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866B1 - 가구 받침대 - Google Patents

가구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866B1
KR101837866B1 KR1020160176218A KR20160176218A KR101837866B1 KR 101837866 B1 KR101837866 B1 KR 101837866B1 KR 1020160176218 A KR1020160176218 A KR 1020160176218A KR 20160176218 A KR20160176218 A KR 20160176218A KR 101837866 B1 KR101837866 B1 KR 101837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rollover
guide
prevention block
rollover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근
Original Assignee
이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근 filed Critical 이동근
Priority to KR1020160176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866B1/ko
Priority to KR1020170153230A priority patent/KR102335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8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connected to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구를 지지하며, 가구를 사용하는 도중 가구가 앞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가구의 전복에 따른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가구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전복방지블록을 제거하여 가구의 전면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가구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가구(30)의 하부에 설치되고 앞부분 상측에 가이드 홈(11)이 형성된 받침부재(10)와; 상기 가이드 홈(11)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가이드부(21)와 가구의 하단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가이드부(21)의 끝단 부분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전복방지블록(2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부재(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복방지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구 받침대{Furniture Support Member}
본 발명은 가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구를 지지하는 가구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구를 사용하는 도중 가구가 앞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가구의 전복에 따른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가구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구는 배면이 건물의 내벽에 근접하도록 설치하고 있으며, 평평판 바닥에 설치하여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서랍장 등의 가구를 사용하는 도중 가구가 앞으로 넘어지는 전복사고로 인해 어린이 등이 다치는 일이 발생하고, 심지어는 어린이가 압사되어 사망하기도 하였다. 아주경제신문은 2015.7.24.자 기사에서, 미국에서 이케아 말름 서랍장이 넘어져 2명의 어린이가 깔려 목숨을 잃은 것에 대하여 보도하고 있다. 이 기사에서는 '이케아 말름 서랍장은 벽에 고정하는 장치 없이 설치되면 넘어질 위험성이 있다'라고 언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서랍장 등의 가구가 넘어지는 것은, 다단 구조의 서랍장에 결합된 서랍을 인출하였을 때 서랍에 담긴 물건들로 인해 서랍장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게 되고, 그로 인해 서랍장이 넘어짐에 따라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그리고, 어린이들이 열려 있는 위쪽 서랍에 매달려 노는 경우에도 서랍장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려 서랍장이 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랍을 인출하거나 인출된 서랍에 어린이가 매달림에 따라 서랍장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더라도 가구가 넘어지는 전복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물론, 가구의 무게 중심을 뒤쪽에 둠으로써 어린이가 가구에 올라가더라도 가구가 앞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가구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가구의 중량이 증가하며 가격이 비싸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가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복 사고를 방지하는 기술이 개발되더라도 새로 제작되는 가구에만 적용할 수 있을 뿐 기존에 제작된 가구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새로 제작되는 가구는 물론 이미 제작된 가구에 설치하여 가구의 전복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나 기구가 요구되고 있으며, 본 발명 역시 이에 해당한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검색한 결과 한 개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이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각종 가정용/교육용/사무용 가구의 사각모서리나 사각다리 저면에 각각 나사 결합 되는 사각형상으로된 가구다리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각종 가구의 사각다리 저면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가구다리받침구의 몸체를 가구의 사각모서리 또는 사각다리와 형상이 일치하도록 사각형상으로 제작하되, 이 사각형상으로 제작된 가구다리받침구의 몸체에 가구들이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본적인 높이 조절기능 이외에,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단지 받침구몸체의 회전각도만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받침구몸체 회전기능을 부가하여 받침구몸체를 가구의 사각다리와 항상 일치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받침구몸체 전방으로 전복방지블럭을 토출시킬 수 있는 전복방지기능을 부여하여 전복방지블럭을 토출시켜 가구들이 앞으로 전복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다기능을 가지도록 구성하여서, 사용이 편리하고 외관미가 좋으며 안전사고의 위험이 최대한 방지되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가 복합적으로 창출되도록 한, 가구다리 받침구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KR 10-0586895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구를 사용하는 도중 가구가 앞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가구의 전복에 따른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가구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전복방지블록을 제거하여 가구의 전면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가구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구의 하부에 설치되고 앞부분 상측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받침부재와; 상기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가이드부와 