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059B1 - 전도성 쿠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도성 쿠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059B1
KR101838059B1 KR1020160052889A KR20160052889A KR101838059B1 KR 101838059 B1 KR101838059 B1 KR 101838059B1 KR 1020160052889 A KR1020160052889 A KR 1020160052889A KR 20160052889 A KR20160052889 A KR 20160052889A KR 101838059 B1 KR101838059 B1 KR 101838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oller
sheet
impact absorbing
p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3462A (ko
Inventor
박광호
Original Assignee
(주)미라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라클 filed Critical (주)미라클
Priority to KR1020160052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059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32B2038/047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6Damping, energ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컴퓨터, 가전제품 등 각종 전자기기류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도전성질을 포함하는 전도성 쿠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론 또는 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시트층과, 상기 시트층에 구비되는 충격흡수층을 구비하고, 타공부를 형성하며, 표면을 도금층으로 도금함에 따라 상, 하면에 전기가 서로 전도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충격흡수층에 의하여 충격흡수 기능을 겸비한 전도성 쿠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도성 쿠션 및 이의 제조방법{CONDUCTIVITY CUSHION AND MANUFACTURE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 컴퓨터, 가전제품 등 각종 전자기기류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도전성질을 포함하는 전도성 쿠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론 또는 PE폼으로 이루어진 시트층과, 상기 시트층에 구비되는 충격흡수층을 구비하고, 타공부를 형성하며, 표면을 도금층으로 도금함에 따라 상, 하면에 전기가 서로 전도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충격흡수층에 의하여 충격흡수 기능을 겸비한 전도성 쿠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기기의 회로 상에서 발생하는 유해 전자파는 전자기파는, 경우에 따라서는 주변의 전자기기 또는 부품의 기능을 혼란시키고, 성능을 저하시키며, 잡음과 영상을 훼손시키고,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불량제품 생성의 원인이 된다. 또한, 전자기기가 고성능화, 소형화되면서 많은 회로가 좁은 공간에 집적화되어 전자기기의 이음매나 개폐용 문틈에서 전자파가 누설되어 전자기기와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결국, 누설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하여 도전성이 부여된 가스켓(gasket)을 사용하게 되고, 상기 도전성 가스켓은 충격으로부터 전자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충격흡수기능과 틈새에 완전히 밀착되는 밀폐기능, 그리고 전자기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시키는 전자파 차폐기능이 요구된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36060호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용 쿠션재』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쿠션시트에 칼집 절개부가 형성되고, 칼집 절개부에 도전성 소재가 함침되고, 함침된 도전성 소재가 경화되므로서 쿠션시트의 칼집 절개부가 접합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쿠션시트의 상하면이 상기 도전성 소재에 의해 코팅되어 탄성 회복력을 갖는 쿠션시트의 상하면이 통전되는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용 쿠션재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도전성 소재를 함침함으로서 도전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내부에 도전성 소재가 함침됨에 따라 충격흡수 기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226773호 『충격흡수 및 전자파 차폐 특성이 우수한 도전성 박막쿠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부직포, 직조섬유 또는 메쉬층의 일면에 우레탄폼을 발포시켜 일체화시킨 우레탄 메모리폼 발포층을 적층시키는 단계,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부직포, 직조섬유 또는 메쉬층의 일면에 우레탄폼을 발포시켜 일체화시킨 우레탄 메모리폼 발포층을 적층시킨 후 타공시켜 도전성 선로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일체화시킨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부직포, 직조섬유 또는 메쉬층 및 발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전해 또는 무전해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해 또는 무전해 