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152B1 - Combustion system with inducing imperfect combustion gas for solid incinerate materials - Google Patents

Combustion system with inducing imperfect combustion gas for solid incinerate materi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152B1
KR101841152B1 KR1020170177482A KR20170177482A KR101841152B1 KR 101841152 B1 KR101841152 B1 KR 101841152B1 KR 1020170177482 A KR1020170177482 A KR 1020170177482A KR 20170177482 A KR20170177482 A KR 20170177482A KR 101841152 B1 KR101841152 B1 KR 101841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solid particle
gas
furnace
combustion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4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병수
김종길
Original Assignee
유병수
김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수, 김종길 filed Critical 유병수
Priority to KR1020170177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1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1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5/00Combustion apparatus with arrangements for burning uncombusted material from primary combustion
    • F23B5/04Combustion apparatus with arrangements for burning uncombusted material from primary combustion in separate combustion chamber; on separate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7/00Combustion techniques; Other solid-fuel combustion apparatus
    • F23B7/002Combustion techniques; Other solid-fuel 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gas flow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ustion system to induce generation of imperfect combustion gas using vacuum suction and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combustion system to induce generation of imperfect combustion gas using vacuum suction, which is a combustion device to combust solid particle fuel, capable of minimizing discharge of dust or fine dust. To this end, the combustion system comprises: a storage unit to store the solid particle fuel; a feeding unit receiving and storing the solid particle fuel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and including an input device to push out the stored solid particle fuel; a primary combustion furnace including a combustion pipe connected to the feeding unit to receive the solid particle fuel pushed by the input device, and formed as a closed structure at remaining portions except the combustion pipe and an outlet to discharge ash; a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having a structure to surround 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in order to form a secondary combustion space at the outside of 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and receiving and combusting imperfect combustion gas generated during a combustion process of the solid particle fuel performed in 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and a gas flowing unit connecting the feeding unit and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flowing the imperfect combustion gas of 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to be sucked and sent under pressure into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through the combustion pipe and the feeding unit, thereby perfectly combusting the imperfect combustion gas at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and filtering dust and fine dust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of the solid particle fuel while passing through the solid particle fuel stored in the storage unit.

Description

진공흡입 미연소 가스 발생을 유도한 연소장치{Combustion system with inducing imperfect combustion gas for solid incinerate material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ustion apparatus for inducing generation of vacuum unburned gas,

본 발명은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연소시킴에 있어서, 1차적으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불완전 연소를 유도한 후, 이로 인해 발생되는 미연소 가스를 2차 연소실로 유도하여 완전 연소시키는 과정을 시스템화 한 진공흡입 미연소 가스발생을 유도한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us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bustion apparatus that burns a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induces incomplete combustion of a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To a combustion device that induces the generation of a vacuum inhaled unburned gas by systematizing a process of inducing complete combustion.

일반적으로 왕겨, 톱밥, 우드칩과 같은 고체 입자 연소물질은 액체 연료나 기체 연료를 대신하여 보일러와 같은 연소장치의 연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언급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은 낮은 가격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general,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s such as rice hull, sawdust and wood chips can be used as a fuel for a combustion device such as a boiler instead of a liquid fuel or a gaseous fuel, and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mentioned above can be easily obtained at low cost There are advantages.

참고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이용하는 연소장치의 경우,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원활한 연소를 유도하기 위하여 연소로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 회전 시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허문헌1에는 고체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구조를 갖는 고체연료 연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For reference, in the case of a combustion apparatus using a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a method of injecting and rotating air into a combustion furnace in order to induce smooth combustion of a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is used. In Patent Document 1, A solid fuel combustion device having a structure for injecting air into a combustion chamber is disclosed.

한편,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원활한 연소를 위하여 연소실에 주입되는 공기로 인하여 연소 분진(연소시 발생되는 분진) 및 미세먼지가 비산되며, 이러한 연소 분진 및 미세먼지를 배기가스와 함께 그대로 배출할 경우,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므로 배기가스와 함께 배출되는 연소 분진 및 미세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백필터 장치의 사용이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moothly combust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combustion dust (dust generated upon combustion) and fine dust are scattered due to the air inject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When such combustion dust and fine dust are directly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exhaust gas, It is necessary to use a bag filter device for collecting combustion dust and fine dust discharged together with exhaust gas because it causes air pollution.

상기 백필터 장치는 관리의 소홀로 인하여 주기적인 교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연소 분진 및 미세먼지에 의해 백필터 장치가 막히면서 배기가스의 유동저항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In the bag filter device, if the bag filter device is not periodically replaced due to poor management, the bag filter device is clogged by the combustion dust and fine dust to increase the flow resistance of the exhaust gas.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expensive.

또한, 연소실로부터 비산되는 연소 분진과 미세먼지가 스팀 발생을 위해 구성되는 열교환기에 내면에 고착되고,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어, 열교환 부위에 분진이나 미세먼지로 이루어진 층이 성장, 스케일로 커지면서 열전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the combustion dust and fine dust scatter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ar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constituted for generating steam, and this phenomenon is repeated, so that a layer made of dust or fine dust grows on the heat exchange portion, There is a problem of deterioration.

