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245B1 - Drone racing game system - Google Patents

Drone racing gam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245B1
KR101857245B1 KR1020170119683A KR20170119683A KR101857245B1 KR 101857245 B1 KR101857245 B1 KR 101857245B1 KR 1020170119683 A KR1020170119683 A KR 1020170119683A KR 20170119683 A KR20170119683 A KR 20170119683A KR 101857245 B1 KR101857245 B1 KR 101857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unit
sensor
gate
r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6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성용
박지현
서연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젠드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젠드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젠드론
Priority to KR1020170119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2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2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14Racing games, traffic games, or obstacle games characterised by figures moved by action of the players
    • A63F9/143Racing games, traffic games, or obstacle games characterised by figures moved by action of the player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48Output devices
    • A63F2009/245Output devices visual
    • A63F2009/2451Output devices visual using illumination, e.g. with lamps
    • A63F2009/2454Output devices visual using illumination, e.g. with lamps with L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52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with a remot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17Driving on land or water; Flying

Abstract

A drone racing gam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sensor gates having a constant structure shape, formed with a racing course at regular intervals in a racing space, detecting whether or not a drone controlled by a game participant passes the racing course, and transmitting detected droning detection information to a gamer terminal possessed by the game participant in real time, respectively; the gamer terminal incorporating a game application for receiving the droning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sensor gates in real time to enable a drone racing game to be implemented on-line; and a game operation server for communicating with the gamer terminal and providing the game participant with a comprehensive service for operating the drone racing game.

Description

드론 레이싱 게임 시스템{DRONE RACING GAME SYSTEM}{DRONE RACING GAME SYSTEM}

본 발명은 드론 레이싱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구조물 형상을 가지고, 레이싱 공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레이싱 코스를 형성하며, 게임 참가자가 조종한 드론이 상기 레이싱 코스를 통과 하였는지를 검지하고, 검지된 드론 검지 정보를 게임 참가자가 소지한 게이머 단말로 실시간 전송하는 각각의 센서 게이트들; 상기 센서 게이트들로부터 상기 드론 검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드론 레이싱 게임을 온라인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게임 앱을 내장하고 있는 게이머 단말; 및 상기 게이머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드론 레이싱 게임의 운영 시 필용한 종합 서비스를 게임 참자가에게 제공하는 게임 운영서버를 포함함으로써, 게임 참가자에게 실내외에서 기종에 관계없이 소형 드론을 이용하여 온/오프 라인 상의 드론 레이싱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드론 레이싱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gon racing gam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gon racing game system having a constant structure and having a predetermined spacing in a racing space to form a racing course, and detecting whether a dragon controlled by a game participant has passed the racing course Each of the sensor gates transmitting the detected droning information to the gamer terminal possessed by the game participant in real time; A gamer terminal having a game app for receiving the droning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sensor gates in real time to enable a drone racing game to be implemented on-line; And a game operation server for communicating with the gamer terminal and providing the gamer with a comprehensive service for operating the dragon racing game, / On-line drone racing game.

영어로 수벌을 뜻하는 드론(drone)은 언뜻 보기에 장난감 같지만, 소음이 적어 펭귄이나 물개, 및 고래에게 가까이 접근하여 영향을 주지 않고 사진을 찍을 수 있다. A drone in English is a toy that looks like a toy at first glance, but because of its low noise it can be taken close to penguins, seals, and whales to take pictures without affecting them.

다시 말해, 여섯 개의 회전날개를 가진 소형 무인항공기인 드론을 이용하면 남극에 사는 펭귄 및 물개무리를 촬영하기 위하여 비행기에 탑승한 카메라 맨도, 인공위성도 필요 없다. In other words, using a drone, a small unmanned aircraft with six rotating wings, does not require an airplane cameraman or a satellite to photograph an Antarctic penguin and seals.

여기서, 드론의 내부에는 위성항법장치(GPS)와 3차원 공간에서 회전 상태를 파악하는 자이로스코프, 이동 상태를 알려주는 가속도 센서를 장착하고 있다.Inside the drones, there are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 gyroscope for detecting the rotation state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an acceleration sensor for indicating the moving state.

또한, 드론은 군대에서도 활용이 되며, 군대에서 드론을 쓰는 이유는 조종사가 안전한 지상 기지에서 드론이 보내온 영상을 보며 적진을 구별하고 공격 지시를 내리면 되기 때문에 인명손상에 대한 우려가 없다. Also, the drones are used in the army, and the reason for using the drone in the military is that there is no fear of human injury because the pilot can see the images sent by the drones at the safe ground base,

과학자들이 드론에 주목한 이유도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귀중한 연구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The reason why scientists pay attention to the drones is that they can get valuable research information even in places that are difficult to access.

이제는 원래 국제분쟁 지역에서 적진을 정찰하고 파괴하는 데 주로 쓰이던 드론은, 야생동물을 관찰하고 밀렵을 감시하는 데서부터 허리케인과 화산으로 비행해 촬영하는 위험한 임무를 수행하는 데까지 광범위 하게 이용되고 있다. Now used primarily for scouting and destroying enemies in international conflict areas, drones are used extensively to monitor wildlife, monitor poaching, perform hurricanes and volcanic hazards, and perform dangerous missions.

한편 이러한 드론은 개인의 취미활동으로 개발되어 상품화된 것도 많이 있는데, 최근에는 드론 경주 대회가 많이 개최 되며 드론 레이싱이 21세기의 새로운 스포츠로 떠오르고 있다. Meanwhile, many of these drones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as personal hobbies. Recently, many drone racing competitions have been held, and drone racing has emerged as a new sport of the 21st century.

