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571B1 -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571B1
KR101836571B1 KR1020150115869A KR20150115869A KR101836571B1 KR 101836571 B1 KR101836571 B1 KR 101836571B1 KR 1020150115869 A KR1020150115869 A KR 1020150115869A KR 20150115869 A KR20150115869 A KR 20150115869A KR 101836571 B1 KR101836571 B1 KR 101836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ty ratio
charging
vehicle
output voltage
de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1939A (ko
Inventor
손기봉
장희숭
성현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5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57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1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01
    • B60L11/1809
    • B60L11/181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외부전원공급장치에서 차량충전장치로 입력되는 충전입력전압, 차량충전장치에서 컨버터로 출력되는 충전출력전압 및 차량제어부에서 차량충전장치로 전달하는 출력전압지령을 이용하여 차량제어부에서 보상듀티비를 도출하는 보상듀티비 도출단계; 및 외부전원공급장치에서 차량충전장치로 입력되는 충전입력전류, 보상듀티비, 충전입력전압, 충전출력전압 및 출력전압지령을 이용하여 차량충전장치 수정듀티비를 도출하는 수정듀티비 도출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 및 시스템{CHARG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차량을 완속 충전함에 있어서 충전장치 출력전압의 리플로 인한 충전손실전력을 보상하여 차량의 충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탄소과다 배출로 지구온난화 현상이 지속화되면서 이상기후현상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으며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 또는 EV(Electric Vehicle)는 석유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와 모터를 사용하는 자동차를 말한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주차된 상태에서 일반적인 충전시스템에 의해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가 충전됨에 따라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운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주동력원에 해당하는 배터리의 충전은 전기자동차의 효율과 직결될 정도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므로 전기자동차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터리의 충전속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어방법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2014-0078174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차량 충전장치에서 대기시의 제어부의 동작을 개선함으로써 효율적인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충전제어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따르더라도 충전장치의 출력전압과 입력전류를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에서 전압 제어기의 출력 값은 입력전류의 지령이 되며 입력전류의 지령은 실제 입력전류와 비교된 후 전류 제어기를 지나 출력전압에 의해 충전장치의 듀티비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이 때 출력전압은 리플이 없는 일정한 직류 값이라고 가정을 하고 제어를 하게 되는데 실제 출력전압은 리플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리플 성분만큼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전류제어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2014-0078174 A
본 발명은 전기차량을 충전함에 있어서 충전장치 출력전압의 리플값을 보상할 수 있는 제어방법을 통하여 충전장치의 역률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차량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은 외부전원공급장치에서 차량충전장치로 입력되는 충전입력전압, 차량충전장치에서 컨버터로 출력되는 충전출력전압 및 차량제어부에서 차량충전장치로 전달하는 출력전압지령을 이용하여 차량제어부에서 보상듀티비를 도출하는 보상듀티비 도출단계; 및 외부전원공급장치에서 차량충전장치로 입력되는 충전입력전류, 보상듀티비, 충전입력전압, 충전출력전압 및 출력전압지령을 이용하여 차량충전장치 수정듀티비를 도출하는 수정듀티비 도출단계;를 포함한다.
보상듀티비는 하기의 수식을 이용하여 도출한다.
δ=(1-D)x(VDC-Vdcref)/(Vdcref)
δ: 보상듀티비, D: 충전장치의 대신호 듀티비, VDC: 충전출력전압, Vdcref: 출력전압지령
수정듀티비 도출단계는 충전출력전압과 출력전압지령을 전압제어기에 대입하여 차량제어부에서 차량충전장치로 전달하는 출력전류지령을 도출하는 출력전류지령도출단계; 도출한 출력전류지령과 충전입력전류를 전류제어기에 대입하여 차량충전장치 듀티비를 도출하는 듀티비도출단계; 도출한 차량충전장치 듀티비에 보상듀티비를 적용하여 수정듀티비를 도출하는 수정듀티비 도출단계;를 포함한다.
듀티비도출단계에서 차량충전장치 듀티비는 하기의 수식을 이용하여 도출할 수 있다.
d=1-(VIN/VDC)
d: 차량충전장치 듀티비, VIN: 충전입력전압, VDC: 충전출력전압
수정듀티비 도출단계는,
도출한 차량충전장치 듀티비에 보상듀티비를 합산하여 수정듀티비를 도출한다.