가구의 하단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의 끝단 부분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전복방지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복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가구 받침대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홈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탈방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선단과 좌우 양측에는 상기 이탈방지턱에 의해 형성되는 끼움홈에 삽입되는 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구 받침대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재의 저면에 복수 개의 미끄럼 방지편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가구 받침대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의 선단에 형성된 턱부 상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내측 이탈방지턱 저면에 상기 돌기가 결합되는 돌기 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내측 이탈방지턱의 아래쪽에 일정 폭의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구 받침대에 따르면, 상기 전복방지블록은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측은 완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가 연결되는 부분은 급경사면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가구 받침대에 따르면, 상기 전복방지블록의 하부면에 상기 롤링 볼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결합된 롤링 볼의 이탈이 방지하는 볼 홀더가 상기 장착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장착홈의 내측에 상기 롤링 볼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둘 이상의 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구 받침대에 따르면, 상기 전복방지블록의 전면측이 개폐 가능한 중공 구조로 형성되어 분리된 상기 롤링 볼이 내부에 수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가구 받침대에 따르면, 상기 전복방지블록의 하부면 앞쪽이 일정 높이로 절개되어 전방 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 턱부의 저면에 높이조절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구 받침대에 따르면, 상기 전복방지블록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가이드부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서로 다른 가구에 각각 설치된 받침부재에 전복방지부재의 가이드부가 동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구 받침대는 가구의 하부에 설치된 받침부재에 상측으로 돌출된 전복방지블록이 구비된 전복방지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어린이 등에 의해 가구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전복방지부재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전복방지부재를 분리함으로써 가구의 전면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받침부재의 가이드 홈 주위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 홈으로 인해 가이드 홈에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전복방지부재의 가이드부가 원활하게 결합 또는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가구 받침대에 따르면, 받침부재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 전복방지부재의 가이드부 외측에 형성된 턱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므로 전복방지부재의 가이드부가 들떠 받침부재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구 받침대에 따르면, 받침부재의 저부에 복수의 미끄럼 방지판이 부착됨에 따라 받침부재가 설치된 가구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가구 받침대에 따르면, 전복방지부재의 가이드부 끝단부와 받침부재의 내측 이탈방지턱이 요철 결합됨에 따라 일정 이상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전복방지부재가 받침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구 받침대에 따르면, 전복방지부재의 전복방지블록 상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미감이 향상됨은 물론 부딪쳤을 때의 충격이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가구 받침대에 따르면, 전복방지부재의 전복방지블록에 롤링 볼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롤링 볼을 이용하여 전복방지부재와 받침부재가 구비된 가구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고, 가구를 이동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롤링 볼을 분리하여 전복방지블록의 수납부에 수납함으로써 롤링 볼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구 받침대에 따르면, 전복방지블록의 하부에 형성된 장착홈의 내측에 둘 이상의 볼이 설치되어 롤링 볼이 구름 접촉하게 되므로 롤링 볼이 원활하게 회전되어 가구의 이동이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가구 받침대에 따르면, 전복방지블록의 선단 하측에 높이조절볼트가 설치됨에 따라 전복방지블록의 높이를 조절하여 가구의 전복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구 받침대에 따르면, 전복방지블록에 열림방지캡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서랍장 등의 가구에 있어서 최하단 서랍이 열리지 않게 되므로 최하단 서랍의 개방으로 인해 가구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열림방지캡을 분리하는 것만으로도 최하단 서랍을 개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가구 받침대에 따르면, 하나의 전복방지블록에 두 개의 가이드부를 연결하여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가구에 설치된 한 쌍의 받침부재에 동시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연이어 배치되는 두 개의 가구를 비틀어지거나 흐트러지지 않게 배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구 받침대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구 받침대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전복방지부재를 결합시키기 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전복방지부재를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5와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전복방지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열림방지캡을 나타낸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구 받침대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가구 받침대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30)의 하부에 설치되고 앞부분 상측에 가이드 홈(1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11)의 가장자리에는 앞쪽의 연결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삼면에 일정 폭의 개구부(16)가 형성된 받침부재(10)와; 상기 가이드 홈(11)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가이드부(21)와 