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089B1 - 천마의 종자생산 방법 및 휴면타파를 이용한 자마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천마의 종자생산 방법 및 휴면타파를 이용한 자마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089B1
KR101837089B1 KR1020160044529A KR20160044529A KR101837089B1 KR 101837089 B1 KR101837089 B1 KR 101837089B1 KR 1020160044529 A KR1020160044529 A KR 1020160044529A KR 20160044529 A KR20160044529 A KR 20160044529A KR 101837089 B1 KR101837089 B1 KR 101837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ure
seeds
culture
soil
ho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6669A (ko
Inventor
김창수
김동원
김효진
이용문
김희준
김정만
송영주
이왕휴
Original Assignee
전라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북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전라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044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089B1/ko
Publication of KR2017011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7/00Symbiotic or parasitic combinations including one or more new plants, e.g. mycorrhiz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10S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10Mycorrhiza; Mycorrhizal associ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5Bulbs; Alliums, e.g. onions or lee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62Orchidaceae [Orchid fami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마의 종자생산 방법 및 휴면타파를 이용한 자마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채종종자를 준비하는 채종종자 준비단계; 배양토에 접종할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 및 아밀라리아 갈리카를 준비하는 공생균 준비단계; 배양토에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 및 아밀라리아 갈리카를 접종하고, 준비된 채종종자를 파종하는 공생균 접종 및 파종단계; 배양토에 파종된 채종 종자를 설정된 배양실 조건에서 배양하여 원괴체 및 자마를 형성하는 원괴체 및 자마 형성단계; 및 형성된 자마를 휴면타파하는 자마 휴면타파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마의 저온처리를 통해 일정기간 보관하면서 종자를 채종하고, 확보된 종자를 통하여 자마를 생산하여 연중 계속해서 천마를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마의 종자생산 방법 및 휴면타파를 이용한 자마 생산방법{Method for producing seed of Gastrodia elata Blume and method for producing Gastrodia elata Blume using breaking dormancy}
본 발명은 천마의 종자생산 방법 및 휴면타파를 이용한 자마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저온처리 방법으로 천마의 종자를 생산하고 생산된 종자를 이용하여 자마를 생산하는 천마의 종자생산 방법 및 휴면타파를 이용한 자마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마(Gastrodia elata Blume)는 난과식물 중 비교적 특수한 다년생 초본식물로 적전, 정풍초, 선익각 등으로 불리며, 한방에서는 옛부터 땅속 괴경의 건조체를 여러 질병 특히 신경질환 치료제와 건강 보양식품으로 이용하여 왔다. 천마는 전세계적으로 약 50여종이 분포하나 우리나라에는 홍천마 등 3종 정도가 분포한다.
천마는 부식질이 많은 계곡의 숲속에서 자생하며 지상부는 대부분의 기관이 퇴화되어 있으나 지하부의 구근은 마치 고구마가 형성되듯이 비대해진다. 이 구근은 성숙도에 따라 성숙마, 백마, 미숙마로 분류되며, 성숙마는 약재로 이용되며 백마와 미마는 종마로 이용된다.
천마의 인공재배법은 다양하나 근본적으로 야생 천마의 생활습성을 모방하여 천마의 생장이 양호한 환경조건, 즉 천마, 뽕나무버섯균, 원목간의 양호한 영양관계 수립 조건을 조성하는 것이다. 천마의 인공재배 즉 무성번식(영양번식)은 천마의 소괴경(백마와 미마)을 종마로 사용하는 일종의 재배번식법으로 온도와 습도가 적당하고 또한 뽕나무버섯균의 세력이 왕성하면 백마(2-11cm)와 일부 미마(2cm이하)가 당년에 성마(천마) 또는 백마로 성장한다.
