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761B1 - 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using image recognition - Google Patents

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using image recogn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761B1
KR101840761B1 KR1020170049530A KR20170049530A KR101840761B1 KR 101840761 B1 KR101840761 B1 KR 101840761B1 KR 1020170049530 A KR1020170049530 A KR 1020170049530A KR 20170049530 A KR20170049530 A KR 20170049530A KR 101840761 B1 KR101840761 B1 KR 101840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camera
image data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5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재찬
Original Assignee
조재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찬 filed Critical 조재찬
Priority to KR1020170049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76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7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recognition sensing device for determining a view state in the air, and a method thereof. The image recognition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emitting part for emitting light while sequentially flickering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 first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light emitting part at a distance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and a control part which receives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analyzes at least two among the luminous intensity of each of the positions, a luminous position shift by the sequential flickering, and a luminous object size for each of the positions, from the received image data, and determines the view state in the air.

Description

영상 인식 감지 장치 및 그 방법{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using image recognition}[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ing device and a sen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대기 중 시야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영상 인식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capable of determining an in-the-view state.

안개 등이 발생하면, 사물에 대한 시인성 및 시계가 현저히 떨어져 차량 추돌 및 차선 이탈 등의 교통사고 발생률이 높아진다. 이것은 심각한 차량 파손 및 인명 피해로 이어진다. 특히, 안개와 같은 대기현상은 국지적으로 발생하여 그 발생 시점 및 발생 정도를 예측하기 어렵고, 통상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소멸되는 경우가 많아, 교통 안전을 위한 즉각적인 상황 판단 및 대처가 어렵다. Fog, etc., the visibility of the object and the clock are remarkably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incidence of traffic accidents such as vehicle collision and lane departure. This leads to serious vehicle damage and personal injury.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an atmospheric phenomenon such as a fog, and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occurrence time and occurrence of the fog.

도로기상정보시스템(RWIS)은 강우/강설감지기, 기압계, 지중온도계, 노면감지기, 결빙감지기, 온/습도 감지기, 풍향 풍속계, 일사량계, 안개 감지기 등의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도로변의 기상상태 및 도로상태를 모니터링한다.The road weather information system (RWIS) uses weather sensors such as rainfall / snowfall detectors, barometers, underground thermometers, road surface detectors, freezing sensors, temperature / humidity sensors, wind direction anemometers, solar radiation meters, Monitor the status.

여기서, 종래의 안개 감지기는 일반적으로 적외선 레이저를 이용하여 빛의 전방산란을 측정하는 시정 센서(Visibility Sensor)가 이용된다.In the conventional mist detector, a visibility sensor for measuring the forward scattering of light using an infrared laser is generally used.

그런데, 이러한 시정 센서는 비교적 고가이고, 측정 원리상 비가 오는 경우에 뚜렷한 오차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rrective sensor is relatively expensive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clear error occurs when the measurement principle is raining.

본 발명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안개와 같은 대기현상 중 시야 상태를 판단하고, 교통안전에 이용할 수 있는 영상 인식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visual state of an atmospheric phenomenon such as a fog using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and using the image sensing apparatus for traffic safe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장치는, 복수의 위치에서 순차 점멸하면서 발광하는 발광부; 발광부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발광부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 제1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위치별 발광 휘도, 순차 점멸에 의한 발광 위치 이동 및 복수의 위치별 발광 개체 크기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영상 분석하여, 대기 중 시야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sensing apparatus including: a light emitting unit emitting light while sequentially flashing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 first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light emitting portion at a distance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At least two or more of the luminous intensi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ons, the luminous position shift by the sequential blinking, and the luminous object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ons are analyzed from the received image data,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visual field state.

제어부는 복수의 위치별 발광 휘도, 순차 점멸에 의한 발광 이동 및 복수의 위치별 발광 이미지 크기를 각각 미리 설정된 대기 중 시야 상태에 따른 기준값과 비교하고, 소정 시간 동안 각 기준값을 만족하는 점수를 합산하여, 대기 중 시야 상태를 단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미리 설정된 대기 중 시야 상태에 따른 기준값 각각은, 우천 발생시, 안개 발생시 또는 스모그 발생시에 따라 제1 카메라와 발광부의 거리, 발광부의 휘도 및 발광 크기에 기초하여 레벨별 기준값을 갖도록 설정되며, 시야 상태에 따른 레벨별 기준값에 대응한 레벨별 점수를 가진다.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light emission luminances for each of a plurality of positions, the light emission movement by the sequential blinking, and the size of the light emission imag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ons, with a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in- , It is possible to stepwise determine the state of the in-the-view field. For example, each of the reference values according to the preset in-the-view visual field state is set to have a level-specific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amera and the light-emitting portion, the luminance of the light-emitting portion, and the light- And has a level score corresponding to a level-specific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visual field state.

여기서, 대기 중 시야 상태를 단계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합산된 점수에 따라 주의 단계, 경보 단계 및 비상 단계로 판단할 수 있다. Here, the stepwise determination of the in-the-view field state can be determined as the attention step, the alarm step, and the emergency step according to the summed score.