하지만 종래 기술은 게임 참가자에게 실내외에서 기종에 관계없이 소형 드론을 이용하여 온/오프 라인 상의 드론 레이싱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드론 레이싱 게임 시스템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a game player with a dragon racing game system which allows a player to enjoy a dragon racing game on / off line by using a small dragon regardless of the model in indoor or outdoor.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3862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3862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정한 구조물 형상을 가지고, 레이싱 공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레이싱 코스를 형성하며, 게임 참가자가 조종한 드론이 상기 레이싱 코스를 통과 하였는지를 검지하고, 검지된 드론 검지 정보를 게임 참가자가 소지한 게이머 단말로 실시간 전송하는 각각의 센서 게이트들; 상기 센서 게이트들로부터 상기 드론 검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드론 레이싱 게임을 온라인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게임 앱을 내장하고 있는 게이머 단말; 및 상기 게이머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드론 레이싱 게임의 운영 시 필용한 종합 서비스를 게임 참자가에게 제공하는 게임 운영서버를 포함함으로써, 게임 참가자에게 실내외에서 기종에 관계없이 소형 드론을 이용하여 온/오프 라인 상의 드론 레이싱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드론 레이싱 게임 시스템 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cing course which has a certain structure and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racing space to form a racing course and detects whether a dron controlled by a game participant has passed the racing course, Each sensor gate for transmitting sensing information to a gamer terminal possessed by a game participant in real time; A gamer terminal having a game app for receiving the droning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sensor gates in real time to enable a drone racing game to be implemented on-line; And a game operation server for communicating with the gamer terminal and providing the gamer with a comprehensive service for operating the dragon racing game, / It is to provide a drone racing game system which enables to enjoy a drone racing game on the off-line.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레이싱 게임 시스템 은, 일정한 구조물 형상을 가지고, 레이싱 공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레이싱 코스를 형성하며, 게임 참가자가 조종한 드론이 상기 레이싱 코스를 통과 하였는지를 검지하고, 검지된 드론 검지 정보를 게임 참가자가 소지한 게이머 단말로 실시간 전송하는 각각의 센서 게이트들; 상기 센서 게이트들로부터 상기 드론 검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드론 레이싱 게임을 온라인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게임 앱을 내장하고 있는 게이머 단말; 및 상기 게이머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드론 레이싱 게임의 운영 시 필용한 종합 서비스를 게임 참자가에게 제공하는 게임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agon racing game system having a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structure an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racing space to form a racing course, Each of the sensor gates detecting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droning information to the gamer terminal possessed by the game participant in real time; A gamer terminal having a game app for receiving the droning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sensor gates in real time to enable a drone racing game to be implemented on-line; And a game operation server that communicates with the gamer terminal and provides the gamer with a comprehensive service for operating the dragon racing game.

본 발명은 게임 참가자에게 실내외에서 기종에 관계없이 소형 드론을 이용하여 온/오프 라인 상의 드론 레이싱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chnical effect that allows a game participant to enjoy a dragon racing game on / off line by using a small dron regardless of the model, indoors and outdoors.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실 내외에서 드론 레이싱 게임을 구현하기 위한 주변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도 1a의 실 내외에서 드론 레이싱 게임을 구현하기 위한 주변 환경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게이트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도 2a의 구성 중 적외선 발광소자와 적외선 수광소자 간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센서 게이트 처리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게이머 단말에 내장된 게임 앱의 실행을 위한 주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운영 서버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FIG. 1A is a schematic view of a surrounding environment for implementing a drone racing game in and out of a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pecifically shows a surrounding environment for implementing a drone racing game in and out of the room of FIG. 1A.
2A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nsor g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infrared light-emitting device and the infrared light-receiving devic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2A.
FIG. 2C shows a main configuration of the sensor gate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 main configuration for executing a game app built in a gam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 main configuration of a game operation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실 내외에서 드론 레이싱 게임을 구현하기 위한 주변 환경을 나타낸 것이다. FIGS. 1A and 1B illustrate a surround environment for implementing a drone racing game in and out of a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레이싱 게임 시스템은 센서 게이트 그룹(100), 게이머 단말(200) 및 게임 운영서버(300)를 포함한다. 1A and 1B, a drone racing gam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gate group 100, a gamer terminal 200, and a game operation server 300.

센서 게이트 그룹(100)은 제1 센서 게이트(100-1) ~ 제n 센서 게이트(100-n)를 포함하며, 게임 참가자(게이머)가 레이싱 실내 공간(R10)에서 조종한 드론(10)이 레이싱 코스를 형성하는 센서 게이트들(100-1 ~ 100-n)을 통과 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검지된 결과는 게임 참가자가 소지한 게이머 단말(200)에 내장된 게임 앱(Application, 210)으로 무선 전송되며, 또한 상기 게임 앱(Application, 210)에서 전송한 명령에 따라 각종 출력을 실행 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a ~ 도 2c에서 후술한다. The sensor gate group 100 includes a first sensor gate 100-1 to an nth sensor gate 100-n. The sensor gate group 100 includes a dron 10 controlled by a game participant (gamer) in a racing indoor space R10 (100-1 to 100-n) that form the racing course, and the detected result is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game application (100) included in the gamer terminal (200) (Application) 210, and various outputs can be executed according to a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game application 21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2C.

