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599B1 -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599B1
KR101484599B1 KR20120139688A KR20120139688A KR101484599B1 KR 101484599 B1 KR101484599 B1 KR 101484599B1 KR 20120139688 A KR20120139688 A KR 20120139688A KR 20120139688 A KR20120139688 A KR 20120139688A KR 101484599 B1 KR101484599 B1 KR 101484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photo
comment
photo sharing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39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429A (ko
Inventor
박종태
천승만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20139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599B1/ko
Publication of KR20140072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진을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 사진 게시물로 업로드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교호 관계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연계를 맺고 있는 제2 사용자 단말을 검색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상기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 상기 사진 게시물의 등록을 알리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진 게시물에 관한 코멘트를 입력받고,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코멘트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Method for comment using a message on photo sharing community and computer readeable medium record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SNS 등에서 제공하는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는 사진 게시물에 댓글 등의 커멘트가 입력되었을 때, 게시물을 업로드한 특정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가 전송되었다.
이와 같은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특정 사용자는 알림 메시지를 통해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댓글 등을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사진 게시물에 다른 사용자들이 댓글 등의 코멘트를 입력하는 경우, 특정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불특정 다수의 다른 사용자들이 코멘트를 확인할 수 있어, 특정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등이 보장받기 어려웠다.
또한, 특정 사용자가 업로드한 게시물에 다른 사용자들이 입력한 댓글 등의 코멘트가 과도하게 많은 경우, 특정 사용자는 코멘트를 작성한 다른 사용자들을 한 명씩 확인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5447호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댓글 등을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불특정 다수의 다른 사용자들이 코멘트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다른 사용자들이 입력한 코멘트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의 일 태양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진을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 사진 게시물로 업로드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교호 관계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연계를 맺고 있는 제2 사용자 단말을 검색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상기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 상기 사진 게시물의 등록을 알리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진 게시물에 관한 코멘트를 입력받고,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코멘트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사진 게시물에 관한 코멘트를 입력받는 것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진 게시물의 사진의 적어도 일부의 편집을 입력받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사진 게시물에 관한 코멘트를 입력받는 것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진 게시물의 사진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오버랩되는 배지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사진 게시물에 관한 코멘트를 입력받는 것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진 게시물의 상기 사진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입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코멘트를 전송하는 것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적어도 일부가 편집된 상기 사진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코멘트를 전송하는 것은 상기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 상기 코멘트를 업로드하지 않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참여하는 채팅 창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편집된 상기 사진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상기 사진 공유 커뮤니티의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상술한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사진 공유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사진 공유 시스템을 이용하는 코멘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코멘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사용자 단말에 코멘트를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 사용자 단말에 코멘트를 전송하는 것의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제2 사용자 단말의 코멘트 입력 메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코멘트의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사용자 단말의 코멘트 입력 메뉴의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사용자 단말의 코멘트 입력 메뉴의 다른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제1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사진 공유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공유 시스템(1)은 제1 사용자 단말(200), 사진 공유 서버(200), 제2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제1 사용자 단말(100), 사진 공유 서버(200), 제2 사용자 단말(300)은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예시적으로, 네트워크는 3G, 4G, WiFi, Internet 등의 다양한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한 통신망과 제2 사용자 단말(300)이 접속한 통신망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사진 공유 서버(200)는 WiFi를 통해 접속되고, 제2 사용자 단말(300)과 사진 공유 서버(200)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사진 공유 서버(200)에 접속하여,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 사진 게시물을 업로드하고, 사진 게시물에 관한 코멘트를 입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tablet) PC 등의 전자 시스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진 공유 서버(200)는 사진 공유 커뮤니티를 운영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진 공유 커뮤니티는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구글플러스(google+), 네이버 미(naver me)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진 공유 커뮤니티는 가입자가 온라인상에 사진 게시물을 업로드하고, 가입자 간 사진 게시물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이면 족하다.
