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007B1 -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007B1
KR101840007B1 KR1020170092599A KR20170092599A KR101840007B1 KR 101840007 B1 KR101840007 B1 KR 101840007B1 KR 1020170092599 A KR1020170092599 A KR 1020170092599A KR 20170092599 A KR20170092599 A KR 20170092599A KR 101840007 B1 KR101840007 B1 KR 101840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member
pedestal
auxiliary
conveying conveyor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철수
Original Assignee
(주)신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호테크 filed Critical (주)신호테크
Priority to KR102017009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6Sheet sh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2Arrangements for holding, guiding, and/or feeding work during th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65G15/2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arranged side by side, e.g. for conveyance of flat articles in vertic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15Reciprocating stop, moving up or down in the path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4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rotary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4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where the stop device is not adap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1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 B65G2812/016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 B65G2812/017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using tilted or side by side conveyor s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일정 크기로 금속판을 절단하여 보조부재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절단부;와 보조부재가 얹혀지는 받침부재를 구비하고, 받침부재에 얹혀진 보조부재를 표준형 라인 또는 비표준형 라인에 설치된 이송수단으로 운반하도록 설치된 분류로봇을 구비하는 분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Device for shearing and assorting auxiliary plate of ceiling asswmbly manufacturing system of elevator}
본 발명은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천장조립체에서 천장플레이트에 전선 및 부속품들을 장착하기 위해 부착되는 다수의 보조부재를 제작하기 위해 일정 크기의 금속판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후, 후속 공정 라인 중 어느 하나의 공정 라인으로 운반하도록 된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건물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승강하면서 사람 및 화물을 원하는 소정의 층까지 실어 나르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계장치이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천장조립체를 보면, 천장플레이트에 조명기구, 조명반사판, 전선, 탈출용 비상구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조 부품들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용 보조부재들이 천장플레이트에 용접될 수 있다. 이때, 보조부재들은 모든 천장플레이트에 공통으로 부착되는 표준형과, 크기 또는 종류별 천장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비표준형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표준형과 비표준형의 보조부재들은 금속판의 원자재를 절단, 밴딩 및 펀칭 등으로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하지만, 절단기에서 절단된 자재들을 작업자가 직접 주워 표준형 또는 비표준형 라인 중 어느 한 라인을 선택하고, 해당 라인에 포함된 이송수단 위에 올려놓게 되므로, 작업자의 집중력에 따라 잘못된 분류와 이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6439호(2012.03.0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1596호(2014.05.07.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4625호(2009.05.26.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20417호(1997.05.23. 공고)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판이 절단되면 운반컨베이어 놓여 이동된 후, 분류로봇에 의해 표준형 라인 또는 비표준형 라인으로 운반되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는,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일정 크기로 금속판을 절단하여 보조부재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절단부;와 보조부재가 얹혀지는 받침부재를 구비하고, 받침부재에 얹혀진 보조부재를 표준형 라인 또는 비표준형 라인에 설치된 이송수단으로 운반하도록 설치된 분류로봇을 구비하는 분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분류로봇은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된 몸체와, 몸체로부터 필요한 길이만큼 늘었다 줄었다 하도록 설치되면서 선단에 받침부재가 장착된 로봇팔 을 더 포함한다. 이때, 몸체의 제자리 회전과 로봇팔의 길이 가변을 통해 이동하는 받침부재는 운반컨베이어에서 낙하하는 보조부재를 얹기 위해 이동하고, 보조부재를 이송수단 위에 안착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동작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절단부는 공급된 금속판을 일정 크기의 보조부재로 절단하여 배출하도록 설치된 절단기와, 이 절단기에서 배출된 보조부재가 얹혀지면 분류부까지 운반하도록 설치된 운반컨베이어를 포함한다. 또, 절단기 근처까지 금속판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공급컨베이어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한다.
또, 절단기는 절단된 보조부재가 운반컨베이어로 경사져 낙하하도록 절단기 몸체의 일측부에 경사지게 고정 또는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경사부재를 더 포함한다.
