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159B1 -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 Google Patents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159B1
KR101842159B1 KR1020170044155A KR20170044155A KR101842159B1 KR 101842159 B1 KR101842159 B1 KR 101842159B1 KR 1020170044155 A KR1020170044155 A KR 1020170044155A KR 20170044155 A KR20170044155 A KR 20170044155A KR 101842159 B1 KR101842159 B1 KR 101842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ing
course
drones
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1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경
정용범
Original Assignee
(주)프리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리뉴 filed Critical (주)프리뉴
Priority to KR1020170044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1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1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KRACING; RIDING SPORTS;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A63K3/00Equipment or accessories for racing or riding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KRACING; RIDING SPORTS;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A63K1/00Race-courses; Race-tracks
    • A63K1/02Race-courses; Race-tracks for greyhounds or other do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B64C220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Abstract

Disclosed is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which can set at least one of a course for a drone to move in a racing circuit and to a final destination and can realize at least one of the set course and the final destination by using a sensor part and an LED part preliminarily installed in the racing circuit. The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comprises: at least one sensor part installed in the racing circuit,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and sensing movement of the drone; at least one LED part installed in the racing circuit, including an LED, and turning on and off the LED; at least one camera part installed in the racing circuit, and capturing the movement of the drone; and a course setting part setting at least one of the course on which the drone moves in the racing circuit and the final destination.

Description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0001] DRON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0002]

본 발명은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레이싱 서킷에서 센서 및 엘이디(LED)를 이용하여, 드론이 움직일 코스 및 최종 목적지를 설정함으로써, 레이싱 서킷의 구조 변경 없이도 다양한 코스를 통해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이 가능하도록 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in which a sensor and an LED (LED) are used in a racing circuit to set a course on which a dron moves and a final destination, And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that enables racing.

드론(Drone)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를 의미한다. 초창기 드론은 공군기나 고사포, 미사일의 연습사격에 적기 대신 표적 구실로 사용되었으나, 점차 무선기술의 발달과 함께 정찰기로 개발되어 적의 내륙 깊숙이 침투하여 정찰 또는 감시의 용도로도 운용되었다. 근래에 들어 드론에 미사일 등 각종 무기를 장착하여 공격기로도 활용되고 있다.Drone means a plane or helicopter-shaped airplane flying by induction of radio wave without a person being burned. In the early days, drones were used as targets instead of enemies for airborne, anti-aircraft and missile firefighting. However, as the technology of wireless technology developed, it was developed as a reconnaissance aircraft and penetrated deeply into the enemy's inland. Recently, it has been used as an attacker by attaching various weapons such as a missile to a drone.

드론의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성능을 가진 비행체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대형 비행체의 군사용뿐만 아니라, 초소형 드론도 활발하게 개발 연구되고 있다. Various types of flying objects with various sizes and performances have been develop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of the drone. In addition to the military use of large flying objects, micro drones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and studied.

또한, 2015년 들어 급격하게 RC 멀티콥터가 매스컴을 타고 '남자의 취미'로 각광 받았고, 대부분 이 RC 멀티콥터를 드론이라고 부르고 있다. 하지만, 모양에 관계없이 무인비행체는 전부 드론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드론은 개인의 취미활동과 관련하여 다양한 상품군으로 판매되고 있다.Also, in 2015, RC multi-copter was suddenly seen as a "man's hobby" on the media, and most call RC multi-copter as a drones. However, irrespective of shape, unmanned aerial vehicles can all be seen as drones, and these drones are sold in various product groups related to individual hobbies.

최근에는 드론을 활용하여 수송목적에도 활용하는 등 드론의 활용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드론이 개발되던 초기에는 표적 드론(target drone), 정찰 드론(reconnaissance drone), 감시 드론(surveillance drone) 등으로 분류하였지만 현재는 활용 목적에 따라 더욱 세분화된 분류가 가능하다.Recently, the application range of drones has been gradually widened by utilizing dron for transportation purposes. At the beginning of the development of the drones, they were classified as target drone, reconnaissance drone, surveillance drone, etc. Now, it is possible to classify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purpose.

