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230B1 -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230B1
KR101839230B1 KR1020160132638A KR20160132638A KR101839230B1 KR 101839230 B1 KR101839230 B1 KR 101839230B1 KR 1020160132638 A KR1020160132638 A KR 1020160132638A KR 20160132638 A KR20160132638 A KR 20160132638A KR 101839230 B1 KR101839230 B1 KR 101839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ortion
coke oven
mounting
oven door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도연
김주홍
노용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32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5/00Doors or closures for coke ovens
    • C10B25/02Doors; Door frames
    • C10B25/08Closing and opening the do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5/00Doors or closures for coke ovens
    • C10B25/02Doors; Door frames
    • C10B25/08Closing and opening the doors
    • C10B25/14Devices for lifting do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5/00Doors or closures for coke ovens
    • C10B25/20Lids or closures for charg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11Other article loading or unload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는 코크스 오븐 도어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고, 상기 장착부를 회전시키는 작동부; 및 수리 대차와 상기 장착부를 연결하고, 상기 장착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리 대차를 이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적어도 상기 장착부가 상기 수리 대차를 향하여 회전할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리 대차를 상기 작동부를 향하여 이동시켜 상기 장착부의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방법은 (a) 장착부가 코크스 오븐 도어와 결합되는 단계; (b) 작동부가 상기 장착부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고정시키는 단계; (c) 연결부가 상기 장착부와 수리 대차를 연결하는 단계; 및 (d) 상기 장착부가 수리 대차를 향하도록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 및 방법은 안전하고 용이하게 코크스 오븐 도어를 수리 대차 상에 적재한다.

Description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DOOR OF COKE OVEN}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크스 오븐 도어를 교체할 때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리 대차에 적재시킬 수 있는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오븐(coke oven)은 장입차로부터 탄화실에 장입되는 코크스 등과 같은 원료를 일정시간 동안 고온상태로 건류하여 적열 코크스로 제조하는 설비이다. 코크스 오븐의 전면 및 후면에는 적열 코크스를 인출하여 이송차량으로 탑재시키는 코크스 오븐 도어가 부착된다.
하지만, 코크스 오븐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 및 열로 인해, 코크스 오븐 도어에는 카본(carbon) 및 타르(tar) 등과 같은 불순물이 응착된다. 불순물은 코크스 오븐 도어에 응착되는 시점에서는 딱딱한 상태로 존재하고, 상온에서 겔 상태로 물렁물렁하게 서로 엉켜 누적된다. 이로 인해, 불순물이 코크스 오븐 도어에서 내화벽돌의 표면보다 두껍게 응착되어, 코크스 오븐 도어가 탄화실을 폐쇄하지 못하여 고온 유해가스의 외부 누설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불순물이 응착된 코크스 오븐 도어는 다른 코크스 오븐 도어로 교체되고, 불순물의 제거를 위하여 수리 대차에 의해 운반된다. 코크스 오븐 도어를 수리 대차에 적재하고자 할 때, 작업자는 수동으로 작업을 수행하기에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고 상당히 높은 작업 부하에 처해지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5277호(공개일: 2004년 6월 26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50447호(공개일: 2002년 6월 27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3590호(공개일: 2005년 3월 10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 및 방법은 안전하고 용이하게 코크스 오븐 도어를 수리 대차 상에 적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는 코크스 오븐 도어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고, 상기 장착부를 회전시키는 작동부; 및 수리 대차와 상기 장착부를 연결하고, 상기 장착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리 대차를 이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적어도 상기 장착부가 상기 수리 대차를 향하여 회전할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리 대차를 상기 작동부를 향하여 이동시켜 상기 장착부의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장착부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서프트부들; 상기 서포트부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장착부와 결합되는 바디부; 상호 간에 대면하도록 상기 서포트부들의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고, 수평축을 형성하는 수평 샤프트부들; 및 상기 장착부의 하면에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고, 수직축을 형성하는 수직 