도금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지문방지 및 내식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박막쿠션시트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메쉬층과 우레탄 메모리폼 발포층을 접착함에 있어,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각 층간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층이 분리되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992458호 『도전성 쿠션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두께방향 및 평면방향으로 통기성을 갖는 발포폼의 내부와 표면에 전도성이 우수한 니켈, 동, 금, 은, 주석, 코발트 등의 금속을 무전해 도금하여 전도성을 부여함으로써, 상하부를 관통하는 천공 또는 절개공정 없이도 상하 통전이 가능한 도전성 쿠션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통기성을 갖는 발포폼을 사용함에 따라 잦은 사용으로 충격흡수의 능력이 저하될 우려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수명이 단축되고, 이를 사용한 제품의 내구성 및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394151호 『무선이동통신단말기용 도전성 액정화면쿠션 및 그 제조방법』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액정화면과 이를 지지하는 외부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액정화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해주면서 내부에서 발생되는 정전기 및 유해 전자파를 흡수ㅇ차폐해주는 무선이동통신단말기의 도전성 액정화면 쿠션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액정화면 쿠션은 신축성있는 섬유에 도전성 소재가 함침되어 완충성과 수평저항 1.0Ω/㎟ 이하, 수직저항 1.0Ω/㎜ 이하의 도전성을 동시에 갖춘 기능성 원단을 도전성 점착제를 통해 1㎜ 이하가 되게 1∼4층으로 적층/합지하고, 그 상부면, 외부 단면, 내경 단면이 열융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액정화면쿠션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신축섬유에 도전성 금속을 함침시켜 전도성을 부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도전성 금속의 함침방식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전 성능이 뛰어나지 못하고, 쿠션의 충격흡수 능력 또한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전도성 쿠션 및 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시트층과, 상기 시트층 일면에 구비되는 충격흡수층, 상기 시트층과 충격흡수층 사이에 구비되어 시트층과 충격흡수층의 접합력을 향상시키는 발수코팅층을 구비하되, 상기 시트층, 충격흡수층, 발수코팅층을 모두 관통하는 타공부와, 이들을 모두 감싸는 도금층을 형성하여 전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전도성 쿠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금층은 타공부의 내면을 포함하여 형성됨에 따라 상하면에 전기가 전도될 수 있는 전도성 쿠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전도정 점착층을 더 구비함에 따라 필요한 부분에 부착되어 사용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는 전도성 쿠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쿠션은
시트층;
상기 시트층 일측에 구비되는 충격흡수층;
상기 시트층과 충격흡수층 사이에 구비되는 발수코팅층;
상기 시트층과 충격흡수층 및 발수코팅층을 모두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타공부;
상기 시트층, 충격흡수층, 발수코팅층을 모두 감싸도록 도금되는 도금층;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도금층은
상기 타공부 내면을 포함하여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쿠션의 제조방법은
시트층 일면을 코팅처리하여 발수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단계;
시트층 타면에 필름지를 합지하는 합지단계;
상기 발수코팅층 일면에 발포폼을 발포하여 충격흡수층을 형성하는 흡수층 형성단계;
상기 발수코팅층, 필름지, 충격흡수층 모두를 타공하여 복수개의 타공부를 형성하는 타공단계;
상기 합지단계에서 합지된 필름지를 제거하는 제거단계;
상기 발수코팅층, 필름지, 충격흡수층 및 이에 형성된 타공부를 도금하여 도금층을 형성하는 도금단계;
상기 도금처리 된 시트층 타면에 점착층을 부착하는 부착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쿠션 및 이의 제조방법은
시트층에 충격흡수층을 구성하여 이동통신, 컴퓨터, 가전제품등 각종 전자기기류의 충격흡수를 요하는 곳에서 사용하여, LCD, MOTOR, RINGER, CASE, MICROPHONE 주변기기 등에 충격흡수, 차광효과, 외부압력보호, 진동방지, 방진효과, 기밀성, 간격 보정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시트층과 충격흡수층 사이에 발수코팅층을 구성함에 따라 시트층과 충격흡수층 간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상기 시트층, 충격흡수층, 발수코팅층을 감싸도록 니켈, 구리, 은, 금 등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도금층을 구성함으로서, 도전성 성질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파 차폐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타공부를 통하여 타공부 내부에 도금층이 형성됨에 따라 상, 하면에 전기가 전도됨으로서, 전도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도금층 아래에 충격흡수층이 구성됨에 따라 충격흡수 기능이 