여기서 레이싱 실내 공간(R10)은 실내에서 주로 오프 라인(Off line) 또는 온 라인(On line) 상의 드론 레이싱 게임(drone racing game)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일정한 영역의 공간을 의미하며, 이 경우 센서 게이트들(100-1 ~ 100-n)은 도 1b에 도시된 바대로, 일정한 형상(이를테면, 드론이 통과할 수 있는 가운데가 빈 원형 모양 등)을 가지며, 실내 공간의 일정 위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레이싱 코스(이를테면, 제1 센서 게이트, 제2 센서 게이트, 제3 센서 게이트 및 제4 센서 게이트 순으로 원형 트랙을 형성하며, 이들 각각은 약속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Here, the racing indoor space R10 is a space in a certain area formed in the room so as to perform a drone racing game on an off line or an on line basis.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B, the gates 100-1 to 100-n have a certain shape (for example, a hollow circular shape in which the drone can pass through) And arranged to form a circular track in the order of a racing course (e.g., a first sensor gate, a second sensor gate, a third sensor gate and a fourth sensor gate, each of which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드론(10)은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무선전파 유도에 의해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항공기를 총칭하며, 이 경우 드론(drone)은 비행 중 고도를 유지하는 상태로 한 위치에 머무르거나, 전후좌우 및 상하 움직임이 용이한 일명'멀티콥터'형태를 가질 수 있고, 실내 공간에 설치된 센서 게이트들(100-1 ~ 100-n)을 자유로이 통과 할 수 있는 작은 사이즈의 소형 드론을 사용할 수 있다. The drone 10 is a generic term for an airplane or a helicopter-like aircraft capable of flying and steerable by a radio wave induction without a pilot, in which case the drone is maintained in a position Or a so-called 'multi-copter' shape in which the sensor gates 100-1 to 100-n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can freely pass therethrough. .

상기 게임 앱(Application, 210)은 게임 참가자의 조작에 따라 드론 레이싱(drone racing)의 시작 및 종료를 수행하고, 레이싱 중에는 드론의 센서 게이트들(100-1 ~ 100-n)의 통과 정보에 타임 태그(Time tag)를 붙여 관리하며, 게임 종료 시 기록을 합산하고, 온 라인 상의 게임 운영서버(300)와 연결되어 요청된 정보를 제공하며, 참가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표시 하는 기능을 갖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한다. The game application 210 starts and ends drone racing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game participant, and during racing, the game application (application) 210 receives time information of the sensor gates 100-1 to 100-n (Time tag), adds the records at the end of the game, connects with the on-line game operation server 300 to provide the requested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participant. A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given later in Fig.

게이머 단말(200)은 드론 레이싱 게임에 참여하는 게임 참가자(게이머)가 소지한 이동 단말로, 이를테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등을 사용하여 무선이동 통신으로 센서 게이트들(100-1 ~ 100-n) 또는 게임 운영서버(300)와 통신이 가능한 모든 기기를 포함한다. The gamer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sensor gates 100-1 to 100-n through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using a mobile terminal owned by a game participant (gamer) participating in a dragon racing gam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n) or all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game operation server 300. [

게임 운영서버(300)는 네트워크(N10)를 통해 게이머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하여, 온 라인 상의 게임 참가자들에게 이를테면, 가입자 관리, 게임 등록, 게임 실행 및 게임 기록 관리 등의 각종 온 라인 게임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에서 후술한다. The game operation server 300 communicates with the gamer terminal 200 via the network N10 to provide game participants on-line with various on-line services such as subscriber management, game registration, game execution, A specific servic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여기서 네트워크(N10)는 이를테면, 지그비(Zigbee), 알에프(RF), 와이파이(WiFi), 3G, 4G, LTE, LTE-A,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의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이를테면, 전력선통신(PLC) 등), 인터넷,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Here, the network N10 may be, for exampl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RF, WiFi, 3G, 4G, LTE, LTE-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etc.), the Internet, and Social Network Service (SNS).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게이트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2A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nsor g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센서 게이트(100)는 게이트부(110) 및 센서 게이트 모듈부(1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A, the sensor gat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te portion 110 and a sensor gate module portion 120.

우선 게이트부(110)는 드론(10)이 통과하는 구조물, 상기 드론(10)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출력 소자가 형성 되는 부분으로써, 적외선 발광소자(111), 적외선 수광소자(112), 엘이디 디스플레이(113) 및 스피커(114)를 포함한다. The gate 110 includes a structure through which the drone 10 passes, a sensor for sensing the drone 10, and an output device. The gate 110 includes an infrared ray emitting element 111, an infrared ray receiving element 112, A display 113 and a speaker 114. [

적외선 발광소자(111)는 센서 게이트들(100-1 ~ 100-n)을 통과하는 드론(10)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이를테면 엘이디(LED)를 이용하여 적외선(IR) 영역의 빛을 발광하도록 한다.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evice 111 is for sensing the drones 10 that pass through the sensor gates 100-1 to 100-n. For example,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evice 111 emits light in an infrared (IR) .

적외선 수광소자(112)는 센서 게이트들(100-1 ~ 100-n)을 통과하는 드론(10)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111)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111)에서 발광한 적외선의 빛을 수광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의 배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b에서 후술한다. The infrared light receiving element 112 is for sensing the drones 10 passing through the sensor gates 100-1 to 100-n and is formed as a pair with the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s 111, 111,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B.

엘이디 디스플레이(113)는 게임 참가자가 소지한 게이머 단말(200)에 내장된 게임 앱(Application, 210)에서 전송된 출력 명령 신호에 따라 일정한 패턴을 화면에 출력하도록 해주는데, 이 경우 출력 장치로 엘이디(LED) 소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LED display 113 allows a certain patter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an output command signal transmitted from a game application (Application) 210 built in the gamer terminal 200 possessed by the game participant. In this case, LED) element or the like can be used.

이 경우 일정한 패턴은 이를테면, 드론이 통과 하면'센서게이트에 부착된 LED가 2회 깜박 인다'또는 마지막 라운드에서는'빨간색으로 불빛이 바뀐다'등의 메시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는 게임 참가자(게이머)가 소지한 게이머 단말(200)로 전송된다. In this case, a certain pattern may have a message form such as 'the LED attached to the sensor gate flickers twice' when the drone passes or 'red light turns' in the last round, To the gamer terminal 200 owned by the gamer.