샤프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는 상기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장착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작동 베이스부; 및 상기 작동 베이스부의 종단과 각각 직교하고, 상기 장착부의 양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수평 샤프트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 서프트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샤프트부는 상기 작동 베이스부를 관통하여 수직 구동부에 의해 상기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장착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부들; 및 상기 돌기부 상에 위치되는 홀더부를 포함하되, 상가 돌기부들이 상기 작동 서포트부의 상면에 대면할 때, 상기 홀더부는 상기 작동 서포트부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부를 상기 바디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작동 베이스부에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장착부를 감지하는 한 쌍의 감지부들을 더 포함하되, 상가 돌기부들이 상기 작동 서포트부에 대면할 때, 상기 감지부들은 동시에 상기 장착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리 대차와 사이에는 상기 작동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작동부에 인접하게 고정된 연결 서포트부; 상기 연결 서포트부를 따라 상기 연결 서포트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연결 가이드부들; 및 상기 연결 가이드부들에 감겨 상기 장착부와 상기 수리 대차를 연결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방법은 (a) 장착부가 코크스 오븐 도어와 결합되는 단계; (b) 작동부가 상기 장착부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고정시키는 단계; (c) 연결부가 상기 장착부와 수리 대차를 연결하는 단계; 및 (d) 상기 장착부가 상기 수리 대차를 향하도록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장착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기부들이 상기 작동부에 대면할 때, 상기 돌기부과 상기 작동부는 홀더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a) 단계에서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d) 단계에서 90°만큼 상기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리 대차 상에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 및 방법은 안전하고 용이하게 코크스 오븐 도어를 수리 대차 상에 적재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에 코크스 오븐 도어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에서 장착부의 수직축 중심 회전을 도시하는 측면도들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가 수리 대차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에 의해 코크스 오븐 도어가 수리 대차 상에 적재된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100)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100)에 코크스 오븐 도어(10)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100)에서 장착부(101)의 수직축(V) 회전을 도시하는 측면도들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100)가 수리 대차(200)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100)에 의해 코크스 오븐 도어(10)가 수리 대차(200) 상에 적재된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100)는 장착부(101), 작동부(102) 및 연결부(103)를 포함하며, 코크스 오븐 도어(10)를 수리 대차(200) 상에 적재하는 데에 이용된다. 이때, 수리 대차(200)는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10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고, 연결부(103)와 수리 대차(200) 사이에 작동부(102)가 위치된다.
장착부(101)는 작동부(102)에 결합된다. 장착부(101)에는 장착 공간(101a)이 형성된다. 코크스 오븐 도어(10)는 장착 공간(101a)에 삽입되어 장착부(101)에 결합된다.
장착부(101)의 양측면에는 돌기부(111)가 형성된다. 이때, 돌기부(111)는 작동부(102)의 상측에 위치된다. 돌기부(111)에는 홀더부(113)가 설치된다. 홀더부(113)는 돌기부(111)를 관통한 상태에서 작동부(102)에 결합되기도 하고, 작동부(102)로부터 분리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홀더부(113)는 볼트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홀더부(113)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작동부(102)에 결합되는 반면에, 홀더부(113)가 일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작동부(102)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홀더부(113)는 자성을 갖기에 작동부(102)에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장착부(101)의 일면에는 장착부(101)의 폭방향을 따라 걸림부(101b)들이 형성된다. 걸림부(101b)들 사이에는 장착공간(101a)이 형성된다. 장착공간(101a)에 삽입된 코크스 오븐 도어(10)의 빗장(11)은 걸림부(101b)들에 걸려, 코크스 오븐 도어(10)가 장착공간(101a)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한다.
작동부(102)는 장착부(101)의 하측에 위치되어 장착부(101)에 결합된다. 작동부(102)는 장착부(101)를 수평축(H) 및 수직축(V)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수평축(H)은 장착부(101)의 폭방향에 상응하는 가상축이고, 수직축(V)은 수평축(H)과 직교하는 가상축이다. 또한, 작동부(102)는 서포트부(121)들, 바디부(123), 수평 샤프트부(125)들 및 수직 샤프트부(127)를 포함한다.
