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040B1 -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040B1
KR101839040B1 KR1020170157071A KR20170157071A KR101839040B1 KR 101839040 B1 KR101839040 B1 KR 101839040B1 KR 1020170157071 A KR1020170157071 A KR 1020170157071A KR 20170157071 A KR20170157071 A KR 20170157071A KR 101839040 B1 KR101839040 B1 KR 101839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lutch
resolver angle
state
resol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진운
백주현
허석행
강광희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7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3/00Control systems or transmitting systems for actuating flying-control surfaces, lift-increasing flaps, air brakes, or spoilers
    • B64C13/24Transmitting means
    • B64C13/38Transmitting means with power amplification
    • B64C13/50Transmitting means with power amplification using electrical energ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8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air- or spacecraft, railway rolling stock or sea-going vess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9Testing of circuits in sensor or actuat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2045/0085Devices for aircraft health monitoring, e.g. monitoring flutter or v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은 복합유성감속기조립체의 고장 또는 제1 클러치와 제2 클러치 모두 고장으로 판단하고 제1 모터의 구동전류와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큰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1 모터와 제2 모터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FAULT DIAGNOSING METHOD OF DOUBLE ACTUATOR FOR AIRCRAFT}
본 발명은 항공기 날개 구동을 위한 이중화 구동기의 장치별 고장을 식별 판별할 수 있는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에는 유압식 랜딩 엣지 액추에이터(Leading edge actuator), 윙 액추에이터(Wing actuator)가 구비된다. 기존 유압식 액추에이터는 2 ~ 3개의 슬라이스(slice)로 구성되어 유압을 이용하여 고토크 동력을 구현한다. 그런데 기존 유압식 액추에이터와 같은 유압 시스템으로는 정밀 제어가 불가능하며, 위치검출센서 등과 같은 센서의 장착이 불가능하므로 원하는 제어성능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구체적으로 항공기에서는 유압 시스템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전기 시스템에 비해 유압 시스템의 제어가 어렵기 때문이다. 유압 시스템은 전기 시스템에 비해 정확한 위치제어가 어렵고, 응답속도가 느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행기 날개 등과 같은 장치의 구동 제어를 위한 이중화 구동기가 개시된바 있다(특허등록 제10-1712126호는 "잼 톨러런트 기어 액추에이터" 및 특허등록 제10-1712127호 "복수의 위치검출센서가 구비된 잼 톨러런트 기어 액추에이터" 참조). 이러한 이중화 구동기는 양쪽 모터 중 한쪽 모터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동력의 끊김 없이 다른 쪽 모터의 동력을 동력전달대상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런데 항공기 날개 구동용 이중화 구동기의 개발로 인해 이중화 구동기를 구성하는 각 장치별 고장식별을 판별하여 고장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나, 아직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항공기 날개 구동을 위한 이중화 구동기를 구성하는 각 장치의 빠른 고장 진단을 통한 고장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은, 구동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며 양쪽으로 구비되는 제1 모터조립체와 제2 모터조립체; 및 상기 제1 모터조립체와 제2 모터조립체의 출력이 전달되는 복합유성감속기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유성감속기조립체의 양쪽으로 제1 출력축 레졸버 및 제2 출력축 레졸버가 구비되며, 상기 복합유성감속기조립체은 상기 제1 모터조립체 및 제2 모터조립체의 출력을 전달받아 비행기 날개 구동면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 복합유성감속기 및 제2 복합유성감속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조립체는 제1 모터 레졸버, 상기 제1 모터, 제1 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터조립체는 제2 모터 레졸버, 제2 모터, 제2 클러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터와 제2 모터는 BLDC모터이며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동일한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에 있어서, 구동명령이 인가되어 상기 제1 클러치, 제2 클러치, 제1 모터, 제2 모터 모두가 온 상태에서 구동을 확인하여 제1 모터조립체와 제2 모터조립체 중 어느 하나가 구동하거나 모두가 구동하는 조건을 만족하면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로 진행하고, 상기 제1 모터조립체와 제2 모터조립체 모두가 구동하지 않는 조건에서는 제1 클러치 오프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로 진행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1 클러치 오프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 제1 모터 레졸버 각도와 제2 모터 레졸버 각도 미검출 조건을 만족하면 복합유성감속기조립체의 고장 또는 제1 클러치와 제2 클러치 모두 고장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모터 레졸버 각도와 제2 모터 레졸버 각도 미검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전류와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큰 조건을 만족하면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로 진행하며,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전류와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큰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1 모터와 제2 모터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2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계의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 제1 모터 레졸버 각도 검출 조건을 만족하면 제1 클러치 오프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로 