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147B1 -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 Google Patents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147B1
KR101838147B1 KR1020120072480A KR20120072480A KR101838147B1 KR 101838147 B1 KR101838147 B1 KR 101838147B1 KR 1020120072480 A KR1020120072480 A KR 1020120072480A KR 20120072480 A KR20120072480 A KR 20120072480A KR 101838147 B1 KR101838147 B1 KR 101838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security
service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423A (ko
Inventor
노해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2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1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05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 G08B21/0283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via a telephone network, e.g. cellular G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심귀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주변에 위치한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안전하게 귀가할 수 있는 보안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밤늦은 귀가시의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진행 방향상의 앞에 위치한 방범카메라로부터 취득한 영상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미리 제공하여 사용자가 안심하고 귀가할 수 있고, 부모는 자녀 주변의 가까운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집에서 부모가 취득하여 모니터링 함으로써, 위급하거나 긴급한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Method for providing safety come home service, system thereof, terminal thereof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주변에 위치한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안전하게 귀가할 수 있는 보안정보를 제공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괴, 폭력, 강도, 살인 등의 각종 범죄가 공공장소 여부를 불문하고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종래에는 관할 지역에 방범요원을 증원시키거나 방범카메라(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를 곳곳에 설치하여 범죄를 예방 및 감시하고 있다. 이중, 방범카메라를 이용한 종래의 범죄 예방 및 감시 시스템은 방범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화면을 통해 감시하고 촬영된 영상을 시간 별로 저장한다. 따라서, 범죄 발생시 저장된 영상을 검색하여 범죄 발생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기 때문에 범죄 발생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범죄신고 및 대응체계의 하나로 경찰서에서는 112 전화를 이용한 시스템(Command, Control and Communication System)을 적용하여 범인 검거에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시스템은 범죄 발생시 피해자 또는 목격자가 통신망을 이용하여 인근 파출소, 순찰차, 또는 싸이카 등에 연락함으로써, 범죄현장에 신속히 도착하여 조기에 범인을 검거하고 범죄예방 효과를 증진하며 범인 검거률을 높이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술한 시스템은 범죄가 발생하는 현장에서 경찰에 신고를 한다거나 가족들에게 알리는 등 적극적인 범죄차단 역할에는 한계가 있으며, 더욱이, 범죄 발생에 따른 피해자 또는 목격자가 112 전화를 통해서만 이루어짐에 따라 신고 수단의 한계성이 있으며, 아울러 범죄발생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나 신고가 가능하여 지연신고로 인한 범인검거가 어렵고, 범죄를 예방하는 효과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주변의 상황을 사용자 또는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KR 10-1037387 B1, 2011년 05월 20일 등록 (명칭: 자녀 케어 서비스 시스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주변에 위치한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안전하게 귀가할 수 있는 보안정보를 제공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정보를 입력 받고,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내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로 요청하고, 경로에 관련된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는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한 현재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단말기로부터 목적지정보를 수신하고,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다수의 경로 중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기준으로 경로를 검색하고, 검색된 경로 내에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중 기 설정된 시간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를 방범카메라 관리장치로부터 획득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따라 보안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안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서비스장치와 통신하여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정보를 입력 받고,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내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로 요청하고, 경로에 관련된 보안정보를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위치정보, 목적지정보에 도달하기까지의 경로 내 보안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에 대한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내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로 요청하고, 경로에 관련된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및 방범카메라 관리장치와 통신하여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비스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한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를 수집하고,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다수의 경로 중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기준으로 경로를 검색하고, 검색된 경로 내에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중 기 설정된 시간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를 방범카메라 관리장치로부터 획득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따라 보안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안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 상기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에 연관된 경로, 경로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방범 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정보와 방범 카메라에 대한 특이사항을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비스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서비스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다른 단말기에 대한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요청 받고, 다른 단말기에 대한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를 수집하고,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내에 설치되어 있는 방범카메라의 위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위치에 해당되는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중 기 설정된 시간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를 방범카메라 관리장치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생성된 보안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와, 단말기가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내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로 요청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경로에 관련된 보안정보를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수신된 보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현재 위치정보를 직접 획득하거나, 서비스장치로 위치정보 획득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공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지도 상의 경로에 방범카메라에 대한 정보와 상기 경로에 대한 안전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공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서비스장치로부터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특이사항이 포함된 정보가 수신되면, 특이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기 저장된 목적지와 현재 위치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내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로 요청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경로에 대응하는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수신된 보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한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다수의 경로 중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기준으로 경로를 검색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검색된 경로 내에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중 기 설정된 시간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를 방범카메라 관리장치로부터 획득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및 서비스장치가 분석된 결과에 따라 보안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안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검색하는 단계는 서비스장치가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검색하는 단계 및 서비스장치가 상기 검색된 경로 중 방범카메라의 설치 여부,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수,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경로, 가로등 수, 유동인구 수, 주변의 도로 크기, 목적지까지의 거리, 소요시간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조합하여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분석하는 단계는 서비스장치가 영상데이터에 대한 특이사항을 확인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특이사항이 확인되면, 서비스장치가 특이사항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다른 단말기에 대한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요청 받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다른 단말기에 대한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내에 설치되어 있는 방범카메라의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검색된 위치에 해당되는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중 기 설정된 시간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를 방범카메라 관리장치로부터 획득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및 서비스장치가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생성되는 보안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한 목적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서비스장치가 수신된 목적지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에 대한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내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로 요청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경로에 대응하는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수신된 보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상술한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밤늦은 귀가시의 안심 서비스로서,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진행 방향상의 앞에 위치한 방범카메라로부터 취득한 영상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미리 제공하여 사용자가 안심하고 귀가할 수 있다.
