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911B1 - 액상 추출기 - Google Patents

액상 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911B1
KR101840911B1 KR1020150159537A KR20150159537A KR101840911B1 KR 101840911 B1 KR101840911 B1 KR 101840911B1 KR 1020150159537 A KR1020150159537 A KR 1020150159537A KR 20150159537 A KR20150159537 A KR 20150159537A KR 101840911 B1 KR101840911 B1 KR 101840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mounting unit
flange
drier
liquid ex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6199A (ko
Inventor
소병일
Original Assignee
소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병일 filed Critical 소병일
Priority to KR1020150159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9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56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추출기는 여과지를 내측면에 수용하도록 원추형의 몸체부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추출공이 형성되는 드리퍼 및 양 단이 개방 연통된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드리퍼를 내부에 거치하기 위한 플랜지 걸림부와 컵에 고정하기 위한 컵 걸림부가 하나 이상 마련되는 거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 유닛의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직경 중 최대 직경을 갖는 부분에 상기 컵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상 추출기 {Liquid extractor}
본 발명은 원두커피나 녹차와 같이 액체를 분말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액상 추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리콘 재질의 드리퍼와 거치유닛을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하고 컵의 크기에 따라 드리퍼를 변형 사용함으로써 사용성 및 위생성을 증가시킨 액상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원두커피 또는 녹차 등의 드립식 추출방법은 드리퍼에 여과지를 얹고 커피 분말 내지 차 분발을 넣은 후, 뜨거운 물을 부어 드리퍼 내에서 분말이 충분히 용해되면서 일정 시간 동안 서서히 추출함으로써 맛과 향을 보존하는 추출 방법이다.
이에 대해, 종이컵 등에 간단히 설치되는 필터를 이용해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간단히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기구로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80326호가 등록되어 공고된 바 있다. 즉, 컵의 입구에 두 개의 고정구가 형성된 드리퍼가 설치되고 드리퍼 내측면에는 여과지가 구비되어 손쉽게 원두커피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드리퍼는 컵에 드리퍼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에 의하면 내측면에 여과지가 부착된 드리퍼가 컵의 입구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액상을 음용하기 위해서는 드리퍼와 여과지를 드러내고 마셔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 드리퍼는 별도의 고정부재가 마련됨에 따라 보관이나 세척이 용이하지 않고 고정부재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드리퍼의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드리퍼를 사용한 후 재사용을 하려는 경우 드리퍼를 세척이나 교환을 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20-0280326호(2002.07.02. 등록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리퍼와 고정부재(거치부재)를 분리형으로 제작하고 드리퍼를 실리콘 고무 재질로 사용하여 뒤집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성 및 위생성을 개선한 액상 추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액상 추출기는 여과지를 사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액상 추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여과지를 내측면에 수용하도록 원추형의 몸체부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추출공이 형성되는 드리퍼 및 양 단이 개방 연통된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드리퍼를 내부에 거치하기 위한 플랜지 걸림부와 컵에 고정하기 위한 컵 걸림부가 하나 이상 마련되는 거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 유닛의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직경 중 최대 직경을 갖는 부분에 상기 컵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 유닛의 상기 컵 걸림부에서 일단까지의 직경 내지 길이는 상기 컵 걸림부에서 타단까지의 직경 내지 길이와 상이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리퍼는 실리콘 고무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플렌지를 중심으로 뒤집어 사용함으로써 내면과 외면을 변경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컵 걸림부의 테두리에는 밀폐부재 내지 차폐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 걸림부는 내주면을 따라 요홈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플랜지가 상기 플랜지 걸림부의 내주면 요홈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추출기는 첫째, 드리퍼와 거치 유닛을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하여 사용성을 증가시킨다. 둘째, 드리퍼를 실리콘 고무 재질로 마련함에 따라 위생성 및 사용성을 증가시킨다. 셋째, 거치 유닛의 직경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컵에 고정시킴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컵에 사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추출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추출기의 드리퍼에 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추출기의 거치 유닛에 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추출기의 평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추출기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추출기의 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 추출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 유닛에 관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 추출기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 추출기의 상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 추출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상 추출기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추출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 추출기는 드리퍼(100)와 상기 드리퍼(100)를 내부에 수용하는 거치 유닛(300)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추출기는 상기 드리퍼(100)와 거치 유닛(300)이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경우에 따라서 상기 드리퍼(100)만을 단독으로 컵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원두 커피 분말을 사용하여 추출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드리퍼(100)에 여과지(미도시)를 장착하고 상기 드리퍼(100)를 상기 거치 유닛(300)의 내부에 삽입한 후 사용하고자 하는 컵에 상기 거치 유닛(300)을 고정 내지 거치한다. 또한, 상기 거치 유닛(300)을 먼저 컵에 고정 내지 장착하고 그 위에 상기 드리퍼(100)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드리퍼(100)의 사시도이다. 상기 드리퍼(100)는 플랜지(110). 몸체부(130), 추출공(150) 및 드리퍼 하부(17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30)는 깔때기 형상, 원추형상 등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130)의 내면에 여과지(미도시)가 부착되게 된다.
