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460B1 - 속옷용 원단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속옷용 원단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460B1
KR101841460B1 KR1020160067947A KR20160067947A KR101841460B1 KR 101841460 B1 KR101841460 B1 KR 101841460B1 KR 1020160067947 A KR1020160067947 A KR 1020160067947A KR 20160067947 A KR20160067947 A KR 20160067947A KR 101841460 B1 KR101841460 B1 KR 101841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yarn
present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6191A (ko
Inventor
최향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람사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람사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람사랑
Priority to KR1020160067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460B1/ko
Publication of KR20170136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4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dioxide, silic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5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organometallic compounds;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boron, silicon, selenium or tellurium atoms
    • D06M13/51Compounds with at least one carbon-metal or carbon-boron, carbon-silicon, carbon-selenium, or carbon-tellurium bond
    • D06M13/513Compounds with at least one carbon-metal or carbon-boron, carbon-silicon, carbon-selenium, or carbon-tellurium bond with at least one carbon-silicon bon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속옷용 원단의 제조 방법은 (A) 폴리에스테르 원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우레탄계 원사를 30 내지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편을 제조하는 단계; (B) 정제수, 약알칼리성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자기조립 유기화합물 및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가공 처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제조된 가공 처리액에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경편을 침지하는 가공 처리 단계; 및 (D) 상기 가공 처리된 경편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속옷용 원단의 제조 방법{Method of Preparing Knitted Fabric for Inner Wear}
본 발명은 속옷용 원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폴리우레탄계 원사로 이루어지는 경편에 적절한 후가공 처리를 함으로써 견뢰도, 피부 밀착성 및 보온성이 우수한 속옷용 원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폴리우레탄계 원사(스판덱스)의 혼합 편물은 신축성과 속건성 등이 우수하여 운동복 등의 스포츠웨어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폴리우레탄 원사의 혼합 편성 원단의 경우, 폴리우레탄 원사의 함량이 폴리에스테르 원사 중량 대비 약 10 중량% 이상 함유되면, 원단에 염색이 잘되지 않아 세탁 견뢰도 등의 물성이 저하되고 또한 마찰 견뢰도, 피복 착용감 등의 물성이 보장되지 않아 속옷용 원단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0-1489424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복합 성분을 사용하여 원사의 물성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 따른 섬유를 원사로 사용하는 경우, 순수한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제조 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만일,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폴리우레탄계 원사를 사가공 처리 없이 그대로 사용하여 원단을 제조하되 원단에 간단한 가공 처리를 통해 원단의 물성을 속옷에 적합하도록 세탁 견뢰도, 마찰 견뢰도, 피부 밀착성 및 보온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면 다양한 디자인 및 기능을 갖는 속옷을 제조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폴리우레탄계 원사의 혼합 편물에서 폴리우레탄계 원사의 함량을 높여 원단을 제조하고, 신규의 가공 처리액에 의하여 원단에 후가공 처리를 하는 속옷용 원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가공 처리액으로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폴리우레탄계 원사로 이루어진 원단을 가공 처리하는 방식에 의하여 속옷용 원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탁, 땀, 마찰 견뢰도가 우수한 속옷용 원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 밀착성 및 보온성이 우수한 속옷용 원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내재되어 있는 목적은 아래 설명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속옷용 원단의 제조 방법은
(A) 폴리에스테르 원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우레탄계 원사를 30 내지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편을 제조하는 단계;
(B) 정제수, 약알칼리성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자기조립 유기화합물 및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가공 처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제조된 가공 처리액에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경편을 침지하는 가공 처리 단계; 및
(D) 상기 가공 처리된 경편을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단사섬도는 10 내지 20 데니어, 상기 폴리우레탄계 원사의 단사섬도는 15 내지 25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공 처리액은 (a)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상기 약알칼리성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20 내지 30 중량부로; (c) 상기 자기조립 유기화합물을 10 내지 15 중량부로; (d) 상기 대전방지제를 3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하여 이루어져도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공 처리액은 (e) 결합제 1 내지 5 중량부, (f) 흡습제 1 내지 5 중량부, 및 (g) 유기 결합제 1 내지 3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흡습제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탄산염, 클레이, 금속 산화물, 금속수산화물,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황산염, 금속 할라이드, 과염소산염 및 유기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기조립 유기화합물은 3-아미노프포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triethoxysilane), 옥타테실트리클로로실란(octadecyltrichlorosilane),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ethacryloxypropyltrimethoxylane), 헥사메틸다이실라젠(hexamethyldisilazane) 및 트리데카플루로오-1,1,2,2-테트라하이드로옥틸-1-트리클로로실란(tridecafluoro-1,1,2,2-tetrahydrooctyl-1-trichlorosilan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고, 탈이온수에 경편을 침지하여 측정한 pH가 4 내지 7.5의 범위를 갖는 속옷용 원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새로운 가공 처리액으로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폴리우레탄계 원사로 이루어진 원단을 가공 처리하는 방식에 의하여 속옷용 원단을 제조함으로써, 세탁, 땀, 마찰 견뢰도가 우수하고, 피부에 대한 유해 물질이 방출되지 않으며, 피부 밀착성 및 보온성이 뛰어난 속옷용 원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속옷용 원단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유의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기 위함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나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속옷용 경편 원단의 제조 방법은 (A) 경편 제조 단계, (B) 가공 처리액 제조 단계, (C) 원단의 가공 처리 단계 및 (D) 건조 단계로 이루어진다.
