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616B1 - 필터 조립체 및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조립체 및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616B1
KR101837616B1 KR1020110046628A KR20110046628A KR101837616B1 KR 101837616 B1 KR101837616 B1 KR 101837616B1 KR 1020110046628 A KR1020110046628 A KR 1020110046628A KR 20110046628 A KR20110046628 A KR 20110046628A KR 101837616 B1 KR101837616 B1 KR 101837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using
water
hollow space
ra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8777A (ko
Inventor
박만욱
김원태
윤영상
박춘호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6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616B1/ko
Publication of KR20120128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조립체 및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필터 조립체는 원수가 유입되는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 하우징에 연결되며, 원수를 유입하여 필터링된 정수 또는 상기 필터부를 세척한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유로전환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필터 하우징을 분리하지 않고도 유로전환밸브의 유로전환에 의해 간단하게 세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터를 재생시켜 필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캡을 분리하여 필터를 세척 또는 교체하는 경우에도, 필터가 개별 분리되어 있어 오염된 필터만 교체 또는 세척함으로써 비용면에서 저렴하게 필터를 관리할 수 있고, 하우징 캡이 필터부의 오염도가 높은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오염된 필터를 분리하기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 조립체 및 수처리 장치{FILTER ASSEMBLY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필터를 세척하여 재생가능하도록 구성된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 정수기, 연수기 또는 이온수기 등은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여 유입된 물이 이를 통과하면서 여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필터를 장시간 사용하면 필터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며, 이러한 이물질에 의해서 필터의 여과기능이 떨어지게 되고 세균 등이 증식할 수 있으므로, 필터를 세척하거나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한다.
특히, 메쉬필터나 세디먼트필터는 정수할 물에 포함된 녹찌꺼기, 먼지, 모래 등의 각종 입자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메쉬필터나 세디먼트 필터에 비교적 입자가 큰 이물질이 축적되면 필터부에서의 물의 유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세균 등의 번식으로 물이 오염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필터들을 청결하게 유지, 관리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필터는 내부를 세척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어 일정한 주기마다 필터 카트리지 자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필터를 사용할 때에 비용면에서 부담이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터의 교체주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필터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필터 하우징을 분리하지 않고도 유로전환밸브의 유로전환에 의해 간단하게 세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터를 재생시켜 필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필터 조립체 및 필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써, 하우징 캡을 분리하여 필터를 세척 또는 교체하는 경우에도, 필터가 개별분리되어 있어 오염된 필터만 교체 또는 세척함으로서 비용면에서 효율적이며, 하우징 캡이 필터부의 오염도가 높은 부분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오염된 필터를 분리하기 용이한 필터 조립체 및 필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원수가 유입되는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 하우징에 연결되며, 원수를 유입하여 필터링된 정수 또는 상기 필터부를 세척한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유로전환밸브;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 하우징은 원수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통로가 되는 중공공간부;와, 상기 중공공간부와 연통되며, 상기 필터부가 안착되는 필터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밸브에 의해서 상기 중공공간부 또는 상기 필터공간부에 선택적으로 원수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 하우징은 상기 유로전환밸브의 반대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 캡;과, 상기 중공공간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공간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형성된 유체차단부;와, 상기 하우징 캡의 내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유체차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중공공간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체차단부는 상기 중공공간부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봉;과, 상기 안내봉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이동하여 유체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된 차단판;과, 상기 안내봉에 끼워지며, 상기 중공공간부 내부에 구비된 걸림턱과 상기 차단판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부는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중공공간부가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캡은 상기 중공공간부와 상기 필터공간부가 연통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부는 개별 분리가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 하우징은 상기 개별 분리된 다수개의 필터부의 오염 상태를 확인하도록 표면에 형성된 투명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부는 물속에 함유된 경도성 물질을 제거하는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상기 중공공간부와 연통된 제1관통홀과 상기 필터공간부와 연통된 제2관통홀이 형성된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하우징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관통홀과 연통되는 제1공급구와 상기 제2관통홀과 연통되는 제2공급구와 세척수 배출을 위한 세척구 배출구가 형성된 고정디스크;와, 상기 고정디스크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공급구 또는 상기 제2공급구에 연결되는 원수 유입구가 관통 형성되어 원수를 공급하는 회전디스크;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상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원수유입포트가 형성된 밸브 덮개;와, 상기 회전디스크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디스크가 회전되도록 모터 또는 수동으로 회전되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하우징은 필터링된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공급포트;와, 필터부를 세척한 세척수를 배출하는 세척수배출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필터 조립체;와, 상기 필터 조립체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가 배출되는 출수구;와, 상기 필터 조립체에 의해 필터부를 