발광부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서로 다른 색상의 복수의 LED부를 포함한다. 일례로, 복수의 LED부는 레드 LED부, 그린 LED부 및 블루 LED부를 포함한다.The light emitt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ED portions of different color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one example, the plurality of LED portions include a red LED portion, a green LED portion, and a blue LED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장치는, 발광부와 다른 위치로서 제1 카메라로부터 제2 일정 거리에서 촬영되되, 복수의 위치에서 순차 점멸하면서 발광하는 제2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카메라는 발광부와 제2 발광부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번갈아 촬영한다.The image recognition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that is photographed at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camera as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nd sequentially emits light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 this case, the first camera alternately captures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장치는, 차도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유도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단계적으로 판단된 시야 상태에 따라 유도등을 단계적으로 동작 제어할 수 있다. The image recognition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duction lamp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roadway. In this case, the controll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guide light step by step in accordance with the visual field state determined step by step.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장치는, 차도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 전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단계적으로 판단된 시야 상태에 따라 단계별 시야 상태 정보, 차량 안전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boar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oad map.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o display at least one of the step-by-step view state information and the vehicle safe spe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view state determined stepwi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장치는, 차도의 일정 구간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제2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일정 구간 내 차량 속도를 영상 분석하여, 차량 속도에 따른 교통 상태를 단계적으로 판단하며, 단계별 교통 상태 정보를 전광판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recognition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amera for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road map.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performs image analysis of the vehicle speed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received image data, determines the traffic condition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step by step, As shown in Fig.

일례로, 제어부는 판단된 대기 중 시야 상태 정보를 설정된 도로 교통 상황을 관리하는 관제 서버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can transmit the determined waiting state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managing the road traffic situation in real tim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방법은, 발광부가 복수의 위치에서 순차 점멸하면서 발광하는 단계; 발광부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발광부를 촬영하는 단계; 및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위치별 발광 휘도, 순차 점멸에 의한 발광 이동 및 복수의 위치별 발광 이미지 크기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영상 분석하여, 대기 중 시야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etecting an image, comprising: emitting light while sequentially emitting light at a plurality of positions; Photographing the light emitting portion at a distance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And at least two of the luminous intensi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ons, the luminous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positions, the luminous movement of the luminous flux by the blinking and the luminous image sizes of the plurality of positions are analyzed from the received image data, .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발광부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안개와 같은 대기현상 중 시야 상태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nalyzing a plurality of elements by using image data of a light emitting unit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a visual state of an atmospheric phenomenon such as a fog.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효과는, 이후 실시예에 따라 추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Other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발광부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발광부를 촬영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촬영된 영상 데이터의 영상 분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유도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recognition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FIG. 1. FIG.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shooting of a light emitting portion using a camera.
4 (a) to 4 (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image analysis process of photographed image data.
Fig. 5 (a) and Fig. 5 (b) are illustrations for explaining an induction lamp.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recognition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recognition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lurr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recognition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장치는, 적어도 발광부(10), 제1 카메라(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image recognition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a light emitting unit 10, a first camera 20, and a control unit 30.

먼저, 발광부(10)는 복수의 위치에서 순차 점멸하면서 발광하는 구성이다. 일례로, 발광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서로 다른 색상의 복수의 LED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the light emitting portion 10 is configured to emit light while sequentially flashing at a plurality of positions.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portion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 portions 11 of different color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

복수의 LED부(11)는 레드 LED부(R), 그린 LED부(G) 및 블루 LED부(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LED부(10)는 반드시 다른 색상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색상만으로 이루어져도 된다. 또한, 복수의 LED부(11)의 색상도 반드시 레드(R), 그린(G), 블루(B)로 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색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The plurality of LED portions 11 may include a red LED portion R, a green LED portion G, and a blue LED portion B. Here, the plurality of LED units 10 may not necessarily have different colors, but may be formed of only one color. In addition, the colors of the plurality of LED portions 11 are not limited to red (R), green (G), and blue (B), and may be set to various colors.

발광부(10)는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어 동작 될 수 있으며, 발광 동작시 복수의 LED부(11)가 순차 절멸하면서 발광한다. 예를 들면, 발광 동작시 레드 LED부(R), 그린 LED부(G) 및 블루 LED부(B) 순으로 소정 시간(예로써, 1초) 간격으로 번갈아 가면서 반복해서 순차 점멸된다. The light emitting unit 1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0, and the plurality of LED units 11 may sequentially emit light during the light emitting operation. For example, during the light emitting operation, the red LED portion R, the green LED portion G and the blue LED portion B are sequentially and repeatedly turned on and off sequentially at intervals of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one second).

일례로, 발광부(10)는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장치는, 발광부(10)와 다른 위치로서 제1 카메라(20)로부터 제2 일정 거리에서 촬영되되, 복수의 위치에서 순차 점멸하면서 발광하는 제2 발광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카메라(20)는 발광부(10)와 제2 발광부(40)를 소정 시간 간격(예로써, 30초 간격)으로 번갈아 촬영한다. 이때, 카메라(20)는 번갈아 촬영할 때 발광부(10)와 제2 발광부(40)로부터 유사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설정된 방식으로 초점이 조절되거나, 회전모듈을 구비하여 설정된 방식으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10 may b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image recognition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capture an image at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camera 20 as a posi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light emitting unit 10, And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40 that emits light while sequentially flashing. In this case, the first camera 20 alternately captures the light emitting unit 10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4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example, at intervals of 30 seconds). At this time, the camera 20 is adjusted in focus in a manner set to acquire image data of a similar frame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0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40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alternately, or may be rotated Can be driven.

