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038B1 -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 - Google Patents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038B1
KR101841038B1 KR1020160178433A KR20160178433A KR101841038B1 KR 101841038 B1 KR101841038 B1 KR 101841038B1 KR 1020160178433 A KR1020160178433 A KR 1020160178433A KR 20160178433 A KR20160178433 A KR 20160178433A KR 101841038 B1 KR101841038 B1 KR 101841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induction
hull
induction equipment
sea ice
ship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엽
이창용
강국진
오은진
하정석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78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8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B63B270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100)는 해빙의 두께를 측정하고 측정한 값이 저장되는 전자기 유도 장비(10)를 선체(V)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선체()에는 윈치(112)가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이 고정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10)에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20)의 일단이 각각 체결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타단은 상기 선체(V)의 외부를 향해 연장되며, 도르래(122)가 구비된다. 상기 윈치(112)에는 와이어(W)의 일단이 권취된다. 상기 와이어(W)의 타단은 상기 도르래(122)를 경유하여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1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선체에 설치되는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에 의해 사람이 해빙 위에서 직접 해빙 두께를 측정하지 않아도 해빙과 가까운 위치에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를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실시간 저렴한 비용으로, 해빙의 두께를 보다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Jig for installing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instrument on ship hull}
본 발명은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 유도 장비가 선박 외부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빙해선박의 운항조건 중 북극 해빙의 두께는 상당히 중요한 정보로서, 해빙 두께는 선박의 쇄빙성능 및 설계강도를 결정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된다.
이와 같이 해빙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쇄빙선을 이용한 실선계측이 있다. 쇄빙선을 이용한 실선계측 중 하나는 전자기 유도 장비를 이용하는 것으로, 쇄빙선의 선체에 전자기 유도 장비를 부착한 후 빙해역을 운행하면서 해빙의 두께를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를 이용해 해빙 두께를 계측하는 경우, 해빙에서 겉보기 전도도 값을 계측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빙두께 추정법을 사용해 해빙의 두께를 추정한다.
이때, 전자기 유도 장비를 이용한 해빙의 두께 측정 시 전자기 유도 장비가 해빙의 표면에 가까울수록 더욱 정확한 겉보기 전도도 값이 측정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를 해빙의 표면에 가깝게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선박을 이용하여 해빙 위에 사람이 내려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를 이용하여 얼음의 두께를 측정해야 한다.
하지만, 사람이 해빙 위에 내려 전자기 유도 장비를 통해 측정하는 방식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위험성도 있다.
따라서 사람이 직접 해빙 위에서 측정하지 않고도 선박에서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를 해빙의 표면과 가까운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는 설치대(Jig)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949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체 외부에 전자기 유도 장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에 따르면, 해빙의 두께를 측정하고 측정한 값이 저장되는 전자기 유도 장비를 선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대에 있어서, 선체에 고정되고, 윈치가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과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선체의 외부를 향해 연장되며, 타단에 도르래가 구비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윈치에 권취되고 상기 도르래를 경유하여 타단이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프레임의 타단에 체결되어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 1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를 선체 외벽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 2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을 지지하는 제 3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는 섬유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에 따르면, 선체에 설치되는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에 의해 사람이 해빙 위에서 직접 해빙 두께를 측정하지 않아도 해빙과 가까운 위치에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를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간, 저렴한 비용으로, 해빙의 두께를 보다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도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의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V)에는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100)가 설치된다.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100)는 전자기 유도 장비(10)를 상기 선체(V)의 외부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100)는 쇄빙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에서도 견딜 수 있는 강성과 구조, 내부식성이 좋은 SUS304 소재로 제작되고, 트러스 타입(truss type)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100)에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이 구비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상기 선체(V)의 외벽에 고정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10)에는 각각 윈치(112)가 구비된다. 상기 윈치(112)는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W)가 권취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 윈치(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W)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윈치(112)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10)을 상기 선체(V)의 외부로 내릴 때 와이어(W)의 풀림을 허용하여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10)가 해빙(SI)을 향해 내려가도록 한다.
상기 윈치(112)에는 손잡이(114)가 연결된다. 상기 손잡이(114)는 상기 윈치(112)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윈치(112)가 와이어(W)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1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10)에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20)의 일단이 각각 체결된다. 즉,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일단은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선체(V)의 외부를 향해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상기 수평프레임(12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볼트(B)로 체결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타단에는 도르래(122)가 구비된다. 상기 도르래(122)는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W)가 경유하는 부분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윈치(112)에는 와이어(W)의 일단이 권취된다.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은 상기 윈치(112)에 권취되고 타단이 상기 도르래(122)를 경유하여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1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W)는 섬유 소재로 제작된다. 이는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10)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수평프레임(120) 사이에는 제 1지지대(130)가 설치된다. 상기 제 1지지대(130)의 일단은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타단에 체결된다. 상기 제 1지지대(130)는 상기 수평프레임(120)과 수직프레임(1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지지대(130)는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수평프레임(12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각각 볼트(B)로 체결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지지대(130)에는 제 2지지대(1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지지대(140)의 일단은 상기 제 1지지대(130)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선체(V)의 외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2지지대(140)는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10)를 상기 선체(V)의 외벽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선박의 항해 과정에서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10)가 흔들려 상기 선체(V)의 외벽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지지대(140)는 상기 제 1지지대(13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각각 볼트(B)로 체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제 2지지대(140)의 일단 사이에는 고정블록(14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블록(142)은 상기 제 2지지대(14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120) 사이에는 제 3지지대(1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지지대(150)는 상기 수평프레임(120)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볼트(B)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제 3지지대(150)는 상기 수평프레임(120) 사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100)에는 보조도르래(12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도르래(122)는 선체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보조도르래(122)는 와이어(W)가 경유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은 보조윈치(미도시)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도르래(122)를 경유하여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10)의 중앙에 연결된다. 상기 보조도르래(122)는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10)가 더욱 안정적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120)을 중심으로 상기 제 1지지대(130)와 반대되는 위치에는 보조 와이어(1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와이어(170)는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수평프레임(120)의 타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20)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10)는 보호케이스(1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케이스(12)는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10)를 해수 및 자기장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호케이스(12)의 외부에는 상기 와이어(W)의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공 및 연결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호케이스(12)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을 가지면서, 강화 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지니고 있어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 실시예의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해빙(SI)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곳에 상기 선박(V)을 정박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114)를 파지한 후 상기 윈치(112)를 구동시켜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10)가 해빙(SI)을 향해 내려가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10)를 해빙(SI)의 표면과 가까운 곳까지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윈치(112)의 구동을 멈춘 후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10)를 이용하여 해빙(SI)의 두께를 측정한다.
해빙(SI)의 두께 측정이 종료된 후,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114)를 다시 파지하여 상기 윈치(112)를 구동시켜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10)를 선체(V)를 향해 끌어올린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100)에 체결된 볼트(B)를 해제하여 상기 선체(V)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는 선박이 항해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1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선체(V)에 설치되는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100)에 의해 사람이 해빙(SI) 위에서 직접 해빙 두께를 측정하지 않아도 해빙(SI)과 가까운 위치에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10)를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간, 저렴한 비용으로, 해빙의 두께를 보다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도 높아진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전자기 유도 장비 12: 보호케이스
100: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 110: 수직프레임
112: 윈치 114: 손잡이
120: 수평프레임 122: 도르래
130: 제 1지지대 140: 제 2지지대
142: 고정블록 150: 제 3지지대
160: 보조도르래 170: 보조 와이어

