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530B1 - 차량용 푸셔액슬의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푸셔액슬의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530B1
KR101836530B1 KR1020120144940A KR20120144940A KR101836530B1 KR 101836530 B1 KR101836530 B1 KR 101836530B1 KR 1020120144940 A KR1020120144940 A KR 1020120144940A KR 20120144940 A KR20120144940 A KR 20120144940A KR 101836530 B1 KR101836530 B1 KR 101836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pusher axle
axis
rod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6442A (ko
Inventor
손태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4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530B1/ko
Publication of KR20140076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62D7/15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 B62D7/1518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comprising a mechanical interconnecting system between the steering control means of the different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62D49/06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 B62D49/0621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comprising traction increasing arrangements, e.g. all-wheel traction devices, multiple-axle traction arrangements, auxiliary traction increa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4Preventing damage resulting from overload or excessive wear of the driveline
    • B60Y2300/1845Preventing of breakage of drive line components, e.g. parts of the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 단부에 휠이 설치되는 푸셔액슬; 상기 푸셔액슬의 중단부 양측에 복수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푸셔액슬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차체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대해 일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푸셔액슬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푸셔액슬과 함께 휠이 조향 회전되도록 하는 조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푸셔액슬의 조향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푸셔액슬의 조향장치{APPARATUS FOR STEERING PUSHER AXL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푸셔액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푸셔액슬에 설치된 타이어의 마모 성능을 개선하며, 푸셔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부품 절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량용 푸셔액슬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 등의 화물차량에는 화물 적재량 증대를 위해 후륜 축에 푸셔(pusher) 및 태그(tag) 시스템이 추가 설치된다.
도 1과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푸셔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푸셔시스템은 차체(20)와 푸셔액슬(10) 사이에 스프링시트(11)를 매개로 클램프빔어셈블리(12)가 설치되어 푸셔액슬(10)을 지지하며, 상기 푸셔액슬(10)의 양 단부에는 휠(3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푸셔시스템을 적용함에 따라 차량의 선회시, 푸셔액슬(10)에 결합된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력이 증대되면서 타이어가 비정상적으로 과다 마모되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푸셔시스템에 자동조향(self steer) 기능이 추가된다.
상기한 자동조향 기능을 위해 후진시 캐스터각을 변경하는 역할의 리버스실린더(14)가 설치되며, 이와 관련된 쇼크업소버(15), 타이로드(16), 타이로드 고정브라켓 등의 부품이 추가로 장착되어, 푸셔액슬(10)에 결합된 휠(30)이 자동 조향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차체(20)에 힌지 결합된 크랭크아암(21)과 상기 스프링시트(11)가 연결로드(13)를 매개로 연결되어 후진시 상기한 리버스실린더(13)가 작동되면 크랭크아암(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로드(13)가 스프링시트(11)를 당겨 푸셔액슬(10)의 캐스터각을 변경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자동조향 기능의 경우 푸셔액슬에 결합된 휠이 조향되는 구조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액슬과 휠이 킹핀구조(31)에 의해 연결된 단륜 구조만이 적용되는바, 푸셔액슬과 휠의 연결구조가 복잡하고, 중량이 증대되며, 특히 푸셔액슬의 축용량이 복륜 구조에 비해 현저하게 작아지게 되어 화물 적재중량이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일례로, 6X4의 휠 배치 구조를 갖는 대형트럭의 경우에는 축 용량이 작은 푸셔시스템을 적용하더라도, 후축이 2개나 있기 때문에 상품성 저하에 대한 우려가 크지 않지만, 4X2의 휠 배치 구조를 갖는 중형트럭의 경우에는 후축이 1개만 설치됨으로써, 푸셔시스템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큰바 푸셔액슬의 축 용량 증대가 절실하다.
더욱이, 상기한 자동조향 기능이 추가됨에 따라, 상기한 리버스실린더는 물론, 추가 장착되는 여러 부품들로 인해 차량의 중량이 증대되는 문제도 있다.