천마의 재배장소는 북동향의 약간 경사진 곳으로 토심이 깊고 배수가 잘 되는 양토-사양토가 적합하며 천마와 뽕나무버섯균의 환경조건은 근본적으로 일치한다. 즉 서늘하고 습윤한 삼림부식토를 좋아하며 폭염을 피한다. 천마는 함수량이 높으면 천마가 부패하기 쉽고 낮으면 뽕나무버섯 균의 정상 생장이 불가능하다. 토양의 산도(pH)는 4.5-6.5가 적당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140284호에서는 천마재배방법에 대해서 개시한 바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140284호에 개시되어 있는 천마재방법은 천공접종 참나무원목의 크기 등을 적절하게 설정하여 천마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으나, 연중생산이 가능하도록 천마의 종자를 확보할 수 있는 방법과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성번식의 방법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온처리 방법을 통해 천마의 종자를 확보하여 천마의 연중생산을 가능함과 동시에 유성번식에 의해서 자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마의 종자생산 방법 및 휴면타파를 이용한 자마 생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마의 종자생산 방법은 성숙마 선정단계; 선정된 성숙마를 수분함량 25 ~ 30%의 배양토에 식재하는 식재단계; 배양토에 식재된 성숙마를 5±1℃에서 4주 이상 저온 처리하는 저온처리단계; 식재된 성숙마를 배양온도 20 ~ 25℃, 습도 60 ~ 70%의 조건에서 추대(bolting)하는 추대유도 단계; 성숙마의 추대유도 후, 성숙마에서 개화가 시작되면 성숙마에 형성된 순판을 1 ~ 3일 이내에 제거하고 암술에 수술을 접종하는 인공교배단계; 암술에 수술을 접종하여 수정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형성된 꼬투리의 색상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갈라지기 전에 꼬투리를 수확하는 꼬투리 수확단계; 수확된 꼬투리를 온도 20 ~ 25℃, 습도 50% 미만의 조건에서 채종하는 종자 채종단계; 및 채종된 종자를 1 ~ 20℃의 온도에서 냉장 보관하는 채종 종자 보관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면타파를 이용한 자마 생산방법은 채종종자를 준비하는 채종종자 준비단계; 배양토에 접종할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Mycena purpureofusca) 및 아밀라리아 갈리카(Armillaria gallica)를 준비하는 공생균 준비단계; 배양토에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 및 아밀라리아 갈리카를 접종하고, 준비된 채종종자를 파종하는 공생균 접종 및 파종단계; 배양토에 파종된 채종 종자를 설정된 배양실 조건에서 배양하여 원괴체 및 자마를 형성하는 원괴체 및 자마 형성단계; 및 형성된 자마를 휴면타파하는 자마 휴면타파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마 휴면타파 단계는 휴면기간이 4 ~ 8주이며, 온도 1 ~ 5℃, 습도 50 ~ 60% 및 배양토의 수분함량 20 ~ 25%이다.
여기서, 배양단계의 배양조건은 배양실의 온도 20 ~ 25℃, 습도 60 ~ 70% 및 배양토수분 함량 25 ~ 30%이며, 배양기간 25 ~ 27주이다.
여기서,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는 상수리 낙엽 45~55중량%, 겉보리 25~35중량%, 쌀겨 16~20중량% 및 PDB 1~4중량%로 형성된 배지에 투입되며, 아밀라리아 갈리카는 톱밥배지에 투입된다.
본 발명에 의한 천마의 종자생산 방법 및 휴면타파를 이용한 자마 생산방법은 천마의 저온처리를 통해 일정기간 보관하면서 종자를 채종하고, 확보된 종자를 통하여 자마를 생산하여 연중 계속해서 천마를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봄 수확 천마를 이용한 종자 생산방법을 나타내는 생산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마의 저온처리를 이용한 종자 생산방법을 나타내는 생산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마 생산방법을 나타내는 생산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와 아밀라리아 갈리카의 접종 및 파종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와 아밀라리아 갈리카의 접종 및 파종단계를 나타내는 순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봄 수확 천마를 이용한 종자 생산방법을 나타내는 생산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봄 수확 천마를 이용한 종자 생산 방법은 성숙마 선정 단계(S1), 식재 단계(S2), 추대유도 단계(S3), 인공 교배 단계(S4), 꼬투리 수확 단계(S5), 종자 채종 단계(S6) 및 종자 보관 단계(S7)를 포함한다. 여기서 성숙마는 봄 수확 천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마의 저온처리를 이용한 종자 생산방법을 나타내는 생산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숙마 선정 단계(S10), 식재 단계(S20), 저온처리 단계(S30), 추대유도 단계(S40), 인공 교배 단계(S50), 꼬투리 수확 단계(S60), 종자 채종 단계(S70) 및 종자 보관 단계(S80)를 포함한다.