세척한 세척수가 배출되는 드레인관;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필터 조립체 및 상기 필터 조립체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에 의하면, 필터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필터 하우징을 분리하지 않고도 유로전환밸브의 유로전환에 의해 간단하게 세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터를 재생시켜 필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하우징 캡을 분리하여 필터를 세척 또는 교체하는 경우에도, 필터가 개별 분리되어 있어 오염된 필터만 교체 또는 세척함으로써 비용면에서 저렴하게 필터를 관리할 수 있고, 하우징 캡이 필터부의 오염도가 높은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오염된 필터를 분리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아울러, 필터 하우징에 투명창이 형성되어 다수개의 분리된 필터의 오염도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하여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필터부에 이온교환수지를 추가함으로써 경도성 물질이 제거된 인체에 유익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조립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조립체의 일실시예가 세척모드인 경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필터 조립체의 일부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로전환밸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로전환밸브가 정수모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로전환밸브가 세척모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필터 조립체 및 수처리 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조립체(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원수가 유입되는 필터 하우징(100)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200)와, 상기 필터 하우징(100)에 연결되며, 원수를 유입하여 필터링된 정수 또는 상기 필터부(200)를 세척한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유로전환밸브(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조립체(1)가 정수모드인 경우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상기 필터 조립체(1)가 세척모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상기 필터 조립체(1)의 일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상기 필터 하우징(100)은 중공공간부(110)와 필터공간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공간부(110)는 원수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통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필터공간부(130)는 상기 중공공간부(110)와 연통되며 상기 필터부(200)가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전환밸브(300)에 의해서 상기 중공공간부(110) 또는 상기 필터공간부(130)에 선택적으로 원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전환밸브(300)에 의해 상기 중공공간부(110)로 원수가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원수는 상기 중공공간부(110)에서 상기 중공공간부(110)와 연통된 상기 필터공간부(130)로 흐르게 되고,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전환밸브(300)의 유로전환으로 상기 필터공간부(130)로 원수가 유입되는 경우에 유입된 원수는 상기 필터공간부(13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상기 중공공간부(110)로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유입된 원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필터부(200)에 누적된 이물질이 상기 필터부(200)를 세척한 세척수가 상기 중공공간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필터 하우징(100)은 하우징 캡(150), 유체차단부(170), 가압부재(1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캡(150)은 상기 유로전환밸브(300)의 반대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유체차단부(170)는 상기 중공공간부(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공간부(1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151)는 상기 필터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연결되며 유체차단부(170)를 가압하여 상기 중공공간부(110)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 캡(150)은 상기 필터 하우징(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캡(150)이 필터 하우징(100)에 결합되면 상기 하우징 캡(150)의 내측면에 연결된 가압부재(151)에 의해서 상기 유체차단부(170)가 가압되어 상기 중공공간부(110)의 일측을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중공공간부(110)에서 상기 필터공간부(130)로 또는 상기 필터공간부(130)에서 상기 중공공간부(110)로 물이 흐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캡(150)이 상기 필터 하우징(100)에서 분리되면, 상기 가압부재(151)는 상기 유체차단부(170)를 가압하지 않게 되어 상기 중공공간부(110)의 일측이 폐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 캡(150)이 분리되어도 상기 중공공간부(110)로 유입된 원수가 누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차단부(170)는 상기 중공공간부(110)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봉(171)과, 상기 안내봉(171)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재(15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유체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된 차단판(173)과, 상기 안내봉(171)에 끼워지며 상기 중공공간부(110) 내부에 구비된 걸림턱(174)과 상기 차단판(173)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부재(1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필터 하우징(100)에 상기 하우징 캡(150)이 결합되면, 상기 하우징 캡(150)에 연결되고 상기 유체차단부(17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가압부재(151)가 상기 안내봉(171)의 단부에 연결된 차단판(173)을 밀어주게 되어 상기 중공공간부(110)의 일측이 개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75)는 상기 차단판(173)과 상기 중공공간부(110) 내부에 돌출 형성된 상기 걸림턱(174)에 의해 지지되어 압축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캡(150)이 상기 필터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가압부재(151)가 상기 차단판(173)을 가압하지 않으므로, 상기 차단판(173)은 상기 탄성부재(175)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중공공간부(11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174)에 걸림으로써 상기 중공공간부(110)의 일측을 폐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부(200)는 바람직하게는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필터부(200)의 중공부에는 상기 중공공간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캡(150)은 상기 중공공간부(110)와 상기 필터공간부(130)가 연통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필터 하우징(100)의 내부에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상의 필터부(200)가 배치되고, 상기 필터부(200)의 중공부에 상기 중공공간부(110)가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공공간부(110)는 상기 필터 하우징(100)의 바닥면에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바닥면과 중공공간부(11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상기 중공공간부(110)와 상기 필터공간부(130)가 연통되게 된다.