등록특허공보 제10-1578641호(2015.12.17.공고)Patent Registration No. 10-1578641 (issued on December 17, 20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연소하는 연소장치로서 분진이나 미세먼지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진공흡입 미연소 가스 발생을 유도한 연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bustion device for burning a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which is capable of minimizing the emission of dust or fine dust, .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제공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밀어내는 투입기구가 구비된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 연결되어 투입기구에 의해 밀려나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투입 받는 연소관을 포함하며, 상기 연소관 및 재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진 1차 연소로; 상기 1차 연소로의 외부에 2차 연소공간을 형성하도록 1차 연소로를 감싸는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1차 연소로에서 이루어지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연소 가스를 제공받아 연소시키는 2차 연소로; 및 상기 공급부와 2차 연소로를 연결하되, 상기 1차 연소로의 미연소 가스가 연소관과 공급부를 통해 2차 연소로의 내부로 흡입 압송되도록 유동시켜 2차 연소로에서 미연소 가스를 완전 연소하게 하며,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과 미세먼지가 공급부에 저장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통과하면서 걸러지도록 하는 가스유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 미연소 가스 발생을 유도한 연소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lid-state combustion apparatus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solid-state combustion materials; A supply unit provided with an input mechanism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and pushing out the stored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A primary combustion furnace having a closed structure at a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combustion tube and ashes; and a combustion chamber for supplying a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pushed by the charging mechanism to the supply portion. The solid-state combus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olid-state combustion device comprises: a first combustion chamber A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And supplying the unburned gas from 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to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through the combustion tube and the supply section so that the unburned gas is completely combusted in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And a gas flow unit for filtering dust and fine dus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of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while passing through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stored in the supply unit. Thereby providing a combustion device.

한편 상기 진공흡입 미연소 가스발생을 유도한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관의 내부에는 외부 공기를 1차 연소로의 내부로 안내하며, 유동하는 공기를 이용하여 연소관의 과열을 냉각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1공기유입관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the generation of the vacuum suction unburned gas,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tube is guided to the inside of 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and the at least one first An air inlet pipe may be formed.

한편 상기 진공흡입 미연소 가스발생을 유도한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입기구는 회전운동을 하면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연소관의 내부로 밀어 넣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the generation of the vacuum suction unburned gas, the introduction mechanism may include a screw that pushes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into the combustion tube while rotating.

한편 상기 진공흡입 미연소 가스발생을 유도한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유동부는, 공급부로부터 2차 연소로로 연장되게 형성된 가스유도관; 및 상기 공급부의 가스를 흡입하여 2차 연소로로 유동시키도록 상기 가스유도관에 설치된 벨로우즈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generation of the vacuum suction unburned gas, the gas flow unit may include: a gas induction pipe formed to extend from a supply unit to a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And a bellows pump installed in the gas induction pipe for sucking the gas from the supply unit and flowing the gas to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고체 입자연소물질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미세먼지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열교환기 내면에 스케일 등의 발생을 예방하여 열전달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백필터와 같은 필터장치를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로 하게 함으로, 관련 설비에 구축이나 유지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mission of dust or fine dus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of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to the atmosphere, prevent scale from being gener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It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In particular, since the filter device such as the bag filter is not used or minimized, the cost for constructing and maintaining the related equipment can be reduced.

또한, 미연소 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2차 연소로의 내부에 1차 연소로가 위치하여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 및 탄화분위기를 만들어 주고, 2차 연소로의 완전 연소 분위기를 만들어 줌으로써, 물질의 완전 연소와 탄화를 보다 더 경제적이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is located inside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where the unburned gas is combusted, thereby making the combustion and carbonization atmosphere of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and making a complete combustion atmosphere of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There is an effect that complete combustion and carbonization can be formed more economically and easily.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소장치의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장치의 주요 구조에 대한 상세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관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벨로우즈 펌프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기구의 또 다른 구조를 보인 구조도.
1 is a structural view of a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view of a main structure of a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bus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ellows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structure of an inser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소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하고 있다.1 is a structural view of a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연소장치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연소함에 있어서 공기의 흡입을 통해 연소분위기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저장부(100), 공급부(200), 1차 연소로(300), 2차 연소로(400), 가스유동부(500)로 구성된다.The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orm a combustion atmosphere through the suction of air in burning a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and includes a storage unit 100, a supply unit 200, a primary combustion furnace 300, And a gas flow unit 500. The gas flow unit 500 includes a gas flow channel 400,

상기 저장부(100)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저장해두었다가 조금씩 공급부(200)로 배출하는 것으로, 저장탱크(110)와 하나 이상의 여과탱크(120)로 구성된다.The storage unit 100 stores solid-state combustion materials and discharges the solid-state combustion materials to the supply unit 200 little by little. The storage unit 100 includes a storage tank 110 and one or more filtration tanks 120.

상기 저장탱크(110)에는 왕겨, 톱밥, 우드칩과 같이 조각 형태의 고체 입자 연소물질이 저장되도록 이루어지며, 저장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여과탱크(120)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기구(111)가 구비된 것으로 구성된다.The storage tank 11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mechanism 111 for storing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s such as rice hulls, sawdust, and wood chips, and discharging the stored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s to the filtration tank 120 .

