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558B1 -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558B1
KR101837558B1 KR1020170053234A KR20170053234A KR101837558B1 KR 101837558 B1 KR101837558 B1 KR 101837558B1 KR 1020170053234 A KR1020170053234 A KR 1020170053234A KR 20170053234 A KR20170053234 A KR 20170053234A KR 101837558 B1 KR101837558 B1 KR 101837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tag
content
user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304A (ko
Inventor
전봉준
손혜은
한고은
백현빈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48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7/3086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가,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 가능한 라벨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라벨 중 어느 하나의 라벨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가, 본문을 입력받는 입력 영역과 추천태그를 제공하는 추천태그 제공 영역을 포함하는 본문 입력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 및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통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태그를 상기 추천태그로써 제공하고, 상기 라벨에 대응되는 추천 태그를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통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추천 태그보다 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haring service,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one of th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인터넷 등의 통신망의 보급과 접근성이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 상에서 사용자들이 컨텐츠를 서로 공유하고자 하는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자들 간 컨텐츠를 공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활발하게 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 가능한 라벨 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라벨 중 어느 하나의 라벨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본문을 입력받는 입력 영역과 추천태그를 제공하는 추천태그 제공 영역을 포함하는 본문 입력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선택된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를 상기 추천태그로써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 가능한 라벨의 리스트를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라벨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라벨 중 어느 하나의 라벨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선택된 상기 라벨을 상기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 본문을 입력받는 입력 영역과 추천태그를 제공하는 추천태그 제공 영역을 포함하는 본문 입력 화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본문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를 상기 추천태그로써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 가능한 라벨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라벨 리스트 제공부;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라벨 중 어느 하나의 라벨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라벨 선택 수신부; 및 본문을 입력받는 입력 영역과 추천태그를 제공하는 추천태그 제공 영역을 포함하는 본문 입력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선택된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를 상기 추천태그로써 제공하는 본문 입력 화면 제공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통해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통해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 가능한 라벨의 리스트를 요청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라벨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통해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라벨 중 어느 하나의 라벨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표시 제어부는 선택된 상기 라벨을 상기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통해 본문을 입력받는 입력 영역과 추천태그를 제공하는 추천태그 제공 영역을 포함하는 본문 입력 화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본문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를 상기 추천태그로써 표시하는 표시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태그 기반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위해 컨텐츠 등록 및 태그 지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컨텐츠에 라벨을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라벨의 표시 상태를 직접 편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컨텐츠를 편집하여 업로드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선택한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를 컨텐츠에 대한 추천 태그로써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태그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서버(100)에 구비되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되는 표시 제어 장치(2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 제공되는 화면의 다양한 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이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세히,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가 컨텐츠를 업로드하고, 업로드한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를 조회하고, 인기 컨텐츠를 조회하는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가 컨텐츠를 업로드하면 이를 기반으로 포스트를 생성하여 서버(100)에 등록하며, 다른 사용자들이 서버(100)에 등록된 컨텐츠를 조회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들은 본인 또는 다른 사용자들이 업로드한 컨텐츠를 “추천”하여 컨텐츠에 대한 호감을 표시하거나, 컨텐츠에 덧글을 작성하거나, 컨텐츠를 자신의 계정으로 공유하는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가 컨텐츠를 업로드하여 포스트를 생성하고자 할 때, 컨텐츠에 적합한 추천 태그를 제공할 수 있다. 추천 태그는 다양한 로직에 따라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가 컨텐츠를 업로드하여 포스트를 생성하고자 할 때, 컨텐츠 상에 라벨을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택한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를 컨텐츠에 대한 추천 태그로 제공함으로써, 실제 사용자가 지정하고자 할 가능성이 높은 태그를 추천 태그로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추천 태그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들이 서로 관계를 맺고, 사용자들 간의 관계를 기반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서로를 친구 관계로 지정할 수 있고,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를 친구 관계로 지정된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되는 컨텐츠는 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 각종 정보나 내용물을 의미하며,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를 업로드하면서, 컨텐츠에 대한 태그를 하나 이상 지정할 수 있다. 