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579B1 - 향상된 형광 특성을 갖는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금속 이온 검출기 - Google Patents

향상된 형광 특성을 갖는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금속 이온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579B1
KR101837579B1 KR1020160115799A KR20160115799A KR101837579B1 KR 101837579 B1 KR101837579 B1 KR 101837579B1 KR 1020160115799 A KR1020160115799 A KR 1020160115799A KR 20160115799 A KR20160115799 A KR 20160115799A KR 101837579 B1 KR101837579 B1 KR 101837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ene quantum
quantum dot
gold
solution
graph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찬
김선준
박병호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5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65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5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copper, silver or g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3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01N33/58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with semiconductor nanocrystal label, e.g. quantum do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금속 이온 검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래핀 양자점에 비해 향상된 형광 특성을 갖는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금속 이온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는 그래핀 양자점(GQDs)과 금(Au)이 결합되어 형성된 구형의 복합체로서, 직경의 크기가 150~230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향상된 형광 특성을 갖는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금속 이온 검출기{GRAPHENE QUANTUM DOT AND AU NANOCOMPLEX HAVING AN ENHANCED PHOTOLUMINESCENCE CHARACTERIST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ETAL ION DETEC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금속 이온 검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래핀 양자점에 비해 향상된 형광 특성을 갖는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금속 이온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그래핀(graphene)은 탄소의 동소체 중 하나이며 탄소 원자들이 모여 2차원 평면을 이루고 있는 나노물질이다. 각 탄소 원자들은 육각형의 격자를 이루며 육각형의 꼭지점에 탄소 원자가 위치하고 있는 모양이다. 이 모양을 벌집구조(honeycomb structure) 또는 육방격자(hexagonal lattice)라고 부른다. 원자 1개의 두께로 이루어진 얇은 막으로, 두께는 0.2 nm(1nm는 10억 분의 1m), 즉, 100억 분의 2m 정도로 얇지만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이 높다.
그래핀에 기반한 나노 입자인 그래핀 양자점(Graphene Quantum Dots, GQDs)은 그래핀 고유의 월등한 물리적, 광학적 특성으로 인하여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이를 응용한 새로운 기술들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그래핀 양자점은 양자 구속(quantum confinement)과 가장자리 효과(edge effect)에 의해 뛰어난 발광 특성을 보여 주고 있으나 10%가 채 안 되는 낮은 양자 효율(Quantum yield)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금속 나노입자를 활용하여 표면 플라스몬(surface plasmon) 현상을 이용할 수 있다. 표면 플라스몬이란 외부 광파에 의해서 유전체와 금속의 경계면을 따라 광자와 금속 표면의 고밀도 전하 분포에 의해 일어나는 상호작용을 말하며 금, 은과 같은 물질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면 플라스몬은 나노 구조체에서 뛰어나게 발현되며 이러한 구조체를 만들기에 그래핀 양자점과 금 나노 입자는 매우 적합한 물질이다.