특히, 클램프빔어셈블리와 연결로드가 단순한 통형 구조로 연결됨으로써, 차량의 롤링시 클램프빔어셈블리 및 연결로드에 비틀림응력이 작용되면, 이 비틀림을 흡수하는 구조가 미비하여 해당 부품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 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0-0073320의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이 소개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 역시 자동조향 기능에 따른 중량 증대 문제와, 푸셔액슬 시스템에서의 부품 파손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0-0073320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푸셔액슬에 설치된 타이어의 마모 성능을 개선하며, 푸셔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부품 절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량용 푸셔액슬의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양 단부에 휠이 설치되는 푸셔액슬; 상기 푸셔액슬의 중단부 양측에 복수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푸셔액슬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차체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대해 일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푸셔액슬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푸셔액슬과 함께 휠이 조향 회전되도록 하는 조향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향수단은, 상기 차체에 조향실린더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조향실린더의 타단부에 조향로드의 일단부가 삽입 설치되어, 상기 조향로드가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조향로드의 타단부가 푸셔액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향로드의 타단부에는 상기 푸셔액슬이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회전되어 비틀림을 흡수하도록 부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싱은, 상기 조향로드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외륜; 양 단부가 상기 푸셔액슬에 연결되며, 상기 외륜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조향로드의 축방향과 일치하는 가상의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푸셔액슬과 연결된 양 단부를 잇는 가상의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축 및 제2축과 직교하는 가상의 제3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내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푸셔액슬과 차체 사이에 스프링이 지지 설치되도록 상기 스프링과 푸셔액슬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시트;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시트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차체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대해 일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푸셔액슬이 휠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차체에 회전실린더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회전실린더의 타단부에 회전로드의 일단부가 삽입 설치되어, 상기 회전로드가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회전로드의 타단부가 스프링시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로드의 타단부에는 상기 푸셔액슬이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회전되어 비틀림을 흡수하도록 부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싱은, 상기 회전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외륜; 양 단부가 상기 스프링시트에 연결되며, 상기 외륜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회전로드의 축방향과 일치하는 가상의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스프링시트와 연결된 양 단부를 잇는 가상의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축 및 제2축과 직교하는 가상의 제3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내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향실린더에 마스터실린더가 연결되어 상기 마스터실린더로부터 양측의 조향실린더에 작동유가 각각 유출입됨으로써, 양측의 조향로드가 전진 또는 후퇴 이동되며; 일측의 조향로드가 전진 또는 후퇴 이동시, 타측의 조향로드가 일측의 조향로드와 반대방향으로 후퇴 또는 전진 이동됨으로써, 양측 조향로드의 이동량이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푸셔액슬의 양 단부에 복륜 구조의 휠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조향실린더에 의해 푸셔액슬의 양측에서 푸셔액슬을 각각 전진 또는 후퇴 이동시켜 푸셔액슬이 조향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푸셔액슬에 결합된 타이어의 마모를 최소화하여 타이어 마모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푸셔액슬을 지지하도록 스프링시트와 차체 사이에 설치된 조향로드 및 회전로드의 단부에 3축 방향으로 회전 자유도를 갖는 부싱이 설치됨으로써, 차량 롤링시에 발생하는 과다한 비틀림응력을 개선하여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실린더 및 로드 구조의 조향수단을 통해 푸셔액슬을 조향 회전시킴에 따라, 기존의 리버스실린더 및 자동조향 기능과 관련된 리버스실린더 등의 부품들이 불필요하며, 특히 푸셔액슬에 연결된 휠 구조에 복륜을 적용 가능함으로써, 푸셔액슬의 축 용량이 증대되는바,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킨느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푸셔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푸셔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푸셔액슬과 휠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향수단의 구성과 부싱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수단의 구성과 부싱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향실린더의 작동에 따른 푸셔액슬의 회전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푸셔액슬과 휠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마스터실린더와 조향실린더의 작동유 유출입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푸셔액슬의 조향장치에 대한 도면으로, 먼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향수단의 구성과 부싱(14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푸셔액슬의 조향장치는 푸셔액슬(100)과, 조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푸셔액슬(100)의 조향장치는, 양 단부에 휠(300)이 설치되는 푸셔액슬(100); 상기 푸셔액슬(100)의 중단부 양측에 복수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푸셔액슬(100)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차체(200)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대해 일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푸셔액슬(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푸셔액슬(100)과 함께 휠(300)이 조향 회전되도록 하는 조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요소에 대해 부연하면, 상기 푸셔액슬(100)은 양 단부에 휠(300)이 설치되며, 상기 푸셔액슬(100)의 상면에는 스프링시트(11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시트(110)와 차체(200) 사이에 에어스프링(115)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에어스프링(115)의 상면은 차체(200)의 저면에 고정된 마운팅브라켓(210)의 일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휠(3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 및 저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브라켓(210)의 타단부 저면에는 조향수단의 구성요소인 조향실린더(120)의 단부가 결합된다.
