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227B1 -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227B1
KR101841227B1 KR1020170079376A KR20170079376A KR101841227B1 KR 101841227 B1 KR101841227 B1 KR 101841227B1 KR 1020170079376 A KR1020170079376 A KR 1020170079376A KR 20170079376 A KR20170079376 A KR 20170079376A KR 101841227 B1 KR101841227 B1 KR 101841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concrete
sheet
resin sheet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주
이홍재
김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Priority to KR1020170079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9/00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 B28B19/0092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to webs, sheets or the like, e.g. of pape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29Moulds or moulding surfaces not covered by B28B7/0058 - B28B7/36 and B28B7/40 - B28B7/465, e.g. moulds assembled from several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합성수지층 및 합성수지층에 접착되는 섬유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합성수지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하부가 개방된 내부 거푸집 외면에 제 1 합성수지 시트를 배치하고, 내부 거푸집 양측 하부 말단에 형성되는 시트 고정용 연장부에 제 1 합성수지 시트를 고정하는 단계, 내부 거푸집을 외부 거푸집에 설치하는 단계, 하부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하부 슬라브 콘크리트의 상면에 제 2 합성수지 시트와 내부 바닥 거푸집을 순차로 배치하는 단계, 벽체 및 상부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PRECAST CONCRETE COATED WITH SYNTHETIC RES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박스 암거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와 동시에 내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는 공장에서 제작된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시스템으로서, 현장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민원 발생을 줄이고,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서로 조립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제작 조립하여 내부 공간에 화학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물질을 담거나 방수처리를 하기 위해, 근래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일면, 내면, 외면 등을 내화학성 또는 방수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피복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는 물탱크, 정수장, 하수나 폐기물 처리장 등에 담수가 가능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거나, 관(管) 형태로 제작되어 하수처리장 배수로, 오폐수 등의 배수로, 화학공업단지 내의 하수 배수로 등으로 사용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합성수지를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작 후에 작업자가 직접 피복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합성수지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직접 피복하는 것은 시간적 경제적으로 매우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가 낮은 경우 피복된 합성수지의 면이 매끄럽지 못해 제품의 상품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제작과 동시에 내면에 합성수지가 피복될 수 있고, 피복된 합성수지의 면이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는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합성수지층 및 상기 합성수지층에 접착되는 섬유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합성수지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하부가 개방된 내부 거푸집 외면에 상기 제 1 합성수지 시트를 배치하고, 상기 내부 거푸집 양측 하부 말단에 형성되는 시트 고정용 연장부에 상기 제 1 합성수지 시트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내부 거푸집을 외부 거푸집에 설치하는 단계; 하부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하부 슬라브 콘크리트의 상면에 상기 제 2 합성수지 시트와 내부 바닥 거푸집을 순차로 배치하는 단계; 벽체 및 상부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거푸집 외면에 제 1 합성수지 시트를 배치하는 단계는, 서로 분리된 2 장의 제 1 합성수지 시트를 상기 내부 거푸집 양측에 각각 배치하고, 상기 내부 거푸집 상측에서 상기 2 장의 제 1 합성수지 시트가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시트 고정용 연장부에 상기 제 1 합성수지 시트를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트 고정용 연장부에 형성되는 너트부에 볼트를 체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볼트 또는 너트 체결 전에 볼트구멍이 형성된 와셔용 철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를 체결한 이후에, 상기 볼트에 탄성밴드를 고정하여 내부 거푸집 외면에의 제 1 합성수지 시트에 탄성밴드를 두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 고정용 연장부에 상기 제 1 합성수지 시트를 고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내부 거푸집 외면에 탄성밴드를 두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한 이후에, 상기 제 1 합성수지 시트의 겹쳐진 부분을 절단하고 상기 2 장의 제 1 합성수지 시트를 상호 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한 이후에, 제 1 합성수지 시트와 제 2 합성수지 시트를 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용 내부 거푸집은 하부가 개방되고, 양측 하부 말단에 시트 고정용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 고정용 연장부에 너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너트부에는 볼트가 체결되고, 상기 너트부와 상기 볼트 사이에는 와셔용 철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 고정용 연장부는 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가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작과 동시에 내면에 합성수지가 피복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내화학성 및 방수성 확보가 가능하고, 피복된 합성수지의 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는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외부 거푸집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외면에 합성수지 시트가 배치된 내부 거푸집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선 A-A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외면에 합성수지 시트가 배치되고 탄성밴드가 둘러진 내부 거푸집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내부 거푸집이 외부 거푸집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 은 하부 슬라브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바닥면에 합성수지 시트가 배치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 은 내부 바닥 거푸집이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 은 소정 부분의 합성수지 시트의 절단 제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는 소정 부분의 합성수지 시트의 융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되는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 은 도 10의 H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 1 은 외부 거푸집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박스 암거로서 상기 박스 암거의 내면이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외부 거푸집(100)은 외부 바닥 거푸집(110), 한 쌍의 외부 측면 거푸집(120) 및 한 쌍의 외부 마구리 거푸집(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거푸집의 내부에는 철근망(20)이 설치될 수 있다. 철근망(20)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외부 바닥 거푸집(11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바닥면을, 외부 측면 거푸집(120)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측면을, 외부 마구리 거푸집(13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앞면과 뒷면을 형성한다.