한편, 상용화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공정의 간소화와 수득률이며, 이 둘은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충분조건이다. 아무리 좋은 특성의 물질이 발견되었다 하더라도 이를 상용화할 수 없게 되면 실질적으로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시키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대표적인 물질로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의 경우에는 매우 좋은 물리적, 화학적 특성으로 인하여 각광받았고,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대량생산의 문제로 현재 상용화되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매우 좋은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가지면서도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고, 수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질과 그 제조방법에 대한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113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그래핀 양자점에 비해 향상된 형광 특성을 갖고, 제조 공정이 단순하면서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금속 이온 검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그래핀 양자점(GQDs)과 금(Au)이 결합되어 형성된 구형의 복합체로서, 직경의 크기가 150~230nm인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탄소(C) 원자와 금(Au) 원자가 결합된 중량비는 10 : 0.5~1.5 일 수 있고, 나노 복합체는 자외선 파장 영역의 빛에 의하여 여기 되어 400nm ~ 600nm 파장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그래핀 양자점 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그래핀 양자점 용액과 염화금산(HAuCl4) 용액을 혼합하는 제2단계; 자외선(UV light)을 조사하는 제3단계; 및 그래핀 양자점(GQDs)과 금이온이 자가조립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단계는, 흑연(Graphite)으로부터 그래핀 산화물(Graphene oxide)을 합성하는 단계; 및 그래핀 산화물을 황산(H2SO4) 및 염산(HCl) 혼합물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황산(H2SO4) 및 염산(HCl) 혼합물은 3 : 1의 부피비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제2단계에서, 그래핀 양자점 용액과 염화금산 용액은 10~300 : 50~400의 몰비로 혼합될 수 있고, 제3단계에서, 자외선은 1~5 분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10 ~ 400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방출기; 금속 이온이 포함되어 있는 용액이 자외선에 의해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반응부; 및 반응부로부터 방출되는 형광을 감지하는 형광 검출기;를 포함하는 금속 이온 검출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반응부는, 그래핀 양자점 용액을 포함할 수 있고, 금속 이온이 포함되어 있는 용액은 금 이온이 포함되어 있는 용액일 수 있으며, 형광 검출기는, 400 ~ 600nm 파장의 형광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래핀 양자점에 비해 우수한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그래핀 양자점에 비해 2배 이상 향상된 형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정이 단순하면서도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수득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향상된 형광 특성을 이용하여 금속 이온을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광전자 소자(optoelectronic devices), 생물학적 샘플의 화상(imaging of the biological samples)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에서 그래핀 양자점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이온 검출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그래핀 양자점 용액과 염화금산 용액을 혼합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과 후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의 성분을 분석한 에너지 분산형 분광분석 그래프(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이다.
도 7은 비교예 및 실시예의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사진이다.
도 8은 비교예 및 실시예의 광-발광(photoluminescence) 여기 및 방출 스펙트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양자 효율을 기준물질 대비 비교 계산법으로 얻어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특정 파장에서 실시예와 비교예의 형광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는 그래핀 양자점(GQDs)과 금(Au)이 결합되어 형성된 구형의 복합체로서, 직경의 크기가 150~230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친금성(aurophilicity, 배위화합물에서 금과 금 사이에 존재하는 인력)와 수소결합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금(Au)과 그래핀 양자점(GQDs)을 적절한 크기로 응집시킴으로써, 기존의 그래핀 양자점에 비해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형광 특성을 2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다. 형광(fluorescence)이란 물질이 에너지를 받아 빛을 발산(방출)하는 현상을 말하고, 물질의 광학 특성에 의해 형광 파장 및 세기가 결정되며 화학적으로 물질이 합성될 경우 기존의 물질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더해 새로운 성질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표면 플라스몬 현상을 이용하여 입사된 빛 에너지를 특정 구역으로 집중하고, 응축된 빛 에너지를 형광으로 변환한 후, 발산하여 그래핀 양자점의 낮은 형광 효율을 극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그래핀 양자점을 구성하는 탄소(C) 원자와 금(Au) 원자가 결합된 중량비는 10 : 0.5~1.5 일 수 있고, 자외선 파장 영역의 빛에 의하여 여기 되어 400nm ~ 600nm 파장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그래핀 양자점이 480nm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것과 달리, 보다 강한 480nm 파장의 빛을 방출할 수 있고, 나아가, 535nm 파장의 강한 빛도 방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은 그래핀 양자점 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그래핀 양자점 용액과 염화금산(HAuCl4) 용액을 혼합하는 제2단계; 자외선(UV light)을 조사하는 제3단계; 및 그래핀 양자점(GQDs)과 금이온이 자가조립하는 