서포트부(121)들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수직 바아의 형태를 가지면서 장착부(101)의 양측에 위치된다. 이때, 서포트부(121)들은 지면 상에 위치된다.
바디부(123)는 서포트부(121)들 사이에 위치되어, 장착부(101)와 결합된다. 또한, 바디부(123)는 작동 베이스부(123a) 및 작동 서포트부(123b)들을 포함한다.
작동 베이스부(123a)는 장착부(101)의 하측에 위치되고, 장착부(101)의 하면과 평행하다.
작동 서포트부(123b)들은 각각 작동 베이스부(123a)의 종단과 직교하여, 장착부(101)의 양측에 위치된다.
수평 샤프트부(125)들은 각각 서포트부(121)로부터 연장되어 상호 간에 대면하고, 바디부(123)의 작동 서포트부(123b)에 연결된다. 이때, 수평 샤프트부(125)들은 수평축(H)을 형성하여, 바디부(123)는 수평축(H)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바디부(123)가 회전할 때, 바디부(123)에 결합된 장착부(101)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바디부(123)가 수평축(H)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바디부(123)는 장착부(101)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로 인해, 장착부(101)는 바디부(123)와 함께 회전할 때 바디부(123)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에 서술된 홀더부(113)는 장착부(101)를 바디부(123)에 고정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장착부(101)의 돌기부(111)들이 각각 바디부(123)의 작동 서포트부(123b)의 상면에 대면하도록 위치될 때, 홀더부(113)는 작동 서포트부(123b)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홀더부(113)가 작동 서포트부(123b)의 상면에 결합됨으로써, 장착부(101)는 바디부(123)에 고정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바디부(123)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수직 샤프트부(127)는 바디부(123)의 작동 베이스부(123a)를 관통하여 장착부(101)에 연결된다. 이때, 수직 샤프트부(127)는 작동 베이스부(123a)에서 수직축(V)을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샤프트부(127)에는 수직 구동부(127a)가 연결되어, 수직 샤프트부(127)는 수직 구동부(127a)에 의해 수직축(V)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장착부(101)를 동일하게 회전시킨다. 여기서, 수직 구동부(127a)는 모터(motor)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코크스 오븐 도어(10)는 장착부(101)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리 대차(200)와의 접촉을 고려하여 작동부(102)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크스 오븐 도어(10)의 내화벽돌(10a)은 수리 대차(200)와 접촉되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때, 코크스 오븐 도어(10)의 내화벽돌(10a)이 수리 대차(200)와 대면하지 않도록, 수직 샤프트부(127)는 코크스 오븐 도어(10)와 결합된 장착부(101)를 회전시킬 수 있다(도 3(a) 및 도 3(c) 참조).
앞서 서술된 홀더부(113)에 의해 돌기부(111)는 작동 서프트부(123b)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수직 샤프트부(127)는 장착부(101)를 수직축(V)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작동부(102)는 감지부(129)들은 더 포함하기도 한다. 감지부(129)들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작동 베이스부(123a) 상에서 상호 간에 이격되어, 장착부(101), 특히 장착부(101)의 하면을 감지한다. 감지부(129)들이 동시에 장착부(101)를 감지할 때, 장착부(101)의 하면은 작동 베이스부(123a)와 대면하고, 장착부(101)의 양측면은 각각 작동 서포트부(123b)에 대면하도록 위치된다. 이때, 장착부(101)의 일면은 바디부(123)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장착부(101)의 돌기부(111)들이 각각 작동 서포트부(123b)의 상면에 대면하도록 위치되어, 홀더부(113)는 작동 서포트부(123b)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감지부(129)들은 홀더부(113)에 의한 작동부(102)의 바디부(123)와 장착부(101)의 결합 가능 여부를 감지하는 데에 이용된다. 한편, 감지부(129)들이 동시에 장착부(101)를 감지할 때까지, 수평 샤프트부(127)는 장착부(101)를 수직축(V)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연결부(103)는 장착부(101)와 수리 대차(200)를 연결한다. 이때, 장착부(101)는 작동부(102)에 결합되어, 연결부(103)와 수리 대차(200) 사이에 위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01)가 수리 대차(200)를 향하여 수평축(H)을 형성하는 수평 샤프트부(125)들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연결부(103)는 수리 대차(200)를 작동부(102)의 서프트부(121)들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01)는 90°만큼 회전할 때 수리 대차(200) 상에 적재된다. 코크스 오븐 도어(10)는 장착부(101)로부터 분리되어 수리 대차(200) 상에 적재된다.