이와 같은 드론은 근래 들어, 간편성, 신속성, 경제성 등 여러 이점 때문에, 군사용 외에도, 물류 배송, 재난 구조, 방송 레저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등 많은 장점이 있으나, 바람 등 외부 환경의 변화와 운전 조작의 미숙으로 인해 추락할 우려가 있으며, 추락 시 여러 고가의 부품들이 파손되어 경제적 피해가 발생되거나, 대인 및 대물에 대한 2차적인 안전사고가 동반될 수 있는 피해의 위험성 또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such drone has many merits such as being uti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logistics delivery, disaster relief, broadcasting leisure, etc. in addition to military, because of various advantages such as simplicity, promptness and economical efficiency.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of falling due to immaturity of the operation and the risk of damages that can cause economic damage due to breakdown of various expensive parts at the time of a fall or a secondary safety accident for a person or an object is also seriously increasing It is true.

상술한 바와 같은 위험성을 갖는 드론은 이미 시장에 널리 확대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미숙련자의 경우 조종 능력의 향상을 위한 연습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이고, 재난 재해의 대형화, 방사능 화재, 붕괴, 화학 재난 등 극한 상황에서 드론을 활용하여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전문인의 양성이 필요하게 되었다.Drones with the above-mentioned hazards have already been widely used in the market. In the case of unskilled persons, drills for improving the maneuverability are indispensable, and disaster disasters such as large-scale disasters, radioactive fires, collapses, chemical disasters In the extreme situation, it became necessary to nurture the professionals who can minimize the human and material damage by using the drone.

또한, 이와 같은 드론은 위험성과 장소의 제약으로 인해 일반인으로 하여금 쉽게 접하기가 어렵고, 취미 등으로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도 연습을 위한 마땅한 장소를 찾기가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취미나 오락용으로 드론을 이용하는 자의 실력을 구체적으로 검증할만한 마땅한 수단이 전무한 것이었다.In addition, such drones are difficult to access to the public because of the risk and place restrictions, and it is not only difficult for users who are using hobby to find suitable places for practice, but also for hobby and amusement There was no proper way to verify the ability of the drones.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3802호 (2016.09.30 등록)는 스마트기기의 모션 감지 신호를 중계하여 무선조종비행기를 조종하게 하고, 미리 지정된 비행경로가 사이를 지나가도록 서로 마주하는 2개의 폴대(11)를 수직으로 지면에 세우고, 사전 약속된 신호를 무선주파수 신호로 발신하는 위치신호 발신기(12)를 2개의 폴대(11)에 각각 하나씩 설치한 임무수행대(10)를 이용하여서 무선조종비행기의 비행에 대해 채점하며, 채점 결과를 스마트기기에 통보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무선조종비행기 조종평가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In order to overcom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663802 (registered on Sep. 20, 2016) relayed a motion detection signal of a smart device to control a radio controlled airplane, And a position signal transmitter (12) for positioning the two poles (11) facing each other vertically on the ground and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signal as a radio frequency signal to the two poles (11) 10) is used to score the flight of a radio-controlled airplane, and notifies the smart device of the scoring result.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위하기 어려우며, 미리 지정된 비행경로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서로 마주하는 2개의 폴대(11)를 세운 위치를 사람이 직접 옴겨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동시에 하나 이상의 무선조종비행기의 비행을 통하여 레이싱 게임을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conventional techniques are difficult to achieve. In order to change the predetermined flight path, it is troublesome for the person to directly reach the positions where the two poles 11 facing each other are located,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racing game is not available through fligh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3802호 (2016.09.30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663802 (Registered on September 30, 2016)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레이싱 서킷에서 드론이 움직일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설정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레이싱 서킷에 기 설치된 센서부 및 엘이디부를 이용하여 레이싱 서킷의 구조 변경 없이 다양한 코스 및 다양한 최종 목적지를 구현할 수 있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at least the above and / or other problems and / or advantages thereof in that at least one of a course and a final destination is set in a racing circuit, And to provide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courses and various final destinations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racing circuit by using the LED unit.

