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533B1 -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 - Google Patents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533B1
KR101841533B1 KR1020160070374A KR20160070374A KR101841533B1 KR 101841533 B1 KR101841533 B1 KR 101841533B1 KR 1020160070374 A KR1020160070374 A KR 1020160070374A KR 20160070374 A KR20160070374 A KR 20160070374A KR 101841533 B1 KR101841533 B1 KR 101841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incision
cannula tube
tub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8235A (ko
Inventor
김경조
주세경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to KR1020160070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533B1/ko
Publication of KR20170138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means of electrically-heated probes
    • A61B18/0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61M25/0084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being one or more injection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31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fully covering the needle after its withdrawal, e.g. needle being withdrawn inside the handle or a cover being advanced over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1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8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ed with or comprising means for visual or photographic inspections inside the body, e.g. end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 점막하박리술 시 사용되는 절제 시술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내시경관에 삽입되는 캐뉼라 튜브; 상기 캐뉼라 튜브에 인출입가능하게 수용되어, 체강 내의 환부에 약물을 주입하는 주사바늘을 갖는 니들부; 상기 캐뉼라 튜브에 인출입가능하게 수용되어, 체강 내의 환부를 절제하는 절개도를 갖는 커팅부; 및 상기 주사바늘과 상기 절개도가 상기 캐뉼라 튜브로부터 상반되게 인출입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APPARATUS FO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본 발명은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부에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사바늘과 환부 절제를 위한 절개도를 하나의 튜브 내에 구비하고, 이 튜브를 내시경의 겸자공에 삽입하여 주사바늘과 절개도를 내시경의 기구관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하게 하여 간편하게 시술할 수 있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은 내시경 절제술(endoscopic resection)의 한 종류로서, 내시경을 통하여 점막을 절제함으로써 복부를 절개하지 않고 대장 종양을 절제할 수 있다.
내시경 시술은 내시경 술기(手技)를 통한 간단한 조작으로 종양을 발견하고 절제하여 제거하므로 임상적으로는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내시경 점막 절제술은 그 병변의 직경이 2cm 이상인 경우 한꺼번에 절제하는 일괄 절제가 어려워서 환부를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 절제해야 하는데 분할 절제는 정확한 진단의 필수 조건인 절제면에 대한 병리 판독이 어렵고 시술 후에도 국소 재발이 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과 관련하여 새로운 내시경시술인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이 각광을 받고 시술이 최근 증가하고 있다. 시술 방법은 병변의 점막하층(submucosa)에 주사바늘을 사용하여 생리식염수 등과 같은 약물을 주입하여 절제하고자 하는 병변을 근육층과 분리되게 부풀린 뒤, 그 융기된 병변을 절개도(전기메스)를 사용하여 병변에서 1∼2mm간격을 두고 전류로 절개한 뒤 그 절개면의 점막하부를 수평으로 절개하여 점막하에서 종양을 박리해 내는 방식으로 내시경 점막절제술이 고도로 진화된 형태이다.
이러한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은 내시경의 겸자공 즉 작업 채널을 구비한 내시경관을 이용하여 시행한다.
이전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시에는 먼저 내시경관의 작업 채널을 통해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병변에 생리식염수등을 주입한 후 주사바늘을 작업 채널로부터 빼낸 후, 절개도를 작업 채널을 통해 삽입하여 병변을 절제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병변의 완전절제를 위해서는 한 시술 당 적어도 4∼5회 이상 주사바늘과 절개도를 삽입과 회수를 반복하게 된다. 이 반복된 시술 과정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술 시간이 길어지고 길어진 시술시간으로 인해 시술받는 환자의 고통도 증가하고 시술의사의 피로도 증가하여 집중도도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주사바늘과 절개도가 겸자공으로부터 번갈아가며 삽입 및 회수되는 과정 중에 환자의 체액에 시술방이 오염되고 이로 인해 다른 환자와 의료진에게 2차 감염의 발생을 배제할 수 없다.