스피커(114)는 게임 참가자가 소지한 게이머 단말(200)에 내장된 게임 앱(Application, 210)에서 전송된 출력 명령 신호에 따라 음향(이를테면, 소리, 부저, 음성 등)을 출력하도록 해준다. The speaker 114 allows the user to output sounds (such as sound, buzzer, voice, etc.) according to the output comma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game application (application) 210 built in the gamer terminal 200 possessed by the game participant.

다음으로 센서 게이트 모듈부(120)는 상기 게이트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종 신호처리, 통신 및 제어를 담당하는 모듈(module)로써, 전원부(121), 무선 통신모듈(122), 유선 통신모듈(123) 및 메인 프로세스 유닛(MPU, 125)을 포함한다. The sensor gate module unit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unit 110 to perform various signal processing, communication, and control operations. The module includes a power source unit 121,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2, A communication module 123 and a main process unit (MPU) 125.

전원부(121)는 일정한 직류(DC) 전원을 인가하여 내부의 전기 기기들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해준다. The power unit 121 applies a constant direct current (DC) power so that the internal electric devices can operate stably.

무선 통신모듈(122)은 외부의 게이머 단말(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이 경우 무선 통신으로 이를테면, 지그비(Zigbee), 알에프(RF), 와이파이(WiFi), 3G, 4G, LTE, LTE-A,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2 enable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gamer terminal 200.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2 can be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RF, WiFi, , LTE, LTE-A, and 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유선 통신모듈(123)은 상기 무선 통신모듈(122)에 비해 더 단순하고, 저렴한 게이트 구성을 위해, 유선 센서 게이트를 확장할 수 있는 통신 포트를 제공하는데, 이 경우 유선 통신으로 이를테면, 전력선통신(PLC)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123 provides a communication port that can extend the wired sensor gates for simpler and less expensive gating configurations tha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2. In this case, PLC) can be used.

메인 프로세스 유닛(MPU, 125)은 내부에 소프트웨어(S/W) 기능을 갖는 센서 게이트 처리부(125S)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게이트부(110), 상기 전원부(121), 상기 무선 통신모듈(122) 및 상기 유선 통신모듈(123)을 제어함으로써, 드론(10)이 해당 센서 게이트들(100-1 ~ 100-n)을 통과 하였는지에 대한 검지 결과를 게임 앱(Application, 210)으로 무선 전송하고, 또한 상기 게임 앱(Application, 210)에서 전송한 명령에 따라 각종 출력을 실행 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상기 센서 게이트 처리부(125S)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c에서 후술한다. The main process unit (MPU) 125 stores therein a sensor gate processing unit 125S having a software (S / W) function. The gate unit 110, the power unit 121,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2 ) And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123 to wirelessly transmit the detection result of whether the drones 10 have passed through the sensor gates 100-1 to 100-n to the game application (application 210) In addition, various outputs can be executed according to a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game application (application) 21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nsor gate processing unit 125S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C.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도 2a의 구성 중 적외선 발광소자와 적외선 수광소자 간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FIG. 2B i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infrared light-emitting device and the infrared light-receiving devic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2A.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센서 구조물은 하부에 배치된 적외선 발광소자(111)와,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111)와 대향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부에 배치된 적외선 수광소자(112)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2B, the senso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 111 dispos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n infrared light receiving element 112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 111, do.

이 경우 드론(10)이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111)와 상기 적외선 수광소자(112)가 이루는 공간을 비행하여 통과할 때,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111)에서 방출된 적외선(2)이 드론(10)에 의해 가려짐에 따라 상기 적외선 수광소자(112)를 통해 수광된 적외선(2)의 세기가 이전의 수광 값보다 작아진 것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드론(10)이 센서 게이트를 통과 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when the drone 10 passes through the space formed by the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 111 and the infrared light receiving element 112, the infrared ray 2 emitted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 111 passes through the drones 10 It is checked whether the intensity of the infrared ray 2 received through the infrared ray receiving element 112 has become smaller than the previous light receiving value by checking whether the dron 10 has passed through the sensor gate .

이 때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111)의 적외선(IR) 출력은 자연 발생적인 적외선(IR) 신호 및 생활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적외선(IR) 신호와 구분하기 위해 수십 KHz 이상으로 변조된 구형파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infrared (IR) output of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evice 111 uses a square wave modulated at several tens of KHz or more to distinguish it from a naturally occurring infrared (IR) signal and an infrared (IR) desirable.

이를테면, 적외선 발광소자(111)의 적외선(IR) 출력으로 50KHz로 변조된 구형파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자연에서는 50KHz와 같은 일정주기의 IR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50KHz로 변조된 신호가 수신되었을 경우에만 유효한 신호라고 판단이 가능해 지는 원리를 통해, 이 신호가 가려지면 적외선 발광소자(111)와 적외선 수광소자(112) 사이에 어떤 물체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a rectangular wave modulated at 50 KHz may be used as the infrared (IR) output of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evice 111. Since a constant period IR signal such as 50 KHz is not generated in nature, when a signal modulated at 50 KHz is received It can be determined that an object exists between the infrared ray emitting element 111 and the infrared ray receiving element 112 when the signal is blocked.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대로, 센서 구조물의 하 방향에서 상 방향으로 적외선(2)을 송출하도록 배치하여 드론(10)의 비행 방향과 적외선(2)의 송출 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함으로써, 외란(disturbance) 신호에 유리 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2B, by arranging the infrared ray 2 so as to be emitted upward from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sensor structure, the flight direction of the drones 10 and the delivery direction of the infrared rays 2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urbance signal is advantageous.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센서 게이트 처리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FIG. 2C shows a main configuration of the sensor gate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센서 게이트 처리부(S/W, 125S)는 센서 검지부(10S), 신호 처리부(20S), 통신 처리부(30S), 출력명령 처리부(40S), 디스플레이부(50S) 및 음향 출력부(60S)를 포함한다. 2C, a sensor gate processing unit (S / W) 125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detection unit 10S, a signal processing unit 20S, a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30S, an output command processing unit 40S, a display unit 50S And an acoustic output unit 60S.

