en) 2012-03-09 2016-12-06 Arthrosurface, Inc. Microfracture apparatuse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121A (ko)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5522B2 (ja) 骨中微小破壊発生用器具
US10869686B2 (en) Method for ultrasonic tissue excision with tissue selectivity
US10299822B1 (en) Double bladed surgical tool in combination with a targeting guide
EP2763603B1 (en) Ultrasonic osteotome
US20100266984A1 (en) Bur for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US9072528B2 (en) Instrument and method to enhance articular cartilage regeneration
US20060235419A1 (en) Medical instrument for performing microfracturing in a bone
JP2017504373A (ja) 生検用トロカール
KR101825270B1 (ko)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
WO2016103366A1 (ja) 切開用手術器械
JP2015505484A (ja) マイクロフラクチャーピック
NO20042735L (no) Fremgangsmate for a stikke hull i hud for a ta blodprove
JP5771670B2 (ja) ドリルガイド
KR101842419B1 (ko) 미세골절술용 천공기구
US10226272B2 (en) Arthroscopic surgery method for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alus
JPH07255736A (ja) 外科手術用具
JP2016511099A (ja) マイクロフラクチャーピック
KR101696696B1 (ko) 오버튜브 및 그 사용법
JP6151617B2 (ja) 骨治療システム
US20210177438A1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ating a dense bone layer
JP5804428B2 (ja) 切開用手術器械
JP2003153915A (ja) 人工膝関節置換術用の大腿骨遠位端処理具
JP2014171700A (ja) 穿刺針
CN112842448A (zh) 一种用于环状取骨的超声骨刀
CN114145819A (zh) 一种复合式腹腔镜手术器械及应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