제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외선을 이용하여 금과 그래핀 양자점의 자가조립을 유도함으로써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향상된 나노 복합체를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고,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수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단계는 그래핀 양자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흑연(Graphite)으로부터 그래핀 산화물(Graphene oxide)을 합성하는 단계; 및 그래핀 산화물을 황산(H2SO4) 및 염산(HCl) 혼합물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에서 그래핀 양자점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흑연으로부터 그래핀 산화물을 합성하는 단계는, Hummer's 방법(modified Hummer's method)을 이용할 수 있다. Hummer's 방법(modified Hummer's method)은, 먼저, 상용의 흑연을 상온에서 고농도의 황산(H2SO4) 용액에 담지시켜 충분히 교반시킨 후, 흑연이 담지된 용액에 과망간산칼륨(KMnO4)을 투입한다. 이어서, 증류수를 이용하여 희석하고, 염산(HCl) 용액을 사용하여 세척함으로써 그래핀 산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그래핀 산화물을 황산(H2SO4) 및 염산(HCl) 혼합물에 첨가하는 단계는 제조된 그래핀 산화물을 황산(H2SO4) 및 염산(HCl) 혼합물이 3 : 1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용액에 첨가할 수 있다. 이어서, 혼합용액을 초음파 처리(sonication)하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산을 제거한 후, 다시 초음파 처리(sonication)한다. 이이서, 투석을 통해 pH를 7로 조정한 후, 교반함으로써 그래핀 양자점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단계는 그래핀 양자점 용액과 염화금산(HAuCl4)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로서, 그래핀 양자점 용액과 염화금산(HAuCl4) 용액은 10~300 : 50~400의 몰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6~250 : 98.4~328의 몰비로 혼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용액 속에 분산되어 있는 그래핀 양자점의 경우 분자마다 크기와 원자의 개수가 다르기 때문에 분자량이 일정한 값을 가지기 어려워 용액의 몰 농도 또한 범위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그래핀 양자점과 금 이온이 적절한 비율로 복합체를 형성하지 못하며 이에 따라 표면 플라스몬 효과 감소로 형광 효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단계는 혼합용액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로서, 자외선은 1~5분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분간 조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자외선의 세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210W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은 큰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전자기파로 그래핀 양자점과 금 이온 용액을 혼합한 후 입사 시키면 그래핀 양자점과 금 나노입자가 자가조립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여 화학적으로 두 물질이 결합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래핀 양자점 용액과 염화금산(HAuCl4) 용액을 섞게 되면 하기 화학식 1과 같이 용액상에서 Au3+이온이 분산되고, 이어서, 자외선(UV light)을 노광 시켜주면 그래핀 양자점이 에너지를 받아 들뜬 상태가 되고, 하기 화학식 2와 같이 들뜬 상태의 전자와 분산되어 있는 Au3+ 이온이 결합하면서 자가조립 하게 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87925215-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6087925215-pat00002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4단계는 그래핀 양자점(GQDs)과 금이온이 자가조립하는 단계로서, 자외선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은 그래핀 양자점과 금이온은 서로 뭉치게 되면서 구형의 나노 복합체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복합체를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이온 검출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이온 검출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이온 검출기(100)는 10 ~ 400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방출기(10); 금속 이온이 포함되어 있는 용액이 자외선에 의해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반응부(20); 및 반응부로부터 방출되는 형광을 감지하는 형광 검출기(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자외선을 반응부(20)에 조사한 후, 반응부(20)에서 방출되는 형광을 감지함으로써 특정 금속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반응부(20)는 그래핀 양자점 용액을 포함할 수 있고, 반응부로 공급되어 자외선에 의해 반응이 일어나는 금속 이온이 포함되어 있는 용액은 금 이온이 포함되어 있는 용액일 수 있으며, 형광 검출기(30)는 400 ~ 600nm 파장의 형광을 감지할 수 있다. 즉, 금 이온이 포함되어 있는 용액이 그래핀 양자점을 포함하는 반응부(20)에 공급되고, 자외선 방출기(1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상술한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가 형성되면 형광 검출기(30)는 480nm와 535nm의 파장에서 강한 빛을 감지함으로써, 금 이온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한편, 금 이온이 포함되지 않은 용액을 반응부(20)에 공급하는 경우, 자외선을 조사하더라도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가 형성되지 않고, 따라서, 535nm 파장의 영역의 빛이 검출되지 않아 금 이온이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그래핀 양자점 용액의 제조
흑연(graphite) 2g, 과황화칼륨(potassium persulfate, K2S2O8) 8g, 오산화이인(diphosphorus pentoxide, P2O5) 10g을 98% 황산(H2SO4) 용액 20ml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80℃로 가열한 후, 6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은 증류수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희석하고, 세척하며, 여과하여 pH를 7로 만들었다. 이어서, 황산(H2SO4) 존재 하에 과망간산칼륨(KMnO4)을 첨가하여 반응이 일어나게 하였고, 반응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증류수를 이용하여 희석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은 염산(HCl) 용액으로 세척하였고, 투석 튜브(dialysis tube, 12,000 Da, Spectrum Lab. Inc.)로 여과하여 그래핀 산화물(GO)를 수득하였다.
