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4079A -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 Google Patents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4079A
KR20190124079A KR1020180048159A KR20180048159A KR20190124079A KR 20190124079 A KR20190124079 A KR 20190124079A KR 1020180048159 A KR1020180048159 A KR 1020180048159A KR 20180048159 A KR20180048159 A KR 20180048159A KR 20190124079 A KR20190124079 A KR 20190124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racing
course
time information
final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1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승호
박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르고스다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르고스다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르고스다인
Priority to KR1020180048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4079A/en
Publication of KR20190124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07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03Driving vehicles or craft, e.g. cars, airplanes, ships, robots or tan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14Racing games, traffic games, or obstacle games characterised by figures moved by action of the players
    • A63F9/143Racing games, traffic games, or obstacle games characterised by figures moved by action of the players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17Driving on land or water; Flying

Abstract

Disclosed is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sets at least one of a drone course and a final destination in a racing circuit, and can implement at least one of the set course and the final destination using a sensor unit and an LED unit preinstalled in the racing circuit.

Description

드론 비행 연습 시스템{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본 발명은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레이싱 서킷에서 센서 및 엘이디(LED)를 이용하여, 드론이 움직일 코스 및 최종 목적지를 설정함으로써, 레이싱 서킷의 구조 변경 없이도 다양한 코스를 통해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이 가능하도록 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by using a sensor and LED (LED) in the racing circuit, by setting the course and the final destination for the drone to move, drone flight practice through a variety of courses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racing circuit And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that enables racing.

드론(Drone)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를 의미한다. 초창기 드론은 공군기나 고사포, 미사일의 연습사격에 적기 대신 표적 구실로 사용되었으나, 점차 무선기술의 발달과 함께 정찰기로 개발되어 적의 내륙 깊숙이 침투하여 정찰 또는 감시의 용도로도 운용되었다. 근래에 들어 드론에 미사일 등 각종 무기를 장착하여 공격기로도 활용되고 있다.Drone refers to an airplane or helicopter-like vehicle that is not burned by humans and is driven by radio wave guidance. In the early days, drones were used as targets instead of air force aircraft, anti-aircraft guns, and missiles, but they were developed as reconnaissance with the development of radio technology, penetrating deep into the enemy's inland and used for reconnaissance or surveillance. Recently, drones are equipped with various weapons such as missiles, and are used as attackers.

드론의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성능을 가진 비행체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대형 비행체의 군사용뿐만 아니라, 초소형 드론도 활발하게 개발 연구되고 있다.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use of drones, various aircrafts with various sizes and performances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o military use of large aircrafts, micro drones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and researched.

또한, 2015년 들어 급격하게 RC 멀티콥터가 매스컴을 타고 '남자의 취미'로 각광 받았고, 대부분 이 RC 멀티콥터를 드론이라고 부르고 있다. 하지만, 모양에 관계없이 무인비행체는 전부 드론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드론은 개인의 취미활동과 관련하여 다양한 상품군으로 판매되고 있다.In addition, in 2015, RC multicopters rapidly became popular as 'men's hobbies' on the mass media, and most of them call them RC drones. However, all drones can be seen as drones, regardless of shape, and these drones are sold in various product groups in relation to individual hobby activities.

최근에는 드론을 활용하여 수송목적에도 활용하는 등 드론의 활용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드론이 개발되던 초기에는 표적 드론(target drone), 정찰 드론(reconnaissance drone), 감시 드론(surveillance drone) 등으로 분류하였지만 현재는 활용 목적에 따라 더욱 세분화된 분류가 가능하다.In recent years, the range of use of drones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including the use of drones for transportation purposes. In the early stages of drone development, they were classified as target drones, reconnaissance drones, and surveillance drones.

