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184B1 - 배터리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184B1
KR101836184B1 KR1020150103099A KR20150103099A KR101836184B1 KR 101836184 B1 KR101836184 B1 KR 101836184B1 KR 1020150103099 A KR1020150103099 A KR 1020150103099A KR 20150103099 A KR20150103099 A KR 20150103099A KR 101836184 B1 KR101836184 B1 KR 101836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cooling fan
duct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2638A (ko
Inventor
김병수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to KR1020150103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184B1/ko
Priority to CN201680026890.0A priority patent/CN107592946B/zh
Priority to EP16814685.0A priority patent/EP3316392B1/en
Priority to PCT/KR2016/006653 priority patent/WO2016208972A1/ko
Publication of KR20170012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Abstract

본 발명의 배터리 냉각장치는 배터리 팩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 팩을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덕트유닛이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복수의 냉각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냉각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냉각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PCB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냉각팬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부와,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덕트부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여, 배터리 냉각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배터리 냉각장치{COOLING SYSTEM FOR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충방전시 발생되는 열을 냉각하는 배터리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는 고용량 배터리가 장착되어 모터 및 자동차의 전기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고 자동차의 주행시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가 배터리에 충전된다.
배터리는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는 동안 발열하게 되고 배터리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할 경우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기 때문에 배터리 냉각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종래의 차량용 배터리 냉각장치는 등록특허공보 10-1264623(2013년 05월 09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를 내장한 배터리 하우징 내부의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배터리를 냉각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하우징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통되게 연결됨과 아울러 배터리하우징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하도록 내부에 송풍팬을 각각 구비한 복수개의 송풍장치와, 상기 복수개 송풍장치를 연통되게 연결함과 아울러 각 송풍장치에서 토출된 공기를 합류시켜 토출하는 합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동하도록 송풍팬의 둘레에 스크롤 형태의 공기유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하우징과 마주하는 일측면에는 배터리하우징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송풍팬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인렛링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도록 모터를 내장한 모터하우징이 결합된 스크롤부와, 상기 스크롤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합류부의 외주면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스크롤부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합류부 내로 토출하는 토출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배터리 냉각장치는 배터리 하우징이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배터리 하우징 각각에 송풍팬이 구비된다.
이러한 배터리 냉각장치는 복수의 배터리가 구비된 하나의 배터리 하우징에 하나의 송풍팬이 구비되기 때문에 하나의 송풍팬을 통해 배터리를 냉각해야되므로 송풍팬의 사이즈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냉각장치 설치공간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배터리 냉각장치는 배터리의 일측에 연결덕트가 연결되고 연결덕트를 통해 배터리 사이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데, 이때 하나의 흡입통로로 공기가 흡입되기 때문에 배터리의 위치에 따라 각각 송풍량이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배터리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냉각되지 못하여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264623(2013년 05월 09일)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냉각팬이 하나의 하우징에 설치되고 하나의 PCB에 연결되어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배터리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가 설치되는 위치의 특성에 맞게 공기 토출구의 위치 및 개수를 변경할 수 있어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 냉각장치는 배터리 팩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 팩을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덕트유닛이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복수의 냉각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냉각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냉각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PCB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냉각팬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부와,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덕트부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다.
상기 흡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어 하우징의 전방으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어 하우징의 후방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냉각팬의 축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도록 공기 흐름을 가이드하여 상기 덕트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은 제1가이드부에 배치되는 제1냉각팬과, 제2가이드부에 배치되는 제2냉각팬과, 제3가이드부에 설치되는 제3냉각팬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제1냉각팬 및 제2냉각팬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제1덕트부와, 상기 제3가이드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3냉각팬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제2덕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1덕트부와 연통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1토출구와, 상기 제2덕트부와 연통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팬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PCB가 연결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축과 같이 회전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에 설치되어 축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고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유닛은 가이드부의 상측에 상기 냉각팬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덕트부와, 상기 덕트부와 연통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측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CB에는 복수의 냉각팬이 장착되도록 상기 냉각팬과 동일한 개수의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그 중앙에 상기 냉각팬의 회전축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냉각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터리 냉각장치는 복수의 냉각팬이 하나의 하우징에 설치되고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PCB에 모든 냉각팬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 냉각장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의 위치를 하우징의 후방으로 형성하거나 하우징의 상방으로 형성하여 배터리가 설치되는 위치의 특성에 맞게 공기 토출구의 위치 및 개수를 변경할 수 있어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냉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냉각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냉각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냉각장치의 하우징 및 냉각팬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냉각장치가 배터리 팩에 설치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냉각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냉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냉각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냉각장치의 메인 PCB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 냉각장치는 배터리 팩(100)의 측면에 설치되고, 배터리 팩(100)을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30) 및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40)가 구비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어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냉각팬(20)과, 하우징(10)에 설치되고 냉각팬(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냉각팬(20)의 제어 및 전원을 공급하는 PCB(50)를 포함한다.