이때, 상기 배출기구(111)는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배출하도록 구성되거나,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이 왕복이동을 하면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출기구(111)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 배출기구(11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mechanism 111 may be configured to discharge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by rotation of the screw, or may be configured to discharge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while reciprocating the piston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ischarging mechanism 111 which is already widely used will be omitted.

상기 여과탱크(120)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에 포함된 분진을 미리 필터링함으로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과정에서 분진이나 미세먼지가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여과탱크(120)의 상부 공기를 흡입하여 여과탱크(120)의 바닥으로 분사하는 공기순환장치(121)와, 상기 공기순환장치(121)로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분진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필터(122)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The filtration tank 120 reduces the generation of dust or fine dust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of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by pre-filtering the dust contained in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thereby absorbing the upper air of the filtration tank 120 And a filter 122 for collecting and removing the dust that is sucked together with the air by the air circulating device 121. The filter 122 may be a filter,

이때 상기 공기순환장치(121)는 여과탱크(120)의 상단부로부터 바닥으로 연장되는 순환관(1211)과, 상기 순환관(1211)에 설치되어 공기를 일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송풍기(12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122)는 순환관(1211)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공기만을 통과시킴으로서 분진을 포집하게 된다.The air circulation device 121 includes a circulation pipe 1211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iltration tank 120 to the bottom and a blower 1212 installed in the circulation pipe 1211 to flow the air in one direction And the filter 122 is installed at the inlet side of the circulation pipe 1211 so that dust is collected by passing only air.

한편, 상기 여과탱크(120)에는 저장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기구(123)가 더 포함된다.The filtration tank 120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mechanism 123 for discharging the stored solid-state combustion material.

이와 같은 여과탱크(120)는 다단으로 구성되어 여러 단계를 통해 고체 입자 연소물질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여과탱크(120)가 직렬구조로 연결되어 2단계의 과정을 통해 분진을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filtration tanks 120 are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ther. In this case, And the dust is removed through a two-step proces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장치의 주요 구조에 대한 상세도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관의 단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벨로우즈 펌프의 단면도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기구의 또 다른 구조를 보인 구조도를 도시하고 있다.FIG. 2 is a detailed view of the main structure of the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combus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bellows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other structure of the input mechanism.

상기 공급부(200)는 여과탱크(120)로부터 배출되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제공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조금씩 1차 연소로(300)로 투입시키는 것으로, 공급탱크(210)와 투입기구(220)로 구성된다.The supply unit 200 receives and stores the solid-state particulate combustion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filtration tank 120. The solid-state particulate combustion material is supplied little by little to 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300. The supply unit 200 includes a supply tank 210, And a mechanism 220.

상기 공급탱크(210)는 저장부(100)에 마련된 여과탱크(120)와 연결되어 여과탱크(120)로부터 배출되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제공받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The supply tank 210 is connected to a filtration tank 120 provided in the storage unit 100 to receive and store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filtration tank 120.

상기 투입기구(220)는 공급탱크(210)에 저장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1차 연소로(300)로 투입하는 것으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특성에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221) 또는 회전운동을 하는 스크류(223)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피스톤(221) 또는 스크류(223)의 작동에 의해 연소관(310)의 내부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이 일정 공극률은 가지고 압축되면서 채워지게 된다.The injecting mechanism 220 injects the solid-state combustion material stored in the supply tank 210 into 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300 in such a manner as to push the solid-state combustion material into the primary combustion chamber 300, And the piston 221 or the screw 223 may operate to fill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tube 310 while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is compressed with a predetermined porosity do.

이때, 상기 피스톤(221)은 모터 또는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연소관(310)으로 밀어 넣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iston 221 may be configured to push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into the combustion tube 310 while performing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by the operation of a motor or a cylinder.

또한, 상기 스크류(223)는 모터(222)의 작동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면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연소관(310)으로 밀어 넣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crew 223 may be configured to push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into the combustion tube 310 while rotating by the action of the motor 222.

한편, 상기 스크류(223)를 포함하는 투입기구(220)에 의하면,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연소관(310)으로 연속적으로 투입하게 되므로, 연소관(310)의 화염이 공급탱크(210)로 유동하는 미연소 가스에 의하여 역행하면서 공급탱크(220)의 내부로 번지는 백파이어(back fire)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jection mechanism 220 including the screw 223 continuously injects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into the combustion tube 310 so that the flame of the combustion tube 310 flows into the supply tank 2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ck fire phenomenon from being caused to flow into the supply tank 220 while being reversed by the combustion gas.

이와 같은 투입기구(220)는 공급탱트(210)와 내부에 구성되거나, 공급탱크(210)의 외부에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Such an insertion mechanism 220 may be formed inside the supply tank 210 or may be separately formed outside the supply tank 210.

