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829B1 -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7829B1 KR101837829B1 KR1020160055272A KR20160055272A KR101837829B1 KR 101837829 B1 KR101837829 B1 KR 101837829B1 KR 1020160055272 A KR1020160055272 A KR 1020160055272A KR 20160055272 A KR20160055272 A KR 20160055272A KR 101837829 B1 KR101837829 B1 KR 1018378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rylate
- refractive index
- inorganic nanoparticles
- high refractive
- nanoparticle disper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14—Treatment of polymer emulsions
- C08F6/20—Concent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류 반응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구분 | 품명 | 나노입자 분산액-1 | 나노입자 분산액-2 | 나노입자 분산액-3 | 나노입자 분산액-4 | 나노입자 분산액-5 |
ZrO2 powder | - | 20 | 20 | 20 | 20 | 20 |
분산제 | Additive-B | 5 | 5 | 5 | - | - |
Additive-A | - | - | - | 5 | 6 | |
분산용매 | IPA | 75 | ||||
MEK | 75 | |||||
Methanol | 75 | 75 | 74 | |||
Total | 100 | 100 | 100 | 100 | 100 | |
분산시간 | 96hr | 96hr | 96hr | 96hr | 96hr | |
층분리 (육안관찰) |
24hr 후 층분리 발생 |
12hr 후 층분리 발생 |
168hr 후 층분리 발생 |
층분리 없음 | 층분리 없음 |
구분 | 품명 | 나노입자 분산액-6 | 나노입자 분산액-7 | 나노입자 분산액-8 | 나노입자 분산액-9 | 나노입자 분산액-10 |
TiO2 powder | - | 20 | 20 | 20 | 20 | 20 |
분산제 | Additive-B | 5 | 5 | 5 | - | - |
Additive-A | - | - | - | 5 | 6 | |
분산용매 | IPA | 75 | ||||
MEK | 75 | |||||
Methanol | 75 | 75 | 74 | |||
Total | 100 | 100 | 100 | 100 | 100 | |
분산시간 | 96hr | 96hr | 96hr | 96hr | 96hr | |
층분리 (육안관찰) |
24hr 후 층분리 발생 |
12hr 후 층분리 발생 |
168hr 후 층분리 발생 |
층분리 없음 | 층분리 없음 |
구분 | ZrO2 powder | TiO2 powder | ||||||
샘플명 | 나노입자 분산액-4 | 나노입자 분산액-11 | 나노입자 분산액-12 | 나노입자 분산액-13 | 나노입자 분산액-9 | 나노입자 분산액-14 | 나노입자 분산액-15 | 나노입자 분산액-16 |
분산시간 | 96hr | 132hr | 168hr | 192hr | 96hr | 132hr | 168hr | 192hr |
평균 입경 크기 (nm) | 68.3 | 52.6 | 39.8 | 41.2 | 69.9 | 53.9 | 40 | 40.7 |
화학명 | 굴절률 | 구조 | |
비교예1 | 3-aminopropyl triethoxysilane | 1.420 | |
비교예2 | 3-methacyloxypropyl methyldimethoxylsilane | 1.433 | |
비교예3 | 3-glycidoxypropyl triethoxysilane | 1.425 | |
실시예1 | 3-(N-styrylmethyl-2-amino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hydrochloride | 1.395 | |
실시예2 | 3-(n-styrylmethyl-2-amino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 1.390 | |
실시예3 | styrylethyltrimethoxysilane | 1.505 |
용매 | ZrO2함량 (wt%)* |
점도 (cPs) | 투과율 (@550㎚, %) |
액굴절률 | |
GEXP-1 | Methanol | 40.8 | 1774 | 89.1 | 1.628 |
GEXP-2 | Acetone | 41.3 | 1937 | 83.7 | 1.637 |
GEXP-3 | MEK | 39.9 | 2864 | 77.2 | 1.624 |
GEXP-4 | Methanol | 20.8 | 423 | 92.4 | 1.602 |
GEXP-5 | Methanol | 50.1 | - | - | 1.660 |
용제 | TiO2함량 (wt%)* |
점도 (cPs) | 투과율 (@550㎚, %) |
액굴절률 | |
GEXP-6 | Methanol | 40.1 | 2145 | 81.6 | 1.657 |
GEXP-7 | Acetone | 39.6 | 2531 | 75.5 | 1.623 |
GEXP-8 | MEK | 41.4 | 3572 | 72.9 | 1.622 |
GEXP-9 | Methanol | 21.8 | 621 | 79.3 | 1.600 |
GEXP-10 | Methanol | 51.1 | - | - | 1.659 |
Claims (16)
- 고굴절 모노머에 방향족 실란계 표면개질제에 의해 표면이 개질된 무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소프트 몰드 공정에 적용되는 프리즘 필름용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으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은 점도가 2145 cPs 이하이고, 액굴절률이 1.628 이상이며,
상기 무기 나노입자는 고형분으로 45 중량% 이상 50 중량% 미만 범위로 분산되고, 상기 무기 나노입자는 지르코니아(ZrO2) 및 티타니아(TiO2)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평균입경은 39.8 내지 69.9 nm이며,
상기 고굴절 모노머는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2-메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티오 에틸아크릴레이트, 2-나프틸티오에틸아크릴레이트, 1-나프틸티오에틸아크릴레이트, 2,4,6-트라이브로모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2,4-다이브로모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2-브로모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1-나프틸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2-나프틸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페녹시2-메틸에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3-페녹시-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1 및 2 작용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이며,