부여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쿠션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쿠션의 제조방법의 방법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타공유닛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쿠션(C)(C)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층(10), 충격흡수층(20), 발수코팅층(30), 도금층(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시트층(10)은 전도성 성질이 있는 층으로서,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터, 아크릴 나일론, 실크원사에 복합 염기성 용액을 촉매로 이용하여 표면처리 후, 니켈, 구리, 은, 금 등의 금속을 자기촉매반응으로 무전해 도금한 도전성 섬유를 말하며, 이는 전자파 차폐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이 시트의 두께는 10~30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쿠션(C)의 사용면적, 요구저항치, 요구되는 쿠션(C)의 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다시 상기 시트층(10) 일측에는 충격흡수층(20)이 구비되게 되는데, 먼저, 상기 충격흡수층(20)은 포론 또는 PE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특히 포론은 고밀도 폴리우레탄 발포폼으로서, 각종 전자기기류에 사용되어 충격흡수, 차광효과, 외부압력보호, 진동방지, 방진효과, 기밀성, 간격보정 등을 할 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충격흡수층(20)이 상기 시트층(10) 일면에 결합되는 경우,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각 층 사이에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시트층(10)과 충격흡수층(20) 사이에 발수코팅층(30)을 더 구비하여 시트층(10)과 충격흡수층(2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시트층(10)과 충격흡수층(20)을 겹친 뒤, 그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발수코팅처리를 선행하여 발수코팅층(30)을 사이에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서로 결합된 시트층(10), 발수코팅층(30), 충격흡수층(20)에는 타공부(40)가 형성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타공부(40)는 제1 롤러(H10)와 제2 롤러(H20)로 이루어지는 타공유닛(H)을 관통함에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타공유닛(H)은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타공부(40)의 직경은 0.1~1.0mm 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공부(40)의 수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쿠션(C)에는 타공부(40)가 형성된 시트층(10), 충격흡수층(20), 발수코팅층(30)을 모두 감싸도록 도금층(5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금층(50)은 구리, 니켈, 은, 금 등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도금되는 것으로서, 도금두께는 1~3㎛로 이루어지도록 도금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도금층(50)은 상기 타공부(40) 내면에도 도금이 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쿠션(C)의 상부와 하부에 전기가 전도되어 전자파 차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이렇게 도금층(50)이 형성된 본 전도성 쿠션(C)에서 상기 시트층(10)의 타면에는 전도성 점착층(60)을 더 형성함으로서, 사용자가 필요한 부분에 맞게 가공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쿠션(C)의 제조방법(M)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제조과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전도성 성질을 갖는 시트층(10)의 일면을 코팅처리하여 발수코팅층(30)을 형성하는 코팅단계(100)를 거친다. 이는 후술하는 충격흡수층(20)을 상기 시트층(10)에 결합함에 있어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이렇게 코팅단계(100)를 거친 시트층(10)의 타면에는 작업용 필름지(210)를 합지하는 합지단계(200)를 거쳐, 전처리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작업용 필름지(210)가 합지된 시트층(10)에 있어서, 상기 시트층(10)의 일면, 즉, 상기 발수코팅층(30)의 일면에는 충격흡수층(20)을 형성하는 흡수층 형성단계(300)를 거치게 된다.
이 대 충격흡수층(20)은 포롬 이나 PE폼으로 이루어지는 발포폼을 발포하여 상기 시트층(10)에 합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충격흡수층(20)이 합지된 시트층(10)에 타공유닛(H)을 통하여 상기 발수코팅층(30), 필름지(210), 충격흡수층(20)을 모두에 타공부(40)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사용되는 타공유닛(H)은 도 4에 도시된 것으로서,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이 타공부(40)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쿠션(C)의 용도, 환경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이렇게 타공을 형성하는 타공단계(400)를 거친 후, 앞서 합지단계(200)에서 합지된 필름지(210)를 제거하는 제거단계(500)를 거치고, 필름지(210)가 제거 된 후에는 상기 발수코팅층(30), 필름지(210), 충격흡수층(20) 및 이들에 형성된 타공부(40)를 도금하여 도금층(50)을 형성하는 