상기 1차 연소로(300)는 공급부(200)에 의해 투입되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연소시키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재(A)의 배출을 위하여 개방된 배출구(301)가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301)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302)가 배치되어 회전체(302)의 회전에 의해 재가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300 has a structure in which a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injected by the supply part 200 is combusted and is totally closed so that the discharge of the material A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A rotating body 302 rotated by a motor is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301 and the ash is discharg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302. [

또한, 상기 1차 연소로(300)는 공급탱크(210)로부터 배출되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투입 받는 연소관(310)이 포함된다.In addition, 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300 includes a combustion tube 310 to which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supply tank 210 is supplied.

상기 연소관(310)은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튜브형태의 구조물로서, 공급탱크(210)에 연결된다.The combustion tube 310 is a tubular structure that provides space for combustion of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and is connected to the supply tank 210.

이러한 연소관(310)의 내부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로 채워지고, 연소관(310)에 채워진 고체 입자 연소물질은 1차 연소로(300)에 마련되는 1차 발화장치(320)에 의해 연소가 이루어지며, 연소관(310)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과정에서 1차 연소로(300)의 내부 공기는 연소관(310)을 통해 공급탱크(210)로 유동하면서 미연소 가스 발생을 일으키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와 탄화를 촉진하게 된다.The inside of the combustion tube 310 is filled with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and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filled in the combustion tube 310 is combusted by the primary ignition device 320 provided in 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300 The internal air of 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300 flows into the supply tank 210 through the combustion tube 310 and is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tube 310 through the solid particles Thereby promoting the combustion and carbonization of the combustion material.

즉, 상기 연소관(310)의 내부에 충전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 및 탄화과정에서 후술될 미연가스 유동부(500)에 의해 1차 연소로(300)의 내부 공기가 연소관(310)을 통해 공급탱크(210)로 유동하면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 및 탄화를 통한 미연소 가스 발생을 촉진하게 되며,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연소 가스, 분진, 미세먼지 등이 공기와 함께 공급탱크(210)의 내부로 빨려 들어가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연소관(310)과 공급탱크(210)에 저장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이 필터 기능을 하면서 상당량의 분진과 미세먼지를 유동하는 미연소 가스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하게 된다.That is, in the combustion and carbonization processes of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filled in the combustion tube 310, the inner air of 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300 i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tube 310 through the unburnt gas flow portion 500, Combustion gas is generated by combustion and carbonization of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while being flowed into the supply tank 210, and unburned gas, dust, fine dust, and the like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of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In this process,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stored in the combustion tube 310 and the supply tank 210 is separated from the unburned gas flowing in a considerable amount of dust and fine dust while performing a filter function .

따라서, 별도의 필터를 구성하지 않고도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시 발생되는 분진이나 미세먼지가 대기로 방출되는 것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ust or fine dus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of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to the atmosphere, without constructing a separate filter.

이와 같이 공기 흡입 방식으로 흡사 담배가 태워지듯이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관(310)에는 외부 공기를 1차 연소로(300)의 내부로 안내하여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1차 연소로(300)로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제1공기유입관(311)이 형성된다.The combustion tube 310, in which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is combusted, guides the outside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300 to burn the air required for combustion of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10, One or more first air inlet pipes 311 for supplying the air to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300 are formed.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공기유입관(311)은 연소관(310)을 구성하는 벽에 내장되게 설치되고, 연소관(310)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연소관(310)의 둘레에 다수개가 분산되게 배치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ir inflow pipe 311 is installed in a wall constituting the combustion pipe 310, extends long along the combustion pipe 310, And a plurality of portions are dispersedly disposed on the periphery.

참고로, 상기와 같이 연소관(3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소관(310)의 둘레에 다수의 제1공기유입관(311)이 설치된 경우, 다량의 공기를 1차 연소로(300)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공기유입관(311)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연소관(310)의 열을 전달받아 가열된 채로 1차 연소로(300)의 내부로 공급되므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안정적인 연소환경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관(310)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a plurality of first air inflow pipes 311 are installed around the combustion tube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bustion tube 310 as described above, a large amount of air can be stably supplied to the first combustion furnace 300 In addition, since the heat of the combustion tube 310 is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300 while being heated in the course of the inflow of air through the first air inlet pipe 311, It is possible not only to realize a stable combustion environment of the combustion material, but also to prevent the combustion tube 310 from being overheated.

이와 같은 연소관(310)은 다수개로 구성되어 여러 경로를 통해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투입 및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mbustion tube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bustion tubes 310 and may be configured to inject and burn solid-state combustion materials through various paths.

상기 2차 연소로(400)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1차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연소 가스를 제공받아 완전 연소시키는 것으로, 1차 연소로(300)의 외부에서 미연소 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2차 연소공간을 형성하도록 1차 연소로(300)를 감싸는 구조로 설치된다.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400 is provided with the unburned gas generated in the primary combustion process of the solid-phase combustion material and completely burns the unburned gas.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400 includes two And 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300 so as to form a secondary combustion space.

이러한 2차 연소로(400)의 내부에는 미연소 가스 분사노즐(410)과, 상기 미연 가스 분사노즐(410)로부터 분출되는 미연소 가스를 연소시키는 2차 발화장치(420)와, 상기 미연 가스 분사노즐(410)의 주변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분사하는 공기분사노즐(430)이 구성된다.In the interior of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400, there are provided a unburned gas injection nozzle 410, a secondary ignition device 420 for burning unburned gas ejected from the unburnt gas injection nozzle 410, And an air injection nozzle 430 for injecting outside air into the periphery of the injection nozzle 410 is formed.