사진 공유 서버(200)는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또는 300)로부터 입력된 사진을 사진 게시물로 업로드할 수 있다. 사진 공유 서버(200)는 해당 사용자 단말의 교호 관계 리스트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과 연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용자 단말을 검색할 수 있다. 교호 관계는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해당 사용자 단말과 다른 사용자 단말이 연계를 맺고 있다는 것은 해당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가 상기 교호 관계로 결합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교호 관계 리스트는 해당 사용자와 상기 교호 관계로 결합된 다른 사용자들의 리스트를 나타낸다.
사진 공유 서버(200)는 검색된 다른 사용자 단말에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의 사진 게시물의 등록을 알릴 수 있다. 사진 공유 서버는 다른 사용자 단말에 사진 게시물의 등록을 알리기 위해서, 잘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진 공유 서버(200)는 검색된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진 게시물에 관한 코멘트를 입력받고,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에 입력받은 코멘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5 내지 도 11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제1 사용자 단말(100)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로서, 여기서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연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용자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컨트롤러(130), 통신부(140), 로컬 데이터베이스부(150)를 포함한다.
입력부(100)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커맨드 등을 입력 받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으로, 입력부(110)는 터치 패널, 버튼, 키보드, 마우스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 상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LED(Light Emitting Diode) 패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3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시적으로, 컨트롤러(13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 프로그램이 내장되는 마이컴(microcompute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의 논리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30)는 이미지 입력부(131), 메시지 처리부(132)를 포함한다. 이미지 입력부(131)는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을 처리하여 사진 공유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 처리부(132)는 사진 공유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처리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진 공유 서버(200)에 접속하여, 사진 공유 서버(200)에 사진을 전송하거나, 사진 공유 서버(200)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로컬 데이터베이스부(150)는 사진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로 구성된다. 예시적으로, 로컬 데이터베이스부(150)는 ROM(Read Only Memory),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P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마그네틱 기억 장치(magnetic memory devic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로컬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되는 사진은,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촬영한 사진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은 사진일 수 있다.
한편,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상술한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컨트롤러(130), 통신부(140), 로컬 데이터베이스부(150) 외에도 잘 알려진 다른 구성, 예를 들어, 카메라, 스피커, 각종 센서, 파워 서플라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제1 사용자 단말(100)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에 불과하므로,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사진 공유 서버(200)는 통신부(210), 프로세서(220), 버디 리스트부(230), 데이터베이스부(24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 또는 300)과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진을 전송받거나, 사용자 단말과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로세서(220)는 사진 공유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20)는 이미지 처리부(221), 메시지 처리부(222), 인증 처리부(223)를 포함한다. 이미지 처리부(221)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진을 처리하여 사진 게시물로 업로드할 수 있다. 메시지 처리부(222)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코멘트를 처리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처리부(223)는 사진 공유 커뮤니티의 가입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버디 리스트부(230)는 사진 공유 커뮤니티의 가입자별 버디 리스트(buddy list)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특정 사용자와 교호 관계로 결합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들을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버디 리스트는 앞서 설명한 교호 관계 리스트에 대응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는(240) 사진 게시물로 업로드되는 사진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로 구성된다. 예시적으로, 데이터베이스부(240)는 ROM(Read Only Memory),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P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마그네틱 기억 장치(magnetic memory devic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사진 공유 서버(200)는 상술한 통신부(210), 프로세서(220), 버디 리스트부(230), 데이터베이스부(240) 외에도 잘 알려진 다른 구성,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키보드, 마우스, 파워 서플라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사진 공유 시스템을 이용하는 코멘트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의 사진 공유 시스템을 이용하는 코멘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에 관하여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진 공유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300)에 대한 사진 공유 커뮤니티의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다(S410). 이 때, 가입자 인증은 사용자 단말의 고유 번호 인증, 전화 번호 인증, 아이디 인증 등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사진 공유 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진을 입력받고, 입력된 사진을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 사진 게시물로 업로드한다(S420).
이어서, 사진 공유 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버디 리스트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연계를 맺고 있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을 검색한다(S430).
이어서, 사진 공유 서버(200)는 검색된 제2 사용자 단말(300)에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의 사진 게시물의 등록을 알린다(S440).