이때, 상기 중공공간부(110)와 상기 필터공간부(130)가 연통되는 부분을 통하여 상기 중공공간부(110)로 유입된 원수의 1차 필터링이 시작되므로,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상당부분이 상기 연통부분에 누적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필터공간부(130)로 물이 유입되면, 유입되는 원수의 수압에 의해서 상기 필터공간부(130)와 상기 중공공간부(110)에 누적된 이물질이 분리되면서 상기 중공공간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전환밸브(300)의 유로전환에 의해서 상기 필터공간부(130)로 원수가 유입되어 상기 필터부(200)의 역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200)를 분리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되므로 필터를 재생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부(200)가 많이 오염된 경우에는 세척 또는 교체를 위하여 필터부(200)를 분리하는 것이 필요한데, 상기와 같은 경우에 필터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상기 필터부(200)는 개별 분리가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필터(21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200)는 상기 필터공간부(130)와 상기 중공공간부(110)가 연통되는 부분에 입자가 굵은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예를 들어, 메쉬필터(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공간부(130)와 상기 중공공간부(110)가 연통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설치된 상기 메쉬필터(250) 또는 분리된 필터(210)가 가장 오염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하우징 캡(150)이 상기 중공공간부(110)와 상기 필터공간부(130)가 연통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캡(150)을 분리하였을 때 상기 연통되는 부분에 인접한 메쉬필터(250)를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분리된 필터(210) 중 상기 연통되는 부분에 배치되어 오염도가 높은 필터(210)만 교체하기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가 오염되면 필터 카트리지자체를 교체하거나 필터 하우징(100)내의 필터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가장 오염도가 높은 필터만 교체 또는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필터를 유지, 관리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중공공간부(110)와 상기 필터공간부(130)의 형상과 연통되는 부분의 위치는 도시된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입되는 원수를 상기 중공공간부(110)에서 상기 필터공간부(130)로 이동시켜 필터링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필터 하우징(100)은 상기 개별 분리된 다수개의 필터부(200)의 오염상태를 확인하도록 표면에 투명창(1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창(190)은 각각의 분리된 필터(210)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투명창(190)의 위치 및 형상은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아니며, 각각의 필터의 교체시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 하나의 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육안으로 상기 투명창(190)을 통하여 상기 필터(210)의 오염상태를 확인하여 오염된 필터(210)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부(200)는 물속에 함유된 경도성 물질을 제거하는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온교환수지는 양이온 교환수지가 포함된 경우, 양이온 교환수지가 원수와 접촉하여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칼슘이온, 마그네슘 이온 등의 경도성 물질(경도유발 물질)과 이온교환을 하여 경도성 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 조립체(1)는 중금속에 이온상태로 존재하는 경수를 단물인 연수로 만들어 인체에 유익한 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로전환밸브(3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는 유로전환밸브(3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정수모드에서 후술하는 회전디스크(350)를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7은 세척모드에서 상기 회전디스크(350)를 바라본 평면도이다.