국내등록특허 제10-1585019호(발명의 명칭: 조직 제거장치, 등록일: 2016.01.0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술 작업이 간편하며, 시술 시간을 단축하고, 2차 감염을 방지하며 위생적으로 시술할 수 있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시경관에 삽입되는 캐뉼라 튜브; 상기 캐뉼라 튜브에 인출입가능하게 수용되어, 체강 내의 환부에 약물을 주입하는 주사바늘을 갖는 니들부; 상기 캐뉼라 튜브에 인출입가능하게 수용되어, 체강 내의 환부를 절제하는 절개도를 갖는 커팅부; 및 상기 주사바늘과 상기 절개도가 상기 캐뉼라 튜브로부터 상반되게 인출입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주사바늘과 상기 절개도가 상기 캐뉼라 튜브에 삽입되는 제1위치모드와, 상기 절개도가 상기 캐뉼라 튜브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주사바늘이 상기 캐뉼라 튜브로부터 인출되는 제2위치모드와, 상기 주사바늘이 상기 캐뉼라 튜브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도가 상기 캐뉼라 튜브로부터 인출되는 제3위치모드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니들부는, 침상의 주사바늘; 및 상기 주사바늘을 지지하며, 상기 주사바늘로 상기 약물의 유동을 안내하는 니들용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팅부는, 상기 환부를 절제하는 절개도; 및 상기 절개도를 지지하며, 상기 절개도에 전기를 전달하는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와 상기 니들부를 연결하는 제1가이드 와이어; 및 상기 회전체와 상기 커팅부를 연결하는 제2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다이얼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 와이어는 전기가 통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이빨이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 궤적을 따라 마련되는 래칫 휠; 및 상기 래칫 휠의 복수의 이빨 중 어느 하나의 이빨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어, 상기 래칫 휠의 회전을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래칫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과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며, 상기 절개도와 상기 주사바늘이 상기 제1위치모드에 위치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회전축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을 승강시킴에 따라 상기 래칫휠과 상기 래칫을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주사바늘로 상기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상기 니들용 튜브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술 작업이 간편하며, 시술 시간을 단축하고, 2차 감염을 방지하며 위생적으로 시술할 수 있으며 의료인의 집중도를 높여 이차 합병증의 발생을 줄일 가능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래칫 휠과 래칫의 로킹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의 일부가 내시경관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의 주사바늘과 절개도의 위치모드별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의 주사바늘과 절개도의 위치모드별 조작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10)는 캐뉼라 튜브(11), 니들부(21), 커팅부(31), 조작부(41)를 포함한다.
캐뉼라 튜브(11)는 일정 길이를 갖는 속이 빈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관(1)의 작업 채널(5)에 삽입된다. 캐뉼라 튜브(11)의 일단부에는 후술할 니들부(21)의 주사바늘(23) 및 커팅부(31)의 절개도(33)가 인출입하는 인출입구(13)가 형성되어 있다.
니들부(21)는 캐뉼라 튜브(11)에 인출입가능하게 수용되어, 체강 내의 환부에 약물을 주입한다. 니들부(21)는 주사바늘(23)과 니들용 튜브(25)를 포함한다.
주사바늘(23)은 침상의 형상을 가지며, 캐뉼라 튜브(11)의 인출입구(13)로부터 인출입한다.
니들용 튜브(25)는 속이 빈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주사바늘(23)로 환부를 절제하기 위한 약물의 유동을 안내한다. 니들용 튜브(25)의 일단부는 주사바늘(23)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후술할 하우징(43)의 주입부(49)에 관통 결합되어 있다.
커팅부(31)는 캐뉼라 튜브(11)에 인출입가능하게 수용되어, 체강 내의 환부를 절제한다. 커팅부(31)는 절개도(33)와 전도성 와이어(35)를 포함한다.