도금단계(600)를 진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도금단계(600)에서 형성된 도금층(50)은 구리, 니켈, 은, 금 등 어느 하나 이상으로 도금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타공부(40)가 형성됨에 따라 타공부(40)의 내면에도 도금층(50)이 구비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쿠션(C)의 상부와 하부를 전기적으로 전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최상부에 위치하는 충격흡수층(20)이 도금층(50) 하부에 위치함에 따라 전도성 성질 뿐만 아니라 충격흡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나아가, 이렇게 도금단계(600)를 거친 후에는 도금처리된 시트층(10) 타면에 사용자가 손쉽게 부착하기 위한 점착층(60)을 부착하는 부착단계(700)를 진행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쿠션(C)을 제조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점착층(60)은 점착성 성질을 갖음과 동시에 전기를 전도시킬 수 있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도금층(50)과 연결되어 상호간에 전기가 전도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4는 앞서 언급한 타공유닛(H)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타공단계(400)에 구비되는 타공유닛(H)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타공유닛(H)은 제1 롤러(H10)와 제2 롤러(H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롤러(H10)와 제2 롤러(H20)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쿠션(C)이 통과함에 따라 상기 제1 롤러(H10) 외면에 구비되는 타공유닛(H)에 의해 쿠션(C)에 타공부(40)가 형성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 롤러(H20)에는 상기 타공유닛(H)의 타공부재(H12)가 내삽될 수 있는 타공홈(H21)이 형성됨에 따라 제1 롤러(H10)와 제2 롤러(H20)의 회전에 의해 타공부재(H12)와 타공홈(H21)이 서로 맞물려 쿠션(C)에 타공을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쿠션(C)은 사용되는 목적 및 환경에 따라 그 두께가 상이할 수 있으며, 두께에 따라 타공유닛(H)을 교체하여 타공부(40)를 형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타공유닛(H)에는 상기 제1 롤러(H10)로부터 돌출되는 타공부재(H12)의 돌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H30)을 더 구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타공유닛(H)의 제1 롤러(H10)는 본체(H11)와, 상기 본체(H11)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H11) 외면으로 돌출되는 타공부재(H12)와, 상기 본체(H11)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타공부재(H12)의 돌출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H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본체(H11)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공(H111)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H111)에 타공부재(H12)가 위치하여, 상기 본체(H11) 외면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타공부재(H12)의 외측단부, 즉 상기 본체(H11)의 외부로 돌출되는 단부에는 타공을 위한 커팅부(H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타공부재(H12)의 내측단부에는 조절수단(H30)에 접하는 사선부(H1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수단(H30)은 상기 본체(H11)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H11)의 길이방향으로 중심을 관통하는 샤프트축(H311)과, 상기 샤프트축(H311)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타공부재(H12)의 내측단부에 밀착되는 조절경사부(H313)로 이루어지는 조절부재(H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절부재(H31)에 구비되는 조절경사부(H313)는 상기 타공부재(H12)의 사선부(H122)와 대응될 수 있도록 경사를 갖도록 구성되며, 복수개로 배열되는 타공부재(H12)에 각각 밀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조절경사부(H313)와 직선으로 이루어진 지지부(H315)가 복수번 반복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타공부재(H12)의 사선부(H122)는 상기 조절경사부(H313)에 밀착되고, 상기 타공부재(H12)의 측면이 상기 지지부(H315)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조절부재(H31)가 좌우 횡방향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타공부재(H12)의 사선부(H122)가 상기 조절경사부(H313)를 따라 이동함으로서, 본체(H11) 외면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변하게 되며, 각각의 타공부재(H12)에 조절경사부(H313)와 지지부(H315)가 각각 밀착됨에 따라 복수개의 타공부재(H12)가 동일한 길이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타공부재(H12)의 사선부(H122)가 상기 조절경사부(H313)에 밀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사선부(H122)에는 마그넷(H12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부재(H31), 