상기 미연 가스 분사노즐(410)은 가스유동부(500)에 의해 2차 연소로(400)로 공급되는 미연소 가스를 2차 연소로(400)의 내부로 분출하도록 구성된다.The unburnt gas injection nozzle 410 is configured to inject unburnt gas supplied to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400 into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400 by the gas flow portion 500.

상기 2차 발화장치(420)는 미연 가스 분사노즐(410)의 주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별도의 액체 또는 기체 연료의 연소에 의해 불을 생성하여 미연소 가스를 완전 연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ary ignition device 420 is installed to be positioned around the unburned gas injection nozzle 410 and can be configured to completely ignite the unburned gas by generating flame by combustion of another liquid or gaseous fuel .

상기 공기분사노즐(430)은 미연 가스 분사노즐(410)의 주변으로 외부 공기를 분사하도록 미연 가스 분사노즐(410)의 주변에 구성되며, 이러한 공기분사노즐(430)은 2차 연소로(400)를 둘러싸면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공기유입관(431)에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제공받도록 구성된다.The air injection nozzle 430 is configured around the unburnt gas injection nozzle 410 to inject outside air around the unburnt gas injection nozzle 410. The air injection nozzle 430 is connected to the secondary combustion chamber 400 And is connected to a second air inlet pipe 431 forming a flow path for introducing outside air to receive external air.

이처럼 2차 연소로(400)를 둘러싸도록 이루어진 제2공기유입관(431)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2차 연소로(40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예열된 상태로 공기분사노즐(430)로 공급되므로 미연소 가스의 2차 연소분위기를 보다 원활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e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air inflow pipe 431 surrounding the secondary combustion chamber 400 is heated by the heat generated in the secondary combustion chamber 400 to be supplied to the air injection nozzle 430 So that the secondary combustion atmosphere of the unburned gas can be formed more smoothly.

한편, 상기 2차 연소로(400)에는 2차 연소로(400)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440)이 형성된다.Meanwhile,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400 is formed with a discharge pipe 440 through which the exhaust gas generated in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400 is discharged.

상기 가스유동부(500)는 공급부(200)의 공기를 흡입하여 2차 연소로(400)에 설치되는 미연 가스 분사노즐(410)로 공급하는 것으로, 가스유도관(510)과 벨로우즈 펌프(520)로 구성된다.The gas flow unit 500 sucks the air from the supply unit 200 and supplies the air to the unburnt gas injection nozzle 410 installed in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400. The gas induction pipe 510 and the bellows pump 520 ).

상기 가스유도관(510)은 공급탱크(210)로부터 2차 연소로(400)에 설치된 미연 가스 분사노즐(410)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The gas induction pipe 510 is connected to the unburned gas injection nozzle 410 installed in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400 from the supply tank 210.

상기 벨로우즈 펌프(520)는 가스유도관(510)상에 설치되어 공급탱크(210)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2차 연소로(400)로 압송하는 것으로, 실린더(521)와 피스톤(522) 및 금속 벨로우즈(523)로 구성된다.The bellows pump 520 is installed on the gas induction pipe 510 to suck the air in the supply tank 210 and to send the sucked air to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400 so that the cylinder 521, (522) and a metal bellows (523).

상기 실린더(521)는 내부가 빈 중공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공기 유입구(5211)와 공기 토출구(5212)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The cylinder 521 has a hollow hollow structure and has an air inlet 5211 and an air outlet 5212 formed at one side thereof.

이때 상기 가스 유입구(5211)는 공급탱크(210)로부터 연장되는 가스유도관(510)에 연결되고, 상기 가스 토출구(5212)는 미연 가스 분사노즐(410)과 연결된 가스유도관(510)에 연결된다.The gas inlet 5211 is connected to the gas induction pipe 510 extending from the supply tank 210 and the gas outlet 5212 is connected to the gas induction pipe 510 connected to the unburned gas injection nozzle 410 do.

상기 피스톤(522)은 실린더(521)의 내부에서 왕복이동을 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피스톤(522)은 외부의 작동기구(530)와 연결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The piston 522 is arranged to reciprocate within the cylinder 521, and the piston 522 is configured to move in conjunction with an external actuating mechanism 530.

한편, 상기 작동기구(530)는 모터나 엔진에 의해 회전하는 캠이나 크랭크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actuating mechanism 530 may be constituted by a cam or a crankshaft which is rotated by a motor or an engine.

상기 금속 벨로우즈(523)는 피스톤(522)의 왕복이동에 대응하여 실린더(521)의 내부 공간의 용적을 변환시킴으로써 공기의 흡입과 토출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피스톤(522)과 실린더(521) 내벽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금속 벨로우즈(523)는 피스톤(522)의 왕복이동에 대응하여 신축되면서 실린더(521) 내부 공간의 용적을 변환시키게 된다.The metal bellows 523 changes the volum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ylinder 521 in response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ston 522 so that air is sucked and discharged. The metal bellows 523 is expanded or contracted corresponding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ston 522 to change the volum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ylinder 521.