태그는 텍스트 기반일 수 있고, 컨텐츠와 관련된 단어들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맛있는 음식에 대한 사진을 업로드하면서, “음식”, “먹방”, “맛집” 등의 텍스트를 해당 사진에 대한 태그로 지정할 수 있다. 태그는 컨텐츠에 부여되는 일종의 메타데이터로써, 컨텐츠 관리, 조회, 검색 등 다양한 기능에 활용될 수 있다. 컨텐츠의 작성자 혹은 등록자가 직접 태그를 지정하므로, 컨텐츠와의 실제 연관성, 트랜드 반영 등의 측면에서 오류 없는 적합한 태그가 지정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는, 컨텐츠가 생성된 시간, 컨텐츠가 생성된 위치 좌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가 컨텐츠를 업로드할 때 컨텐츠의 메타데이터가 함께 업로드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서버(100)는 사용자 계정 및 컨텐츠와 관련된 자료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를 관리 및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01)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202)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202)이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를 구비한다.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마이크, 버튼, 터치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네트워크(300)는 사용자 단말(200)과 서버(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3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서버(100)에 접속한 후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메모리, 입/출력부, 프로그램 저장부,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사상은 다양한 실시예로써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에 라벨의 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를 추천태그로 선정하여 제공하는 동작이 서버(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업로드하여 포스트를 생성하고자 할 때, 컨텐츠 상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는 라벨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라벨이 선택되면, 선택된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여 추천태그로써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최종적으로 라벨이 적용된 컨텐츠, 본문이 수신되고, 이에 대한 태그가 수신되면, 컨텐츠와 본문을 포함하는 포스트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수신된 태그를 포스트에 대한 태그로 지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컨텐츠를 업로드하여 포스트를 생성하고자 할 때 컨텐츠 상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는 라벨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라벨이 선택되면, 선택된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의 정보를 메모리에서 조회하여 추천태그로써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라벨의 리스트는, 사용자 요청이 있을 때마다 실시간으로 서버(100)에서 제공받아서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지만, 미리 서버(100)로부터 다운받아서 메모리에 저장해두고 사용자 요청이 있을 때 메모리에서 불러와서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세부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 설계 변경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관하여 각각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에 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제2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며, 제2 실시예에 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제1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므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중복하여 적용되는 설명은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 중 어느 하나를 참고하여 설명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서버(100)에 구비되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도 2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도 1에 도시된 서버(100)에 탑재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컨텐츠 공유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에게 컨텐츠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계정 및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다.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200)에 컨텐츠를 등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컨텐츠 등록에 사용 가능한 각종 데이터, 예컨대 라벨 리스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라벨을 선택하면, 이에 대응되는 태그를 메모리(115)에서 조회하여 추천태그로써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라벨 리스트 제공부(111), 라벨 선택 수신부(112), 본문 입력 화면 제공부(113), 포스트 관리부(114) 및 메모리(115)를 포함한다. 각각의 구성(unit)은 하나의 프로세서 상에서 모두 구현되며 기능에 따라 구분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각각 별개의 프로세서 상에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각각의 구성의 기능은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통해 통합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각 구성의 기능이 별개의 프로그램 코드로 작성되고, 각 프로그램 코드가 연계되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10)가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리스트 제공부(111)는 사용자가 업로드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는 라벨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업로드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적어도 하나의 라벨을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 가능한 라벨의 리스트의 제공을 서버(100)에 요청할 수 있고, 라벨 리스트 제공부(111)는 사용자의 라벨 리스트 제공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라벨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를 선택한 후 라벨 리스트 제공 요청을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고, 라벨 리스트 제공부(111)로부터 제공된 라벨 리스트는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상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라벨 리스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라벨이 포함된다. 라벨 리스트에 포함된 라벨은 사용자가 업로드하고자 하는 컨텐츠와 무관할 수 있다. 라벨 리스트 제공부(111)는 메모리(115)에 저장된 복수의 라벨을 포함하는 라벨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라벨 리스트에 포함된 라벨은 사용자가 유료로 구매하여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라벨일 수 있다. 이 경우 라벨 리스트 제공부(111)는 메모리(115)에 사용자 계정과 연관되어 저장된 하나 이상의 라벨을 포함하는 라벨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 라벨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라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선택 수신부(112)는 라벨 리스트 제공부(111)가 제공한 라벨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라벨 중 어느 하나의 라벨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라벨은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서 컨텐츠와 중첩되어 표시될 것이다.