수정듀티비 도출단계 이후에는, 수정듀티비, 출력전류지령을 이용하여 차량충전장치에서 컨버터로 출력되는 충전출력전류를 도출하는 출력전류 도출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제어 시스템은 외부전원공급장치에서 차량충전장치로 입력되는 충전입력전압을 도출하는 충전입력전압 도출부; 차량충전장치에서 컨버터로 출력되는 충전출력전압을 도출하는 충전출력전압 도출부; 외부전원공급장치에서 차량충전장치로 입력되는 충전입력전류를 도출하는 충전입력전류 도출부; 충전입력전압, 충전출력전압 및 출력전압지령을 이용하여 보상듀티비를 도출하고 보상듀티비, 충전입력전압, 충전입력전류, 충전출력전압 및 출력전압지령을 이용하여 차량충전장치 수정듀티비를 도출하는 차량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용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충전장치 출력전압의 리플을 보상해주기 위하여 충전장치의 듀티비에 직접적으로 보상 듀티를 적용하므로 전류제어 성능이 향상된다.
둘째, 충전장치의 역률이 향상되므로 궁극적으로 전기차량의 충전 효율이 증가하고 차량 전체의 전비가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출력전류와 출력전류지령의 그래프 비교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전기차량은 차량에 마련되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으로 크게 두 가지의 충전방법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전기차량 전용충전소 같은 곳에서 충전하는 급속충전이고 다른 하나는 상용전원(110V 혹은 220V)을 이용하여 완속충전하는 방식이다.
완속충전의 경우 상용전원은 교류전압의 형태를 가지나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직류전압에 의하여 충전이 되고 상용전원의 전압값과 배터리의 전압값이 동일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충전장치를 두어 전압값과 전압의 형태(직류 혹은 교류)를 바꿀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흔히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경하는 충전장치를 PFC(Power Factor Correction)이라고 부르며 전압값을 변경시키는 장치는 컨버터(Converter)라고 불린다.
따라서 PFC와 컨버터를 이용하여 전기차량의 완속충전을 하는 경우, PFC에 의하여 교류전압인 상용전원이 직류전압의 형태로 바뀌게 되고 바뀐 직류전압이 DC/DC Converter에 의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DC 전압이 된다. 그런데 상기 과정 중 PFC에 의하여 직류전압의 형태로 바꾸는 단계에서 PFC의 출력전압을 리플(Ripple)이 없는 일정한 직류값이라고 가정하고 제어를 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 출력전압은 리플이 존재하게 때문에 리플전압의 영향만큼 PFC 전류제어의 성능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하여 PFC의 역률 및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PFC 즉, 충전장치의 듀티비를 수정하여 리플전압을 보상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한 첫 단계가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전원공급장치에서 차량충전장치로 입력되는 충전입력전압, 차량충전장치에서 컨버터로 출력되는 충전출력전압 및 차량제어부(100)에서 차량충전장치로 전달하는 출력전압지령을 이용하여 차량제어부(100)에서 보상듀티비를 도출하는 보상듀티비 도출단계(S100);이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본 발명은 충전장치의 듀티비를 수정하여 리플전압을 보상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충전장치의 듀티비를 수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값이 본 보상듀티비 도출단계(S100)에서 도출하고자 하는 보상듀티비이다.
듀티비는 전기영역에서는 일반적으로 한 주기내에서 전류가 흐른시간의 비율 또는 전류가 흐르지 않은 시간에 대하여 전류가 흐른 시간의 비율을 의미한다. 최근 전기장치에서 이루어지는 전압 및 전류 제어는 대부분이 PWM(Pulse Width Modulation)제어를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각각의 전기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스위칭 회로의 온, 오프에 따라 장치의 출력 및 효율 등이 결정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듀티비는 PWM 신호를 기반으로 작동되는 전기장치에서 장치의 특성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도 차량충전장치에서 컨버터로 출력되는 출력전압인 충전출력전압의 리플을 보상하기 위한 방법으로 차량충전장치의 듀티비를 수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듀티비를 수정하여 충전출력전압의 리플을 최소화함으로써 전류제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충전장치의 역률을 향상시켜 전기차량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보상듀티비 도출단계(S100)에서의 보상듀티비는 하기의 수식을 이용하여 도출이 가능하다.
δ=(1-D)x(VDC-Vdcref)/(Vdcref)
δ: 보상듀티비, D: 충전장치의 대신호 듀티비, VDC: 충전출력전압, Vdcref: 출력전압지령
충전출력전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량충전장치에서 컨버터로 출력되는 전압을 의미하며 출력전압지령은 차량제어부(100)에서 차량충전장치로 전달하는 전압을 의미한다. 여기서 출력전압지령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을 하자면 출력전압지령은 운전자 혹은 차량 설계자의 요구에 의하여 차량제어부(100)에서 충전장치로부터 요구하는 출력전압에 해당한다. 차량충전장치의 목적은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것이므로 본 출력전압지령은 그 값이 얼마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출력전압의 형태는 직류전압의 형태를 가질 것이다. 충전출력전압과 출력전압지령 모두 단위는 볼트(V)가 될 것이다.