외부 거푸집(100)과 철근망(20)은 바닥 거푸집(110), 한 쌍의 외부 측면 거푸집(120), 철근망(20) 및 한 쌍의 외부 마구리 거푸집(130)의 순서로 설치될 수 있다.
외부 마구리 거푸집(130)의 내부 거푸집 삽입구(132)를 통해 이후 설명할 내부 거푸집(도 2 의 200)이 삽입되게 된다.
철근망(20)은 한 쌍의 외부 마구리 거푸집(130)의 내부 거푸집 삽입구(132)가 서로 연통되는 공간을 피하여 설치된다.
도 2 는 외면에 합성수지 시트가 배치된 내부 거푸집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선 A-A를 취한 단면도이다.
내부 거푸집(200)은 관(管) 형상을 가지되, 하부가 개방된다. 내부 거푸집(200) 양측 하부 말단에는 시트 고정용 연장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시트 고정용 연장부(210)는 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방향이란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거나 비스듬하게 위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시트 고정용 연장부(210)에는 복수개의 너트부(212)가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너트부(212)는 시트 고정용 연장부(210)를 관통하고, 그 내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합성수지 시트는 제 1 합성수지 시트(300)와 제 2 합성수지 시트(도 6의 350)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합성수지 시트(300)는 내부 거푸집(200)의 외부 측면 및 상면에 밀착 배치되어,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도 10 의 1)의 내부 측면 및 상면에 피복된다. 제 2 합성수지 시트(350)는 내부 거푸집(200)의 내부 바닥 거푸집(도 7의 250)의 하면에 배치되어,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도 10 의 1)의 내부 하면에 피복된다.
제 1 합성수지 시트(300) 상호 접착되는 합성수지층(310)과 섬유포층(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합성수지 시트(300)는 합성수지층(310)이 내부 거푸집(200)의 외면에 맞닿고 섬유포층(320)이 외부로 드러나게 배치된다.
합성수지층(310)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도 10의 1)의 내부에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물질이 담기는 경우,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는 화학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담기는 물질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로 스미지 않도록 방수가 가능하다.
섬유포층(320)은 소정의 공극을 가지는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극의 최소 지름이 0.02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콘크리트는 시멘트 풀, 모레, 자갈 등으로 구성되는데, 상기한 크기의 공극을 가지는 경우 모레가 상기 공극에 함침되어 콘크리트와 섬유포층(320)이 더 강하게 부착될 수 있다.
섬유포층(320)의 두께는 1 내지 10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콘크리트는 섬유포층(320)에 함침되게 되는데, 섬유포층(320)에는 콘크리트가 함침되는 함침층이 형성될 수 있다. 섬유포층(320)이 너무 얇은 경우에는 상기 함침층이 너무 얇게 되어 부착력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섬유포층(320)이 너무 두꺼운 경우에는 섬유포층(320)에 콘크리트가 함침되지 못한 층이 형성되고, 섬유포층(320)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이러한 층에서 섬유포층(320)이 찢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두께는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두께는 합성수지층(310)과 섬유포층(320)이 접착되기 전의 두께이고, 접착되는 경우에 섬유포층(320)의 두께는 보다 얇아질 수 있다. 얇아진 두께는 약 0.1 내지 0.5mm일 수 있다.