상기 플랜지(110)는 상기 드리퍼(100)를 직접 컵에 거치하거나 본 발명에 따라 거치 유닛(300)에 고정하기 위해 테두리방향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걸림부가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드리퍼 하부(170)에는 복수의 추출공(150)이 마련되고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추출된 액체가 수집되어 하부의 컵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110)에서 드리퍼 하부(170)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드리퍼(100)는 상부 즉, 여과지를 부착하고 커피 분말을 투입하거나 뜨거운 물을 붓기 위한 입구 측에서 하부 즉, 여과된 액체가 컵으로 추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마련된다. 하부에는 추출된 액체가 낙하하도록 하나 이상의 추출공(150)이 마련된다.
상기 추출공(150)은 구멍(hole)의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슬릿(slit)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크기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즉, 여과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추출공(150)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마련할 수 있으며, 여과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추출공(150)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고 복수로 마련함으로써 상기 추출공(150)이 여과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드리퍼(100)는 실리콘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특히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로 마련된다. 실리콘 고무는 디메틸 실란디올의 축합 반응을 통해 얻어낼 수 있으며, 고중합도 곧은 사슬 모양의 디올가노 폴리실록산에 미분 실리카 등을 보강제로 혼화하여 가교시킨 고무 탄성체로서, 내후성,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여 섭씨 영하 50도에서 섭씨 영상 200도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 오일보다 분자량이 큰 것은 분자량이 수십만 정도이고 비중은 0.98, 굴절률 1.4이다. 특히 내열성 및 발수성(물을 튀기는 성질)이 우수함에 따라 이러한 기능이 필요로 필요로 하는 곳에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추출기와 같이 위생성이 요구되고, 고온의 액체와 접촉하는 드리퍼에 사용하는 경우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드리퍼(100)를 실리콘 고무재질로 마련함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 후에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플랜지(110)를 중심으로 뒤집어서 내면과 외면을 변경하여 사용함으로써 위생상, 사용상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도 3은 상기 거치 유닛(300)의 사시도이다. 상기 거치 유닛(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연통된 링의 형상 또는 원통형 내지 다각기둥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부에서 하부 사이의 직경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마련할 수 있다.