한편, 운반컨베이어는 평면상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무한 궤적을 이루어 동작하도록 설치된 벨트, 벨트의 선단측 부위에 배치되면서 벨트를 따라 운반된 보조부재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제1근접센서와, 제1근접센서 근처에 배치되면서 제1근접센서가 보조부재를 감지하면 상승한 후 하강하도록 설치된 승강스토퍼를 포함한다. 이때, 승강스토퍼는 제1근접센서가 보조부재를 감지하면 상승하여 보조부재와 접촉하여 보조부재를 정렬시킨 후 하강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승강스토퍼는 보조부재와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충격흡수부재가 부착된다.
또, 운반컨베이어는 적어도 2개의 벨트가 인접하여 설치되고, 벨트들 사이마다 잇대어 설치되어 보조부재의 이동을 보장하는 받침부와, 벨트의 선단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벨트에서 낙하하는 보조부재가 분류로봇의 받침부재에 얹혀지도록 고정 또는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제2경사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운반컨베이어는 지지프레임, 벨트를 구비한 상부의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의 일측부에 장착된 회전축과, 지지프레임에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상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축을 더 포함한다.
한편, 이송수단은 제1동력원에 의해 동작하도록 상호 연계 설치되어 얹혀진 보조부재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다수의 롤러를 구비한 이송컨베이어와, 이송컨베이어의 하측에 위치하고, 분류로봇의 받침부재로부터 보조부재가 얹혀지면 하강하여 보조부재를 롤러들 위에 얹도록 설치된 안착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안착수단은 이송컨베이어의 하측에 고정된 고정프레임, 고정프레임에 승강하도록 장착된 안내바, 안내바 위에 장착된 승강장치와, 승강장치를 승강시키도록 고정프레임에 장착된 제2동력원을 포함한다. 이때, 승강장치는 롤러들 사이로 상승하여 받침부재의 보조부재를 받은 후 하강하여 롤러들 위에 내려놓도록 설치된다.
또한, 승강장치는 안내바들을 연결하여 고정된 지지대, 지지대 위에 장착된 제1받침대 및 제3받침대, "T"자 또는 "ㅠ"자 형상이면서 제1받침대 위에 장착된 제2받침대, 제1받침대와 제2받침대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와, 제1받침대에 장착된 제2근접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받침대의 하부는 제1받침대의 상부를 관통하고, 관통한 하단에 감지부재가 체결된다.
또, 제2받침대에 받침부재의 보조부재가 얹혀지면 탄성부재가 압축되어 하강하고, 제2근접센서가 감지부재를 감지하면 제2받침대와 제3받침대에 보조부재가 안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승강장치가 하강한다.
이후, 보조부재가 롤러들 위에 놓여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부재에 의해 제2받침대가 상승하고, 제2근접센서가 감지부재를 감지하지 못하면 보조부재가 제2받침대와 제3받침대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여 승강장치가 상승하도록 설치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절단기에서 절단된 보조부재가 분류로봇에 의해 파지된 후 표준형 라인 또는 비표준형 라인으로 운반됨으로써, 자동화 공정의 표준을 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류로봇에 의해 운반된 보조부재가 승강장치의 제2근접센서, 탄성부재 및 제2받치대 등을 통해 최소한의 충격으로 이송컨베이어에 올려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절단기에서 절단되어 보조부재가 제1경사부재를 통해 측면 경사각도가 가변하는 운반컨베이어에 최소한의 충격으로 낙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운반컨베이어에서 운반된 보조부재가 제1근접센서 및 스토퍼에 의해 정렬된 다음 분류로봇으로 전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단기와 운반컨베이어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송컨베이어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는 천장플레이트에 조명기구, 전성, 탈출용 비상구 등을 부착하기 위한 다수의 보조부재가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천장조립체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은 