합성수지층(310)과 섬유포층(320)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접착될 수 있고, 열융착 방식에 의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 2 합성수지 시트(350)는 제 1 합성수지 시트(3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내부 거푸집(200)을 외부 거푸집(100)에 설치하고 외부 거푸집(100)의 상측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상기 콘크리트는 내부 거푸집(200)의 하측으로부터 차오르게 된다. 이 때, 제 1 합성수지 시트(300)가 상측으로 밀려 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내부 거푸집(200) 하측에서 제 1 합성수지 시트(300)를 잡아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내부 거푸집(200)에는 시트 고정용 연장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거푸집(200)의 외면에 제 1 합성수지 시트(300)를 밀착 배치하고, 시트 고정용 연장부(210)의 너트부(212)에 볼트(230)를 나사 결합하면 제 1 합성수지 시트(300)가 시트 고정용 연장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시트 고정용 연장부(210)에 배치된 제 1 합성수지 시트(300)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제 1 합성수지 시트(300)를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볼트(230) 체결 전에 와셔용 철판(220)를 제 1 합성수지 시트(300)의 외면에 맞댄 후 볼트(230)를 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볼트(230)는 와셔용 철판(220)의 볼트구멍(222)과 제 1 합성수지 시트(300)를 통과하여 시트 고정용 연장부(210)의 너트부(212)에 나사 결합되게 된다.
제 1 합성수지 시트(300)는 서로 분리된 2 장으로 구성될 수 있다. 2 장의 제 1 합성수지 시트(300a, 300b)는 각각 내부 거푸집(200)의 일 측면과 타 측면에 배치되어 내부 거푸집(200)의 상면에서 상호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내부 거푸집(200)을 외부 거푸집(100)에 설치하고 외부 거푸집(100)의 상측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상기 콘크리트는 내부 거푸집(200)의 하측으로부터 차오르게 된다. 이 때 제 1 합성수지 시트(300)는 타설되는 콘크리트로부터 압력을 받아 내부 거푸집(200)의 외면에 더욱 밀착되게 된다.
상기 밀착에 의해 내부 거푸집(200)과 제 1 합성수지 시트(300) 사이의 간극이 없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 합성수지 시트(300)는 조금씩 위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결국 1 장의 제 1 합성수지 시트(300)가 내부 거푸집(300)의 양측면 및 상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조금씩 위로 밀려 올라간 제 1 합성수지 시트(300)가 내부 거푸집(200)의 상면에서 내부 거푸집(200)에 밀착되지 못하고 우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품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제 1 합성수지 시트(300)가 서로 분리된 2 장으로 구성되는 경우, 2 장의 합성수지 시트(300a, 300b)가 서로 겹쳐지므로, 상기 조금씩 위로 밀려 올라간 제 1 합성수지 시트(300)에 의해 상기 겹쳐지는 부분이 늘어날 뿐 상기 우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 는 외면에 합성수지 시트가 배치되고 탄성밴드가 둘러진 내부 거푸집의 사시도이다.
제 1 합성수지 시트(300)를 내부 거푸집(200) 외면에 밀착시키기 위해, 제 1 합성수지 시트(300)를 배치한 이후에, 탄성밴드(240)를 내부 거푸집(200) 외면에의 제 1 합성수지 시트(300)에 두르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볼트(230) 사용하여 제 1 합성수지 시트(300)를 고정하는 경우, 볼트(300)에 탄성밴드(240)를 고정하여 탄성밴드(240)를 내부 거푸집(200)의 외면에의 제 1 합성수지 시트(300)에 두를 수 있다. 이를 위해 볼트(300)는 시트 고정용 연장부(210)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밴드(240)에 의해, 특히 2 장의 제 1 합성수지 시트(300a, 300b)의 겹쳐지는 부분이 고정되지 않아 제 1 합성수지 시트(300a, 300b)가 내부 거푸집(200)의 외면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도 5 는 내부 거푸집이 외부 거푸집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제 1 합성수지 시트(300)가 외면에 배치 및 고정된 내부 거푸집(200)을 외부 마구리 거푸집(130)의 내부 거푸집 삽입구(132)를 통해 화살표 B 방향으로 삽입하여, 내부 거푸집(200)을 외부 거푸집(100)에 설치한다.