이러한 발광부(10)는 안개 등이 자주 출몰되는 지역의 차도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단, 해당 차도를 지나는 차량이 발광부(10)를 신호등으로 잘못 인식하지 않도록, 발광부(10)가 차도를 지나는 차량과 마주보지 않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ight emitting portion 10 may be installed around a driveway in an area where mist or the like frequently appears or disappears.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ing portion 10 is installed so as not to face the vehicle passing the roadway so that the vehicle passing the roadway does not mistakenly recognize the light emitting portion 10 as a traffic light.

이어서, 제1 카메라(20)는 발광부(10)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발광부(10)를 촬영하는 구성이다. Next, the first camera 20 is arranged at a positio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10, and photographs the light emitting portion 10.

제1 카메라(20)와 발광부(10)의 거리는 카메라의 성능, 발광부(10)의 발광 크기 및 발광 휘도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일례로, 발광부(10)는 제1 카메라(20)로부터 5 ~ 10M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만일, 발광부(10)가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제2 발광부(40)는 제1 카메라(20)로부터 15 ~ 20M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발광부(10)와 제2 발광부(40)는 도 3에서와 같이 제1 카메라(20)로부터 일렬로 설치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설정된 간격으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amera 2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10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camera, the light emitting size of the light emitting unit 10, and the light emission luminance. For example, And may be installed at intervals of 5 to 10 meters from the main body 20. 3,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40 may be installed at an interval of 15 to 20 meters from the first camera 20. In this case,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0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40 are not necessarily arranged in a line from the first camera 20 as shown in FIG. 3, but may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at predetermined intervals.

제1 카메라(20)는 제어부(30)에 의해 구동되며, 일정 시간동안 발광부(10)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30)로 송신한다. 제1 카메라(20)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서, 발광부(10)를 동영상 촬영할 수 있으며, 또는 발광부(10)의 순차 점멸 시간 간격으로 이미지 촬영을 할 수도 있다. The first camera 20 is driven by the control unit 30 and photographs the light emitting unit 10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ransmits the photographed image data to the control unit 30. [ The first camera 20 may photograph the light emitting unit 10 to capture the image data or may photograph the image at the consecutive blinking time intervals of the light emitting unit 10. [

이어서, 제어부(30)는 제1 카메라(20)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분석하여, 대기 중 시야 상태를 판단하는 처리장치이다. Then, the control unit 30 receives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20, analyzes the received image data, and determines the in-the-view state.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위치별 발광 휘도, 순차 점멸에 의한 발광 위치 이동 및 복수의 위치별 발광 개체 크기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영상 분석한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0 analyzes at least two of the luminous intensi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ons, the movement of the luminous position by the progressive blinking, and the size of the luminous object by the plurality of positions from the received image data.

예로써, 도 4(a) 내지 도 4(b)는 촬영된 영상 데이터의 영상 분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4(a)는 발광부(10)의 복수의 LED부(11)가 모두 꺼졌을 때(즉, OFF 상태일 때) 촬영된 영상 데이터 이미지이다. 도 4(b)는 발광부(10)의 복수의 LED부(11) 중 레드 LED부(R)만 켜졌을 때(즉, ON 상태일 때) 촬영된 영상 데이터 이미지이다. 도 4(c)는 발광부(10)의 복수의 LED부(11) 중 그린 LED부(G)만 켜졌을 때(즉, ON 상태일 때) 촬영된 영상 데이터 이미지이다. 또한, 도 4(c)는 발광부(10)의 복수의 LED부(11) 중 블루 LED부(B)만 켜졌을 때(즉, ON 상태일 때) 촬영된 영상 데이터 이미지이다. 추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어지는 다음의 영상 데이터 이미지는 도 4(b)에서 도 4(d)의 영상 데이터 이미지가 반복된다. For example, FIGS. 4 (a) to 4 (b) are illustrations for explaining an image analysis process of photographed image data. 4A is an image data image taken when all the plurality of LED portions 11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10 are turned off (that is, when the LED portions 11 are turned off). 4B is an image data image photographed when only the red LED portion R among the plurality of LED portions 11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10 is turned on (i.e., in the ON state). 4C is an image data image taken when only the green LED portion G among the plurality of LED portions 11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10 is turned on (i.e., when the LED portion G is ON). 4C is an image data image taken when only the blue LED portion B among the plurality of LED portions 11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10 is turned on (that is, when the blue LED portion B is ON). 4 (b) to 4 (d) is repeated for the following image data image.

이때, 제어부(30)는 영상 데이터 이미지 내의 ON 상태의 LED부 부분을 인식한다. 도 4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사각형의 영상 개체 인식 박스를 표시하여 인식된 부분을 표시하고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ler 30 recognizes the LED portion of the ON state in the image data image. In FIG. 4, a rectangle image object recognition box is displayed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and the recognized portion is displayed.