또한, 두 번째 목적은 실내에서 하나 이상의 드론 사용자 간에 레이싱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을 통해 공간적 제약 없이 하나 이상의 드론 사용자 간에 레이싱을 즐길 수 있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second objective is to provide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capable of enjoying racing between one or more drones in the room, as well as racing between one or more drones in the room, via one or more racing circuits.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을 포함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이싱 서킷에 설치되며,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드론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부, 상기 레이싱 서킷에 설치되고, 엘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의 점등 및 소등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부, 상기 레이싱 서킷에 설치되며, 상기 드론의 움직임을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부 및 상기 레이싱 서킷에서 상기 드론이 움직일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코스 설정부를 포함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and second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racing circuit, the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racing circuit, At least one sensor unit, at least one LED unit installed at the racing circuit, the at least one LED unit including an LED, the LED unit lighting and extinguishing the LED, at least one camera unit installed at the racing circuit, And a course setting unit for setting at least one of a course on which the dron moves and a final destination in the racing circuit.

상기 센서부는 상기 드론이 상기 코스 설정부가 설정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탈하는 경우, 경로 이탈 알림을 발생시키는 이탈 알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departure notific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departure notice when the drones depart from at least one of a course and a final destination set by the course setting unit.

상기 엘이디부는 상기 코스 설정부가 설정한 코스에 상응하도록 상기 엘이디의 점등 및 소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LED unit may turn on and off the LEDs so that the LEDs correspond to the course set by the course setting unit.

상기 센서부는 상기 드론의 식별번호를 판별하여, 사용자를 판별하는 사용자 식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for determin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rones and identifying the user.

상기 센서부는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시간 측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time measurement module for measuring at least one of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s.

상기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은 상기 시간 측정 모듈이 측정한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t least one of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s measured by the time measuring module.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시간 측정 모듈이 측정한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관제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may transmit at least one of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s measured by the time measurement module to the control server.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상기 드론의 움직임을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output the movement of the dron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탈 알림 모듈이 발생시킨 경로 이탈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output a path deviation notification generated by the deviation notification module.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may transmit at least one of the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the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to the user terminal.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에 의하면, 첫 번째로 레이싱 서킷에서 드론이 움직일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설정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레이싱 서킷에 기 설치된 센서부 및 엘이디부를 이용하여 레이싱 서킷의 구조 변경 없이 다양한 코스 및 다양한 최종 목적지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a course and a final destination in which a dron moves in a racing circuit is set first, and at least one of a set course and a final destination is installed in a racing circuit The sensor unit and the LED unit can be used to implement various courses and various final destinations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racing circuit.

또한, 두 번째로 실내에서 하나 이상의 드론 사용자 간에 레이싱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을 통해 공간적 제약 없이 하나 이상의 드론 사용자 간에 레이싱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ly, there is an effect of enjoying racing between one or more drones in the room, as well as racing between one or more drones without space limitation through one or more racing circui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센서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의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ensor unit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of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tents of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word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 user's invention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단”,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 " "... "," ... Unit, "" module, "" device, "and the like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 or softwa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s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the precedent of the artisan skilled in the art, . Also, in certain cases, some terms ar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embodiments.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s, not on the names of simple terms, and on the contents of the embodi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Further,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more,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ing ", etc.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Also,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odule' or 'sub'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a plurality of 'modules' or a plurality of 'parts' may b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except for 'module' or 'module' which needs to be implemented by specific hardware, and may be implemen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limited to a case where it is " directly connected " And the lik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을 참고하면,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을 포함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100)은 센서부(110), 엘이디부(120), 카메라부(130) 및 코스 설정부(140)를 포함한다.1,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100 including one or more racing circuits includes a sensor unit 110, an LED unit 120, a camera unit 130, and a course setting unit 140 .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10)는 레이싱 서킷에 설치될 수 있으며, 드론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센서부(110)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110 can be installed in the racing circuit, can sense the movement of the drones, and the sensor unit 110 can be one or more.

또한, 센서부(110)는 드론이 코스 설정부(140)가 설정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탈하는 경우, 경로 이탈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110 may generate a path deviation notification when the dron leaves at least one of the course and the final destination set by the course setting unit 140. [

그리고 센서부(110)는 드론의 식별번호를 판별하여, 드론의 사용자를 판별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10 can identify the user of the drones by discriminat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rones.

또한, 센서부(110)는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Also, the sensor unit 110 may measure at least one of the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the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s.

그리고 코스 설정부(140)는 레이싱 서킷에서 드론이 움직일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The course setting unit 140 may set at least one of a course and a final destination for moving the drones in the racing circuit.