금속판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고, 표준형 라인과 비표준형 라인으로 분류하여 펀칭 및 밴딩하여 보조부재를 만든 다음, 천장플레이트에 보조부재를 용접하여 제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시스템에서 본 발명은 보조부재를 만들기 위한 절단부(1000)와, 절단된 부재를 표준형 라인 또는 비표준형 라인으로 분류하여 운반하는 분류부(2000)에 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표준형 보조부재와 비표준형 보조부재를 만들기 위한 원자재는 금속 또는 합금 또는 비금속일 수 있고, 설명의 편의상 '금속판'이라 기재하고, 절단기(1200)에서 절단된 이후의 금속판을 설명의 편의상 '보조부재'라 기재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1000)와 분류부(2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절단부(1000)는 공급컨베이어(1100), 절단기(1200)와 운반컨베이어(1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공급컨베이어(1100)는 일정 크기의 금속판을 절단기(1200)로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일례로 원자재인 금속판은 가공 종류에 따라 대략 3가지로 구분하고, 그 종류에 따라 공급컨베이어(1100)에서 대략 3곳으로 구분하여 놓일 수 있다. 물론, 금속판이 놓이는 위치는 1곳, 2곳 또는 4곳 이상일 수 있다. 또한, 금속판이 팔레트 위에 놓인 상태에서 지게차로 운반되어 공급컨베이어(1100)의 보조 팔레트 위에 놓일 수 있고, 팔레트 위의 금속판이 공급컨베이어(1100)에 의해 이송되어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정지될 수도 있다. 여기서, 공급되는 금속판으로 만들 표준형 또는 비표준형 완성품을 미리 설정하게 되므로, 절단기(1200)의 어느 위치로 공급할 것인지가 미리 계획하고, 이에 맞춰 금속판을 공급컨베이어(1100)의 어느 해당 위치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급컨베이어(1100)는 대략 3곳의 금속판이 놓이는 구역을 갖는 테이블이고, 이 테이블 양측으로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절단기(1200)는 도 1과 도 2에서 보듯이, 공급컨베이어(1100)를 통해 공급된 금속판을 일정 크기로 자르기 위한 칼날과, 이 칼날에 의해 절단된 보조부재의 낙하를 유도하도록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재(1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경사부재(1210)는 절단된 보조부재의 직하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경사 낙하를 유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제1경사부재(1210)를 슬라이딩하여 낙하된 보조부재는 운반컨베이어(1300) 위에 얹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경사부재(1210)는 절단기(1200)의 몸체에 고정된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경사판을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운반컨베이어(1300)의 측면상 경사각도에 따라 제1경사부재(1210)의 경사각이 변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한 부위의 공급컨베이어(1100)에 놓인 금속판은 절단기(1200)의 해당 위치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운반컨베이어(13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듯이, 절단기(1200)의 제1경사부재(1210)를 따라 배출된 보조부재를 분류부(2000)까지 이송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운반컨베이어(1300)는 지지프레임(1310) 위에 벨트(1320)가 무한궤적을 이루어 동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운반컨베이어(1300)는 평면상 대략 절단기(1200)의 폭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폭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고, 짧게 제작하여 경우에 따라 절단기(1200)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운반컨베이어(1300)는 평면상 다수의 벨트(1320)가 상호 이격되어 동작하고, 벨트(1320)들 사이에 받침판(1330)이 설치된 구조일 수도 있다. 