가구의 하단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가이드부(21)의 끝단 부분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전복방지블록(2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부재(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복방지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10)에 형성된 개구부(16)는 상기 가이드 홈(11)에 일정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복방지부재(20)의 가이드부(21)가 상기 가이드 홈(11)에 원활하게 결합되고 분리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받침부재(10)는 가구의 하부에 체결부재(40)에 의해 설치되는 것으로 항상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전복방지부재(20)는 어린이나 설치 위치 등에 따라 가구(30)가 넘어질 위험이 있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상기 받침부재(10)에 결합시켜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전복방지부재(20)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전복방지부재(20)는 분리하고 상기 받침부재(10)만 가구(30)에 설치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가구(30)의 전면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전복방지부재(20)가 받침부재(1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가이드 홈(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탈방지턱(1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21)의 선단과 좌우 양측에는 상기 이탈방지턱(12)에 의해 형성되는 끼움홈(13)에 삽입되는 턱부(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전복방지부재(20)의 가이드부(21)에 형성된 턱부(22)가 상기 받침부재(10)의 끼움홈(13)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이탈방지턱(12)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전복방지부재(20)의 가이드부(21)가 들리는 일이 발생하지 않고 받침부재(10)의 가이드 홈(11)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10)의 저면에 복수 개의 미끄럼 방지편(15)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부재(10)를 가구(30)의 하부에 설치하게 되면, 가구(30)가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상기 가이드부(21)의 선단에 형성된 턱부(22') 상면에 돌기(23)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11)의 내측 이탈방지턱(12') 저면에 상기 돌기(23)가 결합되는 돌기 홈(14)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됨으로써, 일정 이상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상기 전복방지부재(20)가 받침부재(1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내측 이탈방지턱(12')의 저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가이드부의 선단 턱부(22)의 상면에 돌기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복방지블록(25)은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측은 완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21)가 연결되는 부분은 급경사면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21)가 연결되는 부분을 급경사면으로 한 이유는 그 크기가 과다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일정 높이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고, 전면측을 완경사면으로 하고 양측면을 경사면으로 한 이유는 가구(30)의 주변을 지날 때 전복방지블록(25)으로 인한 지장을 받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부딪쳤을 때 받는 충격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복방지블록(25)은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롤링 볼(26)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가구(30)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링 볼(26)은 가구(30)를 이동시킬 때만 결합시키고 가구(30)를 이동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분리함으로써 가구(3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롤링 볼(26)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복방지블록(25)의 전면측을 개폐 가능한 중공 구조로 형성하여 분리된 롤링 볼(26)이 내부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복방지블록(25)의 전면측에 일정 크기의 수용부(25b)를 형성하고, 그 상측에 커버(25c)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커버(25c)를 개방하여 수용부(25b) 내에 분리된 롤링 볼(26)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복방지블록(25)의 하부면에 상기 롤링 볼(26)이 삽입되는 장착홈(25a)이 형성됨과 아울러 결합된 롤링 볼(26)의 이탈이 방지하는 볼 홀더(29)가 상기 장착홈(2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장착홈(25a)의 내측에 상기 롤링 볼(26)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둘 이상의 볼(27)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볼(27)과 롤링 볼(26)이 구름 접촉되어 상기 롤링 볼(26)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볼 홀더(29)는 볼 마우스에서 볼을 지지하는 홀더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25a)에 형성된 홈에 삽입됨과 아울러 회전시 상기 장착홈(25a0에 형성된 턱부와의 간섭으로 인해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볼 홀더(29)는 이러한 구조로만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장착홈(25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롤링 볼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할 수만 있다면 그 구조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 도 6과 같이, 상기 전복방지블록(25)의 하부면 앞쪽이 일정 높이로 절개되어 전방 턱부(25d)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 턱부(25d)의 저면에 높이조절볼트(28)가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볼트(28)를 이용하여 상기 전복방지블록(25)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롤링 볼(26)과 높이조절볼트(28)는 상기 전복방지블록(25)에 단독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둘 모두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복방지부재(20)는 도 7과 같이, 상기 전복방지블록(25)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서랍장의 최하단 서랍이 열리지 않도록 하는 열림방지캡(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림방지캡(50)은 강아지나 고양이 등 동물의 발바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구 받침대는 가구에 설치되어 가구의 전복을 방지하게 된다.