코스 설정부(140)는 기 저장하고 있는 레이싱 서킷에서 드론이 움직일 하나 이상의 코스 중에서 특정 코스를 설정할 수 있다.The course setting unit 140 can set a specific course among one or more courses to be moved by the dron in the previously stored racing circuit.

또한, 코스 설정부(140)는 기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최종 목적지 중에서 특정 최종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rse setting unit 140 may set a specific final destination among the one or more final destinations that are previously stored.

그리고 코스 설정부(140)가 설정하는 특정 코스 및 특정 최종 목적지는 드론 비행 연습 또는 레이싱이 완료된 후, 변경될 수 있다.The specific course and the specific final destination set by the course setting unit 140 may be changed after the drone flight practice or racing is completed.

또한, 엘이디부(120)는 레이싱 서킷에 설치될 수 있고, 엘이디(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엘이디의 점등 및 소등을 수행할 수 있고, 엘이디부(120)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ED 120 may be installed in a racing circuit, may include an LED, and may perform lighting and lighting of the LED, and the LED 120 may include one or more LEDs.

그리고 엘이디부(120)는 코스 설정부(140)가 설정한 코스에 상응하도록 엘이디의 점등 및 소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LED unit 120 may turn on and off the L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urse set by the course setting unit 140.

보다 구체적으로, 엘이디부(120)는 코스 설정부(140)가 설정한 특정 코스 및 특정 최종 목적지에 상응하도록 엘이디의 점등 및 소등을 수행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LED unit 120 may turn on and off the LED so as to correspond to a specific course and a specific final destination set by the course setting unit 140.

상술하였듯이 코스 설정부(140)가 레이싱 서킷에서 드론이 움직일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설정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레이싱 서킷에 기 설치된 센서부(110) 및 엘이디부(120)를 이용하여 레이싱 서킷의 구조물 또는 설치물의 물리적인 변경 없이 다양한 코스 및 다양한 최종 목적지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urse setting unit 140 sets at least one of the course and the final destination on which the dron will move in the racing circuit, and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set course and the final destination to the sensor unit 110 and the LED unit 120),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courses and various final destinations without physically changing the structure or the installation of the racing circuit.

그리고 이러한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자의 드론 비행 연습이 다양한 코스에서 가능하며, 마찬가지로 드론 레이싱도 다양한 코스에서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e flight practice of the user is possible in various courses, and likewise, the drone racing can be enjoyed in various courses.

또한, 카메라부(130)는 레이싱 서킷에 설치되며, 드론의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고, 카메라부(130)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unit 130 is installed in the racing circuit, and can capture the motion of the drones, and the camera unit 130 can be one or more.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100)은 센서부(110), 엘이디부(120), 카메라부(130), 코스 설정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100 may include a sensor unit 110, an LED unit 120, a camera unit 130, a course setting unit 140, and a display unit 150 have.

센서부(110), 엘이디부(120), 카메라부(130) 및 코스 설정부(140)는 도 1을 참고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The sensor unit 110, the LED unit 120, the camera unit 130, and the course setting unit 140 ar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디스플레이부(150)는 센서부(110)가 측정한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0 may output at least one of the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the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10.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0)는 카메라부(130)가 촬영한 드론의 움직임을 출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50)는 센서부(110)가 발생시킨 경로 이탈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0 can output the movement of the drones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30 and the display unit 150 can output the deviation notice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11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센서부(1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ensor unit 110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센서부(110)는 통신 모듈(111), 이탈 알림 모듈(112), 사용자 식별 모듈(113) 및 시간 측정 모듈(114)을 포함할 수 있다.3, the sensor unit 11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111, a departure notification module 112,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113, and a time measurement module 114.

보다 구체적으로, 이탈 알림 모듈(112)은 드론이 코스 설정부(140)가 설정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탈하는 경우, 경로 이탈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eparture notification module 112 can generate a departure notification when the dron leaves at least one of the course and the final destination set by the course setting unit 140.

그리고 사용자 식별 모듈(113)은 드론의 식별번호를 판별하여, 각각의 드론 사용자를 판별할 수 있다.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13 can identify each of the drones by identify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rones.

이러한 사용자 식별 모듈(113)이 판별한 드론의 식별번호 및 각각의 드론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부(150)가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0 may output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rones determined by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13 and each of the drones.