또는 평면상 하나 또는 다수의 벨트(1320)가 잇대어진 형태로 설치된 구조일 수도 있으며, 통상의 벨트 컨베이어, 체인 컨베이어가 단독으로 설치되거나 평면상 다수가 나란히 잇대어서 또는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운반컨베이어(1300)는 받침판(1330) 및 벨트(1320)를 경사지게 배치하기 위한 구성요소와, 벨트(1320)에 의해 이송된 보조부재를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운반컨베이어(1300)는 도 2에서와같이, 벨트(1320)와 받침판(1330)을 평평하거나 경사지게 배치하기 위해 일례로, 지지프레임(1310)에 절단기(1200)측 부위에 설치된 회전축(1340), 분류부(2000)측 부위의 하단에 설치된 승강축(1350)과, 승강축(135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설치된 승강핸들(1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벨트(1320) 및 받침판(1330)을 포함한 상부가 축회전하도록 회전축(1340)이 설치되고, 지지프레임(1310)의 분류부(2000)측 상단이 상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핸들(1360)을 조작하여 승강축(135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 지지프레임(1310)의 분류부(2000)측 부위가 승강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회전축(1340)을 중심으로 상부의 분류부(2000)측 부위가 승강하게 된다. 이때, 승강핸들(1360) 대신 승강버튼이 설치되고, 승강축(1350)이 통상의 동력원에 의해 지지프레임(1310)에 들어 가거나 나오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며, 승강축(1350)이 상부를 직접 지지하여 지지프레임(1310)이 고정된 상태에서 승강축(1350)의 승강으로 상부가 승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340)과 승강축(1350)의 위치를 맞바꿔 설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상의 다양한 방법, 구조 및 구성요소를 통해 벨트(1320)와 받침판(1330)을 포함한 상부가 측면상 평평하거나 경사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운반컨베이어(1300)의 경사는 후술된 분류로봇(2100)의 받침부재(2130)의 높이와 연계되어 조정될 수 있고, 제1경사부재(1210)에서 낙하하는 보조부재와의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운반컨베이어(1300)는 도 3에서와같이, 벨트(1320)에 의해 이송된 보조부재를 일시 정지시키기 위해 일례로, 제1근접센서(1370)와 승강스토퍼(1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근접센서(1370)는 벨트(1320)의 분류부(2000)측 단부에 설치되고, 벨트(1320)에 의해 이송된 보조부재를 감지하게 된다. 승강스토퍼(1380)는 제1근접센서(1370)의 근처에 하나 또는 2개 이상 설치되고, 제1근접센서(1370)가 보조부재를 감지하면 상승하여 보조부재가 걸리고, 수초 후 보조부재가 정렬되면 하강하여 보조부재를 통과시키도록 설치된다. 이 승강스토퍼(1380)는 보조부재와 닿는 부위에 고무와 같은 충격흡수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승강스토퍼(1380)는 보조부재의 크기와 무관하게 안정된 정렬을 위해 적어도 2개가 근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근접센서(1370)가 보조부재를 감지하면 승강스토퍼(1380)가 상승하고, 상승한 승강스토퍼(1380)에 걸린 보조부재는 정렬하게 되며, 승강스토퍼(1380)가 하강하면 절렬된 상태의 보조부재가 지나가게 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1근접센서(1370)에 보조부재가 감지되면 모든 승강스토퍼(1380)가 상승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감지한 제1근접센서(1370) 근처의 일부 승강스토퍼(1380)만 상승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통상의 다양한 방법, 구조 및 구성요소를 통해 보조부재를 일시 정지시킨 후 정렬된 상태로 통과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운반컨베이어(1300)는 도 2에서와같이, 승강스토퍼(1380)를 통과한 보조부재가 분류부(2000)의 받침부재(2130)로 안내하기 위해 경사지게 설치된 제2경사부재(1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제2경사부재(1390)는 벨트(1320)의 분류부(2000)측 선단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되었듯이 금속판이 공급컨베이어(1100)의 일례로, 세 부위 중 어느 한 부위로 공급되고, 공급된 한 부위에서 절단기(1200)의 한 부위로 들어가서 절단되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평면상 절단기(1200)의 일부위에서 배출된 보조부재는 운반컨베이어(1300)의 일부위를 통해서만 운반될 수 있다.