배터리 팩(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배터리 셀(110)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하나의 배터리 팩을 형성하고, 배터리 팩(100)의 일면에는 냉각장치(200)가 설치된다. 냉각장치(200)가 구동되면 배터리 셀(110)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배터리 셀(110) 사이를 통과하면서 각각의 배터리 셀(110)을 냉각한다.
그리고, 배터리 팩(100)의 타면 즉, 냉각장치(200)가 설치되는 측면의 반대쪽 측면에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덕트(120)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토출구(40)가 형성되고 냉각팬(20)및 PCB(50)가 설치되는 제1하우징(12)과, 제1하우징(12)에 결합되고 흡입구(30)가 형성되는 제2하우징(14)을 포함한다.
냉각팬(20)은 하우징(1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냉각팬(22), 제2냉각팬(24) 및 제3냉각팬(2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팬(20)은 배터리 팩(100)의 사이즈에 따라 2개 또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냉각팬(20)이 배치되고 냉각팬(20)의 축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공기 흐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62)와, 하우징(10)의 상측 내면에 형성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덕트유닛(150)이 하우징(10)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62)는 제1냉각팬(22)이 장착되고 제1냉각팬(22)에 의한 공기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152)와, 제2냉각팬(24)이 장착되고 제2냉각팬(24)에 의한 공기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154)와, 제3냉각팬(26)이 장착되고 제3냉각팬(26)에 의한 공기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부(156)를 포함한다.
덕트유닛(150)은 냉각팬(2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부(66)와, 하우징(10)의 후방 상단에 형성되어 덕트부(66)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40)를 포함한다.
덕트부(66)는 제1가이드부(152)와 제2가이드부(154)의 상면에 형성되어 제1냉각팬(22)과 제2냉각팬(24)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제1덕트부(162)와, 제3가이드부(156)의 상면에 형성되어 제3냉각팬(26)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제2덕트부(164)를 포함한다.
이러한 덕트부(66)는 하나의 덕트부로 형성되어 제1냉각팬, 제2냉각팬 및 제3냉각팬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하나의 덕트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고, 각 냉각팬(20)마다 하나씩 형성되는 3 개의 덕트부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40)는 제1덕트부(162)의 후방에 형성되어 제1덕트부(162)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토출구(42)와, 제2덕트부(164)의 후방에 형성되어 제2덕트부(164)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토출구(44)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토출구(40)는 덕트부(66)가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경우 토출구(40)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고, 덕트부(66)가 3 개로 형성될 경우 토출구(40)도 3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냉각장치는 공기가 토출되는 덕트유닛(150)이 하우징(10)에 일체로 형성되어 별도의 공기 배출을 위한 덕트 구조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배터리 냉각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트유닛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62)의 상측에 형성되는 덕트부(170)와, 하우징(10)의 상면에 형성되어 하우징(10)의 상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70)를 포함한다.
덕트부(170)는 가이드부(62) 상면에 일정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가이드부(62)에서 연장되는 경사부(64)가 형성되어 덕트부(170)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구(70)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토출구(70)는 제1덕트부(172)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토출구(72)와, 제2덕트부(174)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토출구(74)와, 제3덕트부(176)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3토출구(76)를 포함한다.