이로써, 제어부(30)는 인식된 ON 상태의 각 LED부 부분을 이용하여 영상 분석을 수행하게 된다. 일례로, 제어부(30)는 복수의 위치별 발광 휘도, 순차 점멸에 의한 발광 이동 및 복수의 위치별 발광 이미지 크기를 각각 미리 설정된 대기 중 시야 상태에 따른 기준값과 비교하고, 소정 시간 동안 각 기준값을 만족하는 점수를 합산하여, 대기 중 시야 상태를 단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0 performs image analysis using each LED portion of the recognized ON stat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0 compares the light emission luminances of a plurality of positions, the light emission movement by the sequential blinking, and the light emission imag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ons with a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in-the-view visual field stat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visual field state in the step by step by summing the satisfactory scores.

예로써, 영상 데이터로부터 발광 휘도(즉, 개체 평균 휘도)는 인식된 LED부 부분의 평균 밝기 정도로 판단하며, 영상 데이터로부터 발광 위치 이동(즉, 이동 감지)는 점멸에 의한 LED부 이동시 인식된 LED부의 위치변경을 인식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영상 데이터로부터 발광 개체 크기(즉, 감지 개체 크기)는 인식 영역의 픽셀 크기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0)는 각각의 판단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 또는 제어부(30)가 각각의 판단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모듈 장치를 더 구비하고 이를 설정된 방식에 따라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예로서, 제1 카메라(20)가 제어부(30)를 포함하여, 제1 카메라(20)로부터 영상 촬영 및 영상 분석이 일괄 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light emission luminance (i.e., the average luminance of the object) from the image data is determined as 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recognized LED portion, and the movement of the light emission position from the image data (i.e., movement detection)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entity (i.e., the size of the sensing object) can be determined from the image data as the pixel size of the recognition area.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30 stores in advance a program for performing each judgment function.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30 may further include a module device i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respective determination functions is stored, and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et method. Alternatively,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camera 20 may include the control unit 30 so that the image capturing and the image analysis may be collectively processed from the first camera 20. [

여기서, 미리 설정된 대기 중 시야 상태에 따른 기준값 각각은, 우천 발생시, 안개 발생시 또는 스모그 발생시 등에 따라 제1 카메라(20)와 발광부(10)의 거리, 발광부(10)의 휘도 및 발광 크기에 기초하여 레벨별 기준값을 갖도록 설정되며, 시야 상태에 따른 레벨별 기준값에 대응한 레벨별 점수를 가질 수 있다. Here, each of the reference values according to the preset in-the-view visual field state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amera 20 and the light emitting portion 10, the luminance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10, and the light emission size in accordance with the occurrence of rain, And may have a score for each level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alue for each level according to the visual field state.

일례로, 표 1은 시야 상태에 따른 기준값을 나타내는 표이다. For example, Table 1 is a table showing reference values according to the visual field conditions.

개체 평균 휘도Object average luminance 이동 감지Move Detection 감지개체 크기Sense object size LED부LED part 강도burglar 점수score LED부LED part 횟수Number of times 점수score LED부LED part 인식크기Recognition size 점수score 레드
LED부
Red
LED part
레벨 1Level 1 1One 레드
LED부
Red
LED part
레벨 1Level 1 1One 레드
LED부
Red
LED part
레벨 1Level 1 1One
레벨 2Level 2 22 레벨 2Level 2 22 레벨 2Level 2 22 레벨 3Level 3 33 레벨 3Level 3 33 레벨 3Level 3 33 그린
LED부
Green
LED part
레벨 1Level 1 1One 그린
LED부
Green
LED part
레벨 1Level 1 1One 그린
LED부
Green
LED part
레벨 1Level 1 1One
레벨 2Level 2 22 레벨 2Level 2 22 레벨 2Level 2 22 레벨 3Level 3 33 레벨 3Level 3 33 레벨 3Level 3 33 블루
LED부
blue
LED part
레벨 1Level 1 1One 블루
LED부
blue
LED part
레벨 1Level 1 1One 블루
LED부
blue
LED part
레벨 1Level 1 1One
레벨 2Level 2 22 레벨 2Level 2 22 레벨 2Level 2 22 레벨 3Level 3 33 레벨 3Level 3 33 레벨 3Level 3 33

다만, 표 1에서는 레벨별 기준값을 3단계로 구분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However, in Table 1, the reference value for each level is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levels can be set.

여기서, 대기 중 시야 상태를 단계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합산된 점수에 따라 주의 단계, 경보 단계 및 비상 단계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에 기초하여 30초 동안 1초 간격으로 발광부(10)를 순차 점멸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했다고 가정했을 때, 3가지 기준값을 3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있으므로 30초 동안 27개의 취득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합산된 레벨별 점수는 0 ~ 54 점을 얻을 수 있다. Here, the stepwise determination of the in-the-view field state can be determined as the attention step, the alarm step, and the emergency step according to the summed score. For example, assuming that image data is obtained by sequentially flashing the light emitting unit 10 at intervals of 1 second for 30 seconds based on Table 1, since three reference values are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27 Acquisi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and the total score for each level can be obtained from 0 to 54 points.

이에 따라, 표 2와 같이 안개 발생시의 시야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Thus, the visibility state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fog can be determined as shown in Table 2.