절개도(33)는 캐뉼라 튜브(11)의 인출입구(13)로부터 인출입하며, 환부에 직접 접촉되어 환부를 절제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절개도(33)는 얇은 대장에서 장의 천공을 방지하며 환부를 안전하게 절제하기 위해 말단부가 구 형상을 갖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절개도(33)는 시술 부위에 따라 말단부가 뾰족하게 갈라진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전도성 와이어(35)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전기가 통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절개도(33)에 전기를 전달한다. 전도성 와이어(35)의 일단부는 절개도(33)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후술할 하우징(43)의 단자부(51)에 연결된다. 전도성 와이어(35)의 외피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피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41)는 주사바늘(23)과 절개도(33)가 캐뉼라 튜브(11)로부터 상반되게 인출입하도록 조작한다. 예컨대, 조작부(41)는, 주사바늘(23)과 절개도(33)가 캐뉼라 튜브(11)에 삽입되는 제1위치모드와, 절개도(33)가 캐뉼라 튜브(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주사바늘(23)이 캐뉼라 튜브(11)로부터 인출되는 제2위치모드와, 주사바늘(23)이 캐뉼라 튜브(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절개도(33)가 캐뉼라 튜브(11)로부터 인출되는 제3위치모드를 선택적으로 조작한다.
조작부(41)는 하우징(43), 회전체(53), 제1가이드 와이어(61), 제2가이드 와이어(63)를 포함한다.
하우징(43)은 내부에 챔버(45)가 형성된 원형 단면의 통 형상을 가진다. 하우징(43)에는 캐뉼라 튜브(11)가 챔버(45)와 연통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4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43)에는 주사바늘(23)로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니들용 튜브(25)가 관통 결합되는 주입부(4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43)에는 전도성 와이어(35)에 박리용 전류 전달을 위한 외부의 전기수술기 등과 연결하기 위한 단자부(51)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47)와 주입부(49)와 단자부(51)가 하우징(43)의 둘레를 따라 등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전체(53)는 회전판(55)과, 회전축(57)과, 다이얼 노브(59)를 포함한다.
회전판(55)은 원반 형상을 가지며, 하우징(43)의 챔버(45)에 마련된다.
회전축(57)은 회전판(55)의 중앙에 결합되어 회전판(55)을 지지하며, 하우징(43)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다이얼 노브(59)는 하우징(43)의 외측에 마련되어, 하우징(43)으로부터 돌출한 회전축(57)에 결합된다. 이로써, 다이얼 노브(59)를 회전축(57)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판(55)은 회전축(57)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다이얼 노브(59)의 외주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너얼링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이드 와이어(61)는 일단부가 고정핀(65)에 의해 회전체(53)의 회전판(55)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니들용 튜브(25)에 연결되어 있다.
제2가이드 와이어(63)의 일단부는 전도성 와이어(35)와 접속하도록 고정핀(65)에 의해 회전체(53)의 회전판(55)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단자부(51)에 연결되어 있다. 제2가이드 와이어(63)는 전기가 통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외부 전기수술기 등에 의한 전류는 단자부(51)를 통해 제2가이드 와이어(63), 전도성 와이어(35) 및 절개도(33)로 전달되어, 환부를 절제할 수 있게 된다.
제1가이드 와이어(61)와 제2가이드 와이어(63)는 조작부(41)의 각 위치모드에 따라, 회전체(53)의 회전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10)는 래칫 휠(71)과 래칫(75)을 포함한다.
래칫 휠(7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기어 형상을 가진다. 래칫 휠(71)은 회전축(5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판(55)의 회전 궤적을 따라 마련된다. 래칫 휠(71)의 외주에는 복수의 이빨(73)이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래칫(75)은 래칫 휠(71)의 회전 궤적의 일측에 배치되며, 하우징(43)에 요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래칫(75)은 래칫 휠(71)의 복수의 이빨(73) 중 어느 하나의 이빨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어, 래칫 휠(71)의 회전을 로킹 및 로킹해제한다.
이로써, 래칫 휠(71)과 래칫(75)의 상호 작용에 의해 캐뉼러 튜브(11)로부터 주사바늘(23)과 절개도(33)의 인출입을 단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10)는 탄성부재(81)와 버튼(85)을 포함한다.
탄성부재(81)의 회전판(55)과 하우징(43)의 내측에 마련되어, 회전판(55)과 하우징(43)을 연결한다. 탄성부재(81)의 일단부는 하우징(43)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회전판(55)에 지지된다. 탄성부재(81)는 주사바늘(23)과 절개도(33)가 제1위치모드에 위치, 좀 더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23)과 절개도(33)의 말단부가 캐뉼러 튜브(11)의 내측에 동일 위치에 위치하는 중립 위치에 위치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탄성부재(81)는 회전판(55)이 하우징(43)의 내측에 대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버튼(85)은 다이얼 노브(59)를 사이에 두고 회전축(57)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회전판(55)을 승강시킨다.