또한, 코크스 오븐 도어(10)가 수리 대차(200) 상에 적재된 상태에서, 수리 대차(200)가 작동부(102)의 서프트부(121)들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되면, 장착부(101)도 수리 대차(200)로부터 이격되도록 수평 샤프트부(125)들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90°만큼 회전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연결부(103)는 연결 서포트부(131), 연결 가이드부(133)들 및 와이어부(135)를 포함한다.
연결 서포트부(131)는 수직 바아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연결 서포트부(131)와 수리 대차(200) 사이에는 작동부(102)가 위치된다.
연결 가이드부(133)들은 각각 연결 서프트부(131)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된다. 즉, 연결 가이드부(133)들은 연결 서포트부(131)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된다. 연결 가이드부(133)들은 각각 도르래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와이어부(135)는 연결 가이드부(133)들에 감긴 상태로 작동부(101)와 수리 대차(200)를 연결한다. 이때, 와이어부(135)에는 장착부(101) 및 수리 대차(200)에 의해 인장력이 작용하여, 와이어부(135)는 팽팽하게 유지된다. 이로 인해, 장착부(101)가 수리 대차(200)를 향하여 수평축(H)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와이어부(135)는 연결 가이드부(133)에 감긴 상태로 이동하여 수리 대차(200)를 잡아당겨 작동부(102)의 서프트부(121)들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한편, 수리 대차(200)가 작동부(102)의 서프트부(121)들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될 때, 와이어부(135)는 연결 가이드부(133)에 감긴 상태로 이동하여 장착부(101)를 잡아당겨 장착부(101)를 수평축(H)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100)는 코크스 오븐 도어(10)를 장착부(101)에 결합시켜 작동부(102)를 이용하여 수리 대차(200)를 향하여 회전시켜 수리 대차(200) 상에 적재한다. 이때, 장착부(101)와 수리 대차(200)는 연결부(103)에 의해 연결된다. 장착부(101)가 작동부(102)에 의해 회전될 때, 연결부(103)는 수리 대차(200)를 잡아당긴다. 수리 대차(200)는 작동부(102)를 향하여 이동하여 장착부(101)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때, 코크스 오븐 도어(10)는 장착부(101)와 함께 수리 대차(200) 상에 자동으로 적재된다. 이로 인해, 코크스 오븐 도어(10)는 작동부(102)의 회전을 통해 수리 대차(200) 상에 적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100)는 코크스 오븐 도어(10)를 안정적으로 수리 대차(200) 상에 적재한다. 특히, 작업자가 수리 대차(200) 주위에 위치될 필요가 없어,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100)의 파손, 예를 들어, 연결부(103)의 와이어부(135)의 단선으로 인한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방법은 앞서 서술된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100)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장착부(101)가 코크스 오븐 도어(10)와 결합되는 단계(S101)가 이루어진다. S101 단계에서, 코크스 오븐 도어(10)는 장착부(101)의 장착 공간(101a)에 삽입된 상태이고, 코크스 오븐 도어(10)의 측면들은 장착부(101)에 의해 둘러싸인다. 또한, 장착부(101)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된다(도 4 참조).