도 6 은 하부 슬라브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바닥면에 합성수지 시트가 배치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내부 거푸집(200)을 외부 거푸집(100)에 설치한 이후, 하부 슬라브 콘크리트(12)를 타설한다. 상기 타설은 외부 마구리 거푸집(130)의 내부 거푸집 삽입구(132)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타설되는 높이는 콘크리트가 내부 거푸집(200)의 하측 말단과 맞닿을 정도까지의 높이일 수 있다.
하부 슬라브 콘크리트(12)를 타설한 이후 콘크리트의 양생 전에, 제 2 합성수지 시트(350)를 하부 슬라브 콘크리트(12)의 상면에 밀착 배치한다. 상기 배치는 외부 마구리 거푸집(130)의 내부 거푸집 삽입구(132)를 통해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제 2 합성수지 시트(350)는 합성수지가 상측에 섬유포층이 하측에 위치하게 배치된다.
도 7 은 내부 바닥 거푸집이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제 2 합성수지 시트(350)를 배치한 이후에, 내부 바닥 거푸집(250)을 제 2 합성수지 시트(350)의 상면에 배치한다. 상기 배치는 외부 마구리 거푸집(130)의 내부 거푸집 삽입구(132)를 통해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바닥 거푸집(250)을 설치하는 것은 하부 슬라브 콘크리트(12)가 이후 타설되는 벽체 콘크리트(도 10 의 14) 및 상부 슬라브 콘크리트(도 10 의 16)의 무게로 인해 압력을 받아 내부 거푸집(200) 내측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내부 바닥 거푸집(250)을 타설한 이후에는 벽체 콘크리트(도 10 의 14) 및 상부 슬라브 콘크리트(도 10 의 16)를 타설한다. 상기 벽체 콘크리트(도 10 의 14) 및 상부 슬라브 콘크리트(도 10 의 16)의 타설은 동시에 이루어진다.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보다 하부에 있는 벽체 콘크리트(도 10 의 14)가 먼저 채워진 후, 상부 슬라브 콘크리트(도 10 의 16)가 채워지게 된다.
이후,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외부 거푸집(100), 내부 거푸집(200) 및 내부 바닥 거푸집(250)을 해체한다.
도 8 은 소정 부분의 합성수지 시트의 절단 제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외부 거푸집(100), 내부 거푸집(200) 및 내부 바닥 거푸집(250)을 해체하는 경우, 서로 분리된 제 1 합성수지 시트(300a, 300b) 간에 겹쳐지는 부분이 콘크리트에 피복되지 않고 남게 된다(도 8 의 F1 참조). 또한, 시트 고정용 연장부(210)와 맞닿아 있던 제1 합성수지 시트(300a, 300b)가 콘크리트에 피복되지 않고 남게 된다(도 8 의 F 2, F 3 참조). 상기 피복되지 않은 제 1 합성수지 시트(300a, 300b) 부분은 필요하지 않으므로, 그 부분을 절단한다.
도 9 는 소정 부분의 합성수지 시트의 융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필요치 않은 부분을 절단하면, 제 1 합성수지 시트(300a, 300b) 간에 및 제 1 합성수지 시트(300a, 300b)와 제 2 합성수지 시트 간에 서로 붙지 않은 부분이 남게 된다(도 9 의 G1, G 2, G3 참조).