분산된 그래핀 산화물(GO)을 황산(H2SO4) 및 염산(HCl)이 3:1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물에 첨가하였고, GO 입자를 박리하여 매우 고른 입자로 만들기 위하여 혼합물은 100℃에서 24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이어서, 산을 제거하고, 용액 내 침전물을 얻기 위하여 현탁액(suspension)을 10,000rpm으로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GO 입자들을 분산하기 위해 수집된 그래핀 산화물은 증류수 50ml에 넣어 초음파 처리하였다. 이어서 투석 튜브(dialysis tube, 12,000 Da, Spectrum Lab. Inc.)를 이용하여 pH가 7이 되도록 투석하였다. 최종적으로, GO 용액을 수산화칼륨(KOH) 25g과 하이드라진(hydrazine, N2H4) 5㎕에 첨가하고, 10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그래핀 양자점 용액(aqua-suspended GQDs, 0.5mg/mL)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의 합성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그래핀 양자점 용액(16~250μM) 1mL에 묽은 염화금산(HAuCl4, 1.64mM) 용액을 각각 60, 140, 200㎕ 첨가하였다. 이어서 210W의 자외선을 2분간 조사하여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GQD/Au nanosphere, GQDs/Au)를 제조하였고, 각각 실시예 1(GQD/Au 60), 실시예 2(GQD/Au 140), 실시예 3(GQD/Au 200)으로 하였다.
[비교예]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그래핀 양자점을 비교예(GQDs)로 하였다.
[실험예 1 : 자외선 조사 전과 후의 관찰]
실시예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과 후의 색깔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사진을 찍었고, 이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자외선 조사 전과 후, 즉, 나노 복합체 형성 전과 후의 색이 현저히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 성분 분석]
에너지 분산형 분광분석법(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을 이용하여 실시예(GQDs/Au)3을 구성하고 있는 원자에 대하여 성분을 분석하였고, 이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실시예 3에서 탄소 원자와 금 원자가 약 10: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 나노 복합체의 크기 관찰(투사전자현미경, TEM)]
투사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실시예 3 및 비교예(GQDs)의 크기를 확인하였고, 이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비교예(GQDs)의 경우 2~10 nm 정도의 입자들이 분산되어 있고, 실시예 3의 경우 전체적으로 150~230nm의 직경을 가지며, 평균적으로 175nm의 직경을 가지는 구형 입자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에서 금 입자의 크기는 대략 20~35 nm인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 형광특성 확인]
실시예와 비교예의 광-발광 여기 및 방출 스펙트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금 이온과 그래핀 양자점이 합성되는 과정에서 기존 그래핀 양자점에 추가적인 광학 특성이 발생되었으며 새로운 발광파장으로 발현되었다. 그래핀 양자점 고유의 발광 파장은 약 480nm 정도이며 금 나노입자 그래핀 양자점 복합체의 형광은 그래핀 양자점과 같은 형광특성을 포함하여 480nm와 함께 535nm의 새로운 발광 파장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 양자효율 비교]
실시예 3과 비교예의 양자 효율을 형광표준물질에 대비하여 계산한 그래프를 도 9에 나타내었다. 기존 비교예(GQDs)의 치명적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낮은 양자효율을 실시예를 통하여 향상시켰으며, 도 9를 통해 실시예 3은 비교예에 비해 약 2.5배의 높은 양자효율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대적 양자효율 계산을 위해 하르말린(Harmaline)이라는 표준물질이 활용되었으며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계산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16087925215-pat00003
상기 수학식 1에서 φ는 양자효율을 의미하고, Grad는 파장에 따른 형광세기 적분 값과 흡광도를 변수로 하는 그래프의 기울기이며, n은 시험 물질들이 담긴 용매의 굴절률을 의미한다.