성숙마 선정 단계(S10)는 성숙된 천마를 선정하는 단계로서 최소 100g이상의 천마(성마)를 준비하며, 이때, 천마는 봄에 수확된 봄 수확 천마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을에 수확된 천마를 이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표 1은 성숙마의 무게 따른 자마 형성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0g 이상의 성숙마를 이용하는 경우(실시예)가 100g 미만의 성숙마를 이용한 경우(비교예)에 비해서 자마 형성율이 최소 5.3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꼬투리당 자마 형성수는 최소 31.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숙마의 무게가 100g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성숙마의 무게 100g 미만으로 형성된 경우보다 자마형성율의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숙마의 무게는 100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6034917612-pat00001
식재 단계(S20)는 선정된 성숙마를 수분함량 25 ~ 30%의 배양토에 식재하는 단계로서, 배양토를 넣은 일정크기의 상자에 선정된 성숙마를 배치하고, 배양토로 성숙마를 일정높이로 복토하여 성숙마를 식재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배양토는 피트모스, 코코피트, 펄라이트, 팽화왕겨, 제오라이트 및 목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온처리 단계(S30)는 배양토에 식재된 성숙마를 저온 처리하는 단계이다. 저온처리 단계(S30)를 통하여 식재된 성숙마에 일정기간의 휴면기간을 형성하고, 낮은 온도에서 보관함으로써 발아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저온 처리는 5±1℃에서 4주 이상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아래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온 처리기간을 4주 이상 실시하는 경우, 출현소요일수, 출현율, 화경길이, 유효개화수, 유효 꼬투리수 등의 지표가 저온처리를 2주 하는 경우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저온 처리를 2주 실시하는 경우, 4주 차에 비하여 각각의 지표들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반면, 저온 처리를 6주 실시하는 경우, 4주 차와 각각의 지표들이 차이가 2주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저온 처리는 최소한의 성능 변화를 확보하면서 성능변화량이 적게 상승되는 4주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6034917612-pat00002
추대유도 단계(S40)는 식재된 성숙마를 배양온도 20 ~ 25℃, 습도 60 ~ 70%의 조건에서 추대(bolting)를 유도하는 단계이다. 추대유도 단계(S40)를 통하여 성숙마에서 꽃 줄기를 형성하게 된다.
인공 교배 단계(S50)는 성숙마의 추대유도 후, 성숙마에서 형성된 꽃 줄기에서 개화가 시작되면 성숙마에 형성된 순판을 1 ~ 3일 이내에 제거하고 암술에 수술을 접종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인공 교배 단계(S50)는 수분(pollination)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꼬투리 수확 단계(S60)는 암술에 수술을 접종하여 수정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형성된 꼬투리의 색상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갈라지기 전에 꼬투리를 수확하는 단계이다. 꼬투리 수확 단계(S60)는 바람직하게는 암술 접종 후 19 ~ 25일 정도 후에 꼬투리를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자 채종 단계(S70)는 수확된 꼬투리를 온도 20 ~ 25℃, 습도 50% 미만의 조건에서 채종하는 단계이다.