Claims (5)

  1. 해빙의 두께를 측정하고 측정한 값이 저장되는 전자기 유도 장비를 선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대에 있어서,
    쇄빙선을 이용한 실선 계측을 위해 선체에 고정되고, 윈치가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과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선체의 외부를 향해 연장되며, 타단에 도르래가 구비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윈치에 권취되고 상기 도르래를 경유하여 타단이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프레임의 타단에 체결되어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 1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기 유도 장비를 선체 외벽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 2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을 지지하는 제 3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섬유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

  5. 삭제
KR1020160178433A 2016-12-23 2016-12-23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 KR101841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433A KR101841038B1 (ko) 2016-12-23 2016-12-23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433A KR101841038B1 (ko) 2016-12-23 2016-12-23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038B1 true KR101841038B1 (ko) 2018-03-22

Family

ID=61900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433A KR101841038B1 (ko) 2016-12-23 2016-12-23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03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5393B1 (en) Bollard testing system
US9855999B1 (en) System for launch and recovery of remotely operated vehicles
BR102012004606A2 (pt) ferramenta de instalação submarina, e, método para instalar um corpo flexível no leito do mar
CN103072672A (zh) 水文测量船舶测量缆绳收放装置
KR101475700B1 (ko) 수중 암반 고정용 해양관측장비 프레임
KR101841038B1 (ko) 전자기 유도 장비 선체 부착용 설치대
EP3612487A1 (en) Method for installing or uninstalling a component of a wind turbine
JP2012153488A (ja) ロープ探傷装置の取付器具
KR101384661B1 (ko) 수중 소음 계측 시스템
KR20130125499A (ko) 펜듈럼 줄 및 센서를 이용한 경사시험 장치 및 방법
KR101524666B1 (ko) 해상구조물의 라이저 홀딩 장치
CN104443334B (zh) 一种全回转装置附属构件高精度安装方法
KR101924323B1 (ko) 시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이스트 로드 테스트 방법
US102404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ine intervention in a subsea well from a floating vessel
CN214607981U (zh) 一种船体辅助定位装置
CN109029535B (zh) 船载水上水下一体化测量系统的平台装置
KR20160002060U (ko) 선박 위성 안테나 고정용 포스트
JP5597483B2 (ja) 太径の既設電線の移線工法
KR20110105601A (ko) 리니어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교량 등 설치대
KR20210078628A (ko) 파고 계측기의 성능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형선의 실험 방법
KR20180001324U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풍속감지장치
KR20200025894A (ko) 다기능 회전형 윈드센서 브라켓
JPH0237826Y2 (ko)
CN212605675U (zh) 一种电动侧扫声纳舷侧支架
CN109650188B (zh) 一种嵌入式移动台电缆转向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