다음으로, 작동부(102)가 장착부(101)를 수직축(V)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고정시키는 단계(S102)가 이루어진다. S102 단계에서, 수직축(V)을 중심으로 한 장착부(101)의 회전은 작동부(102)의 수직 샤프트부(127)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장착부(101)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기부(111)가 작동부(102)의 바디부(123)의 작동 서포트부(123b)의 상측에 위치될 때, 홀더부(113)는 돌기부(111)에 위치되어 작동 서포트부(123b)의 상면에 결합된다. 즉, 홀더부(113)에 의해 장착부(101)는 작동부(102)의 바디부(123)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로 인해, 작동부(101)는 작동부(102)에 의해 수평축(H)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부(103)가 장착부(101)와 수리 대차(200)를 연결하는 단계(S103)가 이루어진다. S103 단계에서, 장착부(101)는 작동부(102)에 고정된 상태로 연결부(103)와 수리 대차(200) 사이에 위치되고, 연결부(103)는 장착부(101)와 수리 대차(200)에 의해 이동가능하다(도 4 참조).
다음으로, 장착부(101)가 수리 대차(200)를 향하도록 수평축(H)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단계(S104)가 이루어진다. S104 단계에서, 장착부(101)는 작동부(102)의 바디부(123)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로 바디부(123)와 함께 회전한다. 이때, 연결부(103)는 수리 대차(200)를 잡아당긴다. 수리 대차(200)는 작동부(102)의 서포트부(121)를 향하여 이동하여 장착부(101)의 하측에 위치된다. 장착부(101)가 수평축(H)을 중심으로 90°만큼 회전하면, 코크스 오븐 도어(10)는 장착부(101)와 함께 수리 대차(200) 상에 자동으로 적재된다(도 5 참조).
한편, 수리 대차(200)가 작동부(102)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하면, 장착부(101)는 연결부(103)에 의해 당겨져 S104 단계에서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수평축(H)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장착부(102)는 S102 단계와 동일한 상태로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방법을 통해 코크스 오븐 도어(10)는 안정적으로 수리 대차(200) 상에 적재된다. 특히, 작업자가 수리 대차(200) 주위에 위치될 필요가 없어,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100)의 파손, 예를 들어, 연결부(103)의 와이어부(135)의 단선으로 인한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코크스 오븐 도어어 적재 장치
101: 장착부
101a: 장착 공간
111: 돌기부
113: 홀더부
102: 작동부
121: 서포트부
123: 바디부
123a: 작동 베이스부
123b: 작동 서포트부
125: 수평 샤프트부
127: 수직 샤프트부
129: 감지부
103: 연결부
131: 연결 서포트부
133: 연결 가이드부
135: 와이어부
200: 수리 대차
10: 코크스 오븐 도어

Claims (10)

  1. 코크스 오븐 도어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고, 상기 장착부를 회전시키는 작동부; 및
    수리 대차와 상기 장착부를 연결하고, 상기 장착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리 대차를 이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적어도 상기 장착부가 상기 수리 대차를 향하여 회전할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리 대차를 상기 작동부를 향하여 이동시켜 상기 장착부의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리 대차와 사이에는 상기 작동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작동부에 인접하게 고정된 연결 서포트부;
    상기 연결 서포트부를 따라 상기 연결 서포트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연결 가이드부들; 및
    상기 연결 가이드부들에 감겨 상기 장착부와 상기 수리 대차를 연결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장착부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서포트부들;
    상기 서포트부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장착부와 결합되는 바디부;
    상호 간에 대면하도록 상기 서포트부들의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고, 수평축을 형성하는 수평 샤프트부들; 및
    상기 장착부의 하면에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고, 수직축을 형성하는 수직 샤프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는 상기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장착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작동 베이스부; 및
    상기 작동 베이스부의 종단과 각각 직교하고, 상기 장착부의 양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수평 샤프트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 서포트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샤프트부는 상기 작동 베이스부를 관통하여 수직 구동부에 의해 상기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장착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부들; 및