또한, 자녀 주변의 가까운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집에서 부모가 모니터링 함으로써, 위급하거나 긴급한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범죄 취약지구, 공원, 녹지, 학교 주변 및 통학로 등에 설치되어 있는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미리 확보하여 위험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신고 체계를 통해 범죄 등 긴급상황 발생시 신속한 초기 대응이 가능하여 피해 규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예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안심귀가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제1단말기(10), 제2단말기(20), 서비스장치(30), 방법카메라 관리장치(40), 통신망(50) 및 다수의 방범카메라(60)들로 구성된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제1단말기(10)은 집 또는 목적지로 이동 또는 귀가하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이며, 제2단말기(20)는 제1단말기(10)를 소지한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부모 또는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기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상기에 제시된 단말기는 구분된 용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단말기(10)와 제2단말기(20)의 그 구성 및 동작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제2단말기(20)가 제1단말기(1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망(50)은 제1단말기(10), 제2단말기(20), 서비스장치(30) 및 방범카메라 관리장치(4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망(5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통신망(50)은 상기에 제시된 통신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단말기(10)는 통신망(50)을 통해 서비스장치(30)와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제1단말기(10)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그리고, 제1단말기(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목적지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목적지정보는 집 또는 특정 장소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주 이용하는 장소를 즐겨찾기와 같은 형태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1단말기(10)는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 사이의 다수의 경로에 대한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30)로 요청한다. 즉, 제1단말기(10)는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사이에 이용 가능한 경로 중에서 안전한 경로를 선택하기 위해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30)로 요청한다.
제1단말기(10)는 다수의 경로와 관련된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30)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보안정보는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분석을 통해 특이사항이 발견되는 경우 전송되는 특이사항에 대한 정보와, 특이사항 없이 안전한 상태일 때 전송되는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장치(30)는 통신망(50)을 통해 제1단말기(10), 제2단말기(20), 방범카메라 관리장치(40)와 통신하여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서비스장치(30)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제1단말기(10)에 대한 현재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30)는 제1단말기(10)로부터 목적지정보를 수신하고,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다수의 경로를 검색한다. 여기서, 서비스장치(30)는 다수의 경로 중에서 방범카메라가 설치되어 있거나,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수가 많은 경로를 경로로 검색한다. 또한, 서비스장치(30)는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경로, 가로등의 수가 많은 경로, 유동인구가 많은 경로, 큰 도로 주변의 경로 등의 조건을 조합하여 경로를 검색한다.
서비스장치(30)는 검색된 경로 내에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중 소정의 범위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방범카메라 관리장치(40)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데이터에서 기 설정된 시간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를 분석한다. 이때, 서비스장치(30)는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영상 분석기법을 적용하고,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특이사항을 확인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30)는 분석된 결과에 따라 보안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안정보를 제1단말기(1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영상분석으로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이동체의 이미지를 추출 또는 이동체에 대한 동선을 분석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기존의 다양한 종류의 영상 처리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특이사항으로는 일정 시간 동안 동일한 이동체가 영상데이터에 포착되거나, 영상데이터 분석으로부터 확인되는 사고 등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30)는 제2단말기(20)로부터 제1단말기(10)에 대한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요청 받는다. 그리고, 서비스장치(30)는 제1단말기(10)에 대한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다수의 경로 내에 설치되어 있는 방범카메라의 위치를 검색한다.