진행하고, 상기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되지 않으면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 제1 모터 레졸버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1 클러치 오프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에서 제2 모터 레졸버 각도 검출 조건을 만족하면 고장 없음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미검출되면 제2 모터 레졸버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4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계의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동일한 조건을 만족하면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로 진행하고, 상기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동일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1 클러치 오프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로 진행하여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동일한 조건을 만족하면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로 진행하며, 상기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동일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인 제2 모터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의 동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제5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동일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에서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 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고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되며 제1 모터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은 조건을 만족하면 제2 클러치의 고장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 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고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되며 제1 모터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은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서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크고 제2 모터 레졸버 각도 미검출 조건을 만족하면 제2 모터 레졸버의 고장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고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되면 제2 모터의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같을 경우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에서 제1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고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되며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은 조건을 만족하면 제1 클러치의 고장을 판단하는 제6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고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되며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은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서 제1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크고 제1 모터 레졸버 각도 미검출 조건을 만족하면 제1 모터 레졸버의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고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되면 제1 모터의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단계의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동일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서 제2 모터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의 동일 조건을 만족하면 제1 출력축 레졸버의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모터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의 동일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서 제2 모터 레졸버 각도와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의 동일 조건을 만족하면 제2 출력축 레졸버의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모터 레졸버 각도와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가 동일하지 않으면 복합유성감속기조립체의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에 의하면, 항공기 날개 구동을 위한 이중화 구동기를 구성하는 각 장치의 빠른 고장 진단을 통해 고장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고장 진단으로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속기, 모터, 클러치, 레졸버 등과 같은 구동에 필요한 장치에서 고장식별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유성감속기조립체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 진단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은 항공기 날개 구동을 위한 이중화 구동기를 구성하는 각 장치의 빠른 고장 진단을 통한 고장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먼저,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와 같이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는, 구동제어기(100)에 제어되며 양쪽으로 구비되는 제1 모터조립체(11)와 제2 모터조립체(12) 및 제1 모터조립체(11)와 제2 모터조립체(12)의 동력이 전달되는 복합유성감속기조립체(200)를 포함한다.
제1 모터조립체(11)는 제1 모터 레졸버(121), 제1 모터(111), 제1 클러치(101)를 포함한다. 동력은 제1 모터 레졸버(121), 제1 모터(111), 제1 클러치(101) 순으로 복합유성감속기조립체(200)로 전달된다.
제2 모터조립체(12)는 제2 모터 레졸버(122), 제2 모터(112), 제2 클러치(102)를 포함한다. 동력은 제2 모터 레졸버(122), 제2 모터(112), 제2 클러치(102) 순으로 복합유성감속기조립체(200)로 전달된다.
복합유성감속기조립체(200)는 제1 모터조립체(11) 및 제2 모터조립체(12)의 동력이 전달되는 단순유성감속기(203), 단순유성감속기(203)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제1 복합유성감속기(211)와 제2 복합유성감속기(212)를 포함한다. 제1 출력축 레졸버(201)는 제1 복합유성감속기(211)와 연결된다. 제2 출력축 레졸버(202)는 제2 복함유성감속기(212)와 연결된다. 제1 출력축 레졸버(201) 및 제2 출력축 레졸버(202)는 구동제어기(100)와 연결된다.