참고로, 일반적인 실린더와 같이 피스톤의 외측에 고무 씰링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피스톤(522)과 실린더(521)의 사이에 기밀구조를 형성한 경우, 실린더의 내부로 유입되는 고온의 미연소 가스로 인해 고무 씰링이 손상되면서 공기의 흡입과 토출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본 발명에서와 같이 고무 씰링을 사용하지 않고 피스톤(522)과 실린더(521)의 사이에 금속 벨로우즈(523)를 설치한 경우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For reference, when a hermetic structure is formed between the piston 522 and the cylinder 521 in such a manner that a rubber sealing ring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iston as in a general cylinder, due to the high temperature unburned gas flowing into the cylind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ction and discharge of air is not smooth due to the damage of the rubber sealing ring. On the other hand, a metal bellows 523 is installed between the piston 522 and the cylinder 521 without using the rubber sealing ring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problem can be solved.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벨로우즈 펌프(520)는 다수개로 구성되며, 다수의 벨로우즈 펌프(520)는 서로 다른 시기에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도록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bellows pump 5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bellows pumps 520, and the bellows pumps 520 are configured to suck and discharge air at different times.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벨로우즈 펌프(520)는 3개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벨로우즈 펌프(520)는 가스유도관(510)에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도록 이루어지며, 크랭크축에 연결되어 서로 다른 시기에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llows pump 520 is composed of three bellows pumps 520, each of which is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gas induction pipe 510 to suck and discharge air , And connected to the crankshaft so as to suck and discharge air at different times.

한편, 상기 공급탱크(210)로부터 벨로우즈 펌프(520)로 연장되는 가스유도관(510)에는 미연소 가스의 냉각을 유도하는 냉각부(54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부(540)에는 냉각수가 순환하면서 가스유도관(510)의 미연소 가스를 냉각시키게 된다.Meanwhile, a cooling unit 540 for guiding cooling of the unburned gas may be formed in the gas induction pipe 510 extending from the supply tank 210 to the bellows pump 520, and the cooling unit 540 The cooling water circulates and the unburned gas in the gas induction pipe 510 is cooled.

참고로, 가스유도관(510)을 통해 2차 연소로(400)로 유동하는 미연소 가스의 온도를 저감시킬 경우, 미연소 가스의 밀도가 증가하게 되므로 보다 많은 양의 미연소 가스를 2차 연소로(400)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temperature of the unburned gas flowing into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400 through the gas induction pipe 510 is reduced, the density of the unburned gas is increased. Therefore, So that it can be supplied to the combustion furnace 400.

이와 같이 구성된 연소장치에 있어서, 2차 연소로(400)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열과 2차 연소로(400)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면서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발생부(6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steam generator 600 generates steam by heating the water using the heat of the exhaust gas generated in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400 and the heat generated in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400, May be further included.

한편, 상기 스팀발생부(600)는 물탱크(610)와 열교환기(620)로 이루어진다.The steam generator 600 includes a water tank 610 and a heat exchanger 620.

상기 열교환기(620)는 물탱크(610)로부터 배출관(440)을 경유하여 2차 연소로(400)로 연장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며, 배출관(440)을 통해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배출관(440)을 감싸는 구조를 갖고, 이와 더불어 2차 연소로(400)에서 미연소 가스의 연소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고 스팀을 생산할 수 있도록 2차 연소로(400)를 감싸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The heat exchanger 620 is configured to form a flow path extending from the water tank 610 to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400 through a discharge pipe 440 so that the heat of the exhaust gas flowing through the discharge pipe 440 And the water is heated by using the heat generated when the unburned gas is burned in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400. In addition, And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400.

이러한 스팀발생부(600)에서 생산되는 스팀은 미도시된 증기터빈으로 공급되어 발전기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steam produced by the steam generator 600 may be supplied to an unillustrated steam turbine and used to operate the generator.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소장치에 의해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burning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by the combustion apparatus construct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은 배출기구(111)에 의해 여과탱크(120)로 배출된다.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tank (110) is discharged to the filtration tank (120) by the discharge mechanism (111).

상기 여과탱크(120)에는 공기순환장치(121)와 필터(122)가 설치되어 있으며, 공기순환장치(121)에 의해 공기가 유동함에 따라 고체 입자 연소물질이 비산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고체 입자 연소물질에 포함된 분진이 필터(122)에 포집되어 제거된다.The filtration tank 120 is provided with an air circulation device 121 and a filter 122. The air is circulated by the air circulation device 121 so that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is scattered. The dust contained in the material is collected in the filter 122 and removed.

한편, 다단의 여과탱크(120)를 거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은 공급탱크(210)로 유입되며, 공급탱크(210)에 구비된 투입기구(220)에 의해 연소관(310)으로 투입된다.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multi-stage filtration tank 120 flows into the supply tank 210 and i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tube 310 by the charging mechanism 220 provided in the supply tank 210.