상기 조향수단은, 상기 푸셔액슬(100)의 축방향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푸셔액슬(100)과 결합된 스프링시트(110)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차체(200)에 결합된 마운팅브라켓(210)의 하단부에 고정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향수단은 조향실린더(120)와 조향로드(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조향수단은 상기 조향수단은, 상기 차체(200)에 조향실린더(120)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조향실린더(120)의 타단부에 조향로드(130)의 일단부가 삽입 설치되어, 상기 조향로드(130)가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조향로드(130)의 타단부가 푸셔액슬(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조향로드(130)의 이동동작에 의해 차체(200)와 스프링시트(110) 하단부 사이의 길이가 가변되면, 가변 이동된 이동량의 길이만큼 푸셔액슬(10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양측 조향로드(130)의 이동 동작을 통해 상기 푸셔액슬(100)의 일측이 전진 이동될 때, 푸셔액슬(100)의 타측은 후진 이동됨으로써, 상기 푸셔액슬(100)의 중앙을 중심으로 푸셔액슬(100)과 함께 휠(30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상기 푸셔액슬(100)이 조향 회전되는바, 푸셔액슬(100)의 휠(300)에 설치된 타이어의 마모가 저감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조향로드(130)와 스프링시트(110)는 부싱(140)을 매개로 연결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조향로드(130)의 타단부에는 상기 푸셔액슬(100)이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회전되어 비틀림을 흡수하도록 부싱(14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푸셔액슬(100)이 회전하는 세 개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부싱(140)이 자유 회전됨으로써, 상기 푸셔액슬(100)의 회전시 조향실린더(120) 및 조향로드(130)에 가해지는 비틀림응력이 부싱(140)에서 흡수된다.
상기 부싱(14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부싱(140)은, 상기 조향로드(13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외륜(142)과, 양 단부가 상기 푸셔액슬(100)에 연결되며, 상기 외륜(14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조향로드(130)의 축방향과 일치하는 가상의 제1축(S1)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푸셔액슬(100)과 연결된 양 단부를 잇는 가상의 제2축(S2)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축(S1) 및 제2축(S2)과 직교하는 가상의 제3축(S3)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내륜(14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륜(144)이 외륜(142)에 제1축(S1), 제2축(S2), 제3축(S3)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내륜(144)과 연결된 스프링시트(110) 및 푸셔액슬(100)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회전에 의한 비틀림을 흡수 및 저감하여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며, 특히 푸셔액슬(10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부싱(140)은 상기 내륜(144)과 외륜(142)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수단의 구성과 부싱(17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푸셔액슬(100)의 캐스터각을 변화시키기 위해 차체(200)와 스프링시트(110) 사이에 회전수단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푸셔액슬(100)과 차체(200) 사이에 에어스프링(115)이 지지 설치되도록 상기 에어스프링(115)과 푸셔액슬(100)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시트(110);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시트(110)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차체(200)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대해 일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푸셔액슬(100)이 휠(300)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회전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수단은 회전실린더(150)와 회전로드(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차체(200)의 저면에 고정된 마운팅브라켓(210)에 회전실린더(150)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회전실린더(150)의 타단부에 회전로드(160)의 일단부가 삽입 설치되어, 상기 회전로드(160)가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회전로드(160)의 타단부가 스프링시트(110)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회전로드(160)의 이동동작에 의해 스프링시트(110)의 상단부를 차체(200)쪽으로 당기거나 반대방향으로 밀어 그 사이의 길이가 가변되면, 푸셔액슬(100)을 중심으로 스프링시트(110)와 푸셔액슬(100)이 회전된다. 따라서, 회전로드(160)의 이동 동작을 통해 상기 푸셔액슬(100)이 회전됨으로써, 푸셔액슬(100)의 캐스터각을 변환시킬 수 있는바, 캐스터각 변환에 사용되었던 기존의 리버스실린더 등의 구성품이 필요치 않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실린더(150)는 후술하는 마스터실린더(400)를 통해 작동유압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회전로드(160)와 스프링시트(110)는 부싱(170)을 매개로 연결 설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로드(160)의 타단부에는 상기 푸셔액슬(100)이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회전되어 비틀림을 흡수하도록 부싱(17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푸셔액슬(100)이 회전하는 세 개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부싱(170)이 자유 회전됨으로써, 상기 푸셔액슬(100)의 회전시 회전실린더(150) 및 회전로드(160)에 가해지는 비틀림응력이 부싱(170)에서 흡수된다.