특히 조절경사부(H313)는 철 등의 자력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자성에 의해 사선부(H122)가 조절경사부(H313)에 밀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조절경사부(H313)에도, 상기 마그넷(H123)과 자력을 형성할 수 있는 또 다른 자석을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또한 상기 마그넷(H123) 뿐만 아니라, 상기 타공부재(H12)에도, 일측에 지지돌기(H125)와, 상기 지지돌기(H125)와 본체(H11)의 내면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체(H126)를 더 구성함에 따라 상기 탄성체(H126)의 탄성력에 의하여 타공부재(H12)가 내측으로 들어가려는 힘을 받아 사선부(H122)를 조절경사부(H313)에 완벽하게 밀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상기 조절부재(H31)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타공부재(H12)의 돌출정도를 바꿀 수 있어, 쿠션(C)의 두께에 따라 사용자가 조절하여 타공부(40)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조절수단(H30)에는 상기 조절부재(H31)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스위치(H33)가 더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절스위치(H33)는 상기 본체(H11)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조절스위치(H33)의 테두리에는 걸림홈(H33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H331)이 상기 본체(H11)에 결합되어 조절스위치(H33)가 본체(H11)로부터 공회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절스위치(H33) 내측에는 결합공(H33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H333)에 상기 조절부재(H31)의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 때 상기 결합공(H333)에는 나사산(H333A)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재(H31)가 결합공(H333)에 나사결합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조절스위치(H33)를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공(H333)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조절부재(H31)가 나사산(H333A)을 따라 좌우 이동을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타공부재(H12)의 돌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H31)의 일측에는 상기 조절부재(H31)가 결합공(H333)을 통하여 완전 이탈되지 않도록 막음과 동시에, 가장 좌측(도4를 기준으로)의 타공부재(H12)의 사선부(H122)가 조절경사부(H3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플랜지(H317)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전도성 쿠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 전도성 쿠션 M : 전도성 쿠션의 제조방법
10 : 시트층 20 : 충격흡수층
30 : 발수코팅층 40 : 타공부
50 : 도금층 60 : 점착층
100 : 코팅단계 200 : 합지단계
210 : 필름지 300 : 흡수층 형성단계
400 : 타공단계 500 : 제거단계
600 : 도금단계 700 : 부착단계
H : 타공유닛 H10 : 제1 롤러
H11 : 본체 H111 : 관통공
H12 : 타공부재 H121 : 커팅부
H122 : 사선부 H123 : 마그넷
H125 : 지지돌기 H126 : 탄성체
H20 : 제2 롤러 H21 : 타공홈
H30 : 조절수단 H31 : 조절부재
H311 : 샤프트축 H313 : 조절경사부
H315 : 지지부 H317 : 이탈방지플랜지
H33 : 조절스위치 H331 : 걸림홈
H333 : 결합공 H333A : 나사산

Claims (4)

  1. 시트층(10);
    상기 시트층(10) 일면에 구비되는 충격흡수층(20);
    상기 시트층(10)과 충격흡수층(20) 사이에 구비되는 발수코팅층(30);
    상기 시트층(10)과 충격흡수층(20) 및 발수코팅층(30)을 모두 관통하도록 타공유닛(H)을 통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타공부(40);
    상기 시트층(10), 충격흡수층(20), 발수코팅층(30)을 모두 감싸도록 도금되는 도금층(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도금층(50)은
    상기 타공부(40) 내면을 포함하여 도금되며,
    상기 타공유닛(H)은 제1 롤러(H10)와 상기 제1 롤러(H10)와 맞물리는 제2 롤러(H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롤러(H10)는
    본체(H11)와, 상기 본체(H11)에 구비되어 인입되는 쿠션에 타공을 형성하는 타공부재(H12)와,
    상기 본체(H11)에 구비되어 상기 타공부재(H12)와 밀착되는 조절경사부(H313)가 구비되는 조절부재(H31)와, 상기 조절부재(H31)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부재(H31)를 슬라이딩운동 시키는 조절스위치(H33)를 포함하는 조절수단(H30)이 더 구비되어,
    상기 조절스위치(H33)를 회전시키면, 상기 타공부재(H12)가 조절경사부(H313)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본체 외면에 돌출되는 타공부재(H12)의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타공부재(H12)의 단부에는 상기 조절경사부(H313)에 붙는 마그넷(H12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쿠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50)은
    구리, 니켈, 은, 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쿠션.