분류부(2000)는 분류로봇(2100)과 이송수단(2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분류로봇(2100)은 운반컨베이어(1300)에서 배출된 보조부재를 표준형 라인 또는 비표준형 라인에 설치된 이송컨베이어(2210) 위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 분류로봇(2100)은 도 1에서와같이, 몸체(2110), 로봇팔(2120)과 받침부재(21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2110)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평면상 제자리 회전하여 로봇팔(2120)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로봇팔(2120)은 입력된 신호에 따라 평면상 줄었다 늘어났다하면서 받침부재(2130)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들 몸체(2110)와 로봇팔(2120)은 통상의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재(2130)는 로봇팔(2120)의 선단에 장착되고, 제2경사부재(1390)를 따라 이동하는 보조부재가 얹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받침부재(2130)는 일례로 대략 "ㄴ"자 형상이고, 하면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바(bar)가 설치된 포크(fork) 형태일 수 있으며, 평면상 운반컨베이어(1300) 또는 제2경사부재(1390)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짧게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받침부재(2130)의 하면 구조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바가 배치된 구조의 제2경사부재(1390)의 바들 사이에 포크형태의 바가 끼워져 낙하하는 보조부재를 안정되게 얹거나, 이송수단(2200)의 승강장치(2230)에 얹기에 적합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재(2130)와 제2경사부재(1390)는 대략 다수의 바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포크 형태일 수 있고, 제2경사부재(1390)의 바들의 간격이 보조부재의 바들의 간격보다 더 넓을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재(2130)는 몸체(2110)와 로봇팔(2120)에 의해 이동한 후 제2경사부재(1390)와 평행하도록 배치되기 위해 로봇팔(2120)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평면상 운반컨베이어(1300)의 어느 일부위에서 이동한 보조부재를 받기 위해 몸체(2110), 로봇팔(2120)과 받침부재(2130)가 이동하여 대기하게 된다. 이때, 받침부재(2130)에는 1개 이상의 보조부재가 얹혀질 수 있고, 일례로 10~15개 정도의 보조부재가 얹혀지면 이송수단(2200)으로 운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물론, 보조부재가 배출되는 위치에 따라 받침부재(2130)가 그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대기할 수 있도록 몸체(2110) 및 로봇팔(2120)의 동작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이송수단(2200)은 도 1, 도 4와 도 5에서 보듯이, 분류로봇(2100)에 의해 운반된 보조부재가 얹혀지면 다음 공정, 예를 들면 펀칭기까지 운반하도록 설치된다. 이 이송수단(2200)은 이송컨베이어(2210), 고정프레임(2220)과 승강장치(2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프레임(2220)과 승강장치(2230)은 로봇팔(2120)의 받침부재(2130)로부터 보조부재를 넘겨받아 롤러(2211) 위에 안전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고정프레임(2220)과 승강장치(2230)는 이송컨베이어(2210)의 하측에 설치되고, 롤러(2211)들 사이로 받침판들이 승강하면서 보조부재가 얹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고정프레임(2220)과 승강장치(2230)는 측면상 이송컨베이어(2210)의 분류로봇(2100)측 일부위에 걸쳐 설치될 수도 있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이송컨베이어(2210)는 다수의 롤러(2211)가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되고, 일부 롤러(2211)를 제1동력원(2212)으로 구동시키면 나머지 롤러(2211)가 회전함으로써, 안착된 보조부재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 이송컨베이어(2210)는 롤러들이 외부 동력원에 의해 제자리 회전하는 통상의 컨베이어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2220)은 상부에 장착된 승강장치(2230)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이 고정프레임(2220)은 분류로봇(2100)측 이송컨베이어(221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고정프레임(2220)에는 적어도 1개의 제2동력원(2221), 적어도 1개의 안내바(2222)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동력원(2221)은 고정프레임(2220)에 장착되고, 고정프레임(2220)의 상부에 설치된 승강장치(2230)를 승강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동력원(2221)은 승강하는 로드를 구비하고, 로드의 선단에 승강장치(2230)의 지지대(2231)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안내바(2222)는 후술된 제2동력원(2221)에 의해 승강장치(2230)가 승강하는 동안 승강장치(2230)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안내바(2222)는 고정프레임(2220)이 상부를 관통하여 흔들리지 않으면서 승강하고, 선단에 승강장치(2230)의 지지대(2231)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안내바(2222)는 승강하는 지지대(2231)를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승강장치(2230)는 지지대(2231), 제1받침대(2232), 제2받침대(2233), 제2근접센서(2234)와 제3받침대(22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지지대(2231)는 고정프레임(22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제2동력원(2221)의 승강하는 로드의 선단과 고정프레임(2220)에 장착된 안내바(2222)의 선단이 하면에 고정되고, 제1받침대(2232)와 제3받침대(2237)의 하부가 상면에 고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지지대(2231)는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제1받침대(2232)와 제3받침대(2237)의 하부를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대(2231)가 대략 "I"자형의 제1받침대(2232)와 제3받침대(2237)의 하면 중앙에 배치되어 받침대들을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이 지지대(2231)에 제2동력원(2221)의 로드와 안내바(2222)가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지대(2231)가 대략 "I"자형의 제1받침대(2232)와 제3받침대(2237)의 하부의 양측 하면에 각각 나란히 배치되고, 양립된 지지대(2231)를 연결하는 연결바가 다수 설치되며, 이 연결바에 제2동력원(2221)의 로드와 안내바(2222)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받침대(2232)는 대략 "T"자 또는 "I"자 형상이고, 제3받침대(2237)보다 낮은 높이로 제작된다.