센서 검지부(10S)는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111) 및 상기 적외선 수광소자(112)를 통해 검지된 드론(10)의 센서 게이트들(100-1 ~ 100-n)에 대한 게이트 통과 정보를 수신한다. The sensor detection unit 10S receives gate passage information for the sensor gates 100-1 to 100-n of the drones 10 detected through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evice 111 and the infrared light receiving element 112 .

이 경우 게이트 통과 정보는 이를테면, 드론(10) 별 통과 위치, 통과 시간, 통과 속도, 코스 정보, 코스 숫자 정보, 순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gate passin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passing position, a passing time, a passing speed, a course information, a course number information, a rank, and the like for each dron 10.

신호 처리부(20S)는 상기 센서 검지부(10S)에서 수신한 신호를 필터 처리하고 드론의 게이트 통과 신호를 정보화하여 드론 검지 정보를 출력한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S filters the signal received by the sensor detection unit 10S and informs the gate passage signal of the drones to output the droning detection information.

통신 처리부(30S)는 상기 신호 처리부(20S)에서 출력한 드론 검지 정보를 외부의 게임 앱(210)으로 실시간 전송하고, 상기 게임 앱(210)이 전송한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다.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30S transmits drones detec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S to the external game application 210 in real time and receives the command message transmitted by the game application 210. [

출력명령 처리부(40S)는 상기 통신 처리부(30S)로부터 상기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50S) 또는 음향 출력부(60S)의 출력을 지시한다. The output command processing unit 40S receives the command message from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30S and directs the output of the display unit 50S or the sound output unit 60S.

디스플레이부(50S)는 상기 출력명령 처리부(40S)의 출력 명령에 따라 해당하는 패턴을 엘이디 디스플레이(113)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해준다. The display unit 50S visually displays the corresponding pattern on the LED display 113 according to the output command of the output command processing unit 40S.

음향 출력부(60S)는 상기 출력명령 처리부(40S)의 출력 명령에 따라 해당하는 음향을 스피커(114)를 통해 출력하도록 해준다. The sound output unit 60S allows the corresponding sound to be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114 according to the output command of the output command processing unit 40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게이머 단말에 내장된 게임 앱의 실행을 위한 주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FIG. 3 shows a main configuration for executing a game app built in a gam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게이머 단말(200)에 내장된 게임 앱(210)은, 서버 통신 처리부(211), 참가자 접속관리부(212), 온라인 게임 설정관리부(213), 센서 게이트 통신 처리부(214), 게임 실행 엔진부(215), 게임 GUI부(216) 및 게임 환경 설정부(217)를 포함한다. 3, the game application 210 embedded in the gamer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11, a participant access management unit 212, an online game setting management unit 213, A game execution engine unit 215, a game GUI unit 216, and a game environment setting unit 217. The game execution unit 215,

이 경우 서버 통신 처리부(211)는 내부에 구성된 참가자 접속관리부(212) 및 온라인 게임 설정관리부(213)와 연동되어, 외부의 게임 운영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게임 참가자들이 온 라인 상으로 드론 레이싱 게임(drone racing game)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In this case, the server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11 interlocks with the participant access management unit 212 and the online game setting management unit 213 configured in the internal, and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game operation server 300, It allows you to perform a drone racing game.

참가자 접속관리부(212)는 게임 운영 서버(300)에서 요구하는 회원인증 및 참가 관련 인증을 수행한다. The participant access management unit 212 performs the member authentication and participation related authentication requested by the game operation server 300. [

온라인 게임 설정관리부(213)는 게임종류의 선택(이를테면, 2 Gate 형 게임, 3 Gate 형 게임, 단독 타임 챌린지 등)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online game setting management unit 213 performs a function of in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selection of a game type (for example, a 2-gate type game, a 3-Gate type game, a single time challenge, etc.).

한편 센서 게이트 통신 처리부(214)는 내부에 구성된 게임 실행 엔진부(215), 게임 GUI부(216) 및 게임 환경 설정부(217)와 연동되어, 외부의 센서 게이트(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게임 참가자들이 온 라인 또는 오프 라인 상으로 드론 레이싱 게임(drone racing game)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Meanwhile, the sensor gat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14 interlocks with the game execution engine unit 215, the game GUI unit 216, and the game environment setting unit 217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sensor gate 100 Allowing game participants to perform a drone racing game on-line or off-line.

이 경우 게임 실행 엔진부(215)는 '게임시작' 에서부터 '게임종료'까지의 모든 제어, 모니터링, 정보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In this case, the game execution engine unit 215 performs all the functions of controlling, monitor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from 'game start' to 'game end'.

게임 GUI부(216)는 상기 게임 실행 엔진부(215)의 처리상황을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game GUI unit 216 displays the processing state of the game execution engine unit 215 on the terminal screen.

게임 환경 설정부(217)는 현재 단말기에 연결된 센서 게이트(100)의 종류 및 개수 등의 장치관련 정보 설정을 수행한다. The game environment setting unit 217 sets device 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and the number of the sensor gate 100 connected to the current terminal.

한편 게임 실행 엔진부(215)는 서버 통신 처리부(211)를 통하여 현재 원격지 온라인에서 게임에 참여하고 있는 참가자의 스코어, 순위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게임 GUI부(216)로 전송 하고, 또한 내부 게임 상황을 게임 운영서버(300)로 실시간 송신한다. On the other hand, the game execution engine unit 215 receives information such as the score, ranking, etc. of the participants currently participating in the game in the remote place online in the real time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11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game GUI unit 216, And transmits the internal game situation to the game operation server 300 in real time.