도 2와 같이 제1 모터조립체(11) 및 제2 모터조립체(12)의 동력은 단순유성감속기(203)에서 제1 복합유성감속기(211)와 제2 복합유성감속기(212)로 절단된다. 제1 복합유성감속기(211)로 출력된 동력과 제2 복합유성감속기(212)로 출력된 동력은 비행기 날개 구동면(300)에 전달된다.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는 이중화 동력이기 때문에 한쪽 동력 전달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 동력이 작동하기 때문에 비행기 날개 제어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양쪽으로 구비되는 제1 모터(111)와 제2 모터(112)는 BLDC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이다. 제1 모터(111)와 제2 모터(112)는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은, 이중화 구동기를 구성하는 각 장치별로 고장을 진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7의 플로차트 기호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7116753690-pat00001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발명은, 구동제어기에 의해 구동명령이 인가되면 제1 클러치 온, 제2 클러치 온, 제1 모터 온, 제2 모터 온 상태가 된다. 제1 클러치, 제2 클러치, 제1 모터, 제2 모터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경우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도 5 ②참조)로 진행한다.
예컨대, 제1 클러치, 제2 클러치, 제1 모터, 제2 모터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경우란 제1 모터조립체와 제2 모터조립체 중 어느 하나가 구동하거나 또는 제1 모터조립체와 제2 모터조립체 모두가 구동하는 경우일 수 있다.
제1 클러치, 제2 클러치, 제1 모터, 제2 모터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제1 클러치 오프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로 진행한다.
예컨대, 제1 클러치, 제2 클러치, 제1 모터, 제2 모터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란 제1 모터조립체와 제2 모터조립체 모두가 구동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도 3과 같이 제1 클러치 오프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 제1 모터 레졸버 각도와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미검출 되면 복합유성감속기조립체의 고장 또는 제1 클러치와 제2 클러치 모두 고장으로 판단한다.
제1 모터 레졸버 각도와 제2 모터 레졸버 각도 미검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다음 단계인 제1 모터의 구동전류와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제1 모터 또는 제2 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큰 조건을 만족하면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도 4 ① 참조)로 진행한다.
제1 모터의 구동전류와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으면 제1 모터와 제2 모터의 고장(고착)으로 판단한다.
도 4와 같이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 제1 모터 레졸버 각도 검출되면 제1 클러치 오프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로 진행한다.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되지 않으면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로 넘어가서 제1 모터 레졸버의 고장으로 판단한다.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된 경우 제1 클러치 오프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에서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되면 고장 없음으로 판단한다.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된 경우 제1 클러치 오프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에서 제2 모터 레졸버 각도 검출되지 않으면 제2 모터 레졸버의 고장으로 판단한다.
도 5와 같이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동일하면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로 진행한다.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동일하지 않으면 제1 클러치 오프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로 진행한다. 제1 클러치 오프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에서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동일하면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도 6 ③ 참조)로 진행한다. 제1 클러치 오프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에서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동일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인 제1 모터 레졸버 각도와 제2 모터 레졸버 각도의 동일 여부를 확인 단계(도 7 ④ 참조)로 진행한다.
도 5와 같이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동일하면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에서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 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고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되며 제1 모터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은 조건을 만족하면 제2 클러치의 고장으로 판단한다.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 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고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되며 제1 모터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은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서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크고 제2 모터 레졸버 각도 미검출 조건을 만족하면 제2 모터 레졸버의 고장으로 판단한다.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고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되면 제2 모터의 고장으로 판단한다.
도 6과 같이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에서 제1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고,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되며,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은 조건을 만족하면 제1 클러치의 고장을 판단한다.
제1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고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되며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은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서 제1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크고 제1 모터 레졸버 각도 미검출 조건을 만족하면 제1 모터 레졸버의 고장으로 판단한다.
제1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고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되면 제1 모터의 고장으로 판단한다.
도 7과 같이 제2 모터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의 동일 조건을 만족하면 제1 출력축 레졸버의 고장으로 판단한다.