이어서, 사진 공유 서버(200)는 제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진 게시물에 관한 배지, 댓글, 댓사진 등의 코멘트를 입력 받는다(S450). 이어서, 사진 공유 서버(200)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입력받은 배지, 댓글, 댓사진 등의 코멘트를 전송한다(S460).
이하에서는 코멘트 방법에서 제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코멘트를 입력받고,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코멘트를 전송하는 것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코멘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사진 게시물(posted photo)의 사진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지 이미지(badge 1)가 오버랩되도록 편집하는 방법으로 코멘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배지 이미지(badge 1)는 옷이나 모자 등에 붙이는 배지와 같이, 사진 게시물(posted photo)의 사진에 오버랩시켜 편집하기 위한 여하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배지 이미지(badge 1)의 일 영역에는 코멘트를 입력한 제2 사용자의 이름이 기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입력받은 코멘트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실행시키지 않고도 사진 게시물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코멘트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제1 사용자 단말에 코멘트를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제1 사용자 단말에 코멘트를 전송하는 것의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진 공유 서버(200)는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 상기 코멘트를 업로드하지 않고,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참여하는 채팅 창을 통해 코멘트 메시지(comment message 1)를 전송한다. 제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입력받은 적어도 일부가 편집된 사진은, “홍길동님이 배지를 보냈습니다”와 같은 안내 텍스트에 첨부된 형태로,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참여하는 채팅 창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에 의하면, 불특정 다수의 다른 사용자들이 코멘트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입력받은 적어도 일부가 편집된 사진은, 안내 텍스트 없이 소정의 비율로 축소되어(comment message 2),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참여하는 채팅 창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도 8은 제2 사용자 단말의 코멘트 입력 메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배지 메뉴(menu for badge)를 통해서, 미리 정해진 다양한 모양의 배지 이미지(badge)가 선택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배지 이미지(b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 모양이고, 제2 배지 이미지(b2)는 하트 모양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배지 이미지(badge)를 선택하여, 선택된 배지 이미지(badge)가 사진 게시물(posted photo)의 사진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오버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코멘트의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5와 차이점을 중점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사진 게시물(posted photo)의 사진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텍스트(text)가 표시되도록 편집하는 방법으로 코멘트를 입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9에서는 배지 이미지(badge 2)의 일 영역에 “좋아요!”의 텍스트가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제2 사용자 단말의 코멘트 입력 메뉴의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8과 차이점을 중점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배지 메뉴(menu for badge)를 통해서 미리 정해진 다양한 모양의 배지 이미지(badge)가 선택될 수 있고, 텍스트 메뉴(menu for text)를 통해서 미리 정해진 다양한 문구가 선택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문구(c1)는 “좋아요”이고, 제2 문구(c2)는 “사랑해요”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사용자는 텍스트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제2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문구를 선택하여, 선택된 배지 이미지(badge)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사진 게시물(posted photo)의 사진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은 제2 사용자 단말의 코멘트 입력 메뉴의 다른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8과 차이점을 중점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는 코멘트 타입 메뉴(menu for comment type)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코멘트 타입 메뉴(menu for comment type)는, 예시적으로, 배지(m1), 댓글(m2), 댓사진(m3), Talk(m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지(m1)를 선택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지 이미지를 선택하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고, 댓글(m2)을 선택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댓글 문구를 선택하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댓사진(m3)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사진 게시물의 사진을 포괄적으로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사용자는 배지, 댓글, 댓사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코멘트를 입력한 후, Talk(m4)를 선택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참여하는 채팅 창을 통해 코멘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과 차이점을 중점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공유 시스템(20은, 다수의 제2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사진 공유 서버(200)는 개개의 제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진 게시물에 관한 코멘트를 입력받고,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입력받은 코멘트를, 개개의 채팅 창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에 의하면, 사진 게시물을 업로드한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들이 입력한 코멘트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기록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록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300)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기록 매체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300)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제1 사용자 단말 110: 입력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컨트롤러
131: 이미지 입력부 132: 메시지 처리부
140: 통신부 150: 로컬 데이터베이스부
200: 사진 공유 서버 210: 통신부
220: 프로세서 221: 이미지 처리부
222: 메시지 처리부 223: 인증 처리부
230: 버디 리스트부 240: 데이터베이스부
300: 제2 사용자 단말

Claims (8)

  1.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진을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 사진 게시물로 업로드하는 단계;