상기의 수식에서 충전장치의 대신호 듀티비가 있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출력전압의 리플에 의하여 구별될 수 있는 값이다. 일반적으로 신호 모델은 대신호와 소신호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충전출력전압(DC)에 리플(AC)이 혼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충전출력전압이 대신호에 해당되며 리플이 소신호에 해당될 것이다. 결국 대신호 듀티비란 리플이 제거된 충전출력전압의 듀티비를 의미한다. 따라서 대신호 듀티비는 리플이 제거된 충전출력전압을 충전입력전압으로 나눈값을 1에서 뺀 값이 대신호 듀티비가 될 것이다.
상기의 수식에 따라 보상듀티비를 도출하였다면 외부전원공급장치에서 차량충전장치로 입력되는 충전입력전류, 보상듀티비, 충전입력전압, 충전출력전압 및 출력전압지령을 이용하여 차량충전장치 수정듀티비를 도출하는 수정듀티비 도출단계(S200);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수정 듀티비는 충전출력전압과 출력전압지령을 전압제어기에 대입하여 차량제어부(100)에서 차량충전장치로 전달하는 출력전류지령을 도출하는 출력전류지령도출단계(S130); 도출한 출력전류지령과 충전입력전류를 전류제어기에 대입하여 차량충전장치 듀티비를 도출하는 듀티비도출단계;(S160) 도출한 차량충전장치 듀티비에 보상듀티비를 적용하여 수정듀티비를 도출하는 수정듀티비 도출단계(S200);를 포함한다.
출력전류지령은 앞서 설명한 출력전압지령과 유사하게 운전자 혹은 차량 설계자의 요구에 의하여 차량제어부(100)에서 충전장치로부터 요구하는 출력전류에 해당한다. 따라서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단위는 암페어[A]이다. 출력전류지령은 듀티비와 충전출력전압을 전압제어기에 대입하여 도출할 수 있는데, 전압제어기는 차량충전장치 내에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나 외부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압제어기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 가능하나 가장 많이 쓰이는 전압제어기의 형태는 적분 제어기 형태이다. 적분 제어기는 기본적으로 피드백 제어기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의 출력값을 측정하여 이를 원하는 설정값과 비교하여 오차를 계산하고, 이 오차값을 이용하여 제어에 필요한 제어값을 계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적분제어기를 이용하면 충전출력전압이 순간적으로 변화하더라도 출력전류지령은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적분 제어기에 포화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오차의 적분값이 큰 값으로 누적되게 되어 출력값이 설정값에 가까워지게 되었을 때 제어값이 작아져야 함에도 계속 큰 값을 출력하게 되어 설정값에 도달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안티 와인드업 구조를 가진 적분 제어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압제어기를 이용하여 출력전류지령을 도출하였다면 도출한 출력전류지령과 충전입력전류를 전류제어기에 대입하여 차량충전장치 듀티비를 도출하는 듀티비 도출단계(S160)를 수행하게 된다. 본 단계에서의 전류제어기도 전압제어기와 마찬가지로 안티 와인드업 구조를 가진 적분 제어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차량충전장치의 듀티비는 출력전류지령과 충전입력전류를 전류제어기에 대입하여 도출할 수도 있지만 듀티비를 구하는 공식을 이용하여 도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의 수식을 이용하여 차량충전장치 듀티비를 도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d=1-(VIN/VDC)
d: 차량충전장치 듀티비, VIN: 충전입력전압, VDC: 충전출력전압
본 식을 이용하여 듀티비를 도출하는 경우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차량충전장치 듀티비를 도출할 수 있으므로 차량충전장치의 응답성면에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류제어기를 이용하여 듀티비를 도출하는 방법보다 오차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 결국 차량충전장치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차량충전장치 듀티비 도출방법 중 어느 것을 이용하더라도 무방하나, 각 방법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최선의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차량충전장치 듀티비가 도출되었다면 도출한 차량충전장치 듀티비에 보상듀티비를 적용하여 수정듀티비를 도출하는 수정듀티비 도출단계(S200);를 수행하게 된다. 차량충전장치 듀티비는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차량충전장치 출력전압의 리플을 고려하지 않은 듀티비에 해당하므로 보상듀티비 도출단계(S100)에서 출력전압의 리플을 보상하기 위하여 도출한 보상듀티비를 차량충전장치 듀티비에 적용하여 출력전압의 리플이 보상된 수정듀티비를 도출하는 것이다.