이와 같은 드론은 근래 들어, 간편성, 신속성, 경제성 등 여러 이점 때문에, 군사용 외에도, 물류 배송, 재난 구조, 방송 레저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등 많은 장점이 있으나, 바람 등 외부 환경의 변화와 운전 조작의 미숙으로 인해 추락할 우려가 있으며, 추락 시 여러 고가의 부품들이 파손되어 경제적 피해가 발생되거나, 대인 및 대물에 대한 2차적인 안전사고가 동반될 수 있는 피해의 위험성 또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Such drones have recently been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logistics, disaster relief, broadcasting, leisure, etc. in addition to military use, due to various advantages such as simplicity, speed, and economic feasibility. There is a risk of falling due to inexperienced operation, and the risk of damage that can result in economic damage due to the destruction of many expensive components, or accompanied by secondary safety accidents for persons and objects is also seriously raised. It is true.

상술한 바와 같은 위험성을 갖는 드론은 이미 시장에 널리 확대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미숙련자의 경우 조종 능력의 향상을 위한 연습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이고, 재난 재해의 대형화, 방사능 화재, 붕괴, 화학 재난 등 극한 상황에서 드론을 활용하여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전문인의 양성이 필요하게 되었다.Drones with the risks mentioned above are already widely used and widely used in the market. In the case of unskilled people, it is necessary to practice to improve the maneuverability, and the size of disaster disasters, radioactive fires, collapses, chemical disasters, etc. Under extreme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train professionals who can use drones to minimize human and material damage.

또한, 이와 같은 드론은 위험성과 장소의 제약으로 인해 일반인으로 하여금 쉽게 접하기가 어렵고, 취미 등으로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도 연습을 위한 마땅한 장소를 찾기가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취미나 오락용으로 드론을 이용하는 자의 실력을 구체적으로 검증할만한 마땅한 수단이 전무한 것이었다.In addition, such drones are not easily accessible to the general public due to dangers and constraints of places, and it is difficult to find a suitable place for practice even for users who use them as a hobby. There was no proper means to specifically test the skills of drone users.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3802호 (2016.09.30 등록)는 스마트기기의 모션 감지 신호를 중계하여 무선조종비행기를 조종하게 하고, 미리 지정된 비행경로가 사이를 지나가도록 서로 마주하는 2개의 폴대(11)를 수직으로 지면에 세우고, 사전 약속된 신호를 무선주파수 신호로 발신하는 위치신호 발신기(12)를 2개의 폴대(11)에 각각 하나씩 설치한 임무수행대(10)를 이용하여서 무선조종비행기의 비행에 대해 채점하며, 채점 결과를 스마트기기에 통보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무선조종비행기 조종평가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conventional problem,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63802 (registered on September 30, 2016) is to relay the motion detection signal of the smart device to control the wireless pilot plane, the predetermined flight path passes between Two poles 11 facing each other vertically on the ground vertically, and a mission stage having one position signal transmitter 12 for each of the two poles 11 that transmits a pre-defined signal as a radio frequency signal. 10) is used to evaluate the flight of a wireless pilot plane and discloses a wireless pilot control evaluation system using a smart device that notifies the smart device of the scoring result.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위하기 어려우며, 미리 지정된 비행경로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서로 마주하는 2개의 폴대(11)를 세운 위치를 사람이 직접 옴겨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동시에 하나 이상의 무선조종비행기의 비행을 통하여 레이싱 게임을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technology is difficult, and in order to change a predetermined flight path, there is a trouble that a person must directly come to the position where two poles 11 facing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at least one radio pilot The problem is that racing games are not available through the fligh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3802호 (2016.09.30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63802 (Registered on September 30, 2016)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레이싱 서킷에서 드론이 움직일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설정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레이싱 서킷에 기 설치된 센서부 및 엘이디부를 이용하여 레이싱 서킷의 구조 변경 없이 다양한 코스 및 다양한 최종 목적지를 구현할 수 있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is to set at least one of the course and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drone to move in the racing circuit, and at least one of the set course and the final destination in the racing circuit sensor unit and It is to provide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that can implement various courses and various final destinations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racing circuit using LED part.