삭제
이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트유닛은 하우징(10)의 상면에 토출구(70)가 형성되어 하우징(10)의 상측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어 배터리 냉각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의 특성에 따라 하우징(10)의 후방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타입과 하우징(10)의 상방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타입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전면에는 배터리 팩(100)의 일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하우징(10)의 전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의 공간부(16)가 형성되어 배터리 셀(110) 사이를 통과한 공기가 공간부(16)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하우징(10)의 전면 가장자리 부분은 배터리 팩(100)의 일면에 밀착되어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고, 배터리 셀(110) 사이를 통과한 공기가 공간부(16)로 유입되고 공간부(16)에 형성되는 복수의 흡입구(30)를 통해 흡입된다.
하우징(10)의 전면에는 냉각팬(20)과 동일한 개수의 흡입구(30)가 형성된다. 즉, 흡입구(30)는 제1냉각팬(22)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1흡입구(32)와, 제2냉각팬(24)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2흡입구(34)와, 제3냉각팬(26)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3흡입구(3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냉각장치는 복수의 냉각팬(30)이 구비되어 배터리 팩(100)의 일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배터리 셀(110)의 전체 면에 고르게 공기가 분포될 수 있어 배터리 셀(110)이 국부적으로 냉각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냉각팬(20)이 3 개일 경우, 흡입구(30)도 3개로 구성되고 3 개의 흡입구(30)가 배터리 팩(100)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므로 배터리 셀(110)의 전체면에 걸쳐 고르게 공기가 분포될 수 있다.
기존의 냉각장치와 같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하나일 경우 흡입구의 중앙부분은 흡입력이 강하게 되고, 흡입구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흡입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배터리 셀(110)의 중앙부분은 공기 송풍량이 많아 빠르게 냉각되고, 배터리 셀(110)의 가장자리 부분은 공기 송풍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천천히 냉각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 셀(110)이 위치에 따라 냉각 속도가 서로 다르면 배터리 셀(110)의 위치에 따라 온도가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배터리 셀(110)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각장치는 복수의 냉각팬(20) 및 복수의 흡입구(30)가 구비되어 배터리 셀(110)의 전체면에 걸쳐 고르게 공기가 송풍되도록 하여 배터리 셀(110)의 국부적인 냉각을 방지한다.
냉각팬(20)은 제1하우징(12)에 장착된 지지부(7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74)과, 지지부(72)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PCB(50)가 연결되는 스테이터(80)와, 회전축(74)에 고정되어 회전축(74)과 같이 회전되는 로터(82)와, 로터(82)에 설치되어 축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고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블레이드(84)를 포함한다.
스테이터(80)는 지지부(72)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스테이터 코어(73)와, 스테이터 코어(73)에 권선되는 코일(75)을 포함한다.
로터(82)는 스테이터(80)의 외주면에 일정 갭을 두고 환형으로 배열되는 마그넷(77)과, 마그넷(77)이 고정되고 블레이드(84)가 일체로 형셩되는 로터 지지체(79)를 포함한다.
지지부(72)의 내부에는 제1베어링(86) 및 제2베어링(88)이 장착되어 회전축(7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PCB(50)의 일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팬(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냉각팬(20)이 고정되도록 냉각팬(20)과 동일한 개수의 연결부(90)가 일정 간격으로 PCB(50)에 일체로 형성된다.
연결부(90)는 제1냉각팬(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부(92)와, 제2냉각팬(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부(94)와, 제3냉각팬(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연결부(96)를 포함한다.
제1연결부(92), 제2연결부(94) 및 제3연결부(96)는 PCB(50)의 일측에서 일정 간격으로 두고 돌출되게 형성되고 냉각팬(20)의 회전축(74)이 통과하는 관통홀(98)가 형성된다.