보상듀티비를 어떠한 값으로 도출하였는지에 따라 수정듀티비를 도출하는 방법이 상이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보상듀티비를 구하는 수식을 제시하고 있는 바 이와 대응되는 수정듀티비를 도출하는 방법은 도출한 차량충전장치 듀티비에 보상듀티비를 합산하여 수정듀티비를 도출하는 방식이다.
도1에서 볼 수 있듯이 수정듀티비 도출단계(S200) 이후에는 차량충전장치의 수정듀티비, 출력전류지령을 이용하여 차량충전장치에서 컨버터로 출력되는 충전출력전류를 도출하는 출력전류 도출단계(S300);를 수행하게 된다.
충전출력전류를 도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듀티비를 도출하는 공식을 이용하여 도출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고, 수정듀티비와 출력전류지령을 적분제어기에 대입하여 충전출력전류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차량충전장치의 효율은 차량충전장치의 충전출력전류와 출력전류지령의 위상 차이에 따라 상이하다. 충전출력전류와 출력전류지령의 위상차이가 없다면 차량충전장치의 역률은 1이 될 것이고 위상 차이가 커짐에 따라 역률값은 점점 낮아질 것이다. 전기차량의 충전시스템에 있어서 충전장치의 역률은 곧 충전 효율을 의미하고 충전효율은 전기차량의 전비를 도출함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곱해지는 텀(term)이기 때문에 결국 전기차량 자체의 전비가 향상되게 된다.
도3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충전장치의 충전출력전류와 출력전류지령의 차이와 종래기술에 따른 충전출력전류와 출력전류지령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도3의 그래프는 차량충전장치 충전출력전압의 리플을 보상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충전출력전류와 본 발명에 따라 충전출력전압의 리플을 보상하여 도출한 충전출력전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종래기술(충전출력전압의 리플을 보상하지 않은 경우)에 따를 경우 충전출력전류(실선)이 출력전류지령(점선)보다 약간 앞서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양 전류간에 어느 정도의 위상 차이가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종래기술에 비해 충전출력전류와 출력전류지령의 위상 차이가 감소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의 충전제어방법을 이용할 경우 차량충전장치의 역률이 향상되고 이를 통하여 전기차량의 전비가 향상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제어 시스템은 외부전원공급장치에서 차량충전장치로 입력되는 충전입력전압을 도출하는 충전입력전압 도출부(200); 차량충전장치에서 컨버터로 출력되는 충전출력전압을 도출하는 충전출력전압 도출부(300); 외부전원공급장치에서 차량충전장치로 입력되는 충전입력전류를 도출하는 충전입력전류 도출부(400); 충전입력전압, 충전출력전압 및 출력전압지령을 이용하여 보상듀티비를 도출하고 보상듀티비, 충전입력전압, 충전입력전류, 충전출력전압 및 출력전압지령을 이용하여 차량충전장치 수정듀티비를 도출하는 차량제어부(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S100: 보상듀티비 도출단계 S200: 수정듀티비 도출단계
S300: 출력전류 도출단계 100: 차량제어부
200: 충전입력전압 도출부 300: 충전출력전압 도출부
400: 충전입력전류 도출부

Claims (7)

  1. 외부전원공급장치에서 차량충전장치로 입력되는 충전입력전압, 차량충전장치에서 컨버터로 출력되는 충전출력전압 및 차량제어부에서 차량충전장치로 전달하는 출력전압지령을 이용하여 차량제어부에서 보상듀티비를 도출하는 보상듀티비 도출단계; 및
    외부전원공급장치에서 차량충전장치로 입력되는 충전입력전류, 보상듀티비, 충전입력전압, 충전출력전압 및 출력전압지령을 이용하여 차량충전장치 수정듀티비를 도출하는 수정듀티비 도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듀티비는 하기의 수식을 이용하여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
    δ=(1-D)x(VDC-Vdcref)/(Vdcref)
    δ: 보상듀티비, D: 충전장치의 대신호 듀티비, VDC: 충전출력전압, Vdcref: 출력전압지령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정듀티비 도출단계는,
    충전출력전압과 출력전압지령을 전압제어기에 대입하여 차량제어부에서 차량충전장치로 전달하는 출력전류지령을 도출하는 출력전류지령도출단계;
    도출한 출력전류지령과 충전입력전류를 전류제어기에 대입하여 차량충전장치 듀티비를 도출하는 듀티비도출단계;
    도출한 차량충전장치 듀티비에 보상듀티비를 적용하여 수정듀티비를 도출하는 수정듀티비 도출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듀티비도출단계는,
    차량충전장치 듀티비는 하기의 수식을 이용하여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
    d=1-(VIN/VDC)
    d: 차량충전장치 듀티비, VIN: 충전입력전압, VDC: 충전출력전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수정듀티비 도출단계는,
    도출한 차량충전장치 듀티비에 보상듀티비를 합산하여 수정듀티비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수정듀티비 도출단계 이후에는,
    수정듀티비, 출력전류지령을 이용하여 차량충전장치에서 컨버터로 출력되는 충전출력전류를 도출하는 출력전류 도출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
  7. 외부전원공급장치에서 차량충전장치로 입력되는 충전입력전압을 도출하는 충전입력전압 도출부;
    차량충전장치에서 컨버터로 출력되는 충전출력전압을 도출하는 충전출력전압 도출부;
    외부전원공급장치에서 차량충전장치로 입력되는 충전입력전류를 도출하는 충전입력전류 도출부;