또, 제2받침대(2233)는 도 5에서 보듯이, 받침판(1330)과, 받침판(133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관통축을 구비한 대략 "T"자 또는 "ㅠ"자 형상이다. 이 제2받침대(2233)는 관통축의 하단 일부가 제1받침대(2232)의 상부를 관통하고, 관통축의 하단에 가지부재(2235)가 체결되고, 받침판(1330)과 제1받침대(2232)의 상부 사이에 탄성부재(2236)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2236)는 관통축이 통과하도록 배치된 코일형 스프링일 수 있다. 따라서, 제2받침대(2233)는 제1받침대(2232)의 상부에 탄성적으로 승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받침대(2232)와 제2받침대(2233)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높이는 제3받침대(2237)의 높이보다 높게 제작될 수 있다. 이 높이는 받침판(1330)에 보조부재가 올려지면 탄성부재(2236)가 압축되면서 보조부재가 제3받침대(2237)에 올려지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10±3cm일 수 있다.
그리고 제2근접센서(2234)는 도 5에서 보듯이, 제2받침대(2233)의 하단에 장착된 가지부재(2235)를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2근접센서(2234)는 제1받침대(2232)의 상부 아래에 위치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근접센서(2234)는 제2받침대(2233)에 보조부재가 얹혀지면서 하강하는 관통축의 가지부재(2235)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제2근접센서(2234)가 가지부재(2235)를 감지하게 되면 보조부재가 제2받침대(2233)에 안착되었다는 것으로 인지하게 된다.
또한, 제3받침대(2237)는 도 4에서 보듯이, 실질적으로 보조부재가 안착되는 부재이다. 이 제3받침대(2237)는 상하로 결합된 제1받침부재(2130)와 제2받침부재(2130)의 주변으로 다수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제3받침대(2237)는 제2동력원(2221)과 안내바(2222) 및 지지대(2231)를 통해 승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분류로봇(2100)의 받침부재(2130)가 보조부재을 운반하여 제1받침대(2232)와 제3받침대(2237)에 올리면, 제1받침대(2232)가 탄성적으로 하강하면서 제2근접센서(2234)가 감지부재를 함으로써, 보조부재가 제1받침대(2232)와 제3받침대(2237)에 안전하게 올려진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후, 받침부재(2130)가 완전히 빠지면 제3받침대(2237)를 비롯한 승강장치(2230)가 하강하고, 이송컨베이어(2210)가 작동하여 보조부재를 일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렇게 보조부재가 이송되면 다시 제1받침대(2232)가 탄성에 의해 상승하고, 제2근접센서(2234)가 가지부재(2235)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 보조부재가 완전히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며, 승강장치(2230)가 다시 상승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절단부 1100:공급컨베이어
1200:절단기 1210:제1경사부재
1300:운반컨베이어 1310:지지프레임
1320:벨트 1330:받침판
1340:회전축 1350:승강축
1360:승강핸들 1370:제1근접센서
1380:승강스토퍼 1390:제2경사부재
2000:분류부 2100:분류로봇
2110:몸체 2120:로봇팔
2130:받침부재 2200:이송수단
2210:이송컨베이어 2211:롤러
2212:제1동력원 2220:고정프레임
2221:제2동력원 2222:안내바
2230:승강장치 2231:지지대
2232:제1받침대 2233:제2받침대
2234:제2근접센서 2235:가지부재
2236:탄성부재 2237:제3받침대.