[실험예 6 : 형광 이미지 관찰]
특정 파장에서 실시예 3과 비교예의 형광 이미지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실시예 3 및 비교예의 형광특성은 상이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58 ~ 495nm의 파장에서는 실시예 3 및 비교예가 서로 비슷한 형광색을 보여주고 있지만, 실시예 3은 추가적으로 410 ~ 460nm와 540 ~ 590nm 파장을 가지는 형광색을 보여주고 있다. 모든 파장구간에서 실시예 3의 색이 더 밝게 나타난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이는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가 표면 플라스몬에 의해 더 향상된 형광특성을 보여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7 : 금속 이온 검출기에 활용]
350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방출기, 그래핀 양자점 용액(16~250μM) 1mL를 포함하는 반응부 및 400 ~ 600nm 파장의 형광을 감지하는 형광 검출기를 준비하였다. 반응부에 묽은 염화금산(HAuCl4, 1.64mM) 용액을 각각 60, 140, 200㎕ 첨가하였고, 형광 검출기에서 감지하는 각 염화금산 첨가량에 따른 형광 세기를 측정하여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묽은 염화금산 용액의 농도에 따라 형광 세기가 선형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금속이온 검출기의 플랫폼은 다양한 금속 이온 검출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금속 이온 검출기
10 : 자외선 방출기
20 : 반응부
30 : 형광 검출기

Claims (12)

  1. 그래핀 양자점(GQDs)과 금(Au)이 결합되어 형성된 구형의 복합체로서,
    직경의 크기가 150~23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탄소(C) 원자와 금(Au) 원자가 결합된 중량비는 10 : 0.5~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자외선 파장 영역의 빛에 의하여 여기 되어 400nm ~ 600nm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4. 그래핀 양자점 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그래핀 양자점 용액과 염화금산(HAuCl4) 용액을 혼합하는 제2단계;
    자외선(UV light)을 조사하는 제3단계; 및
    그래핀 양자점(GQDs)과 금이온이 자가조립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제1단계는,
    흑연(Graphite)으로부터 그래핀 산화물(Graphene oxide)을 합성하는 단계; 및
    그래핀 산화물을 황산(H2SO4) 및 염산(HCl) 혼합물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황산(H2SO4) 및 염산(HCl) 혼합물은 3 : 1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제2단계에서,
    그래핀 양자점 용액과 염화금산 용액은 10~300 : 50~400 의 몰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제3단계에서,
    자외선은 1~5 분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115799A 2016-09-08 2016-09-08 향상된 형광 특성을 갖는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금속 이온 검출기 KR101837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799A KR101837579B1 (ko) 2016-09-08 2016-09-08 향상된 형광 특성을 갖는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금속 이온 검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799A KR101837579B1 (ko) 2016-09-08 2016-09-08 향상된 형광 특성을 갖는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금속 이온 검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579B1 true KR101837579B1 (ko) 2018-03-13

Family

ID=61660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799A KR101837579B1 (ko) 2016-09-08 2016-09-08 향상된 형광 특성을 갖는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금속 이온 검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5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2390A (zh) * 2019-03-15 2019-06-07 苏州科技大学 基于碲化镉量子点/氧化还原石墨烯复合物的电致化学发光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209938A (zh) * 2021-04-12 2021-08-06 上海纳米技术及应用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核壳结构的金纳米粒子@磷硫共掺杂石墨烯量子纳米复合物的制备及产品和应用
CN113358620A (zh) * 2021-02-26 2021-09-07 电子科技大学 一种利用石墨烯量子点检测叶绿素和类胡萝卜素含量的荧光分析方法
KR20220067272A (ko) * 2020-11-17 2022-05-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자점을 포함하는 나노복합체의 안정성 평가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132B1 (ko) 2011-11-07 2014-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핀 양자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그래핀 양자점
KR101440542B1 (ko) 2008-06-26 2014-09-16 한국과학기술원 전도성 그라핀을 이용한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542B1 (ko) 2008-06-26 2014-09-16 한국과학기술원 전도성 그라핀을 이용한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361132B1 (ko) 2011-11-07 2014-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핀 양자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그래핀 양자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2390A (zh) * 2019-03-15 2019-06-07 苏州科技大学 基于碲化镉量子点/氧化还原石墨烯复合物的电致化学发光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852390B (zh) * 2019-03-15 2022-03-01 苏州科技大学 基于碲化镉量子点/氧化还原石墨烯复合物的电致化学发光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20067272A (ko) * 2020-11-17 2022-05-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자점을 포함하는 나노복합체의 안정성 평가방법