서비스장치(30)는 검색된 위치에 해당되는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중 기 설정된 시간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를 방범카메라 관리장치(40)로부터 획득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30)는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한다. 이때, 서비스장치(30)는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영상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특이사항을 확인한다. 이후, 서비스장치(30)는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생성된 보안정보를 제2단말기(20)로 전송한다.
제2단말기(20)는 통신망(50)을 통해 서비스장치(30)와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제2단말기(20)는 제1단말기(10)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다수의 경로 내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30)로 요청한다. 그리고, 제2단말기(20)는 해당되는 경로에 대응하는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3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보안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방범카메라 관리장치(40)는 통신망(50)을 통해 서비스장치(30)와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방범카메라 관리장치(40)는 다수의 방범카메라(60)로부터 수집되는 영상데이터를 시간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시간에 따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한다. 그리고, 방범카메라 관리장치(40)는 서비스장치(30)의 요청에 따라 해당되는 경로 내에 위치한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영상데이터를 서비스장치(30)로 전송한다. 이때, 방법카메라 관리장치(40)는 특정 경로 내에 위치한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수집이 요청된 시간 이전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를 서비스장치(20)로 제공한다.
복수의 방범카메라(60)는 외부의 도로에 위치하며, 좌우상하로 카메라가 자유롭게 구동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모습을 촬영한다. 또한, 방범카메라(60)는 마이크를 포함하여 주변의 음성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설계 조건에 따라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법카메라(60)는 적외선 IR 방식, LED IR 방식, 일반 카메라 방식, IP 카메라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밤늦은 귀가시의 안심 서비스로서,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진행 방향상의 앞에 위치한 방범카메라로부터 취득한 영상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미리 제공하여 사용자가 안심하고 귀가할 수 있다. 또한, 자녀 주변의 가까운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집에서 부모가 모니터링 함으로써, 위급하거나 긴급한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 20)는 제1단말기(10)와 제2단말기(20)로 구분되지만, 그 구성과 동작을 동일하다. 즉, 제1단말기(10)가 사용자 단말기인 경우, 제2단말기(20)는 보호자 단말기가 될 수 있고, 제2단말기(20)가 사용자 단말기인 경우, 제1단말기(10)는 보호자 단말기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있어, 단말기(10)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기(10)는 제어부(11), 입력부(12), 표시부(13), 저장부(14), 오디오처리부(15), 위치정보 수집부(16) 및 통신부(17)로 구성된다. 이때, 제어부(11)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11a)와, 방범카메라 정보 관리부(11b)를 포함한다.
입력부(12)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기(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1)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2)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는 표시부(13)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2)는 안심귀가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터치 신호, 키패드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1)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2)는 목적지정보, 다른 단말기에 대한 안심귀가 서비스를 요청하는 조작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1)로 전달한다.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기능 수행 중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3)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 형태로 형성된 경우, 표시부(13)는 입력부(12)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3)는 안심귀가 서비스에 대한 실행 화면, 보안정보에 따라 제공되는 지도화면 및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분석을 통해 발생되는 특이 사항에 대한 정보 등을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3)는 지도 상의 경로에 방범카메라에 대한 정보와 상기 경로에 대한 안전도를 표시한다.
저장부(14)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단말기(1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4)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기(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안심귀가 서비스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분석 결과에 대한 보안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단말기(1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안심귀가 서비스의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특이사항에 대한 정보, 방범카메라에 대한 정보, 영상데이터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한다. 즉, 저장부(14)는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위치정보, 목적지에 도달하기까지의 경로 내 보안정보를 저장한다.
오디오처리부(15)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오디오처리부(15)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처리부(15)는 제어부(1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처리부(15)는 단말기(10)의 기능 실행, 안심귀가 서비스의 실행에 대한 모든 효과음, 설정음 또는 실행음을 출력한다.
위치정보 수집부(16)는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10)의 위도 및 경도 등의 현재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제어부(11)에 전송한다. 그런데, GPS위성으로부터의 수신 신호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위치정보 수집부(16)는 정확한 위치정보를 위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라운드 트립 지연(Round Trip Delay) 정보, 파일럿 위상(Pilot Phase)파일 정보 등을 GPS신호와 함께 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은 두 가지 역할을 한다. 하나는 통신센터와 단말기(10)의 데이터 전송을 중개하는 역할이고, 다른 하나는 단말기(10)의 위치, 즉,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위치정보 수집부(16)는 상술한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단말기(10)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3곳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정밀위치를 파악하는 삼각법 등을 이용하여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통신부(17)는 서비스장치(30)와 통신망(5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17)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17)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기(10)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비스장치(30)로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통신망(50)에 접속하여, 단말기(10) 및 서비스장치(3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망(30)에 접속하며, 통신망(50)을 통해 서비스장치(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7)는 서비스장치(30)와 통신하여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11)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11)는 현재 위치정보를 직접 획득하거나, 서비스장치(30)로 위치정보 획득을 요청한다. 또한, 제어부(11)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기 저장된 목적지정보와 현재 위치정보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내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로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목적지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목적지정보는 집 또는 특정 장소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주 이용하는 장소를 즐겨찾기와 같은 형태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다수의 경로에 대한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30)로 요청한다. 즉, 제어부(11)는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사이에 이용 가능한 경로 중에서 안전한 경로를 선택하기 위해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30)로 요청한다.