상기 방향족 실란계 표면개질제는 3-(n-스티릴메틸-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히드로클로라이드, 3-(n-스티릴메틸-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스티릴에틸트리메톡시실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족 실란계 표면개질제는 상기 무기 나노입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소프트 몰드 공정에 적용되는 프리즘 필름용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 및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소프트 몰드 공정에 적용되는 프리즘 필름용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및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소프트 몰드 공정에 적용되는 프리즘 필름용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에틸-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피네이트,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소프트 몰드 공정에 적용되는 프리즘 필름용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
- 고굴절 모노머에 방향족 실란계 표면개질제에 의해 표면이 개질된 무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소프트 몰드 공정에 적용되는 프리즘 필름용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
용매에 무기 나노입자를 분산시켜 나노입자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나노입자 분산액에 방향족 실란계 표면개질제 및 고굴절 모노머를 투입하고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된 나노입자 분산액을 환류 반응을 이용하여 열을 가하며 표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처리된 나노입자 분산액을 증발응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은 점도가 2145 cPs 이하이고, 액굴절률이 1.628 이상이며,
상기 무기 나노입자는 고형분으로 45 중량% 이상 50 중량% 미만 범위로 분산되고, 상기 무기 나노입자는 지르코니아(ZrO2) 및 티타니아(TiO2)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평균입경은 39.8 내지 69.9 nm이며,
상기 고굴절 모노머는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2-메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티오 에틸아크릴레이트, 2-나프틸티오에틸아크릴레이트, 1-나프틸티오에틸아크릴레이트, 2,4,6-트라이브로모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2,4-다이브로모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2-브로모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1-나프틸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2-나프틸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페녹시2-메틸에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3-페녹시-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1 및 2 작용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이며,
상기 방향족 실란계 표면개질제는 3-(n-스티릴메틸-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히드로클로라이드, 3-(n-스티릴메틸-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스티릴에틸트리메톡시실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족 실란계 표면개질제는 상기 무기 나노입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소프트 몰드 공정에 적용되는 프리즘 필름용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메타놀(Methanol), 아세톤(Acetone) 및 MEK(Methyl ethyl keton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프트 몰드 공정에 적용되는 프리즘 필름용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용매 및 분산제를 교반하여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산용액에 상기 무기 나노입자를 첨가하여 습윤(wetting)이 되도록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무기 나노입자를 첨가한 분산용액을 볼 밀링하여 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프트 몰드 공정에 적용되는 프리즘 필름용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폴리아크릴레이트계 분산제 및 폴리에스테르계 분산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포함하는 소프트 몰드 공정에 적용되는 프리즘 필름용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 분산액을 증발응축시키는 단계 이후에, 증발응축된 나노분산용액을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코팅제 혼합물과 혼합하여 증발응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프트 몰드 공정에 적용되는 프리즘 필름용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5272A KR101837829B1 (ko) | 2016-05-04 | 2016-05-04 |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5272A KR101837829B1 (ko) | 2016-05-04 | 2016-05-04 |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5216A KR20170125216A (ko) | 2017-11-14 |
KR101837829B1 true KR101837829B1 (ko) | 2018-04-27 |