또한, 두 번째 목적은 실내에서 하나 이상의 드론 사용자 간에 레이싱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을 통해 공간적 제약 없이 하나 이상의 드론 사용자 간에 레이싱을 즐길 수 있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object is to provide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that can enjoy racing between one or more drone users without space constraints, as well as racing between one or more drone users indoors.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을 포함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이싱 서킷에 설치되며,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드론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부, 상기 레이싱 서킷에 설치되고, 엘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의 점등 및 소등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부, 상기 레이싱 서킷에 설치되며, 상기 드론의 움직임을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부 및 상기 레이싱 서킷에서 상기 드론이 움직일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코스 설정부를 포함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and second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including one or more racing circuits, which are installed in the racing circuit,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and detect a drone movement. At least one sensor unit, installed at the racing circuit, including an LED, at least one LED unit for turning on and off the LED, at least one camera unit installed at the racing circuit, and photographing the drone movement; It provides a drone flight training and racing system including a course setting unit for setting at least one of the course and the final destination for the drone to move in the racing circuit.

상기 센서부는 상기 드론이 상기 코스 설정부가 설정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탈하는 경우, 경로 이탈 알림을 발생시키는 이탈 알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departure notific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route departure notification when the drone leaves at least one of a course and a final destination set by the course setting unit.

상기 엘이디부는 상기 코스 설정부가 설정한 코스에 상응하도록 상기 엘이디의 점등 및 소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LED unit may turn on and off the LED so as to correspond to a course set by the course setting unit.

상기 센서부는 상기 드론의 식별번호를 판별하여, 사용자를 판별하는 사용자 식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for determining a user by determining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rone.

상기 센서부는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시간 측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time measuring module configured to measure at least one of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

상기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은 상기 시간 측정 모듈이 측정한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one flight training and rac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output at least one of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 measured by the time measurement module.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시간 측정 모듈이 측정한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관제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may transmit at least one of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 measured by the time measuring module to the control server.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상기 드론의 움직임을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output a movement of the dron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탈 알림 모듈이 발생시킨 경로 이탈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output a path departure notification generated by the departure notification module.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may transmit at least one of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to the user terminal.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에 의하면, 첫 번째로 레이싱 서킷에서 드론이 움직일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설정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레이싱 서킷에 기 설치된 센서부 및 엘이디부를 이용하여 레이싱 서킷의 구조 변경 없이 다양한 코스 및 다양한 최종 목적지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first, at least one of the course and the final destination that the drone will move in the racing circuit is set, and at least one of the set course and the final destination is pre-installed on the racing circuit. By using the sensor unit and the LED unit, various courses and various final destinations can be implemented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racing circuit.

또한, 두 번째로 실내에서 하나 이상의 드론 사용자 간에 레이싱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을 통해 공간적 제약 없이 하나 이상의 드론 사용자 간에 레이싱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econdly, in addition to racing between one or more drone users indoors, one or more racing circuits can be used to enjoy racing between one or more drone users without any space restri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센서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의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ensor unit that i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that can confirm the overall content of the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in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 user's invention in the best way possib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단”,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e “…”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Wealth ”,“… Gi ”,“… However, terms such as “module”, “device”, and the like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 or softwa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selected as widely used as possible terms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etc. .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embodiments.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terms and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rather than simply names of the terms.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exist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ny way should not be excluded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e or uni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in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modules or the units may b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except for the modules or units that need to be implemented with specific hardware, and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processo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t also includes cases where there is.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을 포함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100)은 센서부(110), 엘이디부(120), 카메라부(130) 및 코스 설정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100 including one or more racing circuits includes a sensor unit 110, an LED unit 120, a camera unit 130, and a course setting unit 140. .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10)는 레이싱 서킷에 설치될 수 있으며, 드론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센서부(110)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110 may be installed in the racing circuit, detect the movement of the drone, the sensor unit 110 may be one or more.

또한, 센서부(110)는 드론이 코스 설정부(140)가 설정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탈하는 경우, 경로 이탈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rone leaves at least one of the course and the final destination set by the course setting unit 140, the sensor unit 110 may generate a route departure notification.

그리고 센서부(110)는 드론의 식별번호를 판별하여, 드론의 사용자를 판별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10 may determine the drone's identification number to determine the user of the drone.