시야 상태 레벨Visibility level 레벨별 점수 합계Total points by level 상태 판단Judge status 1One 20 이하20 or less 안개 주의 Fog 22 21 ~ 4021 ~ 40 안개 경보 Fog alarm 33 40 이상40 or more 안개 비상 Fog emergency

표 2에서는, 각 레벨별 기준값이 시야 상태가 나쁠수록 고레벨(즉, 레벨 3)로 판단되고, 시야 상태가 좋을수록 저레벨(즉, 레벨 1)로 판단되도록 하였으며, 시야 상태가 정상인 경우(즉, 레벨 1 ~ 레벨 3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는 레벨별 점수가 0으로 판단되도록 하였다. 다만, 레벨별 기준값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태 판단도 주의 단계, 경보 단계, 비상 단계로 판단하였지만, 다양한 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In Table 2, the reference value for each level is determined to be a high level (i.e., level 3) as the visual state is worse, and the lower the reference level for each level is judged as the lower level Level 1 to level 3), the score for each level is determined to be 0. However, the reference value for each level can be set in various ways. Also, although the state judgment is determined to be the caution phase, the alarm phase, and the emergency phase, it can be set in various stages.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장치는, 제1 카메라(20)를 통해 촬영된 발광부(10)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요소를 영상 분석함으로써, 안개와 같은 대기현상 중 시야 상태(예로써, 안개 발생 정도 또는 시정 거리 등)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 이미지를 이용함으로써 인간의 시정 감각과 유사한 방식으로 시야 상태를 판단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대기 중 시야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mage recognition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image analysis of a plurality of elements using the image data of the light emitting unit 10 photographed through the first camera 20, (For example, the degree of fog generation or the correcting distance)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visual field state more effectively because the visual field state is determined in a similar manner to the human visual sense by using the image data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이어서,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장치는, 유도등(50), 전광판(60), 제2 카메라(7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he image recognition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guide light 50, the electric sign board 60, and the second camera 70. [

먼저, 유도등(50)은 차도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조명 장치이다. 일례로, 도 5(a)와 같이, 유도등(50A)은 차도 측면의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각각 설치되어 제어부(30)에 의해 ON/OFF 제어될 수 있다. 또는, 도 5(b)와 같이, 유도등(50B)은 차도의 가이드 레일(90)에 일정간격으로 각각 설치되어 제어부(30)에 의해 ON/OFF 제어될 수 있다. First, the guide light 50 is a lighting devic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roadwa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a), the guide lights 50A may b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ground surface of the vehicle, and may be ON / OFF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0. FIG.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5 (b), the guide lights 50B may b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guide rail 90 of the driveway, and may be ON / OFF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0.

유도등(50)은 예를 들면, 곡선 구간의 경우 8M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고, 직선 구간의 경우 16M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 guide lights 50 may be installed at 8M intervals in the case of the curve section and at 16M intervals in the case of the straight section, for example.

또한, 유도등(50)은 예로써, LED등일 수 있으며, 유도등(50)은 예로써, 적색 유도등, 주황색 유도등 및 황색 유도등을 포함하는 3색 유도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Further, the guide light 50 may be an LED or the like by way of example, and the guide light 50 may be made of a three-color guide light including, for example, a red guide light, an orange guide light, and a yellow guide light.

이와 같이, 유도등(50)이 구비된 경우, 제어부(30)는 단계적으로 판단된 시야 상태에 따라 유도등(50)을 단계적으로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는 판단된 시야 상태에 따라 유도등(50)의 색상 변환, 점멸 속도 변환 등을 제어하여, 해당 도로를 통과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현재의 시야 상태를 인식하여 주의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차선의 진행 방향을 인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야 상태가 안개 주의인 경우 황색 유도등을 설정된 간격으로 점멸하고, 시야 상태가 안개 경보인 경우 주황색 유도등을 설정된 간격으로 점멸하며, 시야 상태가 안개 비상인 경우 적색 유도등을 설정된 간격으로 점멸할 수 있다. In this manner, when the guide light 50 is provided, the control unit 30 can control the guide light 50 in a stepwise manner according to the view state determined step by step.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color conversion, the blinking speed conversion, and the like of the guide light 5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visual field state to induce the driver of the vehicle passing through the road to recognize and recognize the current visual field state At the same time, to recogniz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ane. For example, if the visual field is foggy, the yellow indicator lights will flash at set intervals. If the visual field is foggy, the orange indicator lights will flash at set intervals. If the visual field is in a foggy emergency, can do.

이어서, 전광판(60)은 차도 주변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시야 상태에 따른 단계별 시야 상태 정보, 차량 안전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광판(60)은 복수의 LED를 평면에 배열하고,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그림(또는 기호)이나 문자 따위를 표시할 수 있다. Then, the electric sign board 6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ound the roadway, and can display at least one of the visual state information and the vehicle safety speed information in a stepwise manner according to the visual field state. For example, the electric sign board 60 can arrange a plurality of LEDs on a plane and display a figure (or a symbol) or a letter or the lik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 [

이에 따라, 제어부(30)는, 전광판(60)이 구비된 경우, 단계적으로 판단된 시야 상태에 따라 단계별 시야 상태 정보, 차량 안전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해당 도로를 통과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현재의 시야 상태를 보다 정확히 인식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electric sign board 60 is provided,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o display at least one of the visual field state information and the vehicle safety spe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visual field state determined step by step, So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recognize the current visual state more accurately.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장치는, 판단된 시야 상태에 따라 유도등(50) 및/또는 전광판(60)을 제어함으로써, 해당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현재의 대기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mage recognition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guide light 50 and / or the electric signboard 6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visual field state, thereby allowing the driver of the vehicle passing through the area to accurately determine the current standby state .