또한 게임 실행 엔진부(215)는 온라인 게임 설정관리부(213)로부터 선택된 게임의 종류 조건 등의 정보를 받아 게임 실행을 준비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game execution engine unit 215 receives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of the game selected from the online game setting management unit 213, and also performs a function of preparing for game execu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운영 서버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FIG. 4 shows a main configuration of a game operation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운영 서버(300)는 게임 참가자 관리부(310), 드론 정보 관리부(320), 통신부(330), 데이터베이스 부(340), 게임 실행 서비스부(350), 게임 영상 관리부(360), 실시간 게임 랭킹관리부(370), 게임 이력관리부(38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한다. 4, a game operation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me participant management unit 310, a dron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20, a communication unit 330, a database unit 340, a game execution service unit 350, A game image management unit 360, a real time game ranking management unit 370, a game history management unit 380, and a control unit 390.

게임 참가자 관리부(310)는 드론 레이싱 게임(drone racing game)에 참여하는 참가자 정보를 관리하는데, 여기서 참가자 정보는 이를테면, 이름, 성별, 회원 ID 정보, 패스워드, 게임 레벨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ame participant management unit 310 manages participant information participating in a drone racing game, where the participa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name, sex, member ID information, password, game level, and the like .

드론 정보 관리부(320)는 드론 레이싱 게임(drone racing game)에 참여하는 참가가가 소지한 드론에 대한 각종 정보를 관리하는데, 여기서 드론 정보는 이를테면, 드론의 형태, 사이즈, 무게, 연식, 협회 등록 여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one information managing unit 320 manages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about the drones of the participant participating in the drone racing game. Here, the dron information includes, for example, the shape, size, weight, And the like.

통신부(330)는 외부의 게이머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이를테면, 지그비(Zigbee), 알에프(RF), 와이파이(WiFi), 3G, 4G, LTE, LTE-A,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의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이를테면, 전력선통신(PLC) 등), 인터넷,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330 provides an interface capabl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gamer terminal 200 such as Zigbee, RF, WiFi, 3G, 4G, LTE, LTE-A ,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reless broadband Internet, or wired communication (such as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the Internet, and social network service (SNS).

데이터베이스 부(340)는 이를테면, 드론 레이싱 게임(drone racing game)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들을 메모리에 미리 저장하고 있거나, 상기 제어부(390)를 통해 처리된 각종 데이터들을 메모리에 저장하는데, 이 경우 저장매체로 플래시 메모리 등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The database unit 340 stores in advance various programs necessary for operating the drone racing game, for example, or stores various data processed through the control unit 390 in a memory. In this case, As the medium,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flash memory can be used.

게임 실행 서비스부(350)는 참여자가 게임 모드별(이를테면, 개인 챌린지 게임, 단체 레이싱 게임 등)로 게임을 실행할 수 있도록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game execution service unit 350 provides various services such that the participant can play the game according to the game mode (for example, a personal challenge game, a group racing game, etc.).

이를 부연설명하면, 게임 실행 서비스부(350)는 원격지 다수의 게임 참가자를 온라인상에서 함께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주체로서, 각지에서 벌어지는 각 참가자 게임의 상황 정보를 실시간 수집하여 가공 처리한 정보를 참가자의 게임 단말(200)로 실시간 재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other words, the game execution service unit 350 is a main body that allows a plurality of game participants in a remote place to play a game together online. The game execution service unit 350 collects the situation information of each participant game, To the game terminal 200 of the game terminal 200 in real time.

게임 영상 관리부(360)는 레이싱 실내 공간(R10)에 설치된 카메라들(미 도시)이 촬영한 드론(10)들의 경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 및 저장하고, 게임 참여자가 소지한 게이머 단말(200)로 실시간 전송해 준다. The game image management unit 360 receives and stores the game image of the drone 10 photographed by cameras (not shown) installed in the racing indoor space R10 in real time and controls the gamer terminal 200 held by the game participant Real-time transmission.

실시간 게임 랭킹관리부(370)는 게임 참여자들의 각각의 드론(10)이 레이싱 코스에 설치된 센서 게이트들(100-1 ~ 100-n)을 통과하는 각각의 시간을 체크하여, 게임 참여자에게 실시간으로 게임 순위를 제공해준다. The real time game ranking management unit 370 checks each time the respective drones 10 of the game participants pass through the sensor gates 100-1 to 100-n installed in the racing course, It provides rankings.

게임 이력관리부(380)는 게임 참여자들의 게임 이력 정보(이를테면, 게임 랭킹, 게임 참여 일자, 게임 영상, 게임 노하후 등)를 관리하며, 필요 시 회원들에게 상기 게임 이력 정보를 제공하여 드론 레이싱 게임에 대한 정보공유를 통한 실력 향상, 흥미 유발, 홍보 등을 도모함이 바람직하다. The game history management unit 380 manages game history information of game participants (such as game ranking, game participation date, game image, game after-game), and provides the game history information to members when necessary, It is desirable to improve the skill through information sharing, induce interest, and promote public relations.

제어부(390)는 게임 참가자 관리부(310), 드론 정보 관리부(320), 통신부(330), 데이터베이스 부(340), 게임 실행 서비스부(350), 게임 영상 관리부(360), 실시간 게임 랭킹관리부(370) 및 게임 이력관리부(380)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390 includes a game participant management unit 310, a dron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20, a communication unit 330, a database unit 340, a game execution service unit 350, a game image management unit 360, 370 and the game history management unit 380. [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0 : 센서 게이트 그룹
100-1 ~ 100-n : 제1 센서 게이트 ~ 제n 센서 게이트
110 : 게이트 부
111 : 적외선 발광소자 112 : 적외선 수광소자
113 : 엘이디 디스플레이 114 : 스피커
120 : 센서 게이트 모듈부
121 : 전원부 122 : 무선 통신 모듈부
123 : 유선 통신 모듈부 125 : 메인 프로세스 유닛(MPU)
200 : 게이머 단말
300 : 게임 운영 서버
100: sensor gate group
100-1 to 100-n: first sensor gate to nth sensor gate
110:
111: Infrared ray emitting element 112: Infrared ray receiving element
113: LED display 114: speaker
120: Sensor gate module section
121: power supply unit 122: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nit
123: wired communication module unit 125: main process unit (MPU)
200: Gamer terminal
300: Game Operation Server