제2 모터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가 동일하지 않으면 제2 모터 레졸버 각도와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이면 제2 출력축 레졸버의 고장으로 판단한다. 반대로 제2 모터 레졸버 각도와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하지 않으면 복합유성감속기조립체의 고장으로 판단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은, 항공기 날개 구동을 위한 이중화 구동기를 구성하는 각 장치의 빠른 고장 진단을 통해 고장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고장 진단으로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항공기 날개 구동용 이중화 구동기 시스템에 최적화된 고장 진단 고장식별 판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감속기, 모터, 클러치, 레졸버 등과 같은 구동에 필요한 장치에서 고장식별에 활용할 수 있다.
제1 모터 레졸버 각도와 제2 모터 레졸버 각도,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 제1 모터 구동전류와 제2 모터 구동전류,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은 설정값(테이블값)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제1 모터조립체
12:제2 모터조립체
100:구동제어기
101:제1 클러치
102:제2 클러치
111:제1 모터
112:제2 모터
121:제1 모터 레졸버
122:제2 모터 레졸버
200:복합유성감속기조립체
201:제1 출력축 레졸버
202:제2 출력축 레졸버
203:단순유성감속기
211:제1 복합유성감속기
212:제2 복합유성감속기
300:비행기 날개 구동면

Claims (10)

  1. 구동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며 양쪽으로 구비되는 제1 모터조립체와 제2 모터조립체; 및 상기 제1 모터조립체와 제2 모터조립체의 출력이 전달되는 복합유성감속기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유성감속기조립체의 양쪽으로 제1 출력축 레졸버 및 제2 출력축 레졸버가 구비되며, 상기 복합유성감속기조립체은 상기 제1 모터조립체 및 제2 모터조립체의 출력을 전달받아 비행기 날개 구동면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 복합유성감속기 및 제2 복합유성감속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조립체는 제1 모터 레졸버, 상기 제1 모터, 제1 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터조립체는 제2 모터 레졸버, 제2 모터, 제2 클러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터와 제2 모터는 BLDC모터이며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동일한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에 있어서,
    구동명령이 인가되어 상기 제1 클러치, 제2 클러치, 제1 모터, 제2 모터 모두가 온 상태에서 구동을 확인하여 제1 모터조립체와 제2 모터조립체 중 어느 하나가 구동하거나 모두가 구동하는 조건을 만족하면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로 진행하고, 상기 제1 모터조립체와 제2 모터조립체 모두가 구동하지 않는 조건에서는 제1 클러치 오프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로 진행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1 클러치 오프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 제1 모터 레졸버 각도와 제2 모터 레졸버 각도 미검출 조건을 만족하면 복합유성감속기조립체의 고장 또는 제1 클러치와 제2 클러치 모두 고장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모터 레졸버 각도와 제2 모터 레졸버 각도 미검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전류와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큰 조건을 만족하면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로 진행하며,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전류와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큰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1 모터와 제2 모터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2 단계;
    를 포함하는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의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 제1 모터 레졸버 각도 검출 조건을 만족하면 제1 클러치 오프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로 진행하고, 상기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되지 않으면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 제1 모터 레졸버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1 클러치 오프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에서 제2 모터 레졸버 각도 검출 조건을 만족하면 고장 없음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미검출되면 제2 모터 레졸버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의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동일한 조건을 만족하면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로 진행하고, 상기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동일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제1 클러치 오프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로 진행하여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동일한 조건을 만족하면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로 진행하며, 상기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동일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인 제2 모터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의 동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제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동일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에서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 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고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되며 제1 모터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은 조건을 만족하면 제2 클러치의 고장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 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고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되며 제1 모터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은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서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크고 제2 모터 레졸버 각도 미검출 조건을 만족하면 제2 모터 레졸버의 고장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고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되면 