또한, 센서부(110)는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110 may measure at least one of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

그리고 코스 설정부(140)는 레이싱 서킷에서 드론이 움직일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The course setting unit 140 may set at least one of a course and a final destination of the drone to move in the racing circuit.

코스 설정부(140)는 기 저장하고 있는 레이싱 서킷에서 드론이 움직일 하나 이상의 코스 중에서 특정 코스를 설정할 수 있다.The course setting unit 140 may set a specific course among one or more courses to which the drone is to move in the pre-stored racing circuit.

또한, 코스 설정부(140)는 기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최종 목적지 중에서 특정 최종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rse setting unit 140 may set a specific final destination among one or more final destinations previously stored.

그리고 코스 설정부(140)가 설정하는 특정 코스 및 특정 최종 목적지는 드론 비행 연습 또는 레이싱이 완료된 후,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cific course and the specific final destination set by the course setting unit 140 may be changed after the drone flight practice or racing is completed.

또한, 엘이디부(120)는 레이싱 서킷에 설치될 수 있고, 엘이디(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엘이디의 점등 및 소등을 수행할 수 있고, 엘이디부(120)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ED unit 120 may be installed in the racing circuit, may include an LED (LED), may be turned on and off the LED, the LED unit 120 may be one or more.

그리고 엘이디부(120)는 코스 설정부(140)가 설정한 코스에 상응하도록 엘이디의 점등 및 소등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D unit 120 may turn on and off the L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urse set by the course setting unit 140.

보다 구체적으로, 엘이디부(120)는 코스 설정부(140)가 설정한 특정 코스 및 특정 최종 목적지에 상응하도록 엘이디의 점등 및 소등을 수행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LED unit 120 may turn on and off the LEDs so as to correspond to a specific course and a specific final destination set by the course setting unit 140.

상술하였듯이 코스 설정부(140)가 레이싱 서킷에서 드론이 움직일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설정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레이싱 서킷에 기 설치된 센서부(110) 및 엘이디부(120)를 이용하여 레이싱 서킷의 구조물 또는 설치물의 물리적인 변경 없이 다양한 코스 및 다양한 최종 목적지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urse setting unit 140 sets at least one of a course and a final destination to which the drone will move on the racing circuit, and at least one of the set course and the final destination is pre-installed on the racing circuit. 120),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courses and various final destinations without physically changing the structure or installation of the racing circuit.

그리고 이러한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자의 드론 비행 연습이 다양한 코스에서 가능하며, 마찬가지로 드론 레이싱도 다양한 코스에서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drone flight practice of the user is possible in a variety of courses, likewise drone racing has the effect that can be enjoyed in a variety of courses.

또한, 카메라부(130)는 레이싱 서킷에 설치되며, 드론의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고, 카메라부(130)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unit 130 is installed in the racing circuit, can shoot the movement of the drone, the camera unit 130 may be one or more.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100)은 센서부(110), 엘이디부(120), 카메라부(130), 코스 설정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100 may include a sensor unit 110, an LED unit 120, a camera unit 130, a course setting unit 140, and a display unit 150. have.

센서부(110), 엘이디부(120), 카메라부(130) 및 코스 설정부(140)는 도 1을 참고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The sensor unit 110, the LED unit 120, the camera unit 130, and the course setting unit 140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디스플레이부(150)는 센서부(110)가 측정한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0 may output at least one of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10.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0)는 카메라부(130)가 촬영한 드론의 움직임을 출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50)는 센서부(110)가 발생시킨 경로 이탈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0 may output the movement of the dron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30, and the display unit 150 may output the path deviation notification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110.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센서부(1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ensor unit 110 of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센서부(110)는 통신 모듈(111), 이탈 알림 모듈(112), 사용자 식별 모듈(113) 및 시간 측정 모듈(114)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ensor unit 11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111, a departure notification module 112,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113, and a time measurement module 114.