Claims (7)

일정한 구조물 형상을 가지고, 레이싱 공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레이싱 코스를 형성하며, 게임 참가자가 조종한 드론이 상기 레이싱 코스를 통과 하였는지를 검지하고, 검지된 드론 검지 정보를 게임 참가자가 소지한 게이머 단말로 실시간 전송하는 각각의 센서 게이트들;
상기 센서 게이트들로부터 상기 드론 검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드론 레이싱 게임을 온라인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게임 앱을 내장하고 있는 게이머 단말; 및
상기 게이머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드론 레이싱 게임의 운영 시 필용한 종합 서비스를 게임 참자가에게 제공하는 게임 운영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게이트들은,
상기 드론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출력 소자가 상기 구조물 형상에 설치되는 게이트부; 및
상기 게이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처리, 통신 및 제어를 수행하는 센서 게이트 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부는,
상기 드론이 상기 레이싱 코스를 통과 하였는지를 검지하기 위해, 엘이디(LED)를 이용하여 적외선(IR)을 발광하는 적외선 발광소자;
상기 드론이 상기 레이싱 코스를 통과 하였는지를 검지하기 위해,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가 발광한 적외선(IR)을 수광하는 적외선 수광소자;
상기 센서 게이트 모듈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일정한 패턴을 엘이디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엘이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센서 게이트 모듈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일정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는 적외선(IR) 출력으로 50KHz로 변조된 구형파를 사용하며, 센서 구조물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적외선 수광소자는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와 대향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드론이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와 상기 적외선 수광소자가 이루는 공간을 비행하여 통과할 때,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적외선이 상기 드론에 의해 가려짐에 따라, 상기 적외선 수광소자를 통해 수광된 적외선의 세기가 이전의 수광 값보다 작아진 것을 감지하여, 상기 드론이 센서 게이트를 통과 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레이싱 게임 시스템.
The game device has a certain structure and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racing space to form a racing course. The racing course detects whether the player controlled by the game participant has passed the racing course, Each of the sensor gates transmitting in real time;
A gamer terminal having a game app for receiving the droning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sensor gates in real time to enable a drone racing game to be implemented on-line; And
And a game operation server for communicating with the gamer terminal and providing the gamer with a comprehensive service for operating the dragon racing game,
The sensor gates,
A sensor for sensing the drone and a gate unit having an output element installed in the structure; And
And a sensor gate module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part to perform signal processing, communication, and control,
The gate unit includes:
An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 for emitting infrared light (IR) using an LED to detect whether the drones have passed the racing course;
An infrared ray receiving element for receiving infrared ray (IR) emitted from the infrared ray emitting element as a pair with the infrared ray emitting element to detect whether the drone has passed the racing course;
An LED display for visually displaying a certain pattern using an LED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sensor gate module; And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sound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sensor gate module unit,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evice uses a square wave modulated at 50 KHz with an infrared (IR) output, and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ensor structure,
Wherein the infrared ray receiving element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with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so as to face the infrared ray emitting element,
When the infrared ray emitted from the infrared ray emitting element is blocked by the drone when the drone passes through the space formed by the infrared ray emitting element and the infrared ray receiving element and then pass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infrared ray emitting element and the infrared ray receiving element, And detects whether the intensity has become smaller than the previous light receiving value to check whether or not the drones have passed through the sensor g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게이트 모듈부는,
상기 게이머 단말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모듈; 및
상기 게이트부로부터 게이트 통과 정보를 수신하여 신호처리 한 후 상기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게이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게이머 단말로부터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게이트부의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센서 게이트 처리부를 내장하고 있는 메인 프로세스 유닛(MPU)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레이싱 게임 시스템.
2. The sensor module as claimed in claim 1,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providing an interfac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gamer terminal; And
A sensor gate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and passing the gate passing information from the gate unit,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gamer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a command message from the gamer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output device of the gate unit And a main process unit (MPU) having a main processing unit (MPU).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게이트 처리부는,
상기 게이트부의 센서가 감지한 드론에 대한 게이트 통과 정보를 수신하는 센서 검지부;
상기 센서 검지부에서 수신한 게이트 통과 정보를 필터 처리하여 드론 검지 정보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한 드론 검지 정보를 상기 게이머 단말로 실시간 전송하고, 상기 게이머 단말이 전송한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 처리부; 및
상기 통신 처리부로부터 상기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게이트부의 출력 소자의 출력을 명령하는 출력명령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레이싱 게임 시스템.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A sensor detection unit for receiving gate passage information for a drone detected by a sensor of the gate unit;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filtering the gate passing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ensor detecting unit and outputting droning detection information;
A communication processor for transmitting the dronon detec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or to the gamer terminal in real time and receiving a command message transmitted by the gamer terminal; And
And an output command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the command message from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and commanding output of an output element of the gate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앱은,
상기 게임 운영 서버에서 요구하는 회원인증 및 참가 관련 인증을 수행하는 참가자 접속관리부;
게임종류의 선택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온라인 게임 설정관리부;
현재 게이머 단말에 연결된 센서 게이트들의 장치관련 정보를 설정하는 게임 환경 설정부; 및
게임 시작에서부터 게임 종료까지의 각종 제어, 모니터링 및 정보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게임 실행 엔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레이싱 게임 시스템.
The gam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participant access management unit for performing member authentication and participation related authentication requested by the game operating server;
An on-line game setting management unit performing a function of in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selection of a game type;
A game environment setting unit for setting device related information of sensor gates currently connected to the gamer terminal; And
And a game execution engine unit for performing various control, monitor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functions from the start of the game to the end of the gam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앱은,
상기 참가자 접속관리부 및 상기 온라인 게임 설정관리부와 연동되어, 외부의 상기 게임 운영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버 통신 처리부; 및
상기 게임 실행 엔진부 및 상기 게임 환경 설정부와 연동되어, 외부의 상기 센서 게이트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센서 게이트 통신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레이싱 게임 시스템.
7. The gam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A server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interfacing with the participant access management unit and the online game setting management unit to provide an interface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game operating server; And
Further comprising a sensor gat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interfacing with the game execution engine unit and the game environment setting unit to provide an interfa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external sensor gates.
KR1020170119683A 2017-09-18 2017-09-18 Drone racing game system KR1018572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683A KR101857245B1 (en) 2017-09-18 2017-09-18 Drone racing gam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683A KR101857245B1 (en) 2017-09-18 2017-09-18 Drone racing gam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245B1 true KR101857245B1 (en) 2018-05-11