먼저, 나사못 등의 체결부재(40)로 가구(30)의 하부에 받침부재(1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10)는 그 끝단부가 가구(3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 받침부재(10)의 설치가 완료되면 가구(30)를 제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받침부재(10)에 전복방지부재(20)를 결합시킨다. 상기 전복방지부재(20)는 어린이가 있는 집이나 바닥이 평평하지 않아 가구(30)가 넘어질 위험이 있는 경우에만 받침부재(10)에 결합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받침부재(10)만 가구(30)에 설치함으로써, 가구(30)의 전면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10)의 저면에 하나 이상의 미끄럼 방지판(15)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설치가 완료된 가구(30)는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전복방지부재(20)를 받침부재(10)에 결합시키면 상기 전복방지부재(20)의 가이드부(21)는 상기 받침부재(10)의 가이드 홈(11)에 삽입 결합되어 가구(300의 하부로 삽입되고, 가구(30)의 외측에는 전복방지블록(25)만 남아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전복방지블록(25)이 상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복방지부재(20)가 결합된 가구(30)는 어린이가 올라가더라도 앞으로 넘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가구(30)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전복방지블록(25)의 수용부(25b) 내에 있는 롤링 볼(26)을 꺼내서 전복방지블록(25)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25a)0에 결합시킴으로써 가구(30)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결합홈(25a)의 내측에 둘 이상의 볼(27)이 설치되어 상기 롤링 볼(26)에 구름 접촉되고, 그로 인해 상기 롤링 볼(26)이 원활하게 회전되어 가구(30)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 가구(30)가 설치되는 바닥면이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전복방지블록(25)에 구비된 높이 조절 너트(28)를 이용하여 상기 전복방지블록(25)의 선단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가구(30)가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복방지부재(20)의 전복방지블록(25)은 최하단 서랍을 개폐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도록 최상단 높이가 최하단 서랍의 하부에 비해 낮게 형성되는데, 상기 전복방지블록(25)에 열림방지캡(50)을 결합시킴으로써 최하단 서랍의 개방을 차단하여 가구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지 않게 한다. 물론, 상기한 최하단 서랍을 개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열림방지캡(50)을 전복방지블록(25)으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이상에서는 하나의 받침부재(10)에 하나의 전복방지부재(20)가 결합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복방지블록(25)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가이드부(21)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서로 다른 가구(30)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받침부재(10)에 전복방지부재(20)의 가이드부(21)가 동시에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가구(30)에 설치된 한 쌍의 받침부재(10)에 하나의 전복방지부재(20)가 결합되므로, 가구(30)의 전복을 방지함과 아울러 두 개의 가구(30)가 비틀리거나 흐트러지지 않고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위 실시 예에서는 전복방지부재의 가이드부가 받침부재의 상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전복방지부재의 가이드부가 받침부재의 하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9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30)의 하부에 설치되고 앞부분 하측에 가이드 홈(11')이 받침부재(10')와; 상기 가이드 홈(11')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가이드부(21')와 가구의 하단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가이드부(21')의 끝단 부분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전복방지블록(2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부재(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복방지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10')의 가이드 홈(11') 주변의 삼면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받침부재(10')의 하부에도 미끄럼 방지판(15)이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전복방지부재(20')가 전후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전복방지블록(25')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롤러(2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복방지부재의 가이드부가 상기 받침부재의 하부에 위치한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것만 앞에서 설명한 가구 받침대와 상이할 뿐 나머지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10'...받침부재
11, 11'...가이드 홈
12, 12'...이탈방지턱
13...끼움홈
14...돌기 홈
15...미끄럼 방지편
16...개구부
20, 20'...전복방지부재
21, 21'....가이드부
22, 22'...턱부
23...돌기
25, 25'...전복방지블록
25a...결합홈
25b...수용부
25c...커버
25d...전방턱부
26...롤링 볼
26'...롤러
27...볼
28...높이조절볼트
29...볼 홀더
30...가구
40...체결부재
50...열림방지캡

Claims (9)

  1. 가구(30)의 하부에 설치되고 앞부분 상측에 가이드 홈(1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11)의 가장자리에는 앞쪽의 연결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삼면에 일정 폭의 개구부(16)가 형성된 받침부재(10)와;
    상기 가이드 홈(11)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가이드부(21)와 가구의 하단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가이드부(21)의 끝단 부분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전복방지블록(2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부재(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복방지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전복방지블록(25)의 하부면에 롤링 볼(26)이 삽입되는 장착홈(25a)이 형성됨과 아울러 결합된 롤링 볼(26)의 이탈이 방지하는 볼 홀더(29)가 상기 장착홈(2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장착홈(25a)의 내측에 상기 롤링 볼(26)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둘 이상의 볼(27)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탈방지턱(1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21)의 선단과 좌우 양측에는 상기 이탈방지턱(12)에 의해 형성되는 끼움홈(13)에 삽입되는 턱부(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받침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방지블록(25)의 전면측이 개폐 가능한 중공 구조로 형성되어 분리된 상기 롤링 볼(26)이 내부에 수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받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방지블록(25)의 하부면 앞쪽이 일정 높이로 절개되어 전방 턱부(25d)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 턱부(25d)의 저면에 높이조절볼트(28)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받침대.