연결부(90)에는 각각 둘레방향으로 단자(52,54)가 형성되고, 단자(52,54)는 스테이터(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냉각팬(20)을 연결부(90)에 조립하면 스테이터(80)의 코일(75)이 단자(52,54)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PCB(50)에 냉각팬(20)을 조립하면 PCB(50)의 단자(52,54)가 냉각팬(20)의 스테이터(80)에 접촉되어 전원 연결이 이루어지므로 냉각팬(20)과 PCB(50) 사이의 전원 연결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불필요하고 조립이 간편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하우징 12: 제1하우징
14: 제2하우징 20: 냉각팬
30: 흡입구 40: 토출구
50: PCB 52,54: 단자
62: 가이드부 66: 덕트부
72: 지지부 74: 회전축
80: 스테이터 82: 로터
84: 블레이드 92: 제1연결부
94: 제2연결부 96: 제3연결부

Claims (9)

  1. 배터리 팩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 팩을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덕트유닛이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복수의 냉각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냉각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냉각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PCB; 를 포함하는 배터리 냉각장치이고,
    상기 덕트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냉각팬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부와,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덕트부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냉각팬 각각의 축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공기 흐름을 가이드하여 상기 덕트부로 안내하기 위해 제1가이드부, 제2가이드부 및 제3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냉각팬은 제1가이드부에 배치되는 제1냉각팬과, 제2가이드부에 배치되는 제2냉각팬과, 제3가이드부에 설치되는 제3냉각팬을 포함하며,
    상기 덕트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제1냉각팬과 제2냉각팬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제1덕트부와, 상기 제3가이드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3냉각팬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제2덕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어 하우징의 전방으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어 하우징의 후방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냉각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1덕트부와 연통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1토출구와, 상기 제2덕트부와 연통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냉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형성되는 흡입구는 상기 냉각팬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냉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PCB가 연결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축과 같이 회전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에 설치되어 축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고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냉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에 상기 냉각팬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덕트부와,
    상기 덕트부와 연통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측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냉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B에는 복수의 냉각팬이 장착되도록 상기 냉각팬과 동일한 개수의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그 중앙에 상기 냉각팬의 회전축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냉각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냉각장치.
KR1020150103099A 2015-06-24 2015-07-21 배터리 냉각장치 KR101836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099A KR101836184B1 (ko) 2015-07-21 2015-07-21 배터리 냉각장치
CN201680026890.0A CN107592946B (zh) 2015-06-24 2016-06-23 电池冷却装置
EP16814685.0A EP3316392B1 (en) 2015-06-24 2016-06-23 Battery cooling apparatus
PCT/KR2016/006653 WO2016208972A1 (ko) 2015-06-24 2016-06-23 배터리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099A KR101836184B1 (ko) 2015-07-21 2015-07-21 배터리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638A KR20170012638A (ko) 2017-02-03
KR101836184B1 true KR101836184B1 (ko) 2018-03-08

Family

ID=5815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099A KR101836184B1 (ko) 2015-06-24 2015-07-21 배터리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18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623B1 (ko) 2010-09-28 2013-05-2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638A (ko) 2017-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2381B2 (en) Counter-rotating axial-flow fan
US20080219838A1 (en) Centrifugal fan
US7598634B2 (en) Fan motor
CN100562667C (zh) 风扇单元
KR20120067998A (ko) 블로어
US10113551B2 (en) Axial flow fan
US9755467B2 (en) Open-type induction motor
US10177630B2 (en) Induction motors
JP2008082328A (ja) 遠心ファン
JP6678302B2 (ja) 温度調和ユニット、温度調和システム、車両
KR101836185B1 (ko) 배터리 냉각장치
JP5363138B2 (ja) ファン装置
JP2017091658A (ja) 車両用電池パック
KR20150037589A (ko) 원심 임펠러 및 원심 송풍기
WO2017047046A1 (ja) 温度調和ユニット、温度調和システム、車両
EP3076025B1 (en) Vacuum suction unit
JP3242350U (ja) ヘアドライヤ用高速モータ
KR101836184B1 (ko) 배터리 냉각장치
KR101855685B1 (ko) 배터리 냉각장치
EP3316392B1 (en) Battery cooling apparatus
KR101878356B1 (ko) 배터리 냉각장치
CN109578300B (zh) 离心风扇
KR101836186B1 (ko) 배터리 냉각장치
JP2009203837A (ja) 遠心ファン
CN115473373A (zh) 一种高速电吹风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