    상기 돌기부 상에 위치되는 홀더부를 포함하되,
    상가 돌기부들이 상기 작동 서포트부의 상면에 대면할 때, 상기 홀더부는 상기 작동 서포트부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장착부를 상기 바디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작동 베이스부에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장착부를 감지하는 한 쌍의 감지부들을 더 포함하되,
    상가 돌기부들이 상기 작동 서포트부에 대면할 때, 상기 감지부들은 동시에 상기 장착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132638A 2016-10-13 2016-10-13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 및 방법 KR101839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638A KR101839230B1 (ko) 2016-10-13 2016-10-13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638A KR101839230B1 (ko) 2016-10-13 2016-10-13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230B1 true KR101839230B1 (ko) 2018-03-15

Family

ID=6165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638A KR101839230B1 (ko) 2016-10-13 2016-10-13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2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8567A (zh) * 2019-07-19 2019-09-10 中冶焦耐(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储存与维修焦炉炉门的转盘式修理站及运行方法
KR102039126B1 (ko) 2019-06-21 2019-10-31 (주)달성 코크스 오븐 도어 수리용 대차
CN114874787A (zh) * 2022-04-23 2022-08-09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清洁型热回收焦炉炉门安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385B1 (ko) 2007-11-28 2010-05-28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의 도어 탈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385B1 (ko) 2007-11-28 2010-05-28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의 도어 탈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126B1 (ko) 2019-06-21 2019-10-31 (주)달성 코크스 오븐 도어 수리용 대차
CN110218567A (zh) * 2019-07-19 2019-09-10 中冶焦耐(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储存与维修焦炉炉门的转盘式修理站及运行方法
CN110218567B (zh) * 2019-07-19 2024-03-19 中冶焦耐(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储存与维修焦炉炉门的转盘式修理站及运行方法
CN114874787A (zh) * 2022-04-23 2022-08-09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清洁型热回收焦炉炉门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230B1 (ko)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적재 장치 및 방법
JP5333990B2 (ja) コークス炉炭化室における熱間積替時の側面防熱装置及び側面防熱板の設置方法
TW512171B (en) Method of repairing a coke oven buckstay and a moving device for use in such method
CN104234931A (zh) 用于主转子轴的组装方法及其安装工具
CN1529927A (zh) 具有一个用于插入式器件的闭锁装置的低压开关设备
JP6588881B2 (ja) コークス炉の燃焼室煉瓦補修用の煉瓦運搬装置
KR20100086252A (ko)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KR101220662B1 (ko)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도어 착탈장치
JP6165027B2 (ja) 容器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台車の位置決め方法
KR101289144B1 (ko) 코크스 오븐 도어장치
KR101058566B1 (ko) 차대 동력계 구동 롤러 홈 재가공 장치
KR102018522B1 (ko) 코크스오븐의 도어 가스누출방지용 수리대차
KR101999052B1 (ko) 소화차
CN212160174U (zh) 一种具有防腐功能的光纤配线架
KR100844778B1 (ko) 작업 전원 공급을 위한 비상 케이블 유도 장치
JP5739256B2 (ja) バックステーの取替え方法
KR101485676B1 (ko) 커버 개폐기능을 갖는 버킷 어셈블리
JP6330503B2 (ja) コークス炉のバックステー取替え方法
KR102070254B1 (ko) 배전선로의 처짐 복원장치
CN216842754U (zh) 一种混动总成下线测试对接安装装置
CN220342191U (zh) 一种用于大型异步电动机转子的抽穿装置
CN112537611B (zh) 一种更换装置
JP2007002188A (ja) 断熱ボックスの挿入方法および挿入装置
CN211179610U (zh) 一种便于维修的红外检测设备
KR200316531Y1 (ko) 전로의 리모블 후드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