사용자에 의해 라벨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200)에는 컨텐츠와 라벨이 중첩되어 표시되며, 라벨의 표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편집 도구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구를 조작하여 라벨의 표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구를 조작하여 라벨의 그림자, 투명도, 색상, 형태, 크기, 각도 중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라벨 선택 수신부(112)는 선택된 라벨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 도구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컨텐츠에 라벨을 중첩하여 표시한 후, 또 다른 라벨을 선택하기 위해 라벨 리스트 제공을 서버(100)에 요청할 수 있다. 라벨 리스트 제공부(111)에 의해 라벨 리스트가 제공되면, 컨텐츠에 중첩 표시하고자 하는 라벨을 추가로 선택한다. 선택된 라벨은 컨텐츠와 중첩되어 표시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사용자는 복수의 라벨을 컨텐츠에 중첩 표시할 수 있다. 최대 표시 가능한 라벨의 개수는 관리자에 의해 기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라벨 개수는 5개로 기설정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하여 최대 5개의 라벨을 선택하여 컨텐츠에 중첩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 상에 라벨을 붙이는 등 컨텐츠에 대한 편집이 완료되면, 컨텐츠에 대한 본문을 입력하기 위해 본문 입력 화면 제공 요청을 서버(100)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문 입력 화면 제공부(113)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본문 입력 화면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본문 입력 화면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본문 입력 화면은 본문을 입력받는 입력 영역과 추천태그를 제공하는 추천태그 제공 영역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입력 영역에 컨텐츠에 대한 본문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입력 영역에 기설정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대하여 지정하고자 하는 태그를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추천태그 제공 영역에 제공된 추천 태그를 선택함으로써 컨텐츠에 대해 지정할 태그를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추천태그 제공 영역에 제공된 추천 태그를 선택하면, 선택된 추천 태그가 식별자와 함께 입력 영역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본문 입력 화면 제공부(113)는 추천 태그 제공 영역에 제공될 추천 태그를 기설정된 방법에 의해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문 입력 화면 제공부(113)는 라벨 선택 수신부(112)가 수신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선택된 라벨(이하, 제1 라벨이라고 한다.)에 대응되는 태그를 추천 태그로 선정하여 추천 태그 제공 영역에 제공할 수 있다. 라벨 리스트 제공부(111)에 의해 제공되는 라벨 각각에는 태그가 대응될 수 있다. 라벨 및 이에 대응되는 태그의 정보는 메모리(115)에 기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라벨은 이미지, 텍스트, 또는 이미지와 텍스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데, 사용자에 의해 라벨 내용이 변형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라벨의 텍스트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는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일 수 있다. 다만, 라벨의 텍스트가 사용자의 닉네임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본문 입력 화면 제공부(113)는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를 추천 태그로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라벨이 선택되고,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라벨이 중첩 표시된 경우에는, 본문 입력 화면 제공부(113)는 복수의 라벨 각각에 대응되는 태그를 모두 추천 태그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라벨의 개수만큼의 추천 태그가 제공된다.
본문 입력 화면 제공부(113)는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위치정보, 촬영 시간정보 등에 기초하여 추천 태그를 제공하거나, 또는 실시간 인기 태그를 추천 태그로 제공하는 등 라벨과 무관한 추천 태그들을 제공할 수 있고, 라벨과 관련된 추천 태그를 추가로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문 입력 화면 제공부(113)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의 메모리에서 불러온다.
추천 태그 제공 영역에 제공되는 추천 태그는 최대 개수가 제한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본문 입력 영역 제공부(113)는 추천 태그 제공 영역에 최대 5개의 추천 태그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라벨과 관련된 추천 태그의 개수는, 전술한 최대 추천 태그 개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추천 태그의 개수에 포함되지 않는다. 즉, 본문 입력 영역 제공부(113)는 라벨과 무관하게 제공되는 추천 태그를 최대 5개 제공하며, 이와 무관하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를 추천 태그로써 추가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최대 추천 태그 개수가 5개이고, 전술한 최대 라벨 개수가 5개인 경우, 본문 입력 영역 제공부(113)는 라벨과 무관한 추천 태그를 최대 5개, 라벨에 대응되는 추천 태그를 최대 5개 제공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총 10개의 추천 태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는, 라벨의 내용과 연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는 라벨에 포함된 텍스트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고, 라벨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기저장된 텍스트일 수도 있고, 그 외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되어 메모리(115)에 기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본문 및 태그의 입력이 완료되면, 포스트 등록 요청을 서버(100)에 전송한다. 사용자가 선택 및 편집한 라벨이 중첩되어 표시된 컨텐츠와, 본문 입력 화면의 입력 영역에 입력된 본문과, 본문 입력 화면의 입력 영역에 기설정된 식별자와 함께 입력된 태그가 포스트 관리부(114)에 전송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관리부(114)는 전술한 컨텐츠, 본문, 및 태그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컨텐츠, 본문, 태그에 기초하여 메모리(115) 또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포스트를 등록한다. 상세히, 포스트 관리부(114)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및 본문을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태그가 지정된, 포스트를 등록한다.
포스트 관리부(114)는 포스트를 등록하는 기능 뿐 아니라 등록된 포스트의 엔드(end) 페이지를 제공하거나, 엔드 페이지에서 연결되는 다른 페이지들을 더 제공하는 기능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스트 관리부(114)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등록된 포스트 각각에 대한 엔드(end) 페이지를 제공한다. 포스트의 엔드 페이지란, 하나의 포스트에 대응되는 페이지를 의미하며, 복수의 포스트가 나열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특정 포스트를 선택하였을 때 해당 포스트의 엔드 페이지가 제공된다. 포스트 관리부(114)는 특정 포스트의 엔드 페이지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특정 포스트의 엔드 페이지를 제공한다. 포스트의 엔드 페이지는, 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 본문 및 태그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들이 표시한 공감 정보와 덧글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에 라벨이 중첩되어 등록된 경우에는, 포스트의 엔드 페이지에 표시된 컨텐츠 상에서도 라벨이 중첩되어 표시된다.