상기 유로전환밸브(3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밸브하우징(310)과, 상기 밸브하우징(31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디스크(330)와, 상기 고정디스크(3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디스크(350), 상기 회전디스크(350)의 상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원수유입포트(371)가 형성된 밸브덮개(370), 상기 회전디스크(350)를 회전하도록 연결된 샤프트(3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하우징(3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상기 중공공간부(110)와 연통된 제1관통홀(311)과 상기 필터공간부(130)와 연통된 제2관통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하우징(310)의 상부에는 상기 제1관통홀(311)과 연통되는 제1공급구(331)와, 상기 제2관통홀(312)과 연통되는 제2공급구(333) 및 세척수 배출을 위한 세척수배출구(335)가 형성된 고정디스크(330)가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디스크(330)에는 돌출턱(337)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하우징(310)에 형성된 회전방지홈(315)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고정디스크(330)는 상기 밸브하우징(310)의 상부에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밸브하우징(310)의 내부는 상기 제1관통홀(311)이 형성되어 원수를 공급하는 부분과, 상기 제2관통홀(312)이 형성되어 원수를 공급 또는 정화된 물을 배출하는 부분 및 상기 고정디스크의 세척수 배출구(335)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200)를 세척한 물이 배출되는 부분으로 구획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밸브하우징(310)과 상기 고정디스크(330) 사이에는 상기 밸브하우징(310) 내부의 구획된 부분을 밀폐하도록 밀봉링(316)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디스크(350)는 상기 고정디스크(3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공급구(331) 또는 상기 제2공급구(333)에 연통되는 원수 유입구(351)가 관통 형성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상기 중공공간부(110) 또는 필터공간부(130)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디스크(350)는 회동이 가능하도록 샤프트(390)에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390)는 수동 또는 모터 등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회전디스크(35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디스크(350)가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디스크(350)에 형성된 고정홈(355)에 상기 샤프트(390)의 끼움돌기(391)가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디스크(350)는 상기 필터 조립체(1)가 세척모드일 때, 상기 제1관통홀(311)을 통하여 배출된 세척수가 상기 고정디스크(330)의 세척수 배출구(335)로 흘러나가도록 하면에 형성된 세척수배출홈(353)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유로전환밸브(300)는 회전디스크(350) 상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원수유입포트(371)가 형성된 밸브덮개(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샤프트(390)는 상기 밸브덮개(370)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하우징(310)은 필터링된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공급포트(313)와 필터부(200)를 세척한 세척수를 배출하는 세척수배출포트(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수공급포트(313)는 밸브 하우징(310) 내부의 구획된 부분 중 상기 제2관통홀(313)이 형성된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세척부배출포트(314)는 상기 고정디스크(330)의 세척수 배출구(335)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부분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관통홀(312)에서 배출되는 정화된 물은 상기 정수공급포트(313)로 배출되고, 상기 제1관통홀(311)에서 배출되는 필터를 세척한 물은 상기 세척수 배출홈(353)을 통해 상기 세척수배출구(335)로 유입되어 상기 세척수배출포트(314)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필터 조립체(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밸브덮개(370)에 형성된 원수유입포트(371)를 통하여 상기 고정디스크(330) 상부로 원수가 유입된다.
이때, 정수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 4,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디스크(350)의 원수유입구(351)는 상기 고정디스크(330)의 제1공급구(331)와 연통되고, 상기 제1공급구(331)는 상기 밸브하우징(310)의 제1관통홀(311)과 연통되어, 유입된 원수는 상기 중공공간부(110)로 공급된다.
다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공간부(110)로 유입된 원수는 개방된 상기 유체차단부(170)를 지나 상기 필터부(200)가 안착된 상기 필터공간부(130)로 흐르면서 이물질 등이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물질이 제거된 물은 상기 필터공간부(130)를 지나 상기 밸브하우징(310)의 제2관통홀(312)로 흘러 상기 정수공급포트(313)로 배출된다.