보다 구체적으로, 이탈 알림 모듈(112)은 드론이 코스 설정부(140)가 설정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탈하는 경우, 경로 이탈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eparture notification module 112 may generate a route departure notification when the drone leaves at least one of the course and the final destination set by the course setting unit 140.

그리고 사용자 식별 모듈(113)은 드론의 식별번호를 판별하여, 각각의 드론 사용자를 판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13 may determin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rone and determine the user of each drone.

이러한 사용자 식별 모듈(113)이 판별한 드론의 식별번호 및 각각의 드론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부(150)가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0 may output at least one of the drone identification number and each drone user determined by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13.

또한, 시간 측정 모듈(114)은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me measurement module 114 may measure at least one of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50), 사용자 식별 모듈(113) 및 시간 측정 모듈(114)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드론 간에 기록 경쟁과 같은 레이싱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using the display unit 150,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13, and the time measurement module 114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njoy a racing game such as a record competition between one or more drones.

그리고 시간 측정 모듈(114)이 측정한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도 2에서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50)가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may output at least one of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 measured by the time measurement module 114.

또한, 이탈 알림 모듈(112)이 발생시킨 경로 이탈 알림을 도 2에서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50)가 출력할 수 있다.Also, the display 15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may output the path departure notification generated by the departure notification module 112.

통신 모듈(111)은 시간 측정 모듈(114)이 측정한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후술할 관제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11 may transmit at least one of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 measured by the time measuring module 114 to the control server 1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통신 모듈(111)은 시간 측정 모듈(114)이 측정한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식별 모듈(113)이 판별한 드론의 식별번호 및 드론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후술할 관제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11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rone identification number and a drone user whose at least one of the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the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 measured by the time measuring module 114 is determined by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13.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10 to be described later together with at least one.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100)은 관제 서버(10), 사용자 단말(20), 센서부(110), 엘이디부(120), 카메라부(130), 코스 설정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100 includes a control server 10, a user terminal 20, a sensor unit 110, an LED unit 120, a camera unit 130, and a course setting unit ( 140 and the display unit 150.

센서부(110), 엘이디부(120), 카메라부(130), 코스 설정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다.The sensor unit 110, the LED unit 120, the camera unit 130, the course setting unit 140, and the display unit 150 ar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관제 서버(10)는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에서 진행된 레이싱 결과로써, 시간 측정 모듈(114)이 측정한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사용자 식별 모듈(113)이 판별한 드론의 식별번호 및 드론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신 모듈(11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10 is a racing result of one or more racing circuits, and is determined by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13 and at least one of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 measured by the time measurement module 114. At least one of the drone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drone user may b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11.

또한, 관제 서버(10)는 상술한 통신 모듈(111)로부터 수신한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20)로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server 10 may transmit at least one of the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the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11 described above to the user terminal 20.

관제 서버(10)가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20)의 경우, 상술한 사용자 식별 모듈(113)이 판별한 드론 사용자를 통해서 결정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user terminal 20 transmitted by the control server 10, it may be determined through the drone user determined by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13 described above.

즉, 관제 서버(10)는 각각의 드론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각각의 드론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통신 모듈(111)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식별 모듈(113)이 판별한 드론의 식별번호 및 드론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식별된 드론의 드론 사용자가 누군지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server 10 may store the information on each drone user, the information on each stored drone user,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drone determined by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13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11. At least one of the number and the drone user may be compared to determine who the drone user of the identified drone is.

관제 서버(10)는 확인된 드론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기 저장하고 있는 드론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10 may check the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included in the information on the drone user previously stored by using the identified drone user information.

이후, 관제 서버(10)는 확인된 사용자 단말(20)로 통신 모듈(111)로부터 수신한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Thereafter, the control server 10 may transmit at least one of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11 to the identified user terminal 20.