포스트 관리부(114)는 특정 포스트의 엔드 페이지에서 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된 라벨에 대한 선택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선택된 라벨과 연관된 다른 포스트들을 나열한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스트 관리부(114)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가 지정된 포스트들을 나열하는 페이지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라벨과 동일한 라벨이 중첩 표시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포스트들을 나열하는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포스트 관리부(114)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가 지정된 포스트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라벨과 동일한 라벨이 중첩 표시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포스트들을 모두 나열하는 페이지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컨텐츠에 중첩 표시된 라벨을 선택함으로써, 라벨과 연관된 다른 포스트들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다.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15)는 사용자 계정 관련 정보, 라벨 및 추천태그 정보, 컨텐츠 등록 정보 등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1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15)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메모리(115)는 도 2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10)의 내부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메모리(115)는 데이터베이스로써 외부에 구비될 수 있고,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2에 도시된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에서 라벨 리스트 제공부(111)는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 가능한 라벨의 리스트를 제공한다.
단계 32에서 라벨 선택 수신부(112)는 단계 31에서 제공된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라벨 중 어느 하나의 라벨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한다.
단계 33에서 본문 입력 화면 제공부(113)는 입력 영역과 추천 태그 제공 영역을 포함하는 본문 입력 화면을 제공한다. 입력 영역은 본문을 입력받을 수 있고, 추천 태그 제공 영역은 추천 태그를 노출한다. 단계 33에서 본문 입력 화면 제공부(113)는 단계 32에서 선택된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를 추천태그로써 제공할 수 있다.
단계 34에서 포스트 관리부(114)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입력 영역에 입력된 본문 및 태그를 수신하여, 컨텐츠 및 본문을 포함하고 태그가 지정된 포스트를 등록한다. 본문과 태그는 단계 33에서 제공되는 본문 입력 화면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에서 입력되어 포스트 관리부(114)에 전송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서버(100)에 구비된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200)에게 라벨 리스트를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라벨에 대응되는 추천태그를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에 구비된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10)로부터 제공되는 라벨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라벨을 선택하여 컨텐츠에 중첩 표시하고, 본문 및 태그를 입력하여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10)에 전송한다.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본문, 태그에 기초하여 포스트를 생성 및 등록한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되는 표시 제어 장치(2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21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 장치(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2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도 4의 표시 제어 장치(210)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표시 제어 장치(210)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 장치(21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210)는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표시 제어 장치(2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 및 인지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으며, 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다. 표시 제어 장치(210)는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컨텐츠를 조회 및/또는 등록할 수 있도록 화면의 표시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 장치(210)는 컨텐츠 공유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되어 미리 다운로드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라벨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를 화면에 표시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210)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211), 표시 제어부(212),및 메모리(213)를 포함한다. 각각의 구성(unit)은 하나의 프로세서 상에서 모두 구현되며 기능에 따라 구분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각각 별개의 프로세서 상에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각각의 구성의 기능은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통해 통합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각 구성의 기능이 별개의 프로그램 코드로 작성되고, 각 프로그램 코드가 연계되어 표시 제어 장치(210)가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 수신부(211)는 사용자 단말(200)의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장치는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마이크, 카메라, 제스쳐 인식 센서, 또는 그 외 기타 물리적 버튼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212)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211)에 의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의 표시를 제어한다.