제어부(11)는 다수의 경로와 관련된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30)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보안정보는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분석을 통해 특이사항이 발견되는 경우 전송되는 특이사항에 대한 정보와, 특이사항 없이 안전한 상태일 때 전송되는 영상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는 다른 단말기에 대한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른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 사이의 다수의 경로 내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30)로 요청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해당되는 경로에 대응하는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3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보안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한다.
이와 같은 단말기(10)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부(11)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11a)와, 방범카메라 정보 관리부(11b)를 구비한다. 특히, 어플리케이션 제공부(11a)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장치(3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사용자 요청 시 제공한다. 또한, 방법카메라 정보 관리부(11b)는 기 설정된 경로 내의 방범카메라 정보 및 상기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30)로부터 수신하여 관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30)는 서비스제어부(31), 서비스저장부(32) 및 서비스통신부(33)로 구성된다. 여기서, 서비스제어부(31)는 방범카메라 정보 수집부(31a)를 포함한다.
서비스통신부(33)는 통신망(50)을 통해 제1단말기(10), 제2단말기(20) 및 방범카메라 관리장치(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서비스통신부(33)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및 방범카메라 관리장치(40)와 통신하여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서비스저장부(32)는 서비스장치(30)의 기능 실행에 따른 전반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서비스저장부(32)는 단말기(10)에 대한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에 연관된 경로, 경로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정보와 영상데이터에 연관된 특이사항을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서비스제어부(31)는 운영 체제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제어부(31)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제1단말기(10)에 대한 현재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서비스제어부(31)는 제1단말기(10)로부터 목적지정보를 수신하고,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다수의 경로를 검색한다. 이때, 서비스제어부(31)는 검색된 경로 중 방범카메라가 설치되어 있거나,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수가 많은 경로를 선택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한다. 즉, 서비스제어부(31)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 사이의 여러 경로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제1경로는 목적지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최단 시간으로 10분 소요되고, 경로 내 방법카메라의 수가 3대이며, 현재 방범카메라를 통해 해당 경로의 유동인구를 확인한 결과 유동인구 수가 10명 있는 경로라고 가정한다. 한편, 제2경로는 목적지까지 도달하기 위한 거리가 최소 거리로 1km이고, 경로 내 방범카메라의 수가 2대이며, 현재 방범카메라를 통해 해당 경로의 유동인구를 확인한 결과 유동인구 수가 10명 있는 경로하고 가정한다.
여기서, 서비스제어부(31)는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두 가지의 경로 중 최적의 경로로서, 치안 및 방범이 안전한 경로인 제1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서비스제어부(31)는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이동 가능한 다수의 경로 중 사용자의 안전을 우선순위로 하고, 치안 및 방범이 안전한 경로를 최적의 경로로 선택한다. 또한, 서비스제어부(31)는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경로, 가로등의 수가 많은 경로, 유동인구가 많은 경로, 큰 도로 주변의 경로 등의 조건을 조합하여 경로를 검색할 수 있다.
서비스제어부(31)는 검색된 경로 내에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중 기 설정된 시간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를 방범카메라 관리장치(40)로부터 획득하여 분석한다. 이때, 서비스제어부(31)는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영상 분석기법을 적용하고,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특이사항을 확인한다. 그리고, 서비스제어부(31)는 분석된 결과에 따라 보안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안정보를 제1단말기(10)로 전송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서비스장치(30)는 서버 기반 컴퓨팅 기반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안심귀가 서비스의 실행에 따른 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한편, 서비스장치(20)나 단말기(10, 20)에 탑재되는 메모리는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20)나 단말기(10, 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앞서 설명한 기능들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 Script나 ECMA 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 20)는 제1단말기(10)와 제2단말기(20)로 구분되지만, 그 구성과 동작을 동일하다. 즉, 제1단말기(10)가 사용자 단말기인 경우, 제2단말기(20)는 보호자 단말기가 될 수 있고, 제2단말기(20)가 사용자 단말기인 경우, 제1단말기(10)는 보호자 단말기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있어, 단말기(10)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기(10)는 S11 단계에서 안심귀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때,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현재 위치정보를 직접 획득하거나, 서비스장치(30)로 위치정보 획득을 요청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13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목적지정보를 입력한다.