(A) 경편 제조 단계
본 발명의 경편 제조 단계(A)는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폴리우레탄계 원사를 경편으로 편성(knitting)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단계 (A)에서, 폴리에스테르 원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우레탄계 원사 30 내지 46 중량부를 사용하여 편성한다. 편성하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경편기(warp knitting machine)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편직기는 싱글 실린더 편직기를 사용하며, 편직속도는 25 내지 40 RPM, 니들은 44 게이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축합중합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하여 얻는 합성섬유로써,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일반적으로 내산성, 내알칼리성이 충분하고, 기계적 강도가 크며, 내구성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잡아당겼을 때의 강도가 나일론 다음으로 강하고, 물에 젖었을 때의 강도도 변함이 없다. 다만, 흡습성이 약하고 신축성이 거의 없기에 다른 섬유와 혼용하여 사용하거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사가공을 통해 이를 보완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탄성사인 폴리우레탄계 원사를 경편으로 편성하여 기존의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비하여 신축성과 투수성, 흡습성을 개선하여 사용함으로써, 스포츠웨어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원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단사섬도는 10 내지 20 데니어로, 폴리우레탄계 원사의 단사섬도는 15 내지 25 데니어로 사용하여, 원단의 밀도를 증가시키고 가벼운 착용감을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계 원사는 폴리우레탄 섬유의 탄성사로서 대표적인 것이 스판덱스이다. 폴리우레탄계 원사는 고무처럼 잘 늘어나며 회복성이 매우 우수하다. 폴리우레탄계 원사는 통상 다른 섬유와 혼용하여 사용하는데, 그 함량은 전체 섬유의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6 중량%의 혼용율로 사용하여도 충분한 신축성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원사와의 혼용율은 혼합 원사의 총 중량에 대하여 20% 미만으로 사용하나,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원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46 중량부를 사용한다. 폴리우레탄계 원사가 30 중량부 이상으로 혼용될 경우, 원단의 세탁 견뢰도나 땀, 마찰 견뢰도 등에서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폴리우레탄계 원사로 이루어진 편물 전체 중량에 대해 폴리우레탄게 원사를 30 내지 46 중량부로 사용하면서도 위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공정을 수행한다.
제조된 원단은 밀도가 높고 가벼운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여름에는 외부의 더운 공기가 원단에 잘 스며들지 않고 원단과 피부가 닿는 면적이 높아서 몸의 열을 쉽게 흡수를 하기 때문에 보다 시원한 느낌으로 착용할 수 있다. 또한, 겨울에도 외부의 찬 공기가 원단에 잘 스며들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단의 밀도는 100 내지 120 g/yard의 범위를 갖도록 편직한다.