먼저, 사용자 입력 수신부(211)에 의해 컨텐츠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표시 제어부(212)는 선택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표시 제어부(212)는 선택된 컨텐츠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컨텐츠 공유 어플리케이션 상의 화면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입력 수신부(211)에 의해 라벨 리스트 요청 입력이 수신되면, 표시 제어부(212)는 라벨 리스트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라벨 리스트 요청 버튼을 선택하여 컨텐츠에 중첩 표시 가능한 라벨의 리스트 요청을 입력할 수 있고, 표시 제어부(212)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라벨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입력 수신부(211)를 통해 어느 하나의 라벨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표시 제어부(212)는 선택된 라벨을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라벨의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표시 제어부(212)는 선택된 라벨을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입력 수신부(211)에 의해 라벨을 편집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표시 제어부(212)는 이에 대응하여 라벨을 편집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라벨과 함께 표시된 편집도구를 이용하여 라벨의 표시 상태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벨의 텍스트를 변경하거나, 라벨의 표시 위치, 각도, 색상, 투명도 등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컨텐츠에 라벨을 중첩하여 표시한 후, 또 다른 라벨을 선택하기 위해 라벨 리스트 요청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라벨 리스트가 제공되면, 사용자는 컨텐츠에 중첩 표시하고자 하는 라벨을 추가로 선택한다. 선택된 모든 라벨은 컨텐츠와 중첩되어 표시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사용자는 복수의 라벨을 컨텐츠에 중첩 표시할 수 있다. 최대 표시 가능한 라벨의 개수는 관리자에 의해 기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라벨 개수는 5개로 기설정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하여 최대 5개의 라벨을 선택하여 컨텐츠에 중첩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입력 수신부(211)에 의해 본문 입력 화면 요청이 수신되면, 표시 제어부(212)는 이에 대응하여 본문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컨텐츠 및 라벨에 대한 편집이 완료되면 본문 입력 화면으로 넘어가기 위한 버튼을 선택할 수 있고, 표시 제어부(212)는 이에 대응하여 본문 입력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문 입력 화면은 입력 영역과 추천 태그 제공 영역을 포함하고, 입력 영역은 본문을 입력받으며, 추천 태그 제공 영역은 추천 태그를 노출한다. 한편, 표시 제어부(212)는 추천 태그 제공 영역에 추천 태그를 표시할 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컨텐츠에 중첩 표시된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를 추천 태그로써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212)는 추천 태그 제공 영역에, 서버(100)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직접 선정한 일반 추천 태그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라벨에 대응되는 추천 태그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일반 추천 태그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라벨과 무관한 추천 태그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선정된 태그이거나, 기설정된 방법으로 서버(100)에 의해 선정된 태그일 수 있다. 이 때, 표시 제어부(212)는 일반 추천 태그보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라벨에 대응되는 추천 태그를 우선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표시한다는 것은 가장 상단에, 또는 가장 좌측에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라벨이 선택되고,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라벨이 중첩 표시된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212)는 복수의 라벨 각각에 대응되는 태그를 모두 추천 태그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라벨의 개수만큼의 추천 태그가 제공된다. 표시 제어부(212)는 사용자에 의해 먼저 선택된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일수록 추천 태그 제공 영역에 우선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3개의 라벨을 선택한 경우, 각각의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는 각각의 라벨이 제공된 순서대로 추천 태그 제공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입력 수신부(211)에 의해 컨텐츠 업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통신부(미도시)는 라벨이 표시된 컨텐츠, 입력 영역에 입력된 본문 및 태그를 서버(100)에 전송한다. 한편 태그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 영역에 직접 입력되거나, 추천 태그 제공 영역에서 선택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213)는 사용자 단말(200)이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13)에는 서버(100)에서 다운로드된 컨텐츠 공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가 촬영한 컨텐츠 및 이의 메타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213)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4에 도시된 표시 제어 장치(2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4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에서 도 4의 사용자 입력 수신부(211)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를 선택받고, 도 4의 표시 제어부(212)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한다.
단계 52에서 사용자 입력 수신부(211)는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 가능한 라벨의 리스트를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 53에서 표시 제어부(212)는 라벨 리스트를 표시한다. 라벨 리스트는 서버(100)로부터 제공받거나, 또는 도 24의 메모리(213)에 저장된 것을 불러와서 표시한다.
단계 54에서 사용자 입력 수신부(211)는 단계 53에서 표시된 라벨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라벨 중 어느 하나의 라벨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한다.
단계 55에서 표시 제어부(212)는 단계 54에서 선택된 라벨을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한다.
단계 56에서 사용자 입력 수신부(211)는 본문 입력 화면 요청을 수신한다. 사용자는 컨텐츠 및 라벨에 대한 편집이 종료되면 본문을 입력하기 위해 본문 입력 화면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본문 입력 화면은 본문을 입력하는 입력영역과 추천태그가 표시되는 추천태그 제공 영역을 포함한다.
단계 57에서 표시 제어부(212)는 본문 입력 화면을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하고, 단계 54에서 선택된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를 추천 태그로써 추천 태그 제공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58에서 도 4의 통신부(미도시)는 컨텐츠, 본문 및 태그를 서버(100)에 전송한다. 컨텐츠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및 편집된 라벨이 중첩 표시될 수 있다. 본문 및 태그는 단계 57에서 표시된 본문 입력 화면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단계 55 이후 및 단계 56 이전에 사용자 입력 수신부(211)는 라벨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표시 제어부(212)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라벨의 표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도 6a 내지 도 13을 설명할 때 상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210)가 화면을 제공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는 부분이 있더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이하에서 도 6a 내지 도 13을 설명할 때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10)가 화면을 제공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는 부분이 있더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하에서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는 화면을 예로 들어 자세하게 설명되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은, 전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도 6a는 도 4의 표시 제어부(212)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이다.