단말기(10)는 S15 단계에서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 사이의 다수의 경로에 대한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30)로 요청한다. 보안정보 요청에 따라 서비스장치(30)는 S17 단계에서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다수의 경로를 검색한다. 여기서, 서비스장치(30)는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검색하고, 검색된 경로 중 방범카메라가 설치되어 있거나,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수가 많은 경로를 최적의 경로로 선택한다. 즉, 서비스장치(3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 사이의 여러 경로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제1경로는 목적지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최단 시간이고, 경로 내 방법카메라의 수가 3대 있으며, 현재 방범카메라를 통해 해당 경로의 유동인구를 확인한 결과 유동인구 수가 10명 있는 경로라고 가정한다. 한편, 제2경로는 목적지까지 도달하기 위한 거리가 최소 거리이고, 경로 내 방범카메라의 수가 2대 있으며, 현재 방범카메라를 통해 해당 경로의 유동인구를 확인한 결과 유동인구 수가 10명 있는 경로하고 가정한다.
여기서, 서비스장치(30)는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두 가지의 경로 중 최적의 경로로서, 치안 및 방범이 안전한 경로인 제1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서비스장치(30)는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이동 가능한 다수의 경로 중 사용자의 안전을 우선순위로 하고, 치안 및 방범이 안전한 경로를 최적의 경로로 선택한다. 또한, 서비스장치(30)는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경로, 가로등의 수가 많은 경로, 유동인구가 많은 경로, 큰 도로 주변의 경로 등의 조건을 조합하여 경로를 검색할 수 있다.
서비스장치(30)는 S19 단계에서 검색된 경로 내에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중 기 설정된 시간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를 방범카메라 관리장치(40)로부터 요청한다. 이후, 방범카메라 관리장치(40)는 S21 단계에서 해당되는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서비스장치(30)로 전송한다(S23).
방범카메라 관리장치(40)로부터 해당 경로에 연관된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서비스장치(30)는 S25 단계에서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30)는 S27 단계에서 분석 결과에 따라 보안정보를 생성한다. 즉, 서비스장치(30)는 분석된 영상데이터에 대한 특이사항을 확인하고, 특이사항이 감지되는 경우, 확인된 특이사항 대한 정보를 보안정보로 생성한다. 또한, 서비스장치(30)는 수신된 영상데이터에 대한 특이사항이 없는 경우, 해당되는 영상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보안정보로 생성한다.
서비스장치(30)는 S29 단계에서 생성된 보안정보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기(10)는 S31 단계에서 서비스장치(30)로부터 수신된 보안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단말기(10)는 지도 상의 경로에 방범카메라에 대한 정보와 상기 경로에 대한 안전도를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단말기(10)는 S41 단계에서 안심귀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때, 제1단말기(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현재 위치정보를 직접 획득하거나, 서비스장치(30)로 위치정보 획득을 요청한다. 그리고, 제1단말기(10)는 S43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목적지정보를 입력한다.
제1단말기(10)는 S45 단계에서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다수의 경로에 대한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30)로 요청한다. 그리고 나서, 제1단말기(10)는 S47 단계에서 서비스장치(30)로부터 수신된 보안정보가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정보인지 확인한다. 영상데이터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1단말기(10)는 S49 단계에서 영상데이터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제1단말기(10)는 지도 상의 경로에 방범카메라에 대한 정보와 상기 경로에 대한 안전도를 제공한다.
한편, 영상데이터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1단말기(10)는 S51 단계에서 수신된 보안정보에 특이사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특이사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제1단말기(10)는 S53 단계에서 특이사항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30)는 S61 단계에서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보안정보 요청에 따라 해당되는 제1단말기(10)의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30)는 S63 단계에서 제1단말기(10)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다수의 경로를 검색하고, 특정 경로를 선택한다. 여기서, 서비스장치(30)는 제1단말기(10)의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검색하고, 검색된 경로 중 방범카메라가 설치되어 있거나,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수가 많은 경로를 최적의 경로로 선택한다.
서비스장치(30)는 S65 단계에서 검색된 경로 내에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중 기 설정된 시간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를 방범카메라 관리장치(40)로부터 요청한다. 이후, 서비스장치(30)는 S67 단계에서 방범카메라 관리장치(40)로부터 검색된 해당되는 경로에 대응하는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한다.