즉, 상기 거치 유닛(300)의 직경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마련함으로써 직경이 최대인 지점이 컵의 내면과 접촉하여 거치되게 됨으로써 상기 거치 유닛(300)의 컵 걸림부(370)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컵 걸림부(3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의 크기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마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컵에 고정 내지 거치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 예컨대, 추가의 걸림 장치, 돌기와 홈 등을 통해서도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컵 걸림부(370)는 다양한 크기의 컵에 고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의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 유닛(300)의 직경 중 가장 큰 값을 상기 컵 걸림부(370)의 직경으로 마련하되 상기 컵 걸림부(370)는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컵 걸림부(370)의 직경을 7센티미터 내지 8센티미터로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컵 걸림부(370)를 중심으로 상부를 거치 유닛 상부(330), 하부를 거치 유닛 하부(350)로 명명하고 상기 거치 유닛 상부(330)의 직경과 상기 거치 유닛 하부(350)의 직경, 길이 내지 높이를 상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거치 유닛 상부(330)에는 상기 드리퍼(100)를 내부에 수용하기위해 상기 플랜지(110)가 거치될 수 있는 플랜지 걸림부(310)가 마련되며, 상기 플랜지 걸림부(310)는 상기 거치 유닛 하부(350)에도 마련될 수 있다. 즉, 경우에 따라서 상기 거치 유닛(300)의 상부와 하부를 뒤집어 사용하기 위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며, 상기 거치 유닛 상부(330)의 높이보다 상기 거치 유닛 하부(350)의 높이를 크게 마련함으로써, 사용자는 다양한 크기의 컵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컵의 직경 내지 높이가 작은 경우 상기 거치 유닛(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하고, 컵의 직경 내지 높이가 큰 경우 상기 거치 유닛(300)은 뒤집어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거치 유닛(300)은 상부와 하부가 연통된 형태로 마련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 유닛 상부(330)와 거치 유닛 하부(350)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거치 유닛 상부(330)의 직경은 상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고, 상기 거치 유닛 하부(350)의 직경은 하부에서 상 방향으로 올라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거치 유닛 상부(330)와 거치 유닛 하부(350)의 연결 부분의 직경이 최대로 마련되고 이 지점이 컵 걸림부(3701)가 되어 컵과 고정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거치 유닛 하부(350)와 거치 유닛 상부(330)는 임의로 위치를 지정한 것이므로 서로의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직경이 증가, 감소를 반복하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컵 걸림부(370)는 테두리를 따라 차폐부재(미도시) 내지 밀폐부재가 더 마련되어 컵과의 밀폐 및 고정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실리콘 내지 고무, 합성수지 재질의 부재가 사기 컵 걸림부(370)에 마련됨으로써 액상 추출기를 컵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경우 컵이 넘어지거나 흔들리는 경우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컵과의 접촉면적에 마찰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거치 유닛(300)과 컵의 고정을 견고하게 할 수 있음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액상 추출기의 평면도로서 상기 드리퍼(100)가 상기 거치 유닛(300)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추출기의 측면도이다. 즉, 상기 드리퍼(100)를 거치 유닛(300)에 삽입하고 상기 드리퍼(100) 내부에 여과지를 장착한 후, 상기 거치 유닛(300)을 컵에 거치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것이다.
상기 거치 유닛(300)의 일단 및 타단의 직경은 6센티미터 내지 8센티미터의 크기로 마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단은 7센티미터, 타단은 7.2센티미터의 직경으로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 유닛의 높이는 3센티미터 내지 6센티미터로 마련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4.9센티미터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직경이나 높이 등을 제한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추출기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하는 컵에 거치유닛(300)을 먼저 컵에 장착하고 상기 거치유닛(300)에 드리퍼(100)를 삽입하여 사용 할 수 있으며, 상기 드리퍼를 상기 거치유닛(300)에 삽입 고정시킨 후 컵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유닛(300)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드리퍼(100)만을 컵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실리콘 재질로 마련한 상기 드리퍼(100)를 컵에 고정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추출기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 추출기는 상기 플랜지(110)가 상기 거치 유닛(300)에 결합되도록 상기 플랜지 걸림부(31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요홈이 마련된다. 즉, 내주면 요홈에 상기 플랜지(110)를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액상 추출기를 뒤집어 사용하려면 상기 플랜지(110)가 상기 플랜지 걸림부(310)의 요홈에 끼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드리퍼(100)를 뒤집어 사용하는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 추출기의 사시도 및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 걸림부(310)의 요홈에 상기 플랜지(110)가 삽입 고정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즉, 사용자가 상기 드리퍼(100)를 거치 유닛(30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플랜지 걸림부(310)의 요홈에 플랜지(110)를 삽입하는데, 상기 드리퍼(100)가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고무재질이므로 형태를 변형시켜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 추출기는 컵(500)과 상기 컵에 고정 안착시키는 거치 유닛(300) 및 상기 거치 유닛(300)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드리퍼(100)로 마련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거치 유닛(300)에 상기 드리퍼(100)를 삽입하지 않고 상기 드리퍼(100) 만을 단독으로 컵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 추출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 유닛(300)의 플랜지 걸림부(310)는 내주면 둘레를 따라 요홈이 마련되고 상기 플랜지(110)가 상기 플랜지 걸림부(310)의 내주면 요홈에 삽입 고정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드리퍼(100)를 상하 위치를 변경하거나 뒤집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거치 유닛(300)의 플랜지 걸림부(310)에 고정된 상기 플랜지(110)를 중심으로 상기 드리퍼(100)의 상하를 뒤집게 됨으로써 컵의 크기나 직경에 따라 액상 추출기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컵의 직경 내지 높이가 다양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컵 걸림부(370)가 컵의 내면에 고정 안착되되 액상으로 추출되는 물질과 분말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도록 거치 유닛(300)을 뒤집거나 상기 드리퍼(100)를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추출기는 드리퍼와 거치 유닛을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하고 드리퍼를 실리콘 고무재질로 마련하여 뒤집어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성과 위생성을 증가시킨 액상 추출기에 이용될 수 있다.