버튼(85)을 하우징(43)을 향해 누르면 회전축(57)이 하강하면서 회전판(55)이 하강하고, 이 때 래칫(75)에 의해 로킹된 래칫 휠(71)이 래칫(75)으로부터 이격하여 래칫 휠(71)과 래칫(75)은 로킹해제된다.
래칫 휠(71)과 래칫(75)은 로킹해제됨에 따라, 회전판(55)은 탄성부재(81)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주사바늘(23)과 절개도(33)는 캐뉼러 튜브(11)에서 제1위치모드로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탄성부재(81)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판(55)이 상승하면서 회전판(55)은 하우징(43)의 챔버(45)에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됨과 동시에, 래칫(75)은 래칫 휠(71)의 이빨(73)에 걸려 래칫 휠(71)과 래칫(75)은 로킹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10)를 이용하여 환부를 절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관(1)의 고체촬상소자 채널(3)에 고체촬상소자(9)를 삽입하고, 작업 채널(5)에 내시경관(1)을 삽입한다. 한편, 내시경관(1)에는 고체촬상소자 채널(3) 및 작업 채널(5) 이외에, 환부 부위로부터 발생하는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석션 채널(7)이 마련되어 있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23)과 절개도(33)가 캐뉼러 튜브(11)에 삽입되는 중립 위치인 제1위치모드에서, 절개도(33)가 캐뉼러 튜브(11)의 인출입구(13)로부터 인출하도록 조작부(41)의 다이얼 노브(59)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도(33)가 캐뉼라 튜브(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주사바늘(23)이 캐뉼라 튜브(11)로부터 인출되는 제2위치모드로 되면, 주사바늘(23)이 환부를 주사하도록 생리 식염수 등과 같은 약물을 니들용 튜브(25)를 통해 주입한다.
주사바늘(23)을 통해 환부에 약물의 주입이 완료되면 조작부(41)의 다이얼 노브(59)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23)이 캐뉼라 튜브(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절개도(33)가 캐뉼라 튜브(11)로부터 인출되는 제3위치모드로 되면, 절개도(33)를 환부 주위에 접촉시켜 전기에 의해 환부를 절제한다.
내시경 점막 절제 시술이 완료된 후, 버튼(85)을 누르면 탄성부재(81)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판(55)을 회전을 하여, 주사바늘(23)과 절개도(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모드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사바늘(23)과 절개도(33)를 하나의 캐뉼라 튜브(11)에 삽입한 후, 조작부(41)의 다이얼 노브(59)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주사바늘(23)과 절개도(33)를 캐뉼러 튜브(11)로부터 상반되게 인출입시킴으로써, 내시경 점막 절제 시술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시술 시간 또한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술 작업 도중에 주사바늘(23)과 절개도(33)를 내시경관(1)에 번갈아가며 삽입 및 인출할 필요가 없어, 주사바늘(23)과 절개도(33)의 오염을 줄어들게 되어, 2차 감염을 방지하며 위생적으로 시술할 수 있게 된다.