서비스장치(30)는 S69 단계에서 수신된 영상데이터에 대한 특이사항을 확인한다. 특이사항이 감지되는 경우, 서비스장치(30)는 S71 단계에서 확인된 특이사항 대한 정보를 보안정보로 생성하여 단말기(10)로 전송한다.
한편, 분석된 영상데이터에 대한 특이사항이 없는 경우, 서비스장치(30)는 S73 단계에서 해당되는 영상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보안정보로 생성하여 제1단말기(10)로 전송한다.
도 7 내지 도 8에의 실시 예를 통해 실행되는 안심 귀가 서비스는 제1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귀가 또는 복귀를 안전하게 제공하기 위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제1단말기(10)의 부모, 가족 또는 관리자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단말기(20)는 S81 단계에서 제1단말기(10)에 적용될 안심귀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때, 제2단말기(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1단말기(10)의 현재 위치정보를 서비스장치(30)로 요청한다. 그리고, 제2단말기(20)는 S83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제1단말기(10)의 목적지정보를 입력한다.
제2단말기(20)는 S85 단계에서 제1단말기(10)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다수의 경로에 대한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30)로 요청한다. 이후, 서비스장치(30)는 S87 단계에서 제1단말기(10)로 현재 위치정보를 요청한다. 그리고, 제1단말기(10)는 S89 단계에서 현재 위치정보를 서비스장치(30)로 제공한다.
보안정보 요청에 따라 서비스장치(30)는 S91 단계에서 제1단말기(10)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다수의 경로를 검색한다. 여기서, 서비스장치(30)는 제1단말기(10)의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검색하고, 검색된 경로 중 방범카메라가 설치되어 있거나,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수가 많은 경로를 최적의 경로로 선택한다.
서비스장치(30)는 S93 단계에서 검색된 경로 내에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중 기 설정된 시간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를 방범카메라 관리장치(40)로부터 요청한다. 이후, 방범카메라 관리장치(40)는 S95 단계에서 해당되는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서비스장치(30)로 전송한다(S97).
방범카메라 관리장치(40)로부터 해당 경로에 연관된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서비스장치(30)는 S99 단계에서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30)는 S101 단계에서 분석 결과에 따라 보안정보를 생성한다. 즉, 서비스장치(30)는 분석된 영상데이터에 대한 특이사항을 확인하고, 특이사항이 감지되는 경우, 확인된 특이사항 대한 정보를 보안정보로 생성한다. 또한, 서비스장치(30)는 수신된 영상데이터에 대한 특이사항이 없는 경우, 해당되는 영상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보안정보로 생성한다.
서비스장치(30)는 S103 단계에서 생성된 보안정보를 제2단말기(20)로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제2단말기(20)는 S105 단계에서 서비스장치(30)로부터 수신된 보안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제2단말기(20)는 지도 상의 경로에 방범카메라에 대한 정보와 상기 경로에 대한 안전도를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단말기(20)는 S111 단계에서 제1단말기(10)에 대한 안심귀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때, 제2단말기(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1단말기(10)의 현재 위치정보를 서비스장치(30)로 요청한다. 그리고, 제2단말기(20)는 S113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제1단말기(10)의 목적지정보를 입력한다.
제2단말기(20)는 S115 단계에서 제1단말기(10)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다수의 경로에 대한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30)로 요청한다. 그리고, 제2단말기(20)는 S117 단계에서 서비스장치(30)로부터 보안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확인결과, 보안정보가 수신되면, 제2단말기(20)는 S119 단계에서 서비스장치(30)로부터 수신된 보안정보가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정보인지 확인한다. 영상데이터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2단말기(20)는 S121 단계에서 영상데이터 정보를 출력한다. 한편, 영상데이터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2단말기(20)는 S123 단계에서 수신된 보안정보에 특이사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특이사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특이사항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한편, 보안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2단말기(20)는 서비스장치(30)로 보안정보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30)는 S131 단계에서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보안정보 요청에 따라 해당되는 제1단말기(10)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서비스장치(30)는 S133 제1단말기(10)의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30)는 S135 단계에서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다수의 경로를 검색하고, 특정 경로를 선택한다. 여기서, 서비스장치(30)는 제1단말기(10)의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검색하고, 검색된 경로 중 방범카메라가 설치되어 있거나,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수가 많은 경로를 최적의 경로로 선택한다.
서비스장치(30)는 S137 단계에서 검색된 경로 내에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중 기 설정된 시간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를 방범카메라 관리장치(40)로부터 요청한다. 이후, 서비스장치(30)는 S139 단계에서 방범카메라 관리장치(40)로부터 검색된 해당되는 경로에 대응하는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한다.