100: 드리퍼 110: 플랜지
130: 몸체부 150: 추출공
170: 드리퍼 하부 300: 거치 유닛
310: 플랜지 걸림부 330: 거치 유닛 상부
350: 거치 유닛 하부 370: 컵 걸림부
500: 컵

Claims (6)

  1. 여과지를 사용하여 액상 물질을 추출하는 액상 추출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지를 내측면에 수용하도록 원추형의 몸체부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추출공이 형성되는 드리퍼; 및
    양 단이 개방 연통된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드리퍼를 내부에 거치하기 위한 플랜지 걸림부와 컵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컵에 고정되기 위한 컵 걸림부가 하나 이상 마련되는 거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 유닛의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직경 중 최대 직경을 갖는 부분에 상기 컵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 유닛의 상기 컵 걸림부에서 일단까지의 직경 내지 길이는 상기 컵 걸림부에서 타단까지의 직경 내지 길이와 상이하게 마련되며,
    상기 플랜지 걸림부는 상기 거치 유닛의 내주면을 따라 요홈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플랜지를 상기 플랜지 걸림부의 내주면 요홈에 끼워넣어 상기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걸림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추출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리퍼는 실리콘 고무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추출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걸림부의 테두리에는 밀폐부재 내지 차폐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추출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리퍼는 상기 플랜지를 중심으로 뒤집어 사용함으로써 내면과 외면을 변경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추출기.
KR1020150159537A 2015-11-13 2015-11-13 액상 추출기 KR101840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537A KR101840911B1 (ko) 2015-11-13 2015-11-13 액상 추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537A KR101840911B1 (ko) 2015-11-13 2015-11-13 액상 추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199A KR20170056199A (ko) 2017-05-23
KR101840911B1 true KR101840911B1 (ko) 2018-03-21

Family

ID=59050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537A KR101840911B1 (ko) 2015-11-13 2015-11-13 액상 추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9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398Y1 (ko) * 2011-11-24 2012-03-23 신관표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398Y1 (ko) * 2011-11-24 2012-03-23 신관표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199A (ko) 201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7972B2 (en) Tea making appliance with filter assembly
CA2778996C (en) Tea maker with closable pouring opening
US8307755B2 (en) Container with an improved structure
EP3166448B1 (en) Combined vessel lid and tea bag receptacle and method of using
US9352901B2 (en) Device for use in beverage containers
US9113742B2 (en) Beverage brewing platform
KR200459398Y1 (ko)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US2328599A (en) Device for brewing and dispensing beverages
US20090272276A1 (en) Infusion maker
WO2016003072A1 (ko) 더치커피 제조용구로 전용 가능한 컵 용기 및 이를 이용한 더치커피 제조용구
US20150053090A1 (en) Portable cup lid assembly with a d-shaped infuser basket or strainer
KR101840911B1 (ko) 액상 추출기
CA2738353A1 (en) Teacup cover
JP4805420B1 (ja) 抽出器
KR20160002220U (ko) 멀티형 핸드 커피드립기
KR101288241B1 (ko)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
KR20190079459A (ko) 여과망 속통을 갖는 종이컵
KR102504918B1 (ko) 커피 필터
KR200331944Y1 (ko) 거름용기가 형성된 찻잔
JP3233477U (ja) 容量を変えることができる濾筒及び濾筒を有する飲料容器
CN206621214U (zh) 液体提取器
JP2007075434A (ja) ドリッパー
KR20160059924A (ko) 물병
CN203709732U (zh) 一种具有过滤功能的水杯
US134514A (en) Improvement in coffee-po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