반면, 필터 세척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디스크(350)의 원수유입구(351)는 상기 고정디스크(330)의 제2공급구(333)와 연통되고, 상기 제2공급구(333)는 상기 밸브하우징(310)의 제2관통홀(312)과 연통되어, 유입된 원수는 상기 필터공간부(130)로 공급된다.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공간부(130)로 유입된 물은 상기 중공공간부(110)로 흐르면서 수압에 의해 상기 필터부(200)에 누적된 이물질을 분리시켜 상기 중공공간부(110)로 흐르게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물질이 포함된 물은 상기 중공공간부(110)를 지나 상기 밸브하우징(310)의 제1관통홀(311)로 흘러 상기 고정디스크(330)의 제1공급구(331)로 배출되고, 상기 회전디스크(350) 하면에 형성된 세척부 배출홈(353)을 통하여 상기 고정디스크(330)의 세척수 배출구(335)로 유입되어 상기 세척수배출포트(314)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유로전환밸브(300)의 유로전환에 의한 역세척에 의해 필터 조립체(1)를 분리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상기 필터부(200)를 세척하여 상기 필터부(200)를 재생하거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한편, 누적된 이물질이 많거나 필터(210)를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하우징 캡(150)을 분리하여 메쉬필터(250) 등을 세척하거나 분리되어 형성된 필터(210) 중 일부 오염된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 캡(150)은 상기 중공공간부와 상기 필터공간부(130)가 연통되는 부분 즉, 1차로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오염도가 높은 필터에 인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오염된 필터를 세척 또는 교체가 더욱 용이한 이점에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수처리 장치를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상기 필터 조립체(1)와, 상기 필터 조립체(1)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가 배출되는 출수구(미도시)와, 필터부(200)를 세척한 세척수가 배출되는 드레인관(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 조립체(1)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은 필터 조립체(1)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구(미도시)는 상기 유로전환밸브(300)의 밸브하우징(310)에 형성된 상기 정수공급포트(313)에 연결되어 필터링된 물이 배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관(미도시)은 상기 밸브하우징(310)의 세척수배출포트(314)에 연결되어 필터부(200)를 세척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구와 드레인관은 정수기, 연수기 등의 수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장치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필터 조립체 및 상기 필터 조립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를 사용하면, 필터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필터 하우징을 분리하지 않고도 유로전환밸브(300)의 유로전환에 의해 간단하게 세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터를 재생시켜 필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캡을 분리하여 필터를 세척 또는 교체하는 경우에도, 필터가 개별 분리되어 있어 오염된 필터만 교체 또는 세척함으로써 비용면에서 저렴하게 필터를 관리할 수 있고, 하우징 캡이 필터부의 오염도가 높은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오염된 필터를 분리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아울러, 필터 하우징에 투명창이 형성되어 다수개의 분리된 필터의 오염도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하여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필터부에 이온교환수지를 추가함으로써 경도성 물질이 제거된 인체에 유익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 필터 조립체 100 : 필터 하우징
110 : 중공공간부 130 : 필터공간부
150 : 하우징 캡 151 : 가압부재
170 : 유체차단부 171 : 안내봉
173 : 차단판 174 : 걸림턱
175 : 탄성부재 190 : 투명창
200 : 필터부 210 : 필터
211 : 이온교환수지 300 : 유로전환밸브
310 : 밸브 하우징 311 : 제1관통홀
312 : 제2관통홀 313 : 정수공급포트
314 : 세척수배출포트 330 : 고정디스크
331 : 제1공급구 333 : 제2공급구
335 : 세척수배출구 350 : 회전디스크
351 : 원수유입구 353 : 세척수배출홈
370 : 밸브덮개 371 : 원수유입포트
390 : 샤프트

Claims (11)

  1. 원수가 유입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 하우징에 연결되며, 원수를 유입하여 필터링된 정수 또는 상기 필터부를 세척한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유로전환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하우징은 원수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통로가 되는 중공공간부와, 상기 중공공간부와 연통되며 상기 필터부가 안착되는 필터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상기 중공공간부와 연통된 제1관통홀과 상기 필터공간부와 연통된 제2관통홀이 형성된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관통홀과 연통되는 제1공급구와 상기 제2관통홀과 연통되는 제2공급구와 세척수 배출을 위한 세척수 배출구가 형성된 고정디스크, 상기 고정디스크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공급구 또는 상기 제2공급구에 연결되는 원수 유입구가 관통 형성되어 원수를 공급하는 회전디스크, 상기 회전디스크의 상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원수유입포트가 형성된 밸브 덮개 및, 상기 회전디스크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디스크가 회전되도록 모터 또는 수동으로 회전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은