제2 모터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같을 경우 제1 클러치 온 및 제2 클러치 온 상태에서 제1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고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되며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은 조건을 만족하면 제1 클러치의 고장을 판단하는 제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고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되며 제2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은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서 제1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크고 제1 모터 레졸버 각도 미검출 조건을 만족하면 제1 모터 레졸버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전류보다 BLDC모터의 무부하 시 정상 전류값이 작고 제1 모터 레졸버 각도가 검출되면 제1 모터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의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와 제2 모터 레졸버 각도가 동일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서 제2 모터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의 동일 조건을 만족하면 제1 출력축 레졸버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모터 레졸버 각도와 제2 출력축 레졸버 각도의 동일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서 제2 모터 레졸버 각도와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의 동일 조건을 만족하면 제2 출력축 레졸버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모터 레졸버 각도와 제1 출력축 레졸버 각도가 동일하지 않으면 복합유성감속기조립체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
KR1020170157071A 2017-11-23 2017-11-23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 KR101839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071A KR101839040B1 (ko) 2017-11-23 2017-11-23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071A KR101839040B1 (ko) 2017-11-23 2017-11-23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040B1 true KR101839040B1 (ko) 2018-03-15

Family

ID=6165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071A KR101839040B1 (ko) 2017-11-23 2017-11-23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0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6022A (zh) * 2021-08-26 2021-11-30 航天时代飞鹏有限公司 一种电气多余度电动舵机
KR20230174577A (ko) * 2022-06-21 2023-12-2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이중화 작동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00917A (ko) 2022-06-24 2024-01-03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다중 구동 장치의 고장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181B1 (ko) 2014-12-09 2015-06-22 국방과학연구소 가상 제어 구조를 갖는 다중화 구동 제어시스템
KR101749134B1 (ko) 2017-02-01 2017-06-20 주식회사 컨트로맥스 오작동 및 고장을 방지하는 항공기용 전기식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181B1 (ko) 2014-12-09 2015-06-22 국방과학연구소 가상 제어 구조를 갖는 다중화 구동 제어시스템
KR101749134B1 (ko) 2017-02-01 2017-06-20 주식회사 컨트로맥스 오작동 및 고장을 방지하는 항공기용 전기식 구동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6022A (zh) * 2021-08-26 2021-11-30 航天时代飞鹏有限公司 一种电气多余度电动舵机
KR20230174577A (ko) * 2022-06-21 2023-12-2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이중화 작동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653359B1 (ko) 2022-06-21 2024-04-0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이중화 작동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00917A (ko) 2022-06-24 2024-01-03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다중 구동 장치의 고장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040B1 (ko) 항공기용 이중화 구동기의 고장진단 방법
CN106671983B (zh) 确定dct的离合器故障的诊断方法
EP3398851B1 (en) Method to measure aircraft high-lift system brake response time
JP2016117481A (ja) 航空機の高揚力システムにおける部品の検査方法
US816079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 malfunction of a control coupling
EP291044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ilt in test equipment for a brake control system
US9085871B2 (en) Swing brake control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ry
US9731624B2 (en) Electric driving wheel type work vehicle
JP2010132257A (ja) ハイブリッド車両用オイルポンプ制御装置のフェイルセーフによる制御方法
JP6558043B2 (ja) 車両の制御装置
EP3909857A1 (en) Control systems for hybrid electric power plants
US8290673B2 (e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a failed friction element
KR102388275B1 (ko) 자동 긴급 제동기능을 갖는 인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6740788A (zh) 一种低成本无人车紧急制动的方法
CN105813913B (zh) 用于提高机动车的混合动力传动系中的混合动力分离离合器的可用性的方法
KR10130488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방법
JP5067359B2 (ja) 電子制御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2006336725A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制御方法
CN109624983B (zh) 一种挡位信号失效的故障处理系统及方法
JP6840508B2 (ja) タキシングシステムおよびタキシングシステムの健全性確認方法
JP4770252B2 (ja) 車両の故障診断方法及び装置
KR102653359B1 (ko) 이중화 작동기 및 그 제어 방법
EP4227174A2 (en) Hybrid brake systems and methods
EP41124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ucting health monitoring
US20240140427A1 (en) Method for stopping undesired continuation in a current direction of trav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