상기 부싱(17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부싱(170)은, 상기 회전로드(160)의 단부에 결합되는 외륜(172)과, 양 단부가 상기 스프링시트(110)에 연결되며, 상기 외륜(17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회전로드(160)의 축방향과 일치하는 가상의 제1축(S1)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스프링시트(110)와 연결된 양 단부를 잇는 가상의 제2축(S2)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축(S1) 및 제2축(S2)과 직교하는 가상의 제3축(S3)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내륜(17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륜(174)이 외륜(172)에 대해 제1축(S1), 제2축(S2), 제3축(S3)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내륜(174)과 연결된 스프링시트(110) 및 푸셔액슬(100)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회전에 의한 비틀림을 부싱(170)에서 흡수 및 저감하여 회전로드(160)의 파손을 방지하며, 특히 푸셔액슬(10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내륜(174)과 외륜(172)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향실린더(120)의 작동에 따른 푸셔액슬(100)의 회전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마스터실린더(400)와 조향실린더(120)의 작동유 유출입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조향실린더(120)에 마스터실린더(400)가 연결되어 상기 마스터실린더(400)로부터 양측의 조향실린더(120)에 작동유가 각각 유출입됨으로써, 양측의 조향로드(130)가 전진 또는 후퇴 이동되며, 일측의 조향로드(130)가 전진 또는 후퇴 이동시, 타측의 조향로드(130)가 일측의 조향로드(130)와 반대방향으로 후퇴 또는 전진 이동됨으로써, 양측 조향로드(130)의 이동량이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마스터실린더(400)를 통해 일측의 조향실린더(120)에 작동유가 유입됨과 동시에 타측의 조향실린더(120)에서 작동유가 유출되면, 일측의 조향로드(130)는 푸셔액슬(100) 방향으로 전진 이동되면서, 타측의 조향로드(130)가 그 반대방향으로 후퇴 이동된다. 따라서, 푸셔액슬(100)의 중앙을 중심으로 푸셔액슬(100)의 양 단부가 시소 회전됨으로써, 푸셔액슬(100)이 조향되며, 이로 인해 푸셔액슬(100)에 설치된 휠(300)을 함께 조향시키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푸셔액슬(100)과 휠(300)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푸셔액슬(100)의 양 단부에 복륜 구조의 휠(30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휠(300)이 아닌 푸셔액슬(100) 자체가 조향 회전되는바, 킹핀구조와 같은 연결구조에 의해 휠(300)과 푸셔액슬(100)이 연결될 필요가 없어, 상기 휠(300)은 푸셔액슬(100)에 대해 스핀들(310)로만 연결됨으로써, 상기 휠(300)은 푸셔액슬(100)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한 회전만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복륜 구조의 휠(300)이 설치되어도 푸셔액슬(100)의 조향이 가능하게 되며, 이를 통해 푸셔액슬(100)의 축 용량이 증대되는바, 화물 적재중량을 증대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푸셔액슬 110 : 스프링시트
120 : 조향실린더 130 : 조향로드
140 : 부싱 150 : 회전실린더
160 : 회전로드 170 : 부싱
200 : 차체 300 : 휠
400 : 마스터실린더

Claims (10)

  1. 양 단부에 휠(300)이 설치되는 푸셔액슬(100);
    상기 푸셔액슬(100)의 중단부 양측에 복수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푸셔액슬(100)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차체(200)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대해 일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푸셔액슬(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푸셔액슬(100)과 함께 휠(300)이 조향 회전되도록 하는 조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푸셔액슬(100)과 차체(200) 사이에 스프링(115)이 지지 설치되도록 상기 스프링(115)과 푸셔액슬(100)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시트(110);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시트(110)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차체(200)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대해 일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푸셔액슬(100)이 휠(300)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회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차체(200)에 회전실린더(150)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회전실린더(150)의 타단부에 회전로드(160)의 일단부가 삽입 설치되어, 상기 회전로드(160)가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회전로드(160)의 타단부가 스프링시트(11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푸셔액슬의 조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향수단은,
    상기 차체(200)에 조향실린더(120)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조향실린더(120)의 타단부에 조향로드(130)의 일단부가 삽입 설치되어, 상기 조향로드(130)가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조향로드(130)의 타단부가 푸셔액슬(1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푸셔액슬의 조향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향로드(130)의 타단부에는 상기 푸셔액슬(100)이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회전되어 비틀림을 흡수하도록 부싱(1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푸셔액슬의 조향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부싱(140)은,