(B) 가공 처리액 제조 단계
본 발명의 단계 (B)는 가공 처리액 제조 단계로, 단계 (A)에서 제조한 경편을 가공 처리하기 위한 가공 처리액을 제조한다. 물론, 단계 (A)와 단계 (B)는 그 선후관계가 중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공 처리액은 (a)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약알칼리성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20 내지 30 중량부; (c) 자기조립 유기화합물 10 내지 15 중량부; (d) 대전방지제 3 내지 5 중량부; (e) 결합제 1 내지 5 중량부; (f) 흡습제 1 내지 5 중량부; 및 (g) 유기 결합제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가공 처리액은 제1 정제수(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성분을 적용한다. 본 발명의 제1 가공 처리액에 사용하는 약알칼리성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b)는 가공 처리액 내에서 바인더 수지의 역할을 한다. 또한, 염료 잉크의 이염을 방지하여 발색성과 다양한 견뢰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약알칼리성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b)의 pH는 6.5 내지 8이 적합하고, 산가는 30 내지 60 mgKOH/g 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약알칼리성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b)는 정제수(a)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부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가공 처리액에 사용되는 자기조립 유기화합물(c)은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의 계면에 자기조립 박막층을 형성하여 수지의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특히 자기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다공성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경편의 표면 처리를 통해 피부 밀착성과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자기조립 유기화합물의 예로는 3-아미노프포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triethoxysilane), 옥타테실트리클로로실란(octadecyltrichlorosilane),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ethacryloxypropyltrimethoxylane), 헥사메틸다이실라젠(hexamethyldisilazane), 트리데카플루로오-1,1,2,2-테트라하이드로옥틸-1-트리클로로실란(tridecafluoro-1,1,2,2-tetrahydrooctyl-1-trichlorosilane) 및 이들 중 최소한 2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자기조립 특성을 갖는 유기물이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발명에서 자기조립 유기화합물(c)은 정제수(a)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5 중량부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가공 처리액에 사용되는 대전방지제(d)는 상기 약알칼리성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b)에 첨가되어 원단의 표면에 형성되는 정전기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한다. 정전기에 의한 대전성을 개량하기 위해서는 표면을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친수성을 도입하거나, 분말과 같은 양도체의 물질을 첨가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사용상의 제약과 생산성의 문제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대전방지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대전방지제(d)는 일반적으로 고분자형 대전방지제로 사용되는 아민계 화합물이다. 아민계 화합물의 경우 아민기의 극성이 높아 정전기가 적게 발생하므로 이를 포함하는 가공액으로 가공 처리된 원단의 표면에 먼지가 잘 부착되지 않아 의류 제조시나 착용시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 가공 처리액에 사용되는 대전방지제(d)는 제1 정제수(a)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가공 처리액에 사용되는 결합제(e)는 상술한 자기조립 유기화합물(c)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적용가능한 결합제로는 젤라틴, 전분, 폴리비닐알코올, 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결합제(e)의 사용량은 제1 정제수(a)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5 중량부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가공 처리액에 적용되는 흡습제는 가공 처리된 경편의 공극 표면에 흡착되어 경편의 물성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개선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2 가공 처리액에는 흡습제와 유기결합제를 함께 사용한다.
본 발명의 흡습제(f)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탄산염, 클레이, 금속 산화물, 금속수산화물,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황산염, 금속 할라이드, 과염소산염, 또는 유기금속 중에서 최소한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흡습제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300 마이크로미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기결합제(g)는 아세트산비닐 수지, 폴리비닐 피롤리돈(PVP) 수지, 폴리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에폭시계 수지, 페녹시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설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비닐계 수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플로린계 수지 등의 성분 중에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여도 좋다.
상술한 성분들로 이루어지는 가공 처리액으로 단계 (A)에서 제조된 경편 원단을 가공 처리하는데, 자세한 것은 단계 (C)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C) 원단의 가공 처리 단계 및 (D) 건조 단계
단계 (A)에서 제조된 경편 원단을 단계 (B)에서 준비한 가공 처리액으로 가공 처리하는 단계(C)이다.
본 발명의 가공 처리액에 경편 원단을 침지시켜 가공 처리를 하되, 침지 시에는 가공 처리액이 경편의 표면을 개질할 수 있도록 섭씨 약 30 내지 60 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5 내지 15 분간 침지시킨다. 침지시키는 공정은 위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단이 감긴 로울러(roller)를 포함하는 피더(feeder)로 원단을 침지조 내로 공급시켜, 침지시킨 다음, 침지조에서 나오는 원단을 건조시키면서 다시 빈 롤러(roller)로 원단을 감는 자동화 공정을 적용할 수 있다.
침지 처리된 경편을 건조하는 건조 단계(D)는 바람직하게 직사광선이 없는 곳에서 통풍 건조시키는 것이 좋으나, 상온에서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켜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경편 원단의 제조와 물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실시예
제조예 1: 경편의 제조
폴리에스테르 원사로써 주식회사 티케이케미칼에서 제조한 폴리에스테르사(제품명: JURASIL, 단사섬도 15 데니어) 100 중량부와 폴리우레탄계 원사로써 주식회사 효성에서 제조한 스판덱스 원사(원사명: HS SPANDEX, 단사섬도 20 데니어) 35 중량부를 사용하여 경편을 제조하였다. 이들 원사를 칼마이어(Karl Mayer) 사의 트리코트 경편기(모델명: HKS2-2)를 사용하여 두 원사의 본수와 빔수를 같게하여 경편을 제조하였다. 경편은 30 Wale/inch, 20 Width/inch, 100 Weight/(g/y)의 규격으로 제조되었다.