이러한 관제 서버(10)는 통신 모듈(111)로부터 수신된 내용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하나 이상의 드론 사용자 간에 레이싱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을 통해 공간적 제약 없이 하나 이상의 드론 사용자 간에 레이싱을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레이싱 결과를 공간적 제약 없이 사용자 단말(20)로 송신함으로써, 동일한 레이싱 서킷에서 레이싱을 즐기지 않더라도 그 결과를 사용자가 확인하고, 비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10 uses the content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11, so that not only racing between one or more drone users in the room, but also one or more drone users can enjoy racing without spatial constraints through one or more racing circuits. In addition, by transmitting the racing results to the user terminal 20 without spatial constraints, the user can check and compare the results without enjoying the racing in the same racing circuit.

또한, 하나 이상의 카메라부(130)는 촬영한 드론의 움직임에 대한 영상 정보를 관제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ne or more camera units 130 may transmit image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photographed drone to the control server 10.

관제 서버(10)는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부(13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를 레이싱 서킷 별로 분할하여 동시 또는 이시에 디스플레이부(150)로 송신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10 may divid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one or more camera units 130 installed in one or more racing circuits for each racing circuit and transmit the divided image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50 simultaneously or at a time.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0)는 관제 서버(10)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부(130)가 촬영한 드론의 움직임에 대한 영상 정보를 레이싱 서킷 별로 분할하여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0 may output imag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drone photographed by the one or more camera units 130 in each of the racing circuits in one or more racing circuits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10.

이를 이용하여 특정 레이싱 서킷의 디스플레이부(150)는 특정 레이싱 서킷에서 레이싱 중인 드론의 영상뿐만 아니라 다른 레이싱 서킷에서 레이싱을 하고 있는 드론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을 통해 공간적 제약 없이 하나 이상의 드론 사용자 간에 레이싱을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레이싱 결과를 공간적 제약 없이 동일한 레이싱 서킷에서 레이싱을 즐기지 않더라도 그 결과를 사용자가 확인하고, 비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By using this, the display unit 150 of the specific racing circuit may output not only an image of a drone racing on a specific racing circuit but also an image of a drone racing on another racing circuit, by using one or more racing circuits. This allows you to enjoy racing between one or more drone users without spatial constraints, and allows you to see and compare the results without having to enjoy racing on the same racing circuit without spatial constraint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의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도면이다.5 is a view that can confirm the overall content of the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하면, 동일한 센서부(110), 동일한 엘이디부(120) 및 동일한 카메라부(130)가 설치되었음에도, 코스 설정부(140)의 코스 변경에 의해, 물리적인 구조 변경 없이 레이싱 서킷에서 드론이 움직일 코스가 변경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even though the same sensor unit 110, the same LED unit 120, and the same camera unit 130 are installed, the course setting unit 140 changes the course of the racing circuit without 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You can see that the course the drone will move can change.

또한, 상술하였듯이, 센서부(110)는 코스 설정부(140)가 코스 및 최종 목적지를 변경한 경우에, 이를 반영하여, 드론이 코스 설정부(140)가 변경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를 이탈한 경우, 경로 이탈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urse setting unit 140 changes the course and the final destination, the sensor unit 110 reflects this and the drone leaves the course and the final destination changed by the course setting unit 140. In this case, a path departure notification may be generat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Meanwhil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관제 서버 20: 사용자 단말
100: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110: 센서부
111: 통신 모듈 112: 이탈 알림 모듈
113: 사용자 식별 모듈 114: 시간 측정 모듈
120: 엘이디부 130: 카메라부
140: 코스 설정부 150: 디스플레이부
10: control server 20: user terminal
100: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110: sensor unit
111: communication module 112: departure notification module
113: user identification module 114: time measurement module
120: LED unit 130: camera unit
140: course setting unit 150: display unit

Claims (10)