Claims (11)

  1.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일정 크기로 금속판을 절단하여 보조부재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절단부(1000); 및
    상기 보조부재가 얹혀지는 받침부재(2130)를 구비하고, 받침부재(2130)에 얹혀진 보조부재를 표준형 라인 또는 비표준형 라인에 설치된 이송수단(2200)으로 운반하도록 설치된 분류로봇(2100)을 구비하는 분류부(2000);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로봇(2100)은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된 몸체(2110)와, 몸체(2110)로부터 필요한 길이만큼 늘었다 줄었다 하도록 설치되면서 선단에 받침부재(2130)가 장착된 로봇팔(212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2110)의 제자리 회전과 로봇팔(2120)의 길이 가변을 통해 이동하는 받침부재(2130)는 운반컨베이어(1300)에서 낙하하는 보조부재를 얹기 위해 이동하고, 보조부재를 이송수단(2200) 위에 안착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절단부(1000)는 공급된 금속판을 일정 크기의 보조부재로 절단하여 배출하도록 설치된 절단기(1200)와, 이 절단기(1200)에서 배출된 보조부재가 얹혀지면 분류부(2000)까지 운반하도록 설치된 운반컨베이어(1300)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기(1200) 근처까지 금속판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공급컨베이어(1100)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절단기(1200)는 절단된 보조부재가 운반컨베이어(1300)로 경사져 낙하하도록 절단기(1200) 몸체의 일측부에 경사지게 고정 또는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경사부재(1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운반컨베이어(1300)는 평면상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무한 궤적을 이루어 동작하도록 설치된 벨트(1320), 벨트(1320)의 선단측 부위에 배치되면서 벨트(1320)를 따라 운반된 보조부재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제1근접센서(1370)와, 제1근접센서(1370) 근처에 배치되면서 제1근접센서(1370)가 보조부재를 감지하면 상승한 후 하강하도록 설치된 승강스토퍼(138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스토퍼(1380)는 제1근접센서(1370)가 보조부재를 감지하면 상승하여 보조부재와 접촉하여 보조부재를 정렬시킨 후 하강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승강스토퍼(1380)는 보조부재와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충격흡수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
  7. 제3항에서,
    상기 운반컨베이어(1300)는 적어도 2개의 벨트(1320)가 인접하여 설치되고, 벨트(1320)들 사이마다 잇대어 설치되어 보조부재의 이동을 보장하는 받침판(1330)와, 벨트(1320)의 선단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벨트(1320)에서 낙하하는 보조부재가 분류로봇(2100)의 받침부재(2130)에 얹혀지도록 고정 또는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제2경사부재(139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
  8. 제3항에서,
    상기 운반컨베이어(1300)는 지지프레임(1310), 벨트(1320)를 구비한 상부의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1310)의 일측부에 장착된 회전축(1340)과, 지지프레임(1310)에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상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축(13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이송수단(2200)은 제1동력원(2212)에 의해 동작하도록 상호 연계 설치되어 얹혀진 보조부재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다수의 롤러(2211)를 구비한 이송컨베이어(221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2210)의 하측에 위치하고, 분류로봇(2100)의 받침부재(2130)로부터 보조부재가 얹혀지면 하강하여 보조부재를 롤러(2211)들 위에 얹도록 설치된 승강장치(2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승강장치(2230)는 이송컨베이어(2210)의 하측에 고정된 고정프레임(2220), 고정프레임(2220)에 승강하도록 장착된 안내바(2222), 안내바(2222) 위에 장착된 승강장치(2230)와, 승강장치(2230)를 승강시키도록 고정프레임(2220)에 장착된 제2동력원(2221)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2230)는 롤러(2211)들 사이로 상승하여 받침부재(2130)의 보조부재를 받은 후 하강하여 롤러(2211)들 위에 내려놓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승강장치(2230)는 안내바(2222)들을 연결하여 고정된 지지대(2231), 지지대(2231) 위에 장착된 제1받침대(2232) 및 제3받침대(2237), "T"자 또는 "ㅠ"자 형상이면서 제1받침대(2232) 위에 장착된 제2받침대(2233), 제1받침대(2232)와 제2받침대(2233)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2236)와, 제1받침대(2232)에 장착된 제2근접센서(2234)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받침대(2233)의 하부는 제1받침대(2232)의 상부를 관통하고, 관통한 하단에 가지부재(2235)가 체결되며,