서비스장치(30)는 S141 단계에서 수신된 영상데이터에 대한 특이사항을 확인한다. 특이사항이 감지되는 경우, 서비스장치(30)는 S143 단계에서 확인된 특이사항 대한 정보를 보안정보로 생성하여 제2단말기(20)로 전송한다.
한편, 분석된 영상데이터에 대한 특이사항이 없는 경우, 서비스장치(30)는 S145 단계에서 해당되는 영상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보안정보로 생성하여 제2단말기(20)로 전송한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단말기(10)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 사이의 다수의 경로 중 안전한 경로에 대한 보안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단말기(10)는 지도 상의 경로에 방범카메라에 대한 정보와 상기 경로에 대한 안전도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단말기(10)는 안심귀가 서비스를 통해 현재 위치정보(100), 목적지정보(200) 및 다수의 방범카메라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안전성이 검토된 경로를 이용한 경우 소요되는 시간, CCTV 수, 해당 경로의 이상 여부 등을 제공한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제1단말기(10)는 서비스장치(30)로부터 수신된 보안정보에 특이사항이 포함된 경우, 해당되는 특이사항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1단말기(10)는 현재 위치정보에서 목적지정보 사이의 경로 내에 특이 사항이 발생하면, 특이사항 발생시간, 우회 경로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주변에 위치한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안전하게 귀가할 수 있는 보안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밤늦은 귀가시의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진행 방향상의 앞에 위치한 방범카메라로부터 취득한 영상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미리 제공하여 사용자가 안심하고 귀가할 수 있고, 자녀 주변의 가까운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집에서 부모가 모니터링 함으로써, 위급하거나 긴급한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제1단말기 20: 제2단말기 30: 서비스장치
40: 방범카메라 관리장치 50: 통신망 11: 제어부
12: 입력부 13: 표시부 14: 저장부
15: 오디오처리부 16: 위치정보수집부 17: 통신부
11a: 어플리케이션 제공부
11b: 방범카메라 관리부
31: 서비스제어부 32: 서비스저장부 33: 서비스통신부
31a: 방범카메라 수집부
100: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Claims (19)

  1.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정보를 입력받고,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내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로 요청하고, 상기 경로에 관련된 보안정보를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는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한 현재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목적지정보를 수신하고,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다수의 경로 중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기준으로 경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경로 내에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중 기 설정된 시간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를 방범카메라 관리장치로부터 획득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라 보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안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서비스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장치는,
    상기 검색된 경로 중 방범카메라의 설치 여부,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수,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경로, 가로등 수, 유동인구 수, 주변의 도로 크기,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조합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할 최종 경로를 선택하며,
    상기 단말기는,
    지도 상의 경로에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데이터, 상기 영상데이터를 획득한 방범카메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경로에 대한 안전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서비스장치와 통신하여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정보를 입력받고,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내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로 요청하고, 상기 경로에 관련된 보안정보를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중 방범카메라의 설치 여부,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수,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경로, 가로등 수, 유동인구 수, 주변의 도로 크기,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조합하여 선택된 최종 경로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지도 상의 경로에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데이터, 상기 영상데이터를 획득한 방범카메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경로에 대한 안전도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위치정보, 목적지에 도달하기까지의 경로 내 보안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에 대한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내 보안정보를 상기 서비스장치로 요청하고, 상기 경로에 관련된 보안정보를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및 방범카메라 관리장치와 통신하여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비스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한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를 수집하고,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다수의 경로 중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기준으로 경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경로 내에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중 기 설정된 시간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를 방범카메라 관리장치로부터 획득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라 보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안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다수의 경로 중 방범카메라의 설치 여부,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수,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경로, 가로등 수, 유동인구 수, 주변의 도로 크기,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조합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할 최종 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 사이에 연관된 경로, 상기 경로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방범카메라에 대한 영상데이터 정보와 상기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특이사항을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비스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다른 단말기에 대한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요청 받고, 상기 다른 단말기에 대한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를 수집하고,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내에 설치되어 있는 방범카메라의 위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위치에 해당되는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중 기 설정된 시간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를 방범카메라 관리장치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생성된 보안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8.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내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경로에 관련된 보안정보를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보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중 방범카메라의 설치 여부,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수,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경로, 가로등 수, 유동인구 수, 주변의 도로 크기,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조합하여 선택된 최종 경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지도 상의 경로에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데이터, 상기 영상데이터를 획득한 방범카메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경로에 대한 안전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현재 위치정보를 직접 획득하거나, 상기 서비스장치로 위치정보 획득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10. 