이어서, 제2 카메라(70)는 차도의 일정 구간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이다. 제2 카메라(70)는 예를 들면, 차도 상에서 차도의 일정 구간을 촬영하거나 차도의 측면에서 차도의 일정 구간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30)로 전송한다.Then, the second camera 70 is a photographing device that photographs a certain section of the road map. For example, the second camera 70 photographs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road map on the road map or photographs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road map on the road map, and transmits the photographed image data to the control section 30.

이 경우, 제어부(30)는 제2 카메라(70)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일정 구간 내 차량 속도(즉, 차량의 흐름 상태)를 영상 분석하여, 차량 속도에 따른 교통 상태를 단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0 receives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70, analyzes the image of the vehicle speed within a certain interval (that is, the flow state of the vehicle) from the received image data, The traffic condition can be judged step by step.

또한, 제어부(30)는 판단된 단계별 교통 상태 정보를 전광판(7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0)는 유도등(50)을 제어하여 교통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3색 유도등인 경우 안개 발생 지역에서 차량의 흐름이 설정된 속도보다 느린 경우(즉, 차량의 흐름이 정체된 경우),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에게 도로 앞의 교통 상태를 안내하기 위해, 예로써, 적색등과 주황색등을 번갈아 점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 can control to display the determined step-by-step traffic state information on the electric sign board 70. [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30 may control the guide light 50 to display the traffic stat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hree-color induction lamp, in order to guide a vehicle approaching from the rear to a traffic state in front of the road, if the flow of the vehicle is slower than the set speed (that is, For example, the red light and the orange light can be alternately flickered.

또한, 제어부(30)는 판단된 교통 상태에 따라 특정 이벤트(예로써, 교통 추돌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이벤트 정보를 설정된 담당자의 단말로 전송하거나 설정된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Also,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event (for example, a traffic collision accident) has occurr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raffic condition, the control unit 30 may transmit the corresponding ev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of the designated contact person or to the established control server.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장치는, 시야 상태와 함께 교통 상태도 판단함으로써, 안개가 발생한 지역의 도로 앞 상황을 인식하게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mage recognition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a traffic situation in addition to a vision state, thereby recognizing a situation in front of a road where a mist occurs, thereby preventing an accident in advance.

또한,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장치는, 관제서버(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제서버(80)는 도로 교통 상황을 관리하는 서버로서 예를 들면 한국도로공사의 시스템 서버일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1, the image recognition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server 80. The control server 80 is a server for managing road traffic conditions, for example, a system server of Korea Highway Corporation.

이 경우, 제어부(30)는 판단된 대기 중 시야 상태 정보를 관제 서버(80)로 실시간 전송하여 관제 서버(80)에서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관제 서버(80)는 수신된 시야 상태 정보를 해당 지역의 교통 상황을 안내하는 라디오 방송으로 방송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0 may transmit the determined waiting state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80 in real time, and use the information in the control server 80 in various ways using th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ntrol server 80 may broadcast the received visibility state information to a radio broadcast that guides traffic conditions in the area.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장치는 영상 인식 감지 시스템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image recognition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as an image recognition sensing system.