    상기 제2받침대(2233)에 받침부재(2130)의 보조부재가 얹혀지면 탄성부재(2236)가 압축되어 하강하고, 제2근접센서(2234)가 가지부재(2235)를 감지하면 제2받침대(2233)와 제3받침대(2237)에 보조부재가 안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승강장치(2230)가 하강하며,
    상기 보조부재가 롤러(2211)들 위에 놓여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부재(2236)에 의해 제2받침대(2233)가 상승하고, 제2근접센서(2234)가 가지부재(2235)를 감지하지 못하면 보조부재가 제2받침대(2233)와 제3받침대(2237)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여 승강장치(2230)가 상승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
KR1020170092599A 2017-07-21 2017-07-21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 KR101840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599A KR101840007B1 (ko) 2017-07-21 2017-07-21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599A KR101840007B1 (ko) 2017-07-21 2017-07-21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007B1 true KR101840007B1 (ko) 2018-03-19

Family

ID=61911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599A KR101840007B1 (ko) 2017-07-21 2017-07-21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0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3989A1 (de) * 2018-06-05 2019-12-12 Ruggli Projects Ag Förd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fördern von tampon-applikatoren
CN112276319A (zh) * 2020-11-06 2021-01-29 日照兴业汽车配件股份有限公司 一种等离子数控切割生产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2964A (ko) * 2003-04-10 2006-01-09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윈도우 스택 제어방법, 윈도우 관리 프로그램, 및 윈도우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2964A (ko) * 2003-04-10 2006-01-09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윈도우 스택 제어방법, 윈도우 관리 프로그램, 및 윈도우관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3989A1 (de) * 2018-06-05 2019-12-12 Ruggli Projects Ag Förd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fördern von tampon-applikatoren
CH715069A1 (de) * 2018-06-05 2019-12-13 Ruggli Projects Ag Förd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Fördern von Tampon-Applikatoren.
CN112424095A (zh) * 2018-06-05 2021-02-26 鲁吉利工程股份公司 用于输送棉条施放器的输送设备和方法
US11608231B2 (en) 2018-06-05 2023-03-21 Ruggli Projects Ag Conve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veying tampon applicators
US11827462B2 (en) 2018-06-05 2023-11-28 Ruggli Projects Ag Conve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veying tampon applicators
EP4269288A3 (de) * 2018-06-05 2023-12-27 Ruggli Projects AG Förd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fördern von tampon-applikatoren
CN112276319A (zh) * 2020-11-06 2021-01-29 日照兴业汽车配件股份有限公司 一种等离子数控切割生产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844B1 (ko) 환봉 절단장치
KR101840007B1 (ko)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 제작시스템의 보조부재 절단 및 분류 장치
CN107879108A (zh) 金属板材搬运装置
CN108033267A (zh) 金属板材搬运工艺
EP2636619A1 (en) Sorter and method for sorting wood pieces
CN110817378B (zh) 货物分拣设备及其分拣下线装置
CN214770695U (zh) 一种切割机的上料机构
KR20190010183A (ko) 엘리베이터용 천장조립체의 제작시스템 및 제작방법
CN212475516U (zh) 一种输送剔废装置
CN109230572A (zh) 料箱自动拆垛上线系统
KR102057572B1 (ko) 플랫보드 정렬장치
CN112356326A (zh) 一种晶圆自动裁切机
CN111644389A (zh) 用于板料的检验分拣系统
US9555508B2 (en) Truss supply and rigging table systems and methods
KR101028789B1 (ko) 링 테이핑장치
CN105151764A (zh) 一种具有检测装置的物料盘底部提升机构
CN116809789B (zh) 车轮轮辐冲压加工用上下料装置
CN211845963U (zh) 一种电机生产加工用的操作台
CN108788720B (zh) 公交车把手装配装置
CN213975693U (zh) 一种高效型集成送料装置
CN110526128B (zh) 一种钢结构桁架
CN218696671U (zh) 变压器硅钢片切割机分层装置
CN220145225U (zh) 切割下料系统及生产线
CN215363405U (zh) 一种生产线跨线自动上下料装置
CN210232381U (zh) 一种工件自动分批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