상세히, 도 6a에 도시된 화면(60)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61)가 표시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라벨과 관련된 도구가 표시되어 있고, 최하단에는 컨텐츠에 다양한 표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도구가 표시되어 있다.
라벨은 컨텐츠(61)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는 일종의 스탬프 또는 스티커와 같은 개념의 표시 요소이다. 사용자는 라벨 리스트 아이콘(62)을 선택하여 라벨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다.
도 6b는 사용자가 도 6a의 화면(60)에서 라벨 리스트 아이콘(62)을 선택하였을 때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 6b에 도시된 화면(60)에서는 복수의 라벨들이 나열되어 있다. 사용자는 화면(60)에 표시된 복수의 라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라벨은 이미지, 텍스트, 또는 이미지와 텍스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라벨(631)은 “홍길동”이라는 텍스트로 구성되며, 제2 라벨(632)은 “꿀팁”이라는 텍스트와 도형 이미지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1 라벨(631)은 사용자의 닉네임을 표시하는 라벨일 수 있으며, 도 6b에서는 사용자의 닉네임이 “홍길동”인 경우의 예가 도시되었다. 텍스트만으로 구성된 라벨은, 사용자가 그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라벨(631)을 롱탭하는 등의 기설정된 입력 신호를 입력하면, 제1 라벨(631)의 텍스트를 변경할 수 있는 창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하면, 제1 라벨(631)의 텍스트가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로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가 도 6b의 화면(60)에서 제2 라벨(632)을 선택하였을 때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 7에 도시된 화면(70)에서는 컨텐츠(61)에 사용자가 선택한 라벨(71)이 중첩되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라벨(71)의 디폴트(default) 표시 위치는 컨텐츠의 중앙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라벨(71)의 주변에는 라벨(71)의 표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들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7의 화면(70)에는 라벨(71)을 삭제할 수 있는 도구(72), 라벨의 입체 효과를 변경할 수 있는 도구(73), 라벨(71)의 크기 및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도구(74), 및 라벨(71)의 표시 효과를 변경할 수 있는 도구의 모음(75)이 표시되었다.
사용자는 도구(72)를 선택하여 라벨(71)을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구(73)를 선택하여 라벨(71)의 사각 모서리의 위치를 변경하여 입체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구(74)를 선택하여 라벨(71)의 크기, 위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구 모음(75)에 포함된 각종 도구를 사용하여 라벨(71)에 그림자 효과를 부여하거나, 라벨(71)의 투명도를 변경하거나, 라벨(71)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도구(74)를 사용하지 않고 라벨(71)을 드래그하여 라벨(71)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라벨(71)에 대하여 핀치 투 인/아웃 방식의 신호를 입력하여 라벨(71)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라벨(71)에 대하여 두 손가락으로 터치를 입력한 후 트위스트하는 방식의 신호를 입력하여 라벨(71)의 표시 각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구 모음(75) 중 그림자를 선택하였을 때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 8에 도시된 화면(80)을 참조하면, 그림자의 표시 속성을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드 바(81)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슬라이드 바(81) 상에 표시된 버튼의 위치를 조절하여 그림자의 표시 속성을 조절한다. 도 8에 도시된 화면(80)에서는 그림자 속성이 25로 설정된 예가 도시되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라벨(71)의 위치, 크기, 각도는, 도 7의 화면(70)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도구 조작에 의해 변경된 것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평형 도구(82)를 선택하였을 때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 8에 도시된 평형 도구(82)는 라벨(71)의 각도를 평형으로 되돌린다. 사용자가 직접 라벨(71)의 표시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정확하게 평형으로 맞추기 어려울 수 있으나, 평형 도구(82)를 이용하면 단번에 라벨(71)의 각도를 평형으로 되돌릴 수 있다.
도 10a는 사용자가 도 7에 도시된 도구(73)를 선택하여 라벨(71)에 입체 효과를 부여하는 화면의 예이다. 도 10a의 화면(100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라벨(71)의 사각 틀의 모서리의 위치를 변경하여, 라벨(71)에 입체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0a의 화면(1000)에서는 라벨(71)의 좌측이 사용자에게 가깝게 위치하고 라벨(71)의 우측이 사용자로부터 멀게 위치하는 것과 같은 입체 효과가 부여되어 있다. 도 10a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문 입력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이 화면 우측 상단 등에 표시될 수 있으며, 버튼에는 “컨텐츠 편집 완료”, “본문 입력하기” 등의 안내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0b는 움직이는 라벨이 선택되었을 때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은 도 6a 내지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지된 하나의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지만, 다른 예에 따른 라벨은 움직이는 이미지로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움직이는 라벨은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둘 이상의 상태가 기설정된 시간간격으로 교번적 표시되어, 결과적으로 움직이는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움직이는 라벨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제1 표시 상태(711) 및 제2 표시 상태(712)가 교번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움직임을 갖도록 표시될 수 있다. 제1 상태(711)와 제2 상태(712)는 서로 다른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일 수도 있고, 동일한 이미지의 크기, 회전각도, 색상 등을 달리하여 표시하는 것일 수도 있다.