하나 이상의 레이싱 서킷을 포함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이싱 서킷에 설치되며,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드론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부;
상기 레이싱 서킷에 설치되고, 엘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의 점등 및 소등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부;
상기 레이싱 서킷에 설치되며, 상기 드론의 움직임을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부;및
상기 레이싱 서킷에서 상기 드론이 움직일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코스 설정부;
를 포함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In a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comprising one or more racing circuits,
At least one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racing circuit and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and detecting a drone movement;
At least one LED unit installed in the racing circuit and including an LED and configured to turn on and off the LED;
At least one camera unit installed in the racing circuit and configured to photograph the movement of the drone; and
A course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t least one of a course and a final destination of the drone to move in the racing circuit;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that inclu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드론이 상기 코스 설정부가 설정한 코스 및 최종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탈하는 경우, 경로 이탈 알림을 발생시키는 이탈 알림 모듈;
을 포함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unit
A departure notification module configured to generate a route departure notification when the drone leaves at least one of a course and a final destination set by the course setting unit;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that inclu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부는
상기 코스 설정부가 설정한 코스에 상응하도록 상기 엘이디의 점등 및 소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ED part
And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ED is turned on and off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urse set by the course setting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드론의 식별번호를 판별하여, 사용자를 판별하는 사용자 식별 모듈;
을 포함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or unit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for determining a user by determining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rone;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that includ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시간 측정 모듈;
을 포함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nsor unit
A time measurement module configured to measure at least one of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that includ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측정 모듈이 측정한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output at least one of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 measured by the time measuring module;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that includes mor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시간 측정 모듈이 측정한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관제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t least one of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 measured by the time measurement module, to a control serv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상기 드론의 움직임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display unit
Drone flight training and rac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movement of the drone taken by the camera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탈 알림 모듈이 발생시킨 경로 이탈 알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display unit
A drone flight training and rac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path departure notification generated by the departure notification modu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드론의 코스 통과 시간 정보 및 최종 목적지 통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비행 연습 및 레이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server
And at least one of course passing time information and final destination passing time information of the dron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to a user terminal.
KR1020180048159A 2018-04-25 2018-04-25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KR2019012407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159A KR20190124079A (en) 2018-04-25 2018-04-25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159A KR20190124079A (en) 2018-04-25 2018-04-25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079A true KR20190124079A (en) 2019-11-04

Family

ID=68578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159A KR20190124079A (en) 2018-04-25 2018-04-25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407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268B1 (en) * 2020-10-08 2021-02-05 주식회사 조은에듀테크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educational program using drone to prevent dementi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802B1 (en) 2014-04-21 2016-10-07 박근석 Radio-controlled airplane control ability tes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802B1 (en) 2014-04-21 2016-10-07 박근석 Radio-controlled airplane control ability test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268B1 (en) * 2020-10-08 2021-02-05 주식회사 조은에듀테크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educational program using drone to prevent dementi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159B1 (en)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US5474452A (en) Training simulation system for indirect fire weapons such as mortars and artillery
Sharkey Automating warfare: Lessons learned from the drones
US20150278263A1 (en) Activity environment and data system for user activity processing
US10048039B1 (en) Sighting and launching system configured with smart munitions
US20060050929A1 (en) Visual vector display generation of very fast moving elements
US9504907B2 (en) Simulated shooting system and method
KR102446630B1 (en) Gam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optical narrowcasting
US10593224B2 (en) Tactical engagement simulation (TES) ground-based air defense platform
Franke The global diffus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or ‘drones'
EP3532859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light-modulated signals in a video stream
Card Terror from above: How the commercial unmanned aerial vehicle revolution threatens the US threshold
KR20190124079A (en)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Rathnayake Usage of mixed reality for military simulations
US20150080071A1 (en) Augmented reality firearm combat simulator
KR101900859B1 (en) Drone game system
US20150265917A1 (en) Game apparatus
US11976905B2 (en) Target systems and related methods
Card The Commercialization of UAVs: How Terrorists Will Be Able to Utilize UAVs to Attack the United States
KR20190139381A (en)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tergrated management system
US20140199661A1 (en) Threat Training System and Method Using Simulated Projectiles
Proietti et al. Modelling and simulation to support the counter drone operations (NMSG-154)
WO2022061712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battle method, unmanned aerial vehicle battle control apparatus, unmanned aerial vehicle, and storage medium
US20230010941A1 (en) Detecting an in-field event
US9782667B1 (en) System and method of assigning a target profile for a simulation shoot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