또한, 시간 측정 모듈(114)은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me measurement module 114 may measure at least one of the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the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s.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50), 사용자 식별 모듈(113) 및 시간 측정 모듈(114)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드론 간에 기록 경쟁과 같은 레이싱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display unit 150,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13, and the time measurement module 114 can be used to enjoy a racing game such as a recording competition among one or more drones.

그리고 시간 측정 모듈(114)이 측정한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도 2에서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50)가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0 described in FIG. 2 may output at least one of the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the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 measured by the time measuring module 114.

또한, 이탈 알림 모듈(112)이 발생시킨 경로 이탈 알림을 도 2에서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50)가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0 described in FIG. 2 may output the path deviation notification generated by the departure notification module 112.

통신 모듈(111)은 시간 측정 모듈(114)이 측정한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후술할 관제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11 may transmit at least one of the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the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s measured by the time measurement module 114 to the control server 1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통신 모듈(111)은 시간 측정 모듈(114)이 측정한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식별 모듈(113)이 판별한 드론의 식별번호 및 드론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후술할 관제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다.Also, the communication module 111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the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s measured by the time measurement module 114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ron determined by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13, It can transmit at least one to the control server 10 to be described later.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schematic view of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100)은 관제 서버(10), 사용자 단말(20), 센서부(110), 엘이디부(120), 카메라부(130), 코스 설정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4, the drone flight training and racing system 100 includes a control server 10, a user terminal 20, a sensor unit 110, an LED unit 120, a camera unit 130, a course setting unit 140 and a display unit 150. [

센서부(110), 엘이디부(120), 카메라부(130), 코스 설정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다.The sensor unit 110, the LED unit 120, the camera unit 130, the course setting unit 140, and the display unit 150 ar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관제 서버(10)는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에서 진행된 레이싱 결과로써, 시간 측정 모듈(114)이 측정한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사용자 식별 모듈(113)이 판별한 드론의 식별번호 및 드론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신 모듈(11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10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the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s measured by the time measurement module 114 and the at least one of the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13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rone and the drone user may b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11. [

또한, 관제 서버(10)는 상술한 통신 모듈(111)로부터 수신한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20)로 송신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 server 10 can transmit at least one of the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the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which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11, to the user terminal 20.

관제 서버(10)가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20)의 경우, 상술한 사용자 식별 모듈(113)이 판별한 드론 사용자를 통해서 결정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user terminal 20 transmitted by the control server 10, it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drone user determined by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13 described above.

즉, 관제 서버(10)는 각각의 드론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각각의 드론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통신 모듈(111)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식별 모듈(113)이 판별한 드론의 식별번호 및 드론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식별된 드론의 드론 사용자가 누군지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server 10 can store information on each of the drone users, and the information on each of the stored drone users,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drone determined by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13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11 At least one of the number and the drones user may be compared to identify the drones of the identified drones.

관제 서버(10)는 확인된 드론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기 저장하고 있는 드론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10 can confirm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 terminal included in the information about the drone user that is stored in advance,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drone user.

이후, 관제 서버(10)는 확인된 사용자 단말(20)로 통신 모듈(111)로부터 수신한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Then, the control server 10 can transmit at least one of the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the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11 to the identified user terminal 20.

이러한 관제 서버(10)는 통신 모듈(111)로부터 수신된 내용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하나 이상의 드론 사용자 간에 레이싱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을 통해 공간적 제약 없이 하나 이상의 드론 사용자 간에 레이싱을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레이싱 결과를 공간적 제약 없이 사용자 단말(20)로 송신함으로써, 동일한 레이싱 서킷에서 레이싱을 즐기지 않더라도 그 결과를 사용자가 확인하고, 비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10 can use the content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11 to enable the user to enjoy racing between one or more drones in the room as well as racing between one or more drones without space limitation through one or more racing circuits And transmits the result of the racing to the user terminal 20 without any space limitation so that the user can check and compare the result even if he does not enjoy racing in the same racing circuit.

또한, 하나 이상의 카메라부(130)는 촬영한 드론의 움직임에 대한 영상 정보를 관제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camera unit 130 may transmit image 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photographed drones to the control server 10.