    상기 유로전환밸브에 의해서 상기 중공공간부 또는 상기 필터공간부에 선택적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은
    상기 유로전환밸브의 반대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 캡;
    상기 중공공간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공간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형성된 유체차단부; 및,
    상기 하우징 캡의 내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유체차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중공공간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가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차단부는
    상기 중공공간부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봉;
    상기 안내봉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이동하여 유체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된 차단판; 및,
    상기 안내봉에 끼워지며, 상기 중공공간부 내부에 구비된 걸림턱과 상기 차단판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중공공간부가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캡은 상기 중공공간부와 상기 필터공간부가 연통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개별 분리가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은 상기 개별 분리된 다수개의 필터부의 오염 상태를 확인하도록 표면에 형성된 투명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물속에 함유된 경도성 물질을 제거하는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체.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은
    필터링된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공급포트; 및,
    필터부를 세척한 세척수를 배출하는 세척수배출포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필터 조립체;
    상기 필터 조립체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가 배출되는 출수구; 및,
    상기 필터 조립체에 의해 필터부를 세척한 세척수가 배출되는 드레인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KR1020110046628A 2011-05-18 2011-05-18 필터 조립체 및 수처리 장치 KR101837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628A KR101837616B1 (ko) 2011-05-18 2011-05-18 필터 조립체 및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628A KR101837616B1 (ko) 2011-05-18 2011-05-18 필터 조립체 및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777A KR20120128777A (ko) 2012-11-28
KR101837616B1 true KR101837616B1 (ko) 2018-04-26

Family

ID=47513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628A KR101837616B1 (ko) 2011-05-18 2011-05-18 필터 조립체 및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6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254B1 (ko) * 2019-07-26 2021-01-08 주식회사 케이엔텍 고기능성의 미용필터부를 구비하는 미용수기
KR102188377B1 (ko) * 2020-08-25 2020-12-08 (주)쓰리에이씨 필터 절환장치를 갖춘 샤워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377B1 (ko) * 2007-08-21 2009-07-24 정휘동 필터세척기능을 갖는 정수기 필터
KR100932584B1 (ko) * 2001-11-29 2009-12-17 파커 한니핀 오와이 필터링 챔버내의 필터 요소를 세척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필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584B1 (ko) * 2001-11-29 2009-12-17 파커 한니핀 오와이 필터링 챔버내의 필터 요소를 세척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필터
KR100909377B1 (ko) * 2007-08-21 2009-07-24 정휘동 필터세척기능을 갖는 정수기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777A (ko)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146B1 (ko) 무동력 자동세척 필터링장치
JP2012157799A (ja) 逆流洗浄ストレーナー
KR102231821B1 (ko) 안경렌즈 연마수의 여과장치
JP5954346B2 (ja) 蛇口直結型浄水器
KR101837616B1 (ko) 필터 조립체 및 수처리 장치
CN103446799A (zh) 过滤器组装体及水处理装置
KR101468655B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0808905B1 (ko) 용수 여과장치
KR102327425B1 (ko)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생활용수용 흡착형 복합 필터
KR101499781B1 (ko) 오토 스트레이너
JP5491249B2 (ja) 蛇口直結型浄水器
KR101985292B1 (ko) 필터 자동 클리닝 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JP5578272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US7105090B2 (en) Backflushing filter
KR101129487B1 (ko) 산업 용수를 위한 정수 시스템의 전처리 여과장치
JPH0985019A (ja) 濾過装置
KR200304549Y1 (ko) 오폐수 여과장치
CN205182342U (zh) 一种自动断流的滤瓶及其顶盖
KR101561412B1 (ko) 역 세척방식을 구비한 여과장치
JPH0228365B2 (ko)
KR101269129B1 (ko) 공정액용 필터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터링방법
KR102247854B1 (ko) 옥내 수도관용 녹물 및 이물질 제거 필터
KR200476522Y1 (ko) 오토 스트레이너
KR101398791B1 (ko) 다수개의 다공패널이 설치된 수처리 여과장치
CN209815801U (zh) 一种臭氧氧化钛曝气盘反冲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