  3. 시트층(10) 일면을 코팅처리하여 발수코팅층(30)을 형성하는 코팅단계(100);
    시트층(10) 타면에 필름지(210)를 합지하는 합지단계(200);
    상기 발수코팅층(30) 일면에 발포폼을 발포하여 충격흡수층(20)을 형성하는 흡수층 형성단계(300);
    상기 발수코팅층(30), 필름지(210), 충격흡수층(20) 모두를 타공하여 복수개의 타공부(40)를 형성하는 타공단계(400);
    상기 합지단계(200)에서 합지된 필름지(210)를 제거하는 제거단계(500);
    상기 발수코팅층(30), 필름지(210), 충격흡수층(20) 및 이에 형성된 타공부(40)를 도금하여 도금층(50)을 형성하는 도금단계(600);
    상기 도금처리 된 시트층 타면에 점착층(60)을 부착하는 부착단계(7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타공단계(400)의 타공유닛(H)은 제1 롤러(H10)와 상기 제1 롤러(H10)와 맞물리는 제2 롤러(H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롤러(H10)는
    본체(H11)와, 상기 본체(H11)에 구비되어 인입되는 쿠션에 타공을 형성하는 타공부재(H12)와,
    상기 본체(H11)에 구비되어 상기 타공부재(H12)와 밀착되는 조절경사부(H313)가 구비되는 조절부재(H31)와, 상기 조절부재(H31)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부재(H31)를 슬라이딩운동 시키는 조절스위치(H33)를 포함하는 조절수단(H30)이 더 구비되어,
    상기 조절스위치(H33)를 회전시키면, 상기 타공부재(H12)가 조절경사부(H313)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본체 외면에 돌출되는 타공부재(H12)의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타공부재(H12)의 단부에는 상기 조절경사부(H313)에 붙는 마그넷(H12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쿠션 제조방법.
  4. 삭제
KR1020160052889A 2016-04-29 2016-04-29 전도성 쿠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8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889A KR101838059B1 (ko) 2016-04-29 2016-04-29 전도성 쿠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889A KR101838059B1 (ko) 2016-04-29 2016-04-29 전도성 쿠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462A KR20170123462A (ko) 2017-11-08
KR101838059B1 true KR101838059B1 (ko) 2018-03-14

Family

ID=6038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889A KR101838059B1 (ko) 2016-04-29 2016-04-29 전도성 쿠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0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33834B (zh) * 2020-10-14 2022-07-12 苏州贝克诺斯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导电泡棉的制备方法
KR20230048820A (ko) 2021-10-05 2023-04-12 주식회사 이엠위드 다공성 부재 형성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다공성 부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서 제조된 다공성 부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317B1 (ko) * 2007-12-11 2009-05-07 에스케이유티스 (주) 전도성 쿠션시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317B1 (ko) * 2007-12-11 2009-05-07 에스케이유티스 (주) 전도성 쿠션시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462A (ko)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4363B2 (en) EMI shielding gasket construction
KR101838059B1 (ko) 전도성 쿠션 및 이의 제조방법
US6653556B2 (en) Conductive gasket
CN101472455A (zh) 电磁屏蔽衬垫和用于填充电磁屏蔽系统中的间隙的方法
JP4176723B2 (ja) 電磁波シールドガス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11064636B2 (en) EMI shields including electrically-conductive foam
KR100992458B1 (ko) 도전성 쿠션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35184B1 (ko) 전자파 차폐용 쿠션 가스켓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전자파 차폐용 쿠션 가스켓
KR100841042B1 (ko) 부직포를 이용한 초박형 전도성 양면테이프의 제조방법 및그 제조방법에 의한 전도성 양면테이프
CN201623958U (zh) 一种屏蔽复合体
CN110994138B (zh) 一种电子设备
KR100896317B1 (ko) 전도성 쿠션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5218727B2 (ja) 電波吸収体
JP3571364B2 (ja) 導電性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66770A (ko) 전자파 차폐 및 흡수용 시트
KR102417109B1 (ko) 가스켓 컷팅 장치
CN202396133U (zh) 一种全方位导电海绵
TW200927493A (en)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 and method of filling gap in electromagnetic shielding system
KR101928826B1 (ko) 쉴드캔용 전자파 차폐시트
KR101695161B1 (ko) 도전성 쿠션 시트 제조방법 및 도전성 쿠션 시트
WO2006112558A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CN220220005U (zh) 一种抗压缩导电泡棉
CN201294711Y (zh) 具有防尘能力的电子设备屏蔽通风装置
KR100992520B1 (ko) 다수의 안테나 기능이 구현되도록 이중 인서트 사출에 의해 휴대폰 케이스 내측면에 ima를 실장하는 방법
KR101542133B1 (ko) 전자파를 흡수하고 차폐하는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