따라서 이후 상기 서로 붙지 않은 부분을 융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는 내부에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물질이 담기거나 방수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서로 붙지 않는 부분은 상호 융착되어야 한다. 상기 융착은 상기한 합성수지와 동일한 소재를 덧붙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되는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해 콘크리트(10)의 내부면이 합성수지 시트(300, 350)로 피복되는 박스 암거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1)가 제조될 수 있다.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1)는 하부 슬라브 콘크리트(12), 벽체 콘크리트(14) 및 상부 슬라브 콘크리트(16)에 의해 박스 암거 형태를 가진다
한편, 합성수지 시트(300, 350)는 타설되는 콘크리트(10)로부터 압력을 받아 내부 거푸집(200) 및 내부 바닥 거푸집(250)에 밀착되므로, 그 면이 매우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 은 도 10 의 H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1)는 콘크리트(10), 섬유포층(320) 및 합성수지층(310)을 포함한다. 콘크리트(10)와 합성수지층(310)은 섬유포층(320)을 매개로 일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콘크리트(10)는 타설 시 제공되는 경화성 미세 콘크리트(11)가 경화성 미세 콘크리트 수용부(321)에 채워져 합성수지층(310)에 단단히 결합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경화성 미세 콘크리트 수용부(321)란 섬유포층(320)의 섬유 사이의 공간을 의미한다.
콘크리트(10)는 합성수지층(310)이 내약품성, 내구성, 항균성 등의 기능을 가지거나, 접착제에 의해 부착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성분에 관계없이 경화성 미세 콘크리트 수용부(321)에서 증기양생된 경화성 미세 콘크리트(11)와 섬유포층(320)을 매개로 합성수지층(310)에 대해 기계적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합성수지층(310)과 콘크리트(10)의 부착강도를 높이기 위해 합성수지층(310)을 내약품성, 내구성, 부착강도 등을 갖는 복합시트로 구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섬유포층(320)이 콘크리트(10) 타설 시 발생하는 외력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가의 합성수지층(310)의 두께를 무리하게 두껍게 하거나 신축율을 포기하면서 경도를 높일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1)는 내면이 합성수지층(310)으로 피복되어 콘크리트(10)가 부식되는 것이 방지되고, 수려한 외장을 제공할 수 있다.
콘크리트(10)는 일반적으로, 물탱크, 배수지, 정수장, 연전, 화학공장, 폐기물처리장, 주유소, 세차장, 터널 등에 사용되기 위해 고강도 콘크리트가 사용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배합물은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가 25mm이고, 호칭 강도는 30MPa 이상이며, 공기량이 (2.0±1.0)%이고, 물과 결합재의 비의 상합값이 45% 이하이며, 단위 결합재량의 하한값이 430 kg/m3이고, 잔 골재율이 35~50%이며, 염화물 함유량이 0.3 kg/m3 이하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크리트(10)를 섬유포층(320)을 매개로 상기 합성수지층(310)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콘크리트(10) 배합물 중 미세 골재가 섞인 경화성 미세 콘크리트(11)가 경화성 미세 콘크리트 수용부(321)에 유입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수분의 상승에 따라 콘크리트(10) 표면에 나타나는 미세한 페이스트상 물질, 즉 불경화성 시멘트풀은 시멘트 분말의 불순물이나 골재 중의 페이스트분 등으로 경화력이 없기 때문에 부착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경화성 미세 콘크리트 수용부(321)을 채울 수 있는 경화성 미세 콘크리트(11)를 형성하여 콘크리트(10)와 합성수지층(310) 사이의 부착강도가 환경부 고시에서 요구하는 콘크리트(10)와 합성수지층(310)의 부착강도를 만족하여야 한다. 상기 부착강도인 20kgf/cm2 이상이 되게 하기 위해 콘크리트(10) 배합물에 대한 슬럼프 테스트가 수행되어야 한다.
슬럼프 테스트는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를 나타내는데, 반죽질기에 따라 작업의 난이도 및 재료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를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슬럼프 값이 크면, 반죽이 질어서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좋지만 너무 크면 재료 분리가 나타나고 거푸집 사이로 물과 시멘트 페이스트가 유출되어 공극이 발생한다. 또한 과다한 블리딩 발생에 의해 콘크리트(10) 내부의 공극과 표면에 레이턴스가 발생하여 제품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실험예 1>
슬럼프 테스트는 단위 용적 질량이 2400 kg/m3, 공기량이 공기량(2.0±1.0)%, 단위 결합재량이 442kg/m2이고, 굵은 골재는 25mm 쇄석을 포함하며, 잔 골재율이 39.0%이고, 콘크리트에 포함된 염화물 함유량도는 0.3kg/m3이하로 하여 물 결합재 비를 30%, 35%, 40%, 45%, 50%로 달리하여 슬럼프 값을 계산하였다. 또한, 해당 슬럼프 값에 따른 콘크리트 배합물을 5mm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열융착 부직포로 이루어진 섬유포층(320)을 매개로 증기 양생시켜 상기 합성수지층(310)에 대한 부착강도를 20회 이상 실험하였다.