한편, 상기 연소관(310)은 대략 수평한 자세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투입기구(220)에 의해 지속적으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이 투입되는 관계로 연소관(310)의 내부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로 채워지게 되며, 연소관(310)에 채워진 고체 입자 연소물질은 조금씩 전진하게 된다.Meanwhile, since the combustion tube 310 has a substantially horizontal posture and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is continuously injected by the injecting mechanism 220,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tube 310 is filled with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filled in the combustion tube 310 advances little by little.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연소관(310)에 충전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은 1차 연소로(300)에 구비된 1차 발화장치(320)에 의해 연소된다.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filled in the combustion tube 310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burned by the primary ignition device 320 provided in 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300.

한편, 가스유동부(500)의 작동에 의해 1차 연소로(300)의 내부 공기는 연소관(310)과 공급탱크(210) 및 가스유도관(510)을 통해 2차 연소로(400)의 내부로 유동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연소관(310) 내부의 발화영역이 연소관(310) 내부로 점차적으로 확산되고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 및 탄화는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The internal air of 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300 is supplied to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400 through the combustion tube 310, the supply tank 210, and the gas induction pipe 510, The ignition region inside the combustion tube 310 is gradually diffused into the combustion tube 310, and the combustion and carbonization of the solid-state combustion material are more actively performed.

참고로, 연소관(310)의 내부에는 1차 발화장치(320)에 근접한 단부로부터 발화영역(S1)과 미연소 가스 발생영역(S2) 및 탄화영역(S3)으로 구분된다.The combustion chamber 310 is divided into the ignition region S1, the unburned gas generating region S2 and the carbonization region S3 from the end near the primary ignition device 320. [

한편,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미세먼지는 연소관(3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을 따라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이동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연소관(310) 및 공급탱크(210)에 충전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지나가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대부분의 분진과 미세먼지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에 부착되어 필터링 됨에 따라 열교환기 내부의 스케일 누적을 최소화하여 열전달 효율을 지속시킴은 물론,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미세먼지의 제거를 위한 백필터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거나 최소화가 가능하게 된다.Meanwhile, the dust and fine dus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of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flow along the flow of the air formed inside the combustion tube 31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As a result, most of the dust and fine dust are adhered to and filtered out from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thereby minimizing the scale accumulation in the heat exchanger and thus maintaining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The use of the bag filter for removing dust or fine dus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of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is not required or minimized.

한편, 상기 미연소 가스 발생영역(S2)에서 발생되는 미연소 가스(CO, HC 등)와 일부 분진 및 미세먼지는 공급탱크(210)와 가스유도관(510)을 통해 미연 가스 분사노즐(410)로 공급되어 2차 연소로(400)의 내부로 분출되며, 2차 연소로(400)의 내부에 마련된 2차 발화장치(420)에 의해 완전 연소된다.The unburned gas (CO, HC, etc.) and some dust and fine dust generated in the unburned gas generating region S2 are discharged through the supply tank 210 and the gas guide pipe 510 to the unburned gas injection nozzles 410 And is injected into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400 and completely burned by the secondary ignition device 420 provided in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400. [

한편, 상기 2차 연소로(400)는 1차 연소로(300)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며, 미연소 가스의 연소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1차 연소로(300)를 가열하게 되므로, 1차 연소로(300)에서 이루어지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분위기를 보다 용이하게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미연가스 생성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400 is formed to surround 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300 and 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300 is heated using heat generated when the unburned gas is burned,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form and maintain the combustion atmosphere of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in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300, thereby improving the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unburnt gas of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소장치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를 촉진하기 위하여 공기를 주입하지 않고 공기와 가스를 흡입하는 새로운 방식의 연소장치로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미세먼지가 대기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백필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대기로 방출되는 분진이나 미세먼지의 양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w type of combustion apparatus for sucking air and gas without injecting air in order to promote the combustion of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In the combustion process of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amount of dust or fine dust released into the air without using a bag filter for preventing the generated dust or fine dust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air.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저장부 110: 저장탱크
120: 여과탱크 122: 필터
200: 공급부 210: 공급탱크
220: 투입기구 221: 피스톤
301: 배출구 300: 1차 연소로
310: 연소관 311: 제1공기유입관
400: 2차 연소로 430: 공기분사노즐
431: 제2공기유입관 440: 배출관
500: 가스유동부 510: 가스유도관
520: 벨로우즈 펌프 521: 실린더
5211: 공기 유입구 5212: 공기 토출구
522: 피스톤 523: 금속 벨로우즈
530: 작동기구 540: 냉각부
600: 스팀발생부 610: 물탱크
620: 열교환기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storage unit 110: storage tank
120: Filtration tank 122: Filter
200: supply unit 210: supply tank
220: input mechanism 221: piston
301: exhaust port 300: primary combustion furnace
310: combustion pipe 311: first air inflow pipe
400: Secondary burner 430: Air injection nozzle
431: second air inlet pipe 440: outlet pipe
500: gas flow section 510: gas induction pipe
520: Bellows Pump 521: Cylinder
5211: Air inlet 5212: Air outlet
522: piston 523: metal bellows
530: Operation mechanism 540: Cooling section
600: steam generator 610: water tank
620: heat exchanger