종자 보관 단계(S80)는 채종된 종자를 1 ~ 20℃의 온도에서 냉장 보관하는 단계이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5℃의 온도에서 냉장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냉장보관된 채종 종자는 유성번식에 의해서 자마를 생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마 생산방법을 나타내는 생산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와 아밀라리아 갈리카의 접종 및 파종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와 아밀라리아 갈리카의 접종 및 파종단계를 나타내는 순서 사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면타파를 이용한 자마 생산방법은 채종종자 준비단계(S100), 공생균 준비단계(S200), 공생균 접종 및 파종단계(S300), 원괴체 및 자마 형성단계(S400), 자마 휴면타파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채종종자 준비단계(S100)는 전술한 천마 저온처리 종자 생산 방법을 통해서 보관된 채종종자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때, 채종종자는 가을에 수확된 천마 또는 봄에 수확된 천마에 의해 선택적으로 준비될 수 있다.
공생균 준비단계(S200)는 배양토에 접종할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 및 아밀라리아 갈리카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천마는 일반적인 식물종자와 달리 무배유 종자로서 수분만으로 독립적인 발아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 및 아밀라리아 갈리카는 종자의 생장을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여기서,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Mycena purpureofusca)는 상수리 낙엽 45~55중량%, 겉보리 25~35중량%, 쌀겨 16~20중량% 및 PDB 1~4중량%로 형성된 배지에 투입되며, 아밀라리아 갈리카(Armillaria gallica)는 톱밥배지에 투입된다. 이러한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Mycena purpureofusca)는 발아에 필요한 수분 및 영양분을 공급하며. 아밀라리아 갈리카(Armillaria gallica)는 발아된 원구경이 성숙된 형태로 발달시키기 위하여 영향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Mycena purpureofusca)와 아밀라리아 갈리카(Armillaria gallica)가 자마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종래에 적용한 흰애주름버섯균 발아균(Mycena spp.)과 뽕나무 버섯 생장균(Armillaria spp.)을 비교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Mycena purpureofusca)와 아밀라리아 갈리카(Armillaria gallica)는 종래의 흰애주름버섯균 발아균(Mycena spp.)과 뽕나무 버섯 생장균(Armillaria spp.)에 비해서 원괴체 형성률 및 꼬투리당 자마 형성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16034917612-pat00003
공생균 접종 및 파종단계(S300)는 배양토에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Mycena purpureofusca)와 아밀라리아 갈리카(Armillaria gallica)를 접종하고, 준비된 채종 종자를 배양토에 파종하는 단계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 및 아밀라리아 갈리카는 각각 분리해서 접종하는 것으로서, 종래에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 및 아밀라리아 갈리카를 동시에 접종하는 것에 비해서 종자의 자마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공생균 접종 및 파종단계(S300)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공생균 접종 및 파종단계(S300)는 배양토 복토 1단계(a), 원목 배치단계(b), 아밀라리아 갈리카 접종단계(c), 배양토 복토 2단계(d), 상수리낙엽 피복단계(e),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 접종 및 종자 파종단계(f), 상수리낙엽 2차 피복단계(g) 및 배양토 복토 3단계(h)를 포함한다.
배양토 복토 1단계(a)는 일정크기로 형성된 상자에 배양토를 복토하는 단계로서 원활한 배수를 위해서 상자의 바닥에는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목 배치단계(b)는 1차 복토된 배양토위에 원목을 배치하는 단계이다. 원목은 직경 5 ~ 10cm, 길이 5~10cm로 형성되며, 참나무류 및 활엽수 원목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밀라리아 갈리카 접종단계(c)는 배치된 원목 사이에 배지에 접종된 아밀라리아 갈리카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원목과 원목 사이 사이에 배치된 아밀라리아 갈리카 배지는 영양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배양토 복토 2단계(d)는 원목과 아밀라리아 갈리카를 배양토를 이용해서 완전히 덮어지도록 복토하는 단계이다.
상수리낙엽 피복 단계(e)는 2차 복토가 완료된 배양토위에 상수리낙엽을 피복하는 단계이다. 상수리낙엽은 배수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영양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 접종 및 종자 파종단계(f)는 피복된 상수리낙엽 위에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와 종자를 파종하는 단계이다. 종자는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로부터 발아에 필요한 수분 및 영양분을 공급 받는다.
상수리낙엽 2차 피복단계(g)는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와 종자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외부와 공기가 원활하게 통공될 수 있도록 상수리낙엽을 피복하는 단계이다.