물 결합재 비 30% 35% 40% 45%
슬럼프 값 5cm 9cm 15cm 18cm
부착강도 30kgf/cm2 25kgf/cm2 20kgf/cm2 15kgf/cm2
작업성 보통 보통 좋음 좋음
재료분리 없음 없음 없음 발생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콘크리트(10) 배합물의 슬럼프 값이 약 3 내지 18cm 정도일 때, 바람직하게는 15cm 이하 일 때 재료분리가 발생하지 않고, 작업성도 좋으며, 섬유포층(320)을 매개로 합성수지층(310)에 대한 부착강도가 환경부 고시에서 요구하는 부착강도인 20kgf/cm2 이상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섬유포층(320)은 양모 등을 축융하여 천형태로 만든 펠트, 소면기법, 에어 어레이법 및 정전기법으로 건식 적층한 건식부직포, 폴리프로필렌 극세섬유로 된 멜트블로운 부직포, 스펀레이스 공정으로 제조되며, 직물과 같은 외관을 제공하고, 촉감이 부드럽고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스펀레이스부직포, 화학섬유를 방사하는 과정에서 만드는 스펀본드부직포, 수중에서 섬유를 적층한 웹을 접찹제로 결합시킨 습식부직포,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계 열가소성 섬유를 용융시켜 섬유 상호간 결합시킨 열융착부직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실험예 2>
다만, 표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단위 용적 질량은 2400kg/m3, 공기량은 (2.0±1.0)%, 단위 결합재량은 442kg/m2이고, 굵은 골재는 25mm 쇄석을 포함하며, 잔 골재율이 39.0%이고, 콘크리트에 포함된 염화물 함유량도는 0.3kg/m3이하로 하여 슬럼프값이 15cm정도가 되게 반죽하고, 5mm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열융착 부직포로 이루어진 경화성 미세 콘크리트 수용부(321)의 비율, 즉 공극율을 달리하여 콘크리트(10)와 합성수지층(310) 사이의 부착강도를 실험한 결과, 경화성 미세 콘크리트 수용부(321)의 비율이 30% 이하인 경우에는 경화성 미세 콘크리트(11)가 경화성 미세 콘크리트 수용부(321)에 침투하여 합성수지층(310)과 사이에 충분한 결합강도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콘크리트(10)와 합성수지층(310)이 박리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경화성 미세 콘크리트 수용부(321)의 비율이 70% 이상인 경우에도 섬유포층(320)이 합성수지층(310)과 콘크리트(10)를 매개하는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없기 때문에 콘크리트(10)와 합성수지층(310)이 박리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여기서, 공극률을 섬유포층(320) 두께만큼 물을 붙고, 경화성 미세 콘크리트 수용부(321)에 채워진 물의 부피를 측정하여 섬유포층(320)의 부피에 대한 물의 부피로 측정하였다.