라벨의 움직임을 정의하는 방법은 전술한 것과 같이 복수의 표시 상태의 교번적 표시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이미지와 이의 표시 상태 변화에 대한 규칙으로써 정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이미지와 시간 흐름에 따른 상기 이미지의 표시 각도의 규칙으로써 라벨의 움직임이 정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움직이는 라벨의 포맷은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문 입력 화면이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 예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문 입력 화면(1100)은 본문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영역(1101)과 추천 태그가 제공되는 추천 태그 제공 영역(1102)을 포함한다. 추천 태그 제공 영역(1102)에는 꿀팁, 로마, 해외여행, 여행의 태그가 제공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한편, 추천 태그 제공 영역(1102)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라벨의 텍스트에 해당하는 “꿀팁”이 추천 태그로써 제공되어 있으며, 다른 추천 태그들보다 우선적으로 좌측에 표시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화면(1200)은 도 9에 도시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포스트가 등록된 경우, 도 2의 컨텐츠 관리부(114)에 의해 제공되는 포스트의 엔드 페이지가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 예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화면(1200)은 라벨(1204)이 중첩 표시된 컨텐츠(1201), 컨텐츠(1201)에 해당하는 본문(1202), 및 컨텐츠(1201)에 대해 사용자들이 선택한 공감정보 및 사용자들이 작성한 덧글(1203)을 표시한다.
본문(1202)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및 사용자가 지정한 태그가 함께 표시된다.
도 13에 도시된 화면(1300)은 도 12에 도시된 화면(1200)에서 사용자가 라벨(1204)을 선택하였을 때, 도 2의 컨텐츠 관리부(114)가 라벨(1204)과 연관된 포스트들(1301)을 나열하여 제공하는 화면의 예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화면(1300)에 나열된 포스트들(1301)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도 12의 라벨(1204)에 대응되는 “꿀팁”이라는 태그가 지정된 포스트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도 12의 라벨(1204)과 동일한 라벨이 중첩 표시된 포스트를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도 12에 도시된 포스트의 엔드 페이지에서 라벨(1204)을 선택하는 동작만으로도, 라벨과 연관된 다른 포스트들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서버
200: 사용자 단말
300: 네트워크
110: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111: 라벨 리스트 제공부
112: 라벨 선택 수신부
113: 본문 입력 화면 제공부
114: 포스트 관리부
115: 메모리
210: 표시 제어 장치
211: 사용자 입력 수신부
212: 표시 제어부
213: 메모리

Claims (19)

  1.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가,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 가능한 라벨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라벨 중 어느 하나의 라벨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가, 본문을 입력받는 입력 영역과 추천태그를 제공하는 추천태그 제공 영역을 포함하는 본문 입력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 및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통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태그를 상기 추천태그로써 제공하고, 상기 라벨에 대응되는 추천 태그를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통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추천 태그보다 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상기 입력 영역에 입력된 본문, 및 태그를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및 상기 본문을 포함하고 상기 태그가 지정된 포스트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은 이미지, 텍스트, 또는 이미지와 텍스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라벨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본문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라벨에 대응되는 추천 태그를 사용자에 의해 먼저 선택된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일수록 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수신하는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복수의 라벨이 선택되고,
    상기 추천태그로써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라벨 각각에 대응되는 태그를 모두 상기 추천태그로써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포스트의 엔드(end)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엔드 페이지에서 상기 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된 라벨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라벨과 연관된 포스트들을 나열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제1 표시 상태 및 제2 표시 상태가 교번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움직임을 갖도록 표시되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8.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 가능한 라벨의 리스트를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라벨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라벨 중 어느 하나의 라벨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된 상기 라벨을 상기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본문을 입력받는 입력 영역과 추천태그를 제공하는 추천태그 제공 영역을 포함하는 본문 입력 화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본문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 및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통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태그를 상기 추천태그로써 표시하고, 상기 라벨에 대응되는 추천 태그를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통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추천 태그보다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컨텐츠, 상기 입력 영역에 입력된 본문 및 사용자로부터 선택되거나 입력된 태그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은 이미지, 텍스트, 또는 이미지와 텍스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표시 제어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라벨의 표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도구를 상기 라벨과 함께 표시하고, 상기 도구의 조작에 따라 상기 라벨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표시 제어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도구의 조작을 통해 상기 라벨의 그림자, 투명도, 색상, 형태, 크기, 각도 중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는 표시 제어 방법.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라벨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추천태그로써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라벨에 대응되는 추천 태그를 상기 사용자에 의해 먼저 선택된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일수록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표시 제어 방법.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의 리스트를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내지 상기 라벨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반복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상기 컨텐츠에 복수의 라벨이 중첩하여 표시되고,
    상기 본문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라벨 각각에 대응되는 태그를 모두 상기 추천태그로써 표시하는 표시 제어 방법.