배양토 복토 3단계(h)는 상수리낙엽위에 배양토를 이용하여 복토하는 단계이다.
원괴체 및 자마 형성단계(S400)는 배양토에 파종된 채종 종자를 설정된 배양실 조건에서 배양하여 원괴체 및 자마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배양실의 온도 20 ~ 25℃, 습도 60 ~ 70% 및 배양토수분 함량 25 ~ 30% 및 배양기간은 25 ~ 27주(약 6개월) 정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마 휴면타파 단계(S500)는 형성된 자마에 설정된 기간동안 휴면 및 타파기간을 확보하는 것으로서, 휴면타파기간은 4 ~ 8주이며, 온도 1 ~ 5℃, 습도 50 ~ 60% 및 배양토의 수분함량 20 ~ 25%로 형성될 수 있다. 표 4의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휴면타파 기간이 4 ~ 8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출아율 및 수량에서 4주에 비해서 2주차의 출아율 및 수량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10주에서는 자마의 생산수량이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실시예의 출아율 및 수량(g/자마)이 비교예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다소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배양기간(약 6개월) 및 휴면기간(2개월)로서, 약 8개월정도가 소요되어 연중 계속해서 생산이 가능하다. 즉 비교예(봄 수확 자마로서 자연상태의 타파조건)는 2년에 한번 수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연중 계속해서 자마를 생산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인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Figure 112016034917612-pat00004
또한, 1차 휴면타파 단계를 통하여 형성된 자마를 이용하여 천마를 생산하는 1차 천마 재배단계(S600), 1차 재배된 천마를 2차 휴면타파하는 2차 휴면타파 단계(S700) 및 2차 휴면타파 후에 천마를 재배하는 2차 천마 재배단계(S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차 휴면타마 과정을 통해서 자마의 연중생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5)

  1. 성숙마 선정단계;
    상기 선정된 성숙마를 수분함량 25 ~ 30%의 배양토에 식재하는 식재단계;
    상기 배양토에 식재된 성숙마를 5±1℃에서 4주 이상 저온 처리하는 저온처리단계;
    상기 식재된 성숙마를 배양온도 20 ~ 25℃, 습도 60 ~ 70%의 조건에서 추대(bolting)하는 추대유도 단계;
    상기 성숙마의 추대유도 후, 상기 성숙마에서 개화가 시작되면 상기 성숙마에 형성된 순판을 1 ~ 3일 이내에 제거하고 암술에 수술을 접종하는 인공교배단계;
    상기 암술에 수술을 접종하여 수정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형성된 꼬투리의 색상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갈라지기 전에 상기 꼬투리를 수확하는 꼬투리 수확단계;
    상기 수확된 꼬투리를 온도 20 ~ 25℃, 습도 50% 미만의 조건에서 채종하는 종자 채종단계; 및
    상기 채종된 종자를 1 ~ 20℃의 온도에서 냉장 보관하는 채종 종자 보관단계;를 포함하는 천마의 채종 종자 생산 방법.
  2. 제 1항에 따라 생산된 천마의 채종 종자 준비단계;
    배양토에 접종할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Mycena purpureofusca) 및 아밀라리아 갈리카(Armillaria gallica)를 준비하는 공생균 준비단계;
    상기 배양토에 상기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Mycena purpureofusca) 및 아밀라리아 갈리카(Armillaria gallica)를 접종하고, 상기 준비된 채종종자를 파종하는 공생균 접종 및 파종단계;
    상기 배양토에 파종된 채종 종자를 설정된 배양실 조건에서 배양하여 원괴체 및 자마를 형성하는 원괴체 및 자마 형성단계; 및
    상기 형성된 자마를 휴면타파하는 자마 휴면타파 단계;를 포함하는 휴면타파를 이용한 자마 생산방법으로,
    상기 자마 휴면타파 단계는, 휴면기간이 4 ~ 8주이며, 온도 1 ~ 5℃, 습도 50 ~ 60% 및 상기 배양토의 수분함량 20 ~ 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면타파를 이용한 자마 생산방법.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괴체 및 자마 형성단계는, 배양실의 온도 20 ~ 25℃, 습도 60 ~ 70% 및 배양토수분 함량 25 ~ 30%이며, 배양기간 25 ~ 27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면타파를 이용한 자마 생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세나 퍼푸레오푸스카(Mycena purpureofusca)는, 상수리 낙엽 45~55중량%, 겉보리 25~35중량%, 쌀겨 16~20중량% 및 PDB 1~4중량%로 형성된 배지에 투입되며,
    상기 아밀라리아 갈리카(Armillaria gallica)는, 톱밥배지에 투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면타파를 이용한 자마 생산방법.