표 2는 5mm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열융착 부직포로 된 섬유포층(320)의 공극률을 달리하여 콘크리트(10)와 합성수지층(310) 사이의 부착강도를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5mm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열융착 부직포로 된 부직포층의 공극률 10% 20% 30% 40% 50% 60% 70% 80%
부착강도 5kgf/cm2 10kgf/cm2 20kgf/cm2 30kgf/cm2 25kgf/cm2 20kgf/cm2 15kgf/cm2 10kgf/cm2
또한, 표 3은 공극률 40%인 경우에 섬유포층(320)인 부직포의 종류를 달리하여 콘크리트(10)와 합성수지층(310) 사이의 부착강도를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부직포의 종류 멜트블로운 부직포 스펀레이스부직포 스펀본드부직포 열융착부직포
강도 약 30kgf/cm2 약31kgf/cm2 약28kgf/cm2 약25kgf/cm2
표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의 종류에는 크게 상관없으며, 상기 경화성 미세 콘크리트(11)가 주입될 수 있는 경화성 미세 콘크리트 수용부(321)가 충분히 확보되면서 매개 역할을 하는 섬유포층(320)이 충분히 확보되는 것이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섬유포층(320)의 두께는 경화성 미세 콘크리트 수용부(321)가 경화성 미세 콘크리트(11)가 합성수지층(310)의 두께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층(310)의 두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수지층(310)은 충진재를 30~70%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합성수지층(310)은 콘크리트(10)에의 결합 전 적어도 60 kgf/cm2의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지고, 콘크리트(10)에 결합 후에도 적어도 60 kgf/cm2의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지며, 500%이상의 연신율을 가질 수 있다. 500%이상의 연신율을 갖도록 하는 것이 콘크리트 타설 시 배합물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찢어지거나 패이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을 가져 콘크리트(10)의 계절에 따른 거동에 순응할 수 있고, 롤형태로 운반이 가능하도록 연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또한, 합성수지층(310)의 두께는 대략 5mm 이내인 것이 경화성 미세 콘크리트 수용부(321)를 충분히 형성할 수 있고, 내구성, 유연성, 및 충분한 인장강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비용 등을 고려했을 때 바람직하다.
합성수지층(310)은 합성 고무계와 합성 수지계 두가지로 대별할 수 있는데 합성 고무계 재료에는 클로로프렌 고무, 폴리이소브탈렌 고무, 부틸 고무 등이 있고, 합성 수지계 재료에는 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등이 있으며, 합성 고무계는 신장능력이 크고 시공성도 우수하지만, 오존에 대해서 열화를 받기 쉬운 문제점이 있고, 합성수지계는 가격이 싸고 비교적 견고하여 신장능력이 작으므로 시공하기가 쉽지만, 열이나 외력에 의한 소성변형 우려가 있다.
합성수지층(310)은 내후성, 내구성, 내약품성, 균일한 유연성 등을 갖는 클로로프렌 고무로 제조할 수도 있으며, 최소 두께는 0.16cm 이상이어야 하므로, 가격이 매우 비싼 단점이 있어서 거의 사용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소 두께의 합성수지층(310)을 사용하더라도 섬유포층(320)이 콘크리트(10) 타설 시 외력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한 장의 합성수지층(310)을 사용하더라도 그 두께를 줄일 수 있다.
합성수지층(310)을 폴리이소브틸렌 고무로 제조하여 고무계의 단점인 오존에 의한 자와선의 열화를 받지 않으며, 접착 이음부에서 벤젠, 휘발유 등 용제형의 접착제로 잘 접착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합성수지층(310)은 부틸고무로 제조하여 강도, 신축성, 유연성 등을 좋게 할 수 있으며, 오존이나 자외선의 열화를 받기 쉬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에틸렌프로필렌터포리마(EPP) 고무를 혼합해서 내후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합성수지층(310)은 화학적으로 매우 불활성인 폴리에틸렌 또는 염화비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내후성이 우수하나 접착성이 떨어지지만,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여러 가지 특수가공을 할 필요 없이 섬유포층(320)의 경화성 미세 콘크리트 수용부(321)에 침투한 경화성 미세 콘크리트(11)를 이용하여 콘크리트(10)와 일체적인 부착강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층(310)은 모두 그 성질에 상관없이 롤 형태로 운반 보관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제품이 규격화되어 있어 두께가 균일하고 마감이 미려하며 여러 가지 특수가공을 할 필요 없이 상기 섬유포층(320)을 매개로 콘크리트(10)에 대해서 소정의 부착강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부착 후에도 콘크리트(10)의 거동에 순응하여 신축성을 발휘할 수 있다.