이어서,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6 and 7, a method of detecting imag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recognition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recognition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방법은, 발광부(10)의 복수의 LED부(11)가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복수의 위치에서 순차 점멸하면서 발광한다(S10). 이어서, 제1 카메라(20)가 발광부(10)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순차 점멸하는 발광부(10)를 촬영한다(S20). 이때, 제1 카메라(20)는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30)로 전송한다. 이어서, 제어부(30)는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 데이터를 영상 분석함으로써 대기 중 시야 상태를 판단한다(S30). 이때, 제어부(3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위치별 발광 휘도, 순차 점멸에 의한 발광 이동 및 복수의 위치별 발광 이미지 크기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요소를 영상 분석하여, 대기 중 시야 상태를 단계적으로 판단한다. 이어서, 제어부(30)는 판단된 단계별 시야 상태에 나타내도록, 유도등(50) 및 전광판(6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S40). 6, a plurality of LED units 11 of the light emitting unit 10 are sequentially turned on and off at a plurality of position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 (S10). Next, the first camera 20 captures the light emitting unit 10 that flashe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0 (S20). At this time, the first camera 20 transmits the photographed image data to the controller 30. Then, the control unit 30 receives the photographed image data and determines the in-the-view state by analyzing the image data (S3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30 performs image analysis of at least two elements among the light emission luminances per a plurality of positions, the light emission movement by the blinking and the light emission image sizes by the plurality of positions from the received image data, . Then, the control unit 30 can control at least one of the guide light 50 and the electric sign board 60 (S40) so as to be displayed in the determined visual field state.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인식 감지 방법은, 발광부(10)가, 제어부(30)에 의해, RGB 조명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S110). 즉, 복수의 LED부(11)를 순차 점멸 제어한다. 이어서, 제1 카메라(20) 및 제어부(30)를 이용하여 영상 관측 및 영상 인식을 수행한다(S120). 즉, 제1 카메라(20)를 이용하여 발광부(10)를 촬영함으로써 영상 관측을 수행하고, 제어부(30)가 획득된 영상 데이터 내에서 발광 개체를 인식한다. 이어서, 제어부(30)는 인식된 영상 데이터 자료를 영상 분석하여 저장하고, 관제 서버(80)로서 종합 상황실로 전송할 수 있다(S130). 이어서, 종합 상황실에서 영상 분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로별 교통 상황을 원격 제어하고 운용한다(S140). 예로써, 각 도로별 전광판(60)에 영상 분석된 데이터에 따라 판단된 시야 상태 정보를 설정된 형식으로 표출하거나, 3색 유도등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S150). 만일, 종합 상황실에서 영상 분석된 데이터에 따라 시야 상태가 정상 상태인 경우 정상 대기 상태로서 유도등(50) 및 전광판(60)의 제어를 종료할 수도 있다. 즉, 도 7에서는 유도등(50) 및 전광판(60)이 관제 서버(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7, in the image recognition sen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unit 10 performs the RGB light control operation by the control unit 30 (S110). That is, the plurality of LED units 11 are sequentially controlled to be flickered. Then, the first camera 20 and the control unit 30 are used to perform image observation and image recognition (S120). That is, the first camera 20 performs image observation by photographing the light emitting unit 10, and the control unit 30 recognizes the light emitting object within the acquired image data. Then, the control unit 30 analyzes the image data, stores the image data,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to the general situation room as the control server 80 (S130). Then, the traffic condition for each road is remotely controlled and operated using data analyzed in the general situation room (S140). For example, the visibility state informa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mage analyzed data may be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format on the electric signboard 60 for each road, or the three-color guide light may be remotely controlled (S150). If the visual field is in the normal state according to the image analyzed in the general situation room, control of the guide light 50 and the electric sign board 60 may be terminated in a normal standby state. That is, in FIG. 7, the guide light 50 and the electric sign board 60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server 80.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발광부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안개와 같은 대기현상 중 시야 상태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시야 상태를 이용하여 유도등 및 전광판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nalyzing a plurality of elements using image data of a light emitting unit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a visual state of an atmospheric phenomenon such as a mis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electric sign boar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발광부 20: 제1 카메라
30: 제어부 40: 제2 발광부
50: 유도등 60: 전광판
70: 제2 카메라 80: 관제 서버
10: light emitting unit 20: first camera
30: control unit 40: second light emitting unit
50: Guide light 60: Display board
70: second camera 80: control server

Claims (12)

복수의 위치에서 반복해서 순차 점멸하면서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상기 발광부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순차 점멸에 의한 발광 위치의 이동, 및 상기 발광 위치의 이동에 따른 복수의 위치별 발광 개체 크기를 영상 분석하여, 대기 중 시야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인식 감지 장치.
A light emitting portion which emits light while repeatedly and repeatedly flashing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 first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light emitting unit at a distance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performing image analysis of the movement of the light emission position by sequentially flashing from the received image data, and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object for each of a plurality of position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ight emission position,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state of the im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차 점멸에 의한 발광 위치의 이동, 및 상기 발광 위치의 이동에 따른 복수의 위치별 발광 개체 크기를 각각 미리 설정된 대기 중 시야 상태에 따른 기준값과 비교하고, 소정 시간 동안 각 기준값을 만족하는 점수를 합산하여, 대기 중 시야 상태를 단계적으로 판단하는 영상 인식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entity for each of a plurality of position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ight emitting position by the sequential blinking and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unit for each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ight emitting position, And a step of judging the state of the atmospheric state step by step.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대기 중 시야 상태에 따른 기준값 각각은, 우천 발생시, 안개 발생시 또는 스모그 발생시에 따라 제1 카메라와 발광부의 거리, 발광부의 휘도 및 발광 크기에 기초하여 레벨별 기준값을 갖도록 설정되며, 시야 상태에 따른 상기 레벨별 기준값에 대응한 레벨별 점수를 가지는 것인 영상 인식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reference values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in-waiting-view state is set to have a level-specific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amera and the light-emitting portion, the luminance of the light-emitting portion, and the light emission siz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rain, the occurrence of fog, or the occurrence of smog, And a score for each level corresponding to the level-specific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leve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대기 중 시야 상태를 단계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합산된 점수에 따라 주의 단계, 경보 단계 및 비상 단계로 판단하는 것인 영상 인식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 of judging the atmospheric visibility state is judged to be a caution step, an alarm step and an emergency step according to the summed sco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서로 다른 색상의 복수의 LED부를 포함하는 영상 인식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EDs of different color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LED부는 레드 LED부, 그린 LED부 및 블루 LED부를 포함하는 영상 인식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lurality of LED units include a red LED unit, a green LED unit, and a blue LED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다른 위치로서 제1 카메라로부터 제2 일정 거리에서 촬영되되, 복수의 위치에서 순차 점멸하면서 발광하는 제2 발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카메라는 발광부와 제2 발광부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번갈아 촬영하는 영상 인식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that is photographed at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camera as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nd emits light while sequentially flashing at a plurality of positions,
Wherein the first camera alternately captures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청구항 4에 있어서,
차도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유도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단계적으로 판단된 시야 상태에 따라 상기 유도등을 단계적으로 동작 제어하는 영상 인식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nd a guide light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roadway,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guide light step by step according to a state of view determined stepwise.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도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 전광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단계적으로 판단된 시야 상태에 따라 단계별 시야 상태 정보, 차량 안전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영상 인식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boar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riveway,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t least one of visual field status information and vehicle safety speed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visual field condition determined stepwis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도의 일정 구간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일정 구간 내 차량 속도를 영상 분석하여, 차량 속도에 따른 교통 상태를 단계적으로 판단하며, 단계별 교통 상태 정보를 상기 전광판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영상 인식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And a second camera for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road map,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performs image analysis of the vehicle speed within the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received image data, determines the traffic state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step by step, And displays it on the electric sign bo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판단된 대기 중 시야 상태 정보를 설정된 도로 교통 상황을 관리하는 관제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영상 인식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determined waiting state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managing the road traffic situation in real time.
발광부가 복수의 위치에서 반복해서 순차 점멸하면서 발광하는 단계;
상기 발광부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발광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순차 점멸에 의한 발광 위치의 이동, 및 상기 발광 위치의 이동에 따른 복수의 위치별 발광 개체 크기를 영상 분석하여, 대기 중 시야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인식 감지 방법.
Emitting the light emitting portion repeatedly and sequentially in a plurality of positions;
Capturing a light emitting portion at a distance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The image pickup device receives the photographed image data, performs image analysis of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object according to a plurality of positions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light emitting position by sequentially flashing from the received image data, and movement of the light emitting posi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KR1020170049530A 2017-04-18 2017-04-18 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using image recognition KR1018407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530A KR101840761B1 (en) 2017-04-18 2017-04-18 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using image recogn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530A KR101840761B1 (en) 2017-04-18 2017-04-18 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using image recogn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761B1 true KR101840761B1 (en) 2018-03-21