    충전입력전압, 충전출력전압 및 출력전압지령을 이용하여 보상듀티비를 도출하고 보상듀티비, 충전입력전압, 충전입력전류, 충전출력전압 및 출력전압지령을 이용하여 차량충전장치 수정듀티비를 도출하는 차량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듀티비는 하기의 수식을 이용하여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제어 시스템.
    δ=(1-D)x(VDC-Vdcref)/(Vdcref)
    δ: 보상듀티비, D: 충전장치의 대신호 듀티비, VDC: 충전출력전압, Vdcref: 출력전압지령
KR1020150115869A 2015-08-18 2015-08-18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1836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869A KR101836571B1 (ko) 2015-08-18 2015-08-18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869A KR101836571B1 (ko) 2015-08-18 2015-08-18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939A KR20170021939A (ko) 2017-03-02
KR101836571B1 true KR101836571B1 (ko) 2018-03-09

Family

ID=58426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869A KR101836571B1 (ko) 2015-08-18 2015-08-18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056B1 (ko) * 2017-11-27 2022-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충전용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8179A (ja) 2012-01-31 2013-08-15 Nichicon Corp 充電装置
JP2014117017A (ja) * 2012-12-06 2014-06-26 Nissan Motor Co Ltd 給電システム
JP2015505454A (ja) 2012-11-01 2015-02-19 ミョンジ ユニバーシティー インダストリー アンド アカデミア コーポレーション ファウンデーション Pfcコンバータの出力電圧リップル補償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電気車両用バッテリ充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169B1 (ko) 2012-12-17 2014-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8179A (ja) 2012-01-31 2013-08-15 Nichicon Corp 充電装置
JP2015505454A (ja) 2012-11-01 2015-02-19 ミョンジ ユニバーシティー インダストリー アンド アカデミア コーポレーション ファウンデーション Pfcコンバータの出力電圧リップル補償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電気車両用バッテリ充電装置
JP2014117017A (ja) * 2012-12-06 2014-06-26 Nissan Motor Co Ltd 給電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939A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8068B2 (en) Power conversion system control device and control system
US10763754B2 (en) Power supply device
WO2012144249A1 (ja) 電力変換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載電源装置
KR101628525B1 (ko) 차량용 배터리 충전기
KR101526666B1 (ko) 저전압 dc-dc 컨버터 듀티 제어 방법
US2015023935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of a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in a non-contact charging system
US20110260546A1 (en) Output control apparatus for hybrid engine generator
JP6090275B2 (ja) 電力変換装置
US8493756B2 (en) Switching control method of transformer coupled booster for suppressing an increase in energizing current
US9490707B2 (en) Control circuit and a method for an energy based pulse skipping mode in a DC/DC converter
KR101558794B1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충전 장치
WO2020049801A1 (ja) 電力変換装置
JP5935789B2 (ja) 電力変換装置及び電力変換方法
KR101846682B1 (ko)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9004544A (ja) 制御システム
JP5893089B2 (ja) 直流変換装置の制御方法
KR101836571B1 (ko)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220020955A (ko) 멀티레벨 변환기를 위한 전압 밸런스 시스템 및 방법
CN114097170B (zh) 电源系统
KR101567222B1 (ko) 충전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86298A (ko) 전기차량의 충전제어 시스템
JP201116056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4236620A (ja) 電力変換装置
JP2017104001A (ja) 親環境車両用コンバータ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8157737A (ja)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