삭제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상기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특이사항이 포함된 정보가 수신되면, 특이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기 저장된 목적지와 현재 위치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내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경로에 대응하는 보안정보를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보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13. 서비스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한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다수의 경로 중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기준으로 경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검색된 경로 내에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중 기 설정된 시간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를 방범카메라 관리장치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라 보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안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경로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검색하는 과정; 및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검색된 경로 중 방범카메라의 설치 여부,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수,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경로, 가로등 수, 유동인구 수, 주변의 도로 크기,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조합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할 최종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14. 삭제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특이사항을 확인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특이사항이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특이사항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다른 단말기에 대한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다른 단말기에 대한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내에 설치되어 있는 방범카메라의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검색된 위치에 해당되는 방범카메라의 영상데이터 중 기 설정된 시간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를 방범카메라 관리장치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생성되는 보안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한 목적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수신된 목적지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18.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에 대한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내 보안정보를 서비스장치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경로에 대응하는 보안정보를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보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 중 방범카메라의 설치 여부, 설치된 방범카메라의 수,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경로, 가로등 수, 유동인구 수, 주변의 도로 크기,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조합하여 선택된 최종 경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지도 상의 경로에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데이터, 상기 영상데이터를 획득한 방범카메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경로에 대한 안전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 내지 제9항, 제11항 내지 제13항 및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72480A 2012-07-03 2012-07-03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KR101838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480A KR101838147B1 (ko) 2012-07-03 2012-07-03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480A KR101838147B1 (ko) 2012-07-03 2012-07-03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423A KR20140005423A (ko) 2014-01-15
KR101838147B1 true KR101838147B1 (ko) 2018-03-14

Family

ID=50140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480A KR101838147B1 (ko) 2012-07-03 2012-07-03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1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120B1 (ko) * 2014-08-21 2015-03-31 안양시 스마트폰과 안전 지도를 이용한 방범 cctv 통합 관제 시스템
CN105380273A (zh) * 2015-10-15 2016-03-09 吴辰 一种黑枸杞杜仲口服液及其制备方法
KR102500838B1 (ko) 2016-01-11 2023-02-1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영역 기반 경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07279B1 (ko) * 2017-08-31 2020-05-06 김다혜 위험지역을 우회하는 안심경로 제공 방법 및 제공 시스템
WO2019045192A1 (ko) * 2017-08-31 2019-03-07 김다혜 안심귀가를 위한 관제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1856488B1 (ko) * 2017-09-06 2018-05-10 윤재민 3차원 맵핑을 이용하는 객체 추적 방법,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333955B1 (ko) * 2021-02-10 2021-12-02 정동윤 사회적 약자를 위한 안전 지역 안내 및 경로 안내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CN114449228B (zh) * 2022-04-07 2022-08-16 深圳市亚联讯网络科技有限公司 小区访客的安全监控方法、监控服务器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275B1 (ko) * 2008-11-27 2009-06-10 한국비전기술(주) 지능형 보안방범을 위한 폐쇄회로티브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0639B1 (ko) * 2011-06-22 2012-06-12 팅크웨어(주) 세이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275B1 (ko) * 2008-11-27 2009-06-10 한국비전기술(주) 지능형 보안방범을 위한 폐쇄회로티브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0639B1 (ko) * 2011-06-22 2012-06-12 팅크웨어(주) 세이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423A (ko)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147B1 (ko)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CA3135274C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data integration
US11915579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and displaying communications
US95479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utonomous vehicles based on user context
US118640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nd supporting digital requests for emergency service
US91070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mergency phone in a vehicle key
US115706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activating emergency response assets
US10839296B2 (en) Automatic prediction of an event using data
US96109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using an adjustment in parking position for vehicles
US10943463B1 (en) Technologies for assistance and security services
US9360333B2 (en) Method and apparatus calculating estimated time of arrival from multiple devices and services
US9843911B2 (en) Remotely activated monitoring service
EP27901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parked vehicles to determine a suitable parking situation
US20220014895A1 (en) Spatiotemporal analysis for emergency response
US95748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haring of navigation route and guidance information among devices
US11519743B2 (en) Stalled self-driving vehicle rescue system
US97063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ssociation between a location and a user
US10311709B2 (e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Devigayathri et al. Mobile ambulance management application for critical needs
KR101978298B1 (ko) 데이터 트래픽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US20190287373A1 (en) Anonymous notification and intervention of users requiring assistance
KR20140121076A (ko) 상황 인식 기반의 정보 공유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