KR102409219B1 (ko) 2020-11-17 2022-06-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자점을 포함하는 나노복합체의 안정성 평가방법
CN113358620A (zh) * 2021-02-26 2021-09-07 电子科技大学 一种利用石墨烯量子点检测叶绿素和类胡萝卜素含量的荧光分析方法
CN113358620B (zh) * 2021-02-26 2022-08-12 电子科技大学 一种利用石墨烯量子点检测叶绿素和类胡萝卜素含量的荧光分析方法
CN113209938A (zh) * 2021-04-12 2021-08-06 上海纳米技术及应用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核壳结构的金纳米粒子@磷硫共掺杂石墨烯量子纳米复合物的制备及产品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Preparation of high-quality biocompatible carbon dots by extraction, with new thoughts on the luminescence mechanisms
Sarkar et al. Size dependent photoluminescence property of hydrothermally synthesized crystalline carbon quantum dots
KR101837579B1 (ko) 향상된 형광 특성을 갖는 금을 포함하는 그래핀 양자점 나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금속 이온 검출기
Chen et al. Large scale synthesis of photoluminescent carbon nanodots and their application for bioimaging
Gao et al. One-pot synthesis of carbon nanodots for fluorescence turn-on detection of Ag+ based on the Ag+-induced enhancement of fluorescence
Wang et al. Chemiluminescence of CdTe nanocrystals induced by direct chemical oxidation and its size-dependent and surfactant-sensitized effect
Rai et al. Enhanced red upconversion emission, magnetoluminescent behavior, and bioimaging application of NaSc0. 75Er0. 02Yb0. 18Gd0. 05F4@ AuNPs nanoparticles
Runowski et al. Preparation of biocompatible, luminescent-plasmonic core/shell nanomaterials based on lanthanide and gold nanoparticles exhibiting SERS effects
Xiao et al. Fluorescent carbon dots: facile synthesis at room temperature and its application for Fe 2+ sensing
Liu et al. Preparation of nitrogen-doped carbon dots with high quantum yield from Bombyx mori silk for Fe (III) ions detection
Zhang et al. Rapid synthesis of N, S co-doped carbon dots and their application for Fe 3+ ion detection
Luo et al. Glutathione‐stabilized Cu nanocluster‐based fluorescent probe for sensitive and selective detection of Hg2+ in water
Marin et al. Mercaptosilane-passivated CuInS2 quantum dots for luminescence thermometry and luminescent labels
Theodorou et al. Significant metal enhanced fluorescence of Ag 2 S quantum dots in the second near-infrared window
Huo et al. Preparation and biomedical applications of multicolor carbon dots: recent advances and future challenges
Hariharan et al. Optical and surface band bending mediated fluorescence sensing properties of MoS 2 quantum dots
Wang et al. Microwave-assisted synthesis of high-quality CdTe/CdS@ ZnS–SiO2 near-infrared-emitting quantum dots and their applications in Hg2+ sensing and imaging
Tran et al. Sustainable fabrication of green luminescent sulfur-doped graphene quantum dots for rapid visual detection of hemoglobin
Su et al. Carbon nanopowder directed synthesis of carbon dots for sensing multiple targets
Yuan et al. Single nanoporous gold nanowire as a tunable one-dimensional platform for plasmon-enhanced fluorescence
JP5915529B2 (ja) 半導体ナノ粒子集積体の製造方法
Ren et al. Silver nanoclusters functionalized by chromotropic acid and layered double hydroxides for the turn-on detection of melamine
Prikhozhdenko et al. Solvothermal synthesis of hydrophobic carbon dots in reversed micelles
Hwang et al. Simple preparation of fluorescent silicon nanoparticles from used Si wafers
Sui et al. Plasmon-controlled narrower and blue-shifted fluorescence emission in (Au@ SiO 2) SiC nanohybr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