관제 서버(10)는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부(13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를 레이싱 서킷 별로 분할하여 동시 또는 이시에 디스플레이부(150)로 송신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10 may divide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one or more camera units 130 installed in one or more racing circuits into each of the racing circuits and transmit the divided image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50 at the same time or at the same time.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0)는 관제 서버(10)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부(130)가 촬영한 드론의 움직임에 대한 영상 정보를 레이싱 서킷 별로 분할하여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0 may divide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movement of the dron taken by one or more camera units 130 in one or more racing circuits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10, according to each racing circuit.

이를 이용하여 특정 레이싱 서킷의 디스플레이부(150)는 특정 레이싱 서킷에서 레이싱 중인 드론의 영상뿐만 아니라 다른 레이싱 서킷에서 레이싱을 하고 있는 드론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을 통해 공간적 제약 없이 하나 이상의 드론 사용자 간에 레이싱을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레이싱 결과를 공간적 제약 없이 동일한 레이싱 서킷에서 레이싱을 즐기지 않더라도 그 결과를 사용자가 확인하고, 비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0 of the specific racing circuit can output not only the image of the drones that are racing in a specific racing circuit but also the images of the drones that are racing in other racing circuits and can use one or more racing circuits It is possible to enjoy racing between one or more drones without any space limitation and to allow the user to check and compare the result even if the racing result is not enjoyed in the same racing circuit without spatial limitation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의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tents of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하면, 동일한 센서부(110), 동일한 엘이디부(120) 및 동일한 카메라부(130)가 설치되었음에도, 코스 설정부(140)의 코스 변경에 의해, 물리적인 구조 변경 없이 레이싱 서킷에서 드론이 움직일 코스가 변경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5, although the same sensor unit 110, the same LED unit 120, and the same camera unit 130 are installed, the course setting unit 140 changes the course so that the racing circuit You can see that the course on which the drones move can change.

또한, 상술하였듯이, 센서부(110)는 코스 설정부(140)가 코스 및 최종 목적지를 변경한 경우에, 이를 반영하여, 드론이 코스 설정부(140)가 변경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를 이탈한 경우, 경로 이탈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urse setting unit 140 changes the course and the final destination, the sensor unit 110 reflects the course and the final destination so that the dron departs from the course changed from the course setting unit 140 and the final destination , A path deviation notification may be generat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disclosure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point of view, not from a restrictive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관제 서버 20: 사용자 단말
100: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110: 센서부
111: 통신 모듈 112: 이탈 알림 모듈
113: 사용자 식별 모듈 114: 시간 측정 모듈
120: 엘이디부 130: 카메라부
140: 코스 설정부 150: 디스플레이부
10: control server 20: user terminal
100: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110: Sensor unit
111: communication module 112: departure notification module
113: user identification module 114: time measurement module
120: LED part 130: camera part
140: a course setting unit 150:

Claims (10)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을 포함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이싱 서킷에 설치되며,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드론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부;
상기 레이싱 서킷에 설치되고, 엘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의 점등 및 소등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부;
상기 레이싱 서킷에 설치되며, 상기 드론의 움직임을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부;및
상기 레이싱 서킷에서 상기 드론이 움직일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코스 설정부;
를 포함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1.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racing circuit,
At least one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racing circuit, the at least one sensor unit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and sensing movement of the drones;
At least one LED unit installed in the racing circuit, the LED unit including an LED, and lighting and extinguishing the LED;
At least one camera part installed in the racing circuit and photographing the movement of the drones;
A course setting unit for setting at least one of a course and a final destination on which the dron will move in the racing circuit;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드론이 상기 코스 설정부가 설정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탈하는 경우, 경로 이탈 알림을 발생시키는 이탈 알림 모듈;
을 포함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A departure notific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departure notice when the drones depart from at least one of a course and a final destination set by the course setting unit;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부는
상기 코스 설정부가 설정한 코스에 상응하도록 상기 엘이디의 점등 및 소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D
And the lighting and lighting of the LED is performed so that the course setting unit sets the LED to correspond to the set cour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드론의 식별번호를 판별하여, 사용자를 판별하는 사용자 식별 모듈;
을 포함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or unit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for determin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rones and determining a user;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includ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시간 측정 모듈;
을 포함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nsor unit
A time measurement module for measuring at least one of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s;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includ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측정 모듈이 측정한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t least one of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s measured by the time measuring module;
The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further includ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시간 측정 모듈이 측정한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관제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the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s measured by the time measurement module to the control serv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상기 드론의 움직임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camera unit outputs the movement of the dron taken by the camera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탈 알림 모듈이 발생시킨 경로 이탈 알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display unit
And outputs a path deviation notification generated by the deviation notification modu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server
And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the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to the user terminal.
KR1020170044155A 2017-04-05 2017-04-05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KR1018421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155A KR101842159B1 (en) 2017-04-05 2017-04-05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155A KR101842159B1 (en) 2017-04-05 2017-04-05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159B1 true KR101842159B1 (en) 2018-03-26