Family

ID=6218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683A KR101857245B1 (en) 2017-09-18 2017-09-18 Drone racing gam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245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036A (en) 2018-06-22 2020-01-02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 Sens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of drone positioning
KR102083856B1 (en) * 2018-11-19 2020-03-03 배경환 System for operating unmanned aerial vehicle
WO2020179983A1 (en) * 2019-03-04 2020-09-10 주식회사 제주드론파크 Drone-passing multiple detection sensor gate and drone game system using same
WO2020235161A1 (en) * 2019-05-21 2020-11-26 株式会社スパイシードローンキッチン Image processing system using unmanned mobile body,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device
WO2021015393A1 (en) * 2019-07-22 2021-01-28 케이시크 Autonomous driving apparatus racing game providing method, racing device therefor, and system therefor
WO2021215483A1 (en) * 2020-04-22 2021-10-28 株式会社スパイシードローンキッチン Video processing system using unmanned moving body, video processing method, and video processing device
WO2021241809A1 (en) * 2020-05-26 2021-12-02 주식회사 매드벤처 Drone passage multi-sensor ga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58638A1 (en) * 2012-01-26 2016-06-09 Jedd Olsen Three dimensional obstacle course and navigation game kit
KR101740265B1 (en) * 2017-01-06 2017-05-26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Game method using management system of complex ground for dr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58638A1 (en) * 2012-01-26 2016-06-09 Jedd Olsen Three dimensional obstacle course and navigation game kit
KR101740265B1 (en) * 2017-01-06 2017-05-26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Game method using management system of complex ground for dron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036A (en) 2018-06-22 2020-01-02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 Sens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of drone positioning
KR102083856B1 (en) * 2018-11-19 2020-03-03 배경환 System for operating unmanned aerial vehicle
WO2020179983A1 (en) * 2019-03-04 2020-09-10 주식회사 제주드론파크 Drone-passing multiple detection sensor gate and drone game system using same
KR20200106273A (en) * 2019-03-04 2020-09-14 주식회사 매드벤처 Gate with Multi Sensors for Detecting Drone Passage and Drone Game System using the same
KR102166179B1 (en) * 2019-03-04 2020-10-15 주식회사 매드벤처 Gate with Multi Sensors for Detecting Drone Passage and Drone Game System using the same
US11890552B2 (en) 2019-03-04 2024-02-06 Madventure Co., Ltd. Drone-passing multiple detection sensor gate and drone game system using same
JP7355390B2 (en) 2019-05-21 2023-10-03 株式会社スパイシードローンキッチン Video processing device, video processing method, and video processing program
WO2020235161A1 (en) * 2019-05-21 2020-11-26 株式会社スパイシードローンキッチン Image processing system using unmanned mobile body,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device
WO2021015393A1 (en) * 2019-07-22 2021-01-28 케이시크 Autonomous driving apparatus racing game providing method, racing device therefor, and system therefor
JP7397482B2 (en) 2020-04-22 2023-12-13 株式会社スパイシードローンキッチン Video processing system, video processing method, and video processing device using unmanned moving objects
WO2021215483A1 (en) * 2020-04-22 2021-10-28 株式会社スパイシードローンキッチン Video processing system using unmanned moving body, video processing method, and video processing device
KR20210145956A (en) *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매드벤처 Gate with Multi Sensors for Detecting Drone Passage
KR102389941B1 (en) 2020-05-26 2022-04-22 주식회사 매드벤처 Gate with Multi Sensors for Detecting Drone Passage
WO2021241809A1 (en) * 2020-05-26 2021-12-02 주식회사 매드벤처 Drone passage multi-sensor g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245B1 (en) Drone racing game system
US11875656B2 (en) Virtual enhancement of security monitoring
JP7145976B2 (en) Virtual object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its application program, device, terminal and server
US10341612B2 (en)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space,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US10019632B2 (en) Remote surveillance sensor apparatus
US10540746B2 (en) Course profiling and sharing
US9581999B2 (en) Property preview drone system and method
US9479697B2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generating a panoramic view
US8957783B2 (en) Remote surveillance system
CN109313418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ose impediment behavior
WO201714152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501658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 robotics
US2015026592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842159B1 (en) Drone flight practice and racing system
KR102108170B1 (en) Golf Drones
KR102083856B1 (en) System for operating unmanned aerial vehicle
KR20140134040A (en) Survival gaming respawn device
JP2022106252A (en) Flight type robot, control program for flight type robot, and control method for flight type robot
US20160008709A1 (en) Infrared gam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706507B1 (en) Robot Interlocking With Mobile, Robot Operating System Interlocking With Mobi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11818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US20220291698A1 (en) Drone with remote id
US20220289373A1 (en) Management app for drone with remote id
Garretson et al. A Day in the Life of Airman Basic Smith
JP2022156375A (en) Program,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