    사진 공유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교호 관계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연계를 맺고 있는 제2 사용자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사진 공유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상기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 상기 사진 게시물의 등록을 알리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진 게시물에 관한 코멘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진 공유 서버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코멘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진 게시물에 관한 코멘트를 입력받는 단계는,
    복수의 코멘트 타입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코멘트 타입 메뉴 중 적어도 하나의 코멘트 타입 메뉴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사진 게시물을 포괄적으로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멘트 타입 메뉴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진 게시물의 사진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오버랩되는 배지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코멘트 타입 메뉴를 포함하는,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멘트 타입 메뉴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진 게시물의 상기 사진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코멘트 타입 메뉴를 포함하는,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코멘트를 전송하는 단계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적어도 일부가 편집된 상기 사진을 전송하는 것인,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코멘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 상기 코멘트를 업로드하지 않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참여하는 채팅 창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편집된 상기 사진을 전송하는,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공유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상기 사진 공유 커뮤니티의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
  8.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20139688A 2012-12-04 2012-12-04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1484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9688A KR101484599B1 (ko) 2012-12-04 2012-12-04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9688A KR101484599B1 (ko) 2012-12-04 2012-12-04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429A KR20140072429A (ko) 2014-06-13
KR101484599B1 true KR101484599B1 (ko) 2015-01-26

Family

ID=5112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39688A KR101484599B1 (ko) 2012-12-04 2012-12-04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230B1 (ko) * 2015-05-21 2017-05-08 네이버 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790A (ko) *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카카오 사용자의 업로드 콘텐츠를 사용자 관련 대화방에 전달하는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한 콘텐츠 공유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629A (ko) * 2007-05-04 2009-01-09 주식회사 유너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앨범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앨범관리 시스템
KR20100085447A (ko) * 2009-01-20 2010-07-29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커뮤니티 서버 통합 게시물 알림 시스템 및 게시물 알림 방법
KR20110025391A (ko) * 2009-09-04 2011-03-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KR20110065115A (ko) * 2009-12-09 2011-06-15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사용자 프로필 설정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629A (ko) * 2007-05-04 2009-01-09 주식회사 유너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앨범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앨범관리 시스템
KR20100085447A (ko) * 2009-01-20 2010-07-29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커뮤니티 서버 통합 게시물 알림 시스템 및 게시물 알림 방법
KR20110025391A (ko) * 2009-09-04 2011-03-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KR20110065115A (ko) * 2009-12-09 2011-06-15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사용자 프로필 설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230B1 (ko) * 2015-05-21 2017-05-08 네이버 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429A (ko)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8139B2 (en) Communications devices and methods for single-mode and automatic media capture
US10827018B2 (en) Social mode for managing communications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social networking system
US2022020093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virtual collaboration via network
US9262596B1 (en) Controlling access to captured media content
US9917804B2 (en) Multi-post stories
EP3425872A1 (en) Dual-modality client application
US86068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packaging, and sharing social content and social affiliations
US20170127128A1 (en) Social Post Roll Up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160094773A1 (en) Collaborative Image Collection And Processing Using Portable Cameras
US20150033153A1 (en) Group interaction around common online content
US20160295009A1 (en) Application and method for integrating social media platforms
US20180189894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60216947A1 (en) Unifying Cloud Platform for Interconnected Applications
CN109074393A (zh) 对于日历事件的上下文感知洞察
US20130339440A1 (en) Creating, sharing and discovering digital memories
US105165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third party connections
CN105408897B (zh) 用于收集多媒体信息的方法及其装置
US201300551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gging Belongings in Photos and Posts
US201803592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CN108028857A (zh) 智能通知
KR101484599B1 (ko) 사진 공유 커뮤니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코멘트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9836721B2 (en) Defining future plans in connection with objects in a social networking system
JP2015230506A (ja) 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機器
KR20190066732A (ko) 지오해시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서버 및 방법
US11609918B2 (en) User augmented indexing and ranking of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