제조예 2: 가공 처리액의 제조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알칼리성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헵스켐사의 제품명 HWU-100A) 25 중량부, 자기조립 유기화합물로써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60 중량%와 헥사메틸다이실라젠 40 중량%의 혼합물 12 중량부, 대전방지제(일본 산요화학의 제품명 NC6321) 3 중량부, 결합제로써 전분 5 중량부, 흡습제로 금속산화물(CaO) 5 중량부, 유기결합제로 PVA(KURARAY 사의 제품명 LM-10HD) 2.5 중량부를 상온에서 혼합 및 교반하여 가공 처리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2에서 준비한 가공 처리액을 150 cm x 150 cm x 150 cm 의 부피를 갖는 배치 반응조에 채워 넣고, 상기 제조예 1에서 준비한 경편을 배치 반응조 내에 침지하여 섭씨 45 도 하에 15 분간 침지시켰다. 침지가 완료된 경편을 건조기 내에 투입하여 섭씨 30 도의 공기를 15 분간 송풍시켜 경편을 건조시켰다. 건조된 경편을 10 cm x 10 cm 의 크기로 절단하여 최종적인 시편 원단으로 하였다.
비교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 원사로써 주식회사 티케이케미칼에서 제조한 폴리에스테르사(제품명: JURASIL, 단사섬도 15 데니어) 100 중량부 100 중량부와 폴리우레탄계 원사로써 주식회사 효성에서 제조한 스판덱스 원사(원사명: HS SPANDEX 70D)를 15 중량부로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경편을 제조하였다. 또한, 가공 처리액의 제조 시에 자기조립 유기화합물과 대정방지제, 결합제, 흡습제를 사용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가공 처리액을 제조하여 이 가공 처리액이 담긴 150 cm x 150 cm x 150 cm 의 부피의 배치 반응조에 경편을 침지시켜 섭씨 55도를 유지하면서 15 분간 침지시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건조시킨 다음 실시예 1의 시편과 동일한 크기로 절단하여 최종적으로 시편 원단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실시예 1에 따른 두 시편을 가지고 다양한 항목에 대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항목 및 결과는 아래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중에서 pH는 안전품질표시기준 부속서 1.5.1 (KS K ISO 3071 : 2009)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탈이온수를 이용하여 pH meter에서 pH를 측정하였다. 아동용 섬유제품, 내의류나 중의류의 경우 pH 기준은 4.0 ~ 7.5 를 만족하여야 한다. 세탁견뢰도는 KS K ISO 105-C06:2012 A2S호에 따라 섭씨 40 ± 2에서 ECE 세제로 30분간 시험하였다. 땀견뢰도는 KS K ISO 105-E04:2010에 따라 섭씨 37 ± 2에서 4시간 동안 반응 후 등급을 측정하였다. 마찰견뢰도는 KS K 0650:2011의 크로크미터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Figure 112016052759368-pat00001
Figure 112016052759368-pat00002
상기 표 2는 시편 원단에서 유해물질인 아릴아민이 검출되는지의 여부를 시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아릴아민의 경우 안전품질표시기준 부속서 1.5.3 (KS K 0147 : 2008)에 따라 GC-M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기준에 의하면 아릴아민은 30 mg/kg 이하로 검출되어야 한다.
한편, 실시예 1과 비교실시예 1에서 제조된 원단을 시편 형태로 절단하지 아니하고, 탱크탑 형태의 속옷 상의를 제작하였다. 시험자 10 명에게 두 가지 속옷 상의를 각각 1 개월간 착용하여, 피부와의 밀착성에 따른 착용감을 다음의 3 등급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1) 3 등급: 매우 양호하고 앞으로도 계속 착용하고 싶다.
(2) 2 등급: 보통이다.
(3) 1 등급: 불편한 감이 있어 착용하고 싶지 않다.