1: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100: 외부 거푸집
200: 내부 거푸집 250: 내부 바닥 거푸집 300: 제 1 합성수지 시트
310: 합성수지층 320: 섬유포층 350: 제 2 합성수지 시트

Claims (12)

  1. 합성수지층 및 상기 합성수지층에 접착되는 섬유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합성수지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하부가 개방된 내부 거푸집 외면에 상기 제 1 합성수지 시트를 배치하고, 상기 내부 거푸집 양측 하부 말단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시트 고정용 연장부에 상기 제 1 합성수지 시트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내부 거푸집을 외부 거푸집에 설치하는 단계;
    하부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하부 슬라브 콘크리트의 상면에 상기 제 2 합성수지 시트와 내부 바닥 거푸집을 순차로 배치하는 단계;
    벽체 및 상부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거푸집 외면에 제 1 합성수지 시트를 배치하는 단계는,
    서로 분리된 2 장의 제 1 합성수지 시트를 상기 내부 거푸집 양측에 각각 배치하고, 상기 내부 거푸집 상측에서 상기 2 장의 제 1 합성수지 시트가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단계인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고정용 연장부에 상기 제 1 합성수지 시트를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트 고정용 연장부에 형성되는 너트부에 볼트를 체결하는 단계인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체결 전에 볼트구멍이 형성된 와셔용 철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를 체결한 이후에,
    상기 볼트에 탄성밴드를 고정하여 내부 거푸집 외면에의 제 1 합성수지 시트에 탄성밴드를 두르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고정용 연장부에 상기 제 1 합성수지 시트를 고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내부 거푸집 외면에 탄성밴드를 두르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한 이후에, 상기 제 1 합성수지 시트의 겹쳐진 부분을 절단하고 상기 2 장의 제 1 합성수지 시트를 상호 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한 이후에,
    상기 제 1 합성수지 시트와 상기 제 2 합성수지 시트를 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10. 하부가 개방되고, 양측 하부 말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시트 고정용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 고정용 연장부에 너트부가 형성되는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용 내부 거푸집.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에는 볼트가 체결되고,
    상기 너트부와 상기 볼트 사이에는 와셔용 철판이 배치되는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제조용 내부 거푸집.
  12. 삭제
KR1020170079376A 2017-06-22 2017-06-22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41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376A KR101841227B1 (ko) 2017-06-22 2017-06-22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376A KR101841227B1 (ko) 2017-06-22 2017-06-22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227B1 true KR101841227B1 (ko) 2018-03-22

Family

ID=61900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376A KR101841227B1 (ko) 2017-06-22 2017-06-22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2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6171A (ja) * 2007-09-26 2009-05-07 Geostr Corp 粗度係数を改善し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法
JP2017014713A (ja) * 2015-06-29 2017-01-19 栄次 槇谷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6171A (ja) * 2007-09-26 2009-05-07 Geostr Corp 粗度係数を改善し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法
JP2017014713A (ja) * 2015-06-29 2017-01-19 栄次 槇谷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2589B2 (ja) その場水和のための不織セメント系複合材料
US7096630B1 (en) Composite tangled filament mat with overlying liquid moisture barrier for cushioning and venting of vapor, and for protection of underlying subfloor
US4617219A (en) Three dimensionally reinforced fabric concrete
KR101263960B1 (ko) 천연 섬유를 함유하는 복합재 열가소성 시트
EP2349707B1 (de) Wasserdichte membran
JP4790698B2 (ja) 三次元のリバース・タンキング用膜
WO2018195088A1 (en) Cementitious composite mat
EP2042687A1 (en) Waterproof sheet for tunnel
JP2012207525A (ja) 建築・土木用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841227B1 (ko)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5899B1 (ko)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41228B1 (ko) 합성수지로 피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9527B1 (ko) 합성수지시트층 일체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JP3025451B2 (ja) 強化プラスチック製マンホール蓋
EP2374768B1 (de) Fußbodenuntergrund
KR102008876B1 (ko) 합성수지시트층 일체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
JP6320980B2 (ja) コンクリート用透水性型枠
KR100926779B1 (ko) 시트 형상의 개량아스팔트 씰 도막층을 이용한 복합방수시트 및 그 시공방법
JPH10325107A (ja) 小規模舗装復旧工事における舗装補修構造と舗装補修工法
JPS5832486Y2 (ja) コンクリ−ト建造物における断熱板支持用具
CN211080302U (zh) 一种地下室防水结构
JP2011236623A (ja) 先やり防水工法
CN117513379A (zh) 一种三维复合排水网及其制备方法
KR20220077632A (ko) 지지력 보강 현장 수화 콘크리트 매트
JPH1025758A (ja) 地下外周壁の打込み型枠に取付ける切断加工が容易な排水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