    상기 조향로드(13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외륜(142);
    양 단부가 상기 푸셔액슬(100)에 연결되며, 상기 외륜(14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조향로드(130)의 축방향과 일치하는 가상의 제1축(S1)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푸셔액슬(100)과 연결된 양 단부를 잇는 가상의 제2축(S2)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축(S1) 및 제2축(S2)과 직교하는 가상의 제3축(S3)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내륜(1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푸셔액슬의 조향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드(160)의 타단부에는 상기 푸셔액슬(100)이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회전되어 비틀림을 흡수하도록 부싱(17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푸셔액슬의 조향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부싱(170)은,
    상기 회전로드(160)의 단부에 결합되는 외륜(172);
    양 단부가 상기 스프링시트(110)에 연결되며, 상기 외륜(17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회전로드(160)의 축방향과 일치하는 가상의 제1축(S1)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스프링시트(110)와 연결된 양 단부를 잇는 가상의 제2축(S2)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축(S1) 및 제2축(S2)과 직교하는 가상의 제3축(S3)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내륜(17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푸셔액슬의 조향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향실린더(120)에 마스터실린더(400)가 연결되어 상기 마스터실린더(400)로부터 양측의 조향실린더(120)에 작동유가 각각 유출입됨으로써, 양측의 조향로드(130)가 전진 또는 후퇴 이동되며;
    일측의 조향로드(130)가 전진 또는 후퇴 이동시, 타측의 조향로드(130)가 일측의 조향로드(130)와 반대방향으로 후퇴 또는 전진 이동됨으로써, 양측 조향로드(130)의 이동량이 동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푸셔액슬의 조향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셔액슬(100)의 양 단부에 복륜 구조의 휠(3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푸셔액슬의 조향장치.
KR1020120144940A 2012-12-12 2012-12-12 차량용 푸셔액슬의 조향장치 KR101836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940A KR101836530B1 (ko) 2012-12-12 2012-12-12 차량용 푸셔액슬의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940A KR101836530B1 (ko) 2012-12-12 2012-12-12 차량용 푸셔액슬의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442A KR20140076442A (ko) 2014-06-20
KR101836530B1 true KR101836530B1 (ko) 2018-03-08

Family

ID=5112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940A KR101836530B1 (ko) 2012-12-12 2012-12-12 차량용 푸셔액슬의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5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595Y1 (ko) * 2004-08-19 2004-11-26 주식회사 포멕 차량 자동조향액슬의 조향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595Y1 (ko) * 2004-08-19 2004-11-26 주식회사 포멕 차량 자동조향액슬의 조향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442A (ko) 201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1201B2 (ja) 自動車
CN101386253B (zh) 车辆的复合导杆后桥
EP3481708B1 (en) Vehicle having three or more tilting wheels with reactive constraint suspension
EP3551528B1 (en) Suspension group for motor vehicle, wheel group for motor vehicle, front end of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thereof
JP4966273B2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103522865B (zh) 独立悬架系统及具有该独立悬架系统的起重机
US6883629B2 (en) Vehicle with one-sided swing arm
JP2007216732A (ja) 車両用操舵装置
EP0469475A1 (en) Front suspension for motor-cycles
US20230129358A1 (en) Independent Corner Module
JP4624151B2 (ja) 自動車の操舵装置
KR101836530B1 (ko) 차량용 푸셔액슬의 조향장치
JPS62110506A (ja) 車両のリヤサスペンシヨン装置
RU2565631C2 (ru) Система рулевого управления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130033208A (ko) 삼륜차량의 후륜서스펜션 장치
JP4857658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955409B1 (ko) 카트용 코너링 전복 방지 의자 시스템
JP2006335118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448796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JP4935137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2283509A (ja) マクファーソンストラット型サスペンション
JP6766452B2 (ja) 車両の後輪操舵装置
JPS62283071A (ja) 後輪操舵装置
JP4952673B2 (ja) ブレーキホースの配置構造
KR100211699B1 (ko) 2중링크식 리어서스펜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