  6. 제1항 내지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방지블록(25)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가이드부(21)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서로 다른 가구(30)에 각각 설치된 받침부재(10)에 전복방지부재(20)의 가이드부(21)가 동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받침대.
  7. 제1항 내지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방지부재(20)는 전복방지블록(25)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서랍장의 최하단 서랍이 열리지 않도록 하는 열림방지캡(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받침대.
  8. 삭제
  9. 삭제
KR1020160176218A 2016-12-22 2016-12-22 가구 받침대 KR101837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218A KR101837866B1 (ko) 2016-12-22 2016-12-22 가구 받침대
KR1020170153230A KR102335469B1 (ko) 2016-12-22 2017-11-16 가구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218A KR101837866B1 (ko) 2016-12-22 2016-12-22 가구 받침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230A Division KR102335469B1 (ko) 2016-12-22 2017-11-16 가구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866B1 true KR101837866B1 (ko) 2018-03-13

Family

ID=6166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218A KR101837866B1 (ko) 2016-12-22 2016-12-22 가구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8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632A (ko) 2020-01-20 2021-07-28 주식회사 한샘 가구용 전도방지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2569A (ja) * 2006-03-31 2007-10-18 Shizawa Kogei Kk 自動販売機の転倒防止具
WO2016180503A1 (en) * 2015-05-13 2016-11-17 Rexsitt Italia S.R.L. Automatic coupl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2569A (ja) * 2006-03-31 2007-10-18 Shizawa Kogei Kk 自動販売機の転倒防止具
WO2016180503A1 (en) * 2015-05-13 2016-11-17 Rexsitt Italia S.R.L. Automatic coupl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632A (ko) 2020-01-20 2021-07-28 주식회사 한샘 가구용 전도방지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62910A1 (en) Furniture anti-tipping mechanisms
KR200484018Y1 (ko) 안전성 및 견고함을 구비한 다단 서랍장
US9955789B2 (en) Desk treadmill assembly with chair platform
KR20180073441A (ko) 가구 받침대
KR102168388B1 (ko) 전도방지 기능을 갖는 서랍장
KR102092302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및 걸상
KR101837866B1 (ko) 가구 받침대
CN106535713A (zh) 用于壁柜的具有改进的防脱离系统的可见悬挂支架
KR101778917B1 (ko) 싱크대용 발판
US20160256884A1 (en) Painting Jig Assembly
SE1651506A1 (en) A collapsible table stand, and a table including such a table stand
KR101019834B1 (ko) 책·걸상의 높이 조절장치
KR101780427B1 (ko)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KR200483236Y1 (ko) 캐비넷 도어 일체형 작업발판
JP4260755B2 (ja) 物品収納棚における落下防止構造及び落下防止具
KR100622441B1 (ko) 의자가 합체되는 테이블
US96625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sabled individuals access to playground structures
JP2007075182A (ja) スチール棚及びスチールワゴン
CN216124172U (zh) 一种用于医疗建筑大厅的展示结构
CN217885478U (zh) 一种家具防倾倒装置
JP2008014093A (ja) 観音開き引出し付き式台の構造
CN210673189U (zh) 一种伸缩式无障碍扶手
KR102608564B1 (ko)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
JP3428307B2 (ja) 学習机
CN216058769U (zh) 一种多级可调式宠物爬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