Figure 112016052759368-pat00003
또한, 원단의 보온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위 실시예 1 및 비교실시예 1에서 제조된 원단을 510 mm x 510 mm 단위로 절단하여 시편을 준비하였다. 이러한 시편으로 KS K 0466에 따라 보온성 테스트를 실시하여 아래 표 4에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Figure 112016052759368-pat00004
위 시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경편 원단은 세탁, 땀, 마찰 견뢰도, 피부 밀착성, 보온성이 우수하고 유해 성분이 방출되지 않기 때문에 속옷의 원단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 기재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며, 이 범위 내에서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7)

  1. (A) 폴리에스테르 원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우레탄계 원사를 30 내지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편을 제조하는 단계;
    (B) 정제수, 약알칼리성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자기조립 유기화합물 및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가공 처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제조된 가공 처리액에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경편을 침지하는 가공 처리 단계; 및
    (D) 상기 가공 처리된 경편을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공 처리액은 (a)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상기 약알칼리성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20 내지 30 중량부로; (c) 상기 자기조립 유기화합물을 10 내지 15 중량부로; (d) 상기 대전방지제를 3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하며,
    상기 가공 처리액은 (e) 결합제 1 내지 5 중량부, (f) 흡습제 1 내지 5 중량부, 및 (g) 유기 결합제 1 내지 3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옷용 원단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단사섬도는 10 내지 20 데니어, 상기 폴리우레탄계 원사의 단사섬도는 15 내지 25 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옷용 원단의 제조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탄산염, 클레이, 금속 산화물, 금속수산화물,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황산염, 금속 할라이드, 과염소산염 및 유기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옷용 원단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조립 유기화합물은 3-아미노프포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triethoxysilane), 옥타테실트리클로로실란(octadecyltrichlorosilane),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ethacryloxypropyltrimethoxylane), 헥사메틸다이실라젠(hexamethyldisilazane) 및 트리데카플루로오-1,1,2,2-테트라하이드로옥틸-1-트리클로로실란(tridecafluoro-1,1,2,2-tetrahydrooctyl-1-trichlorosilan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옷용 원단의 제조 방법.
  7. 제1항, 제2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고, 탈이온수에 경편을 침지하여 측정한 pH가 4 내지 7.5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옷용 원단.
KR1020160067947A 2016-06-01 2016-06-01 속옷용 원단의 제조 방법 KR101841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947A KR101841460B1 (ko) 2016-06-01 2016-06-01 속옷용 원단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947A KR101841460B1 (ko) 2016-06-01 2016-06-01 속옷용 원단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191A KR20170136191A (ko) 2017-12-11
KR101841460B1 true KR101841460B1 (ko) 2018-03-23

Family

ID=60943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947A KR101841460B1 (ko) 2016-06-01 2016-06-01 속옷용 원단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4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064B1 (ko) * 2008-02-15 2009-06-18 하세토라 스피닝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레치 포백
KR101184829B1 (ko) 2012-06-05 2012-09-20 주식회사 우리선테크 도금 설비에서 배출되는 중금속 흡착을 위한 담체 코팅용 조성물, 담체 및 이를 이용한 대기 및 수질 오염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064B1 (ko) * 2008-02-15 2009-06-18 하세토라 스피닝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레치 포백
KR101184829B1 (ko) 2012-06-05 2012-09-20 주식회사 우리선테크 도금 설비에서 배출되는 중금속 흡착을 위한 담체 코팅용 조성물, 담체 및 이를 이용한 대기 및 수질 오염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191A (ko) 201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31503B (zh) 排汗睡衣面料及其制备方法
EP3266915A1 (en) Water-absorbent quick-drying knitted fabric and application thereof
JP4774558B2 (ja) 機能性異型再生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011032A (ja) 温度コントロール繊維、および温度コントロール布部材
EP3434818A1 (en) Double-sided knitted fabric
KR101893567B1 (ko) 땀복용 원단의 제조 방법
KR101320488B1 (ko) 양방향 신축 편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투습방수 원단
JP2018535331A (ja) 複合体繊維
JP2009535528A (ja) 水着用途のために好適な伸縮性布地
KR20180108021A (ko) 땀복용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JP2007177350A (ja) 抗菌性繊維混用品
JP2012052275A (ja) 汗処理機能に優れた布帛およびアンダーウエアーおよびスポーツウエアー
KR101841460B1 (ko) 속옷용 원단의 제조 방법
CN104805531A (zh) 一种磁性复合纤维
EP3150751A1 (en) Polyamide fibers, fiber structure using same, and clothing
JP2011226001A (ja) 汗じみ防止布帛および汗じみ防止衣料
CN102212911B (zh) 一种含锗羊绒针织内衣及其制备方法
KR102290332B1 (ko) 땀복용 고발열성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802376A (zh) 一种化纤织物用棉感剂及其制备方法
CN109468736B (zh) 一种具有星空闪烁效果的面料及其制备方法
KR101687166B1 (ko) 승화전사성 및 견뢰도가 우수한 나일론계 경편 원단의 제조 방법
CN208266319U (zh) 一种w形仿棉涤纶长丝
KR102490200B1 (ko) 방습 냉각성 섬유 및 이 섬유를 함유하는 섬유 구조물
KR20220049900A (ko) 정전 필터 기능이 향상된 다층 편직물 및 이의 용도
JP2003064558A (ja) 快適性編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