Claims (4)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제공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밀어내는 투입기구가 구비된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 연결되어 투입기구에 의해 밀려나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투입 받는 연소관을 포함하며, 상기 연소관 및 재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진 1차 연소로;
상기 1차 연소로의 외부에 2차 연소공간을 형성하도록 1차 연소로를 감싸는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1차 연소로에서 이루어지는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연소 가스를 제공받아 연소시키는 2차 연소로; 및
상기 공급부와 2차 연소로를 연결하되, 상기 1차 연소로의 미연소 가스가 연소관과 공급부를 통해 2차 연소로의 내부로 흡입 압송되도록 유동시켜 2차 연소로에서 미연소 가스를 완전 연소하게 하며, 고체 입자 연소물질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과 미세먼지가 공급부에 저장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통과하면서 걸러지도록 하는 가스유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 미연소 가스 발생을 유도한 연소장치.
A storage part for storing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A supply unit provided with an input mechanism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and pushing out the stored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A primary combustion furnace having a closed structure at a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combustion tube and ashes; and a combustion chamber for supplying a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pushed by the charging mechanism to the supply portion.
The solid-state combus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olid-state combustion device comprises: a first combustion chamber A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And
The unburned gas in 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flows through the combustion tube and the supply section so as to be sucked and f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to connect the supply section and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to completely burn the unburned gas in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And a gas flow portion for filtering dust and fine dus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of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while passing through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stored in the supply portion.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관의 내부에는 외부 공기를 1차 연소로의 내부로 안내하며, 유동하는 공기를 이용하여 연소관을 냉각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1공기유입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 미연소 가스 발생을 유도한 연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first air inflow pipe for guiding outside air to the inside of the primary combustion furnace and for cooling the combustion gas by using the flowing air is formed inside the combustion tube, Combustion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기구는 회전운동을 하면서 고체 입자 연소물질을 연소관의 내부로 밀어 넣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 미연소 가스 발생을 유도한 연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roducing mechanism includes a screw for pushing the solid particle combustion material into the combustion tube while rotat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유동부는,
공급부로부터 2차 연소로로 연장되게 형성된 가스유도관; 및
상기 공급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2차 연소로로 압축 유동시키도록 상기 가스유도관에 설치된 벨로우즈 펌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입 미연소 가스 발생을 유도한 연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as-
A gas induction pipe formed to extend from the supply portion to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And
And a bellows pump installed in the gas induction pipe to suck air from the supply unit and compressively flow the air into the secondary combustion furnace.
KR1020170177482A 2017-12-21 2017-12-21 Combustion system with inducing imperfect combustion gas for solid incinerate materials KR1018411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482A KR101841152B1 (en) 2017-12-21 2017-12-21 Combustion system with inducing imperfect combustion gas for solid incinerate materi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482A KR101841152B1 (en) 2017-12-21 2017-12-21 Combustion system with inducing imperfect combustion gas for solid incinerate materi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152B1 true KR101841152B1 (en) 2018-03-22

Family

ID=61901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482A KR101841152B1 (en) 2017-12-21 2017-12-21 Combustion system with inducing imperfect combustion gas for solid incinerate materi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15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600B1 (en) 2011-05-03 2011-10-27 김종배 Boiler
KR101578641B1 (en) 2015-10-29 2015-12-17 김용복 Apparatus for burning solid fuel and combustion method using thereof
KR101584175B1 (en) 2014-10-20 2016-01-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ed carb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600B1 (en) 2011-05-03 2011-10-27 김종배 Boiler
KR101584175B1 (en) 2014-10-20 2016-01-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ed carbon
KR101578641B1 (en) 2015-10-29 2015-12-17 김용복 Apparatus for burning solid fuel and combustion method using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80417A2 (en) A pulsing combustion device
KR200448540Y1 (en) A wood pellet stove
KR101436424B1 (en) Pellet boiler
JP5903182B1 (en) Smokeless incinerator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1841152B1 (en) Combustion system with inducing imperfect combustion gas for solid incinerate materials
KR102002409B1 (en) Waste incinerator
US20140158108A1 (en) Combustion device
KR20100035470A (en) Multi-function boiler
WO2016121223A1 (en) Excess gas burning device
KR100893389B1 (en) Heat recovering system having conbustion apparatus
KR100667223B1 (en) Low oxygen vortex burner
KR20060092320A (en) Combustion boiler of orgainic material
KR101789463B1 (en) Heating system with Solid fuel feeding device
KR101651282B1 (en) Combustion apparatus for waste articles
KR200265150Y1 (en) a steam boiler
JP2007178031A (en) Turning melting furnace or turning baking furnace using oxygen heat vaporizing re-combustion type burner utilizing reverse fire heat
KR0162631B1 (en) Hof-water supply/filter apparatus by using used tire
KR100304423B1 (en) Waste oil combustion boiler
CN104913309B (en) A kind of garbage combustion device
KR102211685B1 (en) Combustion type stove enable to reduce to emit micro pollution particle and micro particle removing module used therefor
JP2004043587A (en) Carbonz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rbonized matter
CN212378238U (en) Novel combined heating boiler
JP5297095B2 (en) Waste oil combustion equipment
KR100268389B1 (en) A boiler
KR101023993B1 (en) Vacumm steam boiler using heat from combustion of refuse derived fu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