1 : 내시경관 10 :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
11 : 캐뉼라 튜브 21 : 니들부
23 : 주사바늘 25 : 니들용 튜브
31 : 커팅부 33 : 절개도
35 : 전도성 와이어 41 : 조작부
43 : 하우징 49 : 주입부
53 : 회전체 55 : 회전판
57 : 회전축 59 : 다이얼 노브
61 : 제1가이드 와이어 63 : 제2가이드 와이어
71 : 래칫 휠 75 : 래칫
81 : 탄성부재 85 : 버튼

Claims (10)

  1. 내시경관에 삽입되는 캐뉼라 튜브;
    상기 캐뉼라 튜브에 인출입가능하게 수용되어, 체강 내의 환부에 약물을 주입하는 주사바늘을 갖는 니들부;
    상기 캐뉼라 튜브에 인출입가능하게 수용되어, 체강 내의 환부를 절제하는 절개도를 갖는 커팅부; 및
    상기 주사바늘과 상기 절개도가 상기 캐뉼라 튜브에 삽입되는 제1위치모드와, 상기 절개도가 상기 캐뉼라 튜브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주사바늘이 상기 캐뉼라 튜브로부터 인출되는 제2위치모드와, 상기 주사바늘이 상기 캐뉼라 튜브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도가 상기 캐뉼라 튜브로부터 인출되는 제3위치모드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도록 양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주사바늘과 상기 절개도를 상기 캐뉼라 튜브로부터 상반되게 인출입시키는 하나의 조작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는,
    침상의 주사바늘; 및
    상기 주사바늘을 지지하며, 상기 주사바늘로 상기 약물의 유동을 안내하는 니들용 튜브를 포함하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상기 환부를 절제하는 절개도; 및
    상기 절개도를 지지하며, 상기 절개도에 전기를 전달하는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하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와 상기 니들부를 연결하는 제1가이드 와이어; 및
    상기 회전체와 상기 커팅부를 연결하는 제2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하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다이얼 노브를 포함하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 와이어는 전기가 통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
  8.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이빨이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 궤적을 따라 마련되는 래칫 휠; 및
    상기 래칫 휠의 복수의 이빨 중 어느 하나의 이빨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어, 상기 래칫 휠의 회전을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래칫을 더 포함하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과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며, 상기 절개도와 상기 주사바늘이 상기 제1위치모드에 위치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회전축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을 승강시킴에 따라 상기 래칫 휠과 상기 래칫을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버튼을 더 포함하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주사바늘로 상기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상기 니들용 튜브가 관통 결합되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
KR1020160070374A 2016-06-07 2016-06-07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 KR101841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374A KR101841533B1 (ko) 2016-06-07 2016-06-07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374A KR101841533B1 (ko) 2016-06-07 2016-06-07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235A KR20170138235A (ko) 2017-12-15
KR101841533B1 true KR101841533B1 (ko) 2018-03-23

Family

ID=60954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374A KR101841533B1 (ko) 2016-06-07 2016-06-07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5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4711A (zh) * 2018-08-14 2018-11-16 浙江创想医学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黏膜切开刀
KR102658715B1 (ko) * 2022-01-26 2024-04-17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수술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 기구 위치 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6381B2 (ja) 2007-02-26 2012-08-22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磁気アクチュエータ、磁気アクチュエータの動作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カプセル型内視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6381B2 (ja) 2007-02-26 2012-08-22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磁気アクチュエータ、磁気アクチュエータの動作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カプセル型内視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235A (ko) 2017-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062538A (ja) 組織拡張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827725B2 (en) Surgical instrument
AU200723875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endoscopic resection of tissue
US9387034B2 (en) High-frequency knife
US20090228001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diseased tissue such as tumors
US20020183739A1 (en) Endoscopic ablation system with sealed sheath
EP3785654B1 (en) Multifunctional high-frequency electric knife
WO2008030788A1 (en) Hood member for use with an endscope
WO2011094111A2 (en) Surgical instrument comprising an electrode
KR101841533B1 (ko)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기구
KR102336100B1 (ko) 복수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JP7467707B2 (ja) 内視鏡用処置具
AU20052289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issue sampling and therapeutic treatment
KR20160079960A (ko) 내시경 시술용 인젝터 기구
KR100596554B1 (ko)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
CN203693704U (zh) 射频靶点热凝治疗用腰椎穿刺针
US11730940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functions in a surgical procedure
KR102234752B1 (ko)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
KR102534218B1 (ko) 내시경용 조직분리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영상진단장치
CN208892715U (zh) 一种螺旋刀刃通针
CN206964681U (zh) 一种内镜粘膜下剥离术用的手术工具
KR101750654B1 (ko)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에 이용되는 나이프
KR20210115644A (ko) 2종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GB2590139A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ying implements through a narrow passage in a body
AU2002309525A1 (en) Endoscopic ablation system with sealed shea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