Family

ID=61910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155A KR101842159B1 (en) 2017-04-05 2017-04-05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159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404B1 (en) * 2018-01-11 2018-08-09 박민경 Race system and method of unmanned vehicle
KR102059180B1 (en) 2019-03-25 2019-12-24 한국드론교육협동조합 Drone ground control system
KR20200000036A (en) 2018-06-22 2020-01-02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 Sens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of drone positioning
KR20200031836A (en) 2018-09-17 2020-03-25 임상환 Module type obstacles kit for dron flight training
KR20210034861A (en) * 2019-09-23 2021-03-31 윤영기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pilot of an ultra-light vehicle
KR102306887B1 (en) * 2020-12-30 2021-09-2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Cube type maze structure for drone flights expandable space
KR20230030201A (en) 2021-08-25 2023-03-06 주식회사 뉴젠테크 Drone Station for Flight Train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265B1 (en) 2017-01-06 2017-05-26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Game method using management system of complex ground for dron
KR101750698B1 (en) 2017-01-06 2017-06-27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Management system of complex ground for dr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265B1 (en) 2017-01-06 2017-05-26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Game method using management system of complex ground for dron
KR101750698B1 (en) 2017-01-06 2017-06-27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Management system of complex ground for dro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404B1 (en) * 2018-01-11 2018-08-09 박민경 Race system and method of unmanned vehicle
KR20200000036A (en) 2018-06-22 2020-01-02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 Sens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of drone positioning
KR20200031836A (en) 2018-09-17 2020-03-25 임상환 Module type obstacles kit for dron flight training
KR102059180B1 (en) 2019-03-25 2019-12-24 한국드론교육협동조합 Drone ground control system
KR20210034861A (en) * 2019-09-23 2021-03-31 윤영기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pilot of an ultra-light vehicle
KR102327938B1 (en) 2019-09-23 2021-11-17 윤영기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pilot of an ultra-light vehicle
KR102306887B1 (en) * 2020-12-30 2021-09-2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Cube type maze structure for drone flights expandable space
KR20230030201A (en) 2021-08-25 2023-03-06 주식회사 뉴젠테크 Drone Station for Flight Trai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159B1 (en)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US20190176967A1 (en) Flying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KR102446630B1 (en) Gam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optical narrowcasting
US20060050929A1 (en) Visual vector display generation of very fast moving elements
US11944904B2 (en) Data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server, and storage medium
WO2019136463A1 (en) Threat identification device and system with optional active countermeasures
KR20170138752A (en)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drone stadiu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thereof
US11890552B2 (en) Drone-passing multiple detection sensor gate and drone game system using same
KR101857245B1 (en) Drone racing game system
US10593224B2 (en) Tactical engagement simulation (TES) ground-based air defense platform
KR102059024B1 (en) Shotting game system based on-off line conversion
WO2018078607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light-modulated signals in a video stream
US20210031109A1 (en) Augmented reality gaming system
US11021249B2 (en) Drone-based, attacker neutralization
Card Terror from above: How the commercial unmanned aerial vehicle revolution threatens the US threshold
KR101900859B1 (en) Drone game system
Dorrian Drone semiosis: Weaponry and witnessing
CN112704875B (en) Virtual item control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190124079A (en)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Wagoner A monocular vision-based target surveillance and interception system demonstrated in a counter unmanned aerial system (cuas) application
KR20140134040A (en) Survival gaming respawn device
WO2017178687A1 (en) Device for the detection and intercep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drones)
Card The Commercialization of UAVs: How Terrorists Will Be Able to Utilize UAVs to Attack the United States
WO2022061712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battle method, unmanned aerial vehicle battle control apparatus, unmanned aerial vehicle, and storage medium
Pohasii et al. Decision Making in Managing the Choice of UAV Threat Detection Systems in the Protection of Critical Infrastructure Fac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