  15.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제1 표시 상태 및 제2 표시 상태가 교번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움직임을 갖도록 표시되는, 표시 제어 방법.
  16.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 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7.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 가능한 라벨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라벨 리스트 제공부;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라벨 중 어느 하나의 라벨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라벨 선택 수신부; 및
    본문을 입력받는 입력 영역과 추천태그를 제공하는 추천태그 제공 영역을 포함하는 본문 입력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라벨에 대응되는 추천 태그를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통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하나 이상의 추천 태그보다 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본문 입력 화면 제공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18.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통해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통해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 가능한 라벨의 리스트를 요청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라벨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통해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라벨 중 어느 하나의 라벨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표시 제어부는 선택된 상기 라벨을 상기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통해 본문을 입력받는 입력 영역과 추천태그를 제공하는 추천태그 제공 영역을 포함하는 본문 입력 화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본문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라벨에 대응되는 태그 및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통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태그를 상기 추천태그로써 표시하고, 상기 라벨에 대응되는 추천 태그를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통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하나 이상의 추천 태그보다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표시 제어 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선택된 라벨의 표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편집 도구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편집 도구를 통해 수신된 상기 라벨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라벨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70053234A 2015-05-21 2017-04-25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837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71142 2015-05-21
KR1020150071142 2015-05-2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559A Division KR101733230B1 (ko) 2015-05-21 2015-09-10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304A KR20170048304A (ko) 2017-05-08
KR101837558B1 true KR101837558B1 (ko) 2018-03-13

Family

ID=577077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559A KR101733230B1 (ko) 2015-05-21 2015-09-10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053234A KR101837558B1 (ko) 2015-05-21 2017-04-25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559A KR101733230B1 (ko) 2015-05-21 2015-09-10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7332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852B1 (ko) 2017-04-14 2018-12-04 네이버 주식회사 네트워크에 연결된 음향기기와의 멀티모달 인터렉션 방법 및 시스템
KR101865906B1 (ko) * 2017-06-07 2018-06-08 (주)오투팜 업데이트된 게시정보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KR101979918B1 (ko) * 2017-12-15 2019-05-20 김효찬 가상 공간 상에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와 시스템
CN108628981A (zh) * 2018-04-27 2018-10-09 四川斐讯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身体指标的文章推送方法及系统
CN111177569B (zh) * 2020-01-07 2021-06-1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人工智能的推荐处理方法、装置及设备
KR102364881B1 (ko) 2020-03-24 2022-02-18 주식회사 에스아이에이 전문가 모사 모델 학습 방법 및 그 학습을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147B1 (ko) * 2009-02-10 2011-10-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로그 포스트를 온톨로지 기반 정보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84599B1 (ko) * 2012-12-04 2015-01-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230B1 (ko) 2017-05-08
KR20160137311A (ko) 2016-11-30
KR20170048304A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558B1 (ko)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1388469B2 (en) Methods, apparatuses, computer-readable media and systems for processing highlighted comment in video
US1035992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hoto, page, and spread arrangement on space-constrained user devices
US8990672B1 (en) Flexible design architecture for designing media-based projects in a network-based platform
US895866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ng insertion of content into media-based projects
US932976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versing editing operations in media-rich projects
US112504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web content and identifying advertisements for users creating and viewing content
US93171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location data
US892355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creating a photo-based project based on photo analysis and image metadata
US9531823B1 (en) Processes for generating content sharing recommendations based on user feedback data
US20130239003A1 (en) Digital album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rchitecture
US200803201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s Upload Using a Mobile Terminal
US9405964B1 (en) Processes for generating content sharing recommendations based on image content analysis
WO2015094359A1 (en) Customized contextual user interface information displays
US10504264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bining images
CN115695362A (zh) 媒体项附接系统
JP2014503914A (ja) 生成された画像中に含まれるオブジェクトの収集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方法、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録媒体
JP200917603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447012B1 (ko) 네트워크 플랫폼의 데이터베이스 엔트리들의 링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3263A (ko) 개인 컨텐츠에 기반하여 동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 개인 컨텐츠에 기반하여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0783355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Osmond et al. Photo-review creation
JP5762143B2 (ja) 電子アルバム作成装置、電子アルバム作成システム、情報端末、及び、電子アルバム作成方法
KR20140078353A (ko) 여행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392261B1 (en) Visualized item based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