Family
ID=60387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5272A Active KR101837829B1 (ko) | 2016-05-04 | 2016-05-04 |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782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67358A1 (ko) * | 2020-02-20 | 2021-08-26 |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 광중합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광학 부재 및 표시장치 |
WO2022114837A1 (ko) * | 2020-11-27 | 2022-06-02 |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 광중합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광학 부재 및 표시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64064B (zh) * | 2018-09-28 | 2023-08-25 | 中国工程物理研究院激光聚变研究中心 | 一种精确测定单层化学膜折射率变化值的装置及方法 |
KR102168970B1 (ko) * | 2018-11-13 | 2020-10-22 | 주식회사 케이씨텍 | 지르코니아 나노 입자 분산액 및 이를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
CN110511042A (zh) * | 2019-07-31 | 2019-11-29 | 映维(苏州)数字科技有限公司 | 一种光固化3d打印低收缩陶瓷浆料的制备方法 |
KR102426864B1 (ko) * | 2020-09-04 | 2022-08-01 | 주식회사 케이씨텍 | 고굴절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
KR102252351B1 (ko) * | 2020-09-15 | 2021-05-14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굴절률 나노 구조체 형성 소재,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나노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
CN114478964B (zh) * | 2022-03-04 | 2024-05-28 | 山东国瓷功能材料股份有限公司 | 纳米氧化锆单体型分散液、制备方法及应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1575B1 (ko) | 2009-10-26 | 2012-03-07 | 주식회사 블루폴리텍 | 고굴절 무기입자를 함유한 투명 나노졸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유,무기 하이브리드수지 |
-
2016
- 2016-05-04 KR KR1020160055272A patent/KR10183782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1575B1 (ko) | 2009-10-26 | 2012-03-07 | 주식회사 블루폴리텍 | 고굴절 무기입자를 함유한 투명 나노졸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유,무기 하이브리드수지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67358A1 (ko) * | 2020-02-20 | 2021-08-26 |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 광중합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광학 부재 및 표시장치 |
WO2022114837A1 (ko) * | 2020-11-27 | 2022-06-02 |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 광중합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광학 부재 및 표시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5216A (ko) | 2017-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7829B1 (ko) |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48025B1 (ko) | 소프트 몰드를 사용하는 프리즘필름용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
JP5167582B2 (ja) | ジルコニア透明分散液及び透明複合体並びに透明複合体の製造方法 | |
CN107001067B (zh) | 无机微粒分散液的制造方法、包含该分散液的固化性组合物及其固化物 | |
TWI513751B (zh) | A hardened composition, a hardened product, an optical material, and an optical lens | |
JP6938729B2 (ja) | 中空粒子及びその用途 | |
CN111902206B (zh) | 中空颗粒、其制造方法及其用途 | |
WO2008010533A1 (en) | Metal oxide nanop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JP2020176266A (ja) | 中空粒子及びその用途 | |
TWI848939B (zh) | 中空粒子分散體及含有中空粒子分散體的塗佈劑 | |
JP5011695B2 (ja) | ジルコニア透明分散液及び透明複合体並びに透明複合体の製造方法 | |
CN102652156B (zh) | 有机溶剂分散体、树脂组合物和光学器件 | |
KR101864420B1 (ko) | 멀티-스텝 그라프트 공정을 이용한 고굴절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JP2009143974A (ja) | 無機酸化物含有透明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11074328A (ja) | 酸化チタン分散液 | |
KR101656679B1 (ko) | 분산성이 향상된 고굴절 유무기 복합체의 제조 방법 | |
WO2011093144A1 (ja) | 造形方法 | |
JP2008308584A (ja) | 無機酸化物透明分散液と透明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11057530A (ja) | アルミナドープジルコニアナノ粒子透明分散液及び透明複合体 | |
JP4974133B2 (ja) |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樹脂組成物 | |
JP2013049792A (ja) | 透明複合材料及び透明フィルム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2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9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7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2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