KR1020160044529A 2016-04-12 2016-04-12 천마의 종자생산 방법 및 휴면타파를 이용한 자마 생산방법 KR101837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529A KR101837089B1 (ko) 2016-04-12 2016-04-12 천마의 종자생산 방법 및 휴면타파를 이용한 자마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529A KR101837089B1 (ko) 2016-04-12 2016-04-12 천마의 종자생산 방법 및 휴면타파를 이용한 자마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669A KR20170116669A (ko) 2017-10-20
KR101837089B1 true KR101837089B1 (ko) 2018-03-12

Family

ID=60299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529A KR101837089B1 (ko) 2016-04-12 2016-04-12 천마의 종자생산 방법 및 휴면타파를 이용한 자마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0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032B1 (ko) * 2018-03-14 2019-07-03 사단법인 무주천마사업단 천마의 연중 생산방법
KR102450524B1 (ko) * 2021-12-22 2022-10-06 전라북도 무주군(무주군농업기술센터장) 천마 종자의 발아활성을 가지는 신규한 마이세나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유성 자마 생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471B1 (ko) * 2014-03-27 2014-08-21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천마 재배용 상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마 재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471B1 (ko) * 2014-03-27 2014-08-21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천마 재배용 상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마 재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락북도농업기술원 연구보고서(1999년) 천마 유자마 생산을 위한 종자번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669A (ko) 2017-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7691B2 (en) Cultivation of morchella
CN1918960A (zh) 一种药用石蒜的规范化种植方法
Hernández et al. Cultivation systems
CN103155906A (zh) 食蚜瘿蚊批量繁殖工艺及应用技术
CN102870742A (zh) 一种海氏桨角蚜小蜂的人工大规模饲养方法
CN106258398A (zh) 一种魔芋的种植栽培方法
KR101432471B1 (ko) 천마 재배용 상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마 재배방법
KR101075877B1 (ko) 자연농법
CN109757274B (zh) 罗汉果组培苗高产高效移栽方法
KR101837089B1 (ko) 천마의 종자생산 방법 및 휴면타파를 이용한 자마 생산방법
CN104160855B (zh) 一种提高羽衣甘蓝制种质量和数量的方法
CN103190265A (zh) 一种七叶树的种植方法
CN105660190A (zh) 灵芝与林蛙互补共生立体栽培养殖方法
KR100349579B1 (ko) 동충하초 재배방법
CN106386504B (zh) 一种食用土当归种苗的组织培养方法
CN104429430A (zh) 一种红豆杉茶在园林的种植方法
KR101434276B1 (ko) 예냉처리를 이용한 다년생 식물의 재배 방법
CN109197314B (zh) 一种交趾黄檀采穗圃的营建与保幼方法
CN108064622A (zh) 一种辣木优良种植技术
KR830001780B1 (ko) 천마(天痲)의 인공재배법
CN105284332A (zh) 一种药效完整的天麻种植方法
KR101996032B1 (ko) 천마의 연중 생산방법
CN106305629A (zh) 蚜茧蜂驯育扩繁方法
TWI714499B (zh) 具經濟價值之塊菌接種至Castanea屬植物形成菌根苗的方法
KR20160128814A (ko) 참나무류 맹아지를 이용한 겨우살이의 재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