Family

ID=6190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530A KR101840761B1 (en) 2017-04-18 2017-04-18 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using image recogn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76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4038A (en) * 2000-06-29 2002-01-18 Koito Ind Ltd Measuring apparatus for visibility status
US20090256910A1 (en) 2006-01-27 2009-10-15 Ram Ganeshan Camera System to detect, monitor and report low visibility
KR100946749B1 (en) * 2008-03-19 2010-03-11 정양권 The Methord and the System of the fog detection using the Image recognition and image learning methord
KR100961675B1 (en) * 2010-01-25 2010-06-09 주식회사 주은코퍼레이션 Traffic light lamp using light emitting diode
JP5349257B2 (en) * 2009-11-10 2013-11-20 弘允 石井 Visual status measurement device
KR101364727B1 (en) * 2012-09-28 2014-02-20 (주)한일에스티엠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og using the processing of pictured imag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4038A (en) * 2000-06-29 2002-01-18 Koito Ind Ltd Measuring apparatus for visibility status
US20090256910A1 (en) 2006-01-27 2009-10-15 Ram Ganeshan Camera System to detect, monitor and report low visibility
KR100946749B1 (en) * 2008-03-19 2010-03-11 정양권 The Methord and the System of the fog detection using the Image recognition and image learning methord
JP5349257B2 (en) * 2009-11-10 2013-11-20 弘允 石井 Visual status measurement device
KR100961675B1 (en) * 2010-01-25 2010-06-09 주식회사 주은코퍼레이션 Traffic light lamp using light emitting diode
KR101364727B1 (en) * 2012-09-28 2014-02-20 (주)한일에스티엠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og using the processing of pictured im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502B1 (en) Brightness control device of the tunnel entrance are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brightness inside and outside the tunnel
KR102027086B1 (en) Changeable sign board device system changing the speed limitdepending according to environment
KR101832918B1 (en) Simulation system for autonomous driving
CN108074410A (en) Traffic cloud warns platform
EP3850916A1 (en) Luminaire system for determining weather related information
EP4145404A1 (en) Road side vehicle occupancy detection system
KR20200059755A (en) LiDAR sensor verification test simulation device
KR101462734B1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tunnel lighting
KR101795652B1 (en) Device for Measuring Visibility for Fog Guardian Device
US20180300856A1 (en) System adapted for providing an operator with augmented visibility and associated method
KR102185100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on a Crosswalk for Pedestrian and its Method
KR101634368B1 (en) Traffic Light Sensing Device
KR101840761B1 (en) 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using image recognition
EP3109844B1 (en) Object detecting arrangement
KR101259836B1 (en) Wiper device with rain sensor
KR20120105966A (en) Apparatus for measuring of visibility and method for thereof
JP3666200B2 (en) Mobile photometer
US20200361375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vehicle lamp
KR102317633B1 (en) System for detecting black ice in real time at roads based on multiple road image and method thereof
JP2008197730A (en) Travel support information display system
CN111218894B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light-emitting guide facility, electronic equipment and system
CN111895360A (en) Road ligh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road lighting device
KR1012371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avoidance of vehicles
KR101943195B1 (en) Apparatus for method for controlling intelligent light
KR20170129523A (en) Smart control system for lighting of crosswal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