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000B1 -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000B1
KR101836000B1 KR1020160146363A KR20160146363A KR101836000B1 KR 101836000 B1 KR101836000 B1 KR 101836000B1 KR 1020160146363 A KR1020160146363 A KR 1020160146363A KR 20160146363 A KR20160146363 A KR 20160146363A KR 101836000 B1 KR101836000 B1 KR 101836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delete delete
display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백
Original Assignee
박순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백 filed Critical 박순백
Priority to KR1020160146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A63B57/207Golf ball position marke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골프장의 그린에 맞닿도록 저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개방된 수용공간에 삽입 안착되며, 복수의 전자부품들이 탑재되는 PCB 기판부와, PCB 기판부 상에 탑재되며, 본체부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여 본체부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정보를 검출하는 각도센서부와, 표시화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PCB 기판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각도센서부로부터 검출된 좌/우 및 전/후 기울기 정보를 표시화면에 표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PCB 기판부 상에 탑재되며, 각도센서부로부터 본체부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연산하여 본체부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값을 획득한 후, 획득된 본체부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값을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본체부의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며, 각 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골프장 그린의 경사도를 손쉽고 정확하게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약 5m 이하의 근거리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GREEN GRADE MEASURING INSTRUMENT FOR GOLF}
본 발명은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골프장 그린의 경사도를 손쉽고 정확하게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퍼팅 그린에서 공을 홀 컵 속에 퍼터(Putter)로 집어넣기 위해서는 퍼팅 그린의 경사도를 파악하고 그 경사에 맞추어 퍼팅(Putting)을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과거에는 전적으로 골퍼의 감각으로 퍼팅 라인의 경사를 파악하여 퍼팅을 하거나, 별도의 수준기로 퍼팅 라인의 경사를 파악하는데 활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골퍼의 감각으로 퍼팅 라인의 경사를 파악하는 방법으로는 주위의 지형지물의 형상이나 배치, 또는 일사 방향 및 그림자, 명암, 잔디의 방향이나 색상 등에 의하여 잘못된 판단을 내리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별도의 수준기로 퍼팅 라인의 경사를 파악하려면, 이 수준기가 국부적인 굴곡이 심하며, 바닥의 평활도가 떨어지는 잔디 위에서 어느 정도의 전체적인 퍼팅 라인의 경사를 측정하는데 정확성을 가지려면, 수준기 자체의 길이가 어느 정도 길어야 한다.
그러나, 수준기의 길이가 길어지면 휴대 및 관리가 어려워지며, 현실적으로 별도의 수준기는 길이가 짧아서 경사 측정에 어려움이 따르고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잔디가 깔려있는 퍼팅 그린에서는 잔디의 저항이 크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약한 경사에서는 공의 진행방향이 휘지 않는다. 그러나, 기존의 수준기는 경사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수평인지 아닌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제작된 것으로서 조금만 경사가 져도 수준기의 공기방울이 너무나 민감하게 이동을 하기 때문에 퍼팅을 하는데 혼란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3218호를 통해 '골프 퍼터 부착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골프 퍼터 부착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는, 골프 퍼터의 샤프트 상부에 그린의 경사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경사도 측정장치를 부착하되, 상기 경사도 측정장치는 커버체 역할을 하는 저부로 터진 원통형의 결합커버 상부로 수평계를 구비하며 보호 유지하고, 상기 결합커버의 양측 터진 가장 자리부에 힌지형의 결합구를 형성하여 별도의 결합핀을 끼워 결합시키면서 골프 퍼터의 샤프트 상부에 부착 고정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골프 퍼터 부착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는 단순히 수평계를 골프 퍼터의 샤프트에 부착한 것에 불과하여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즉, 골프 퍼터를 바닥에 내려놓게 되면 손잡이(그립) 부분과 헤드 부분이 높이가 서로 달라 헤드 측이 높은 위치에 있게 되고, 반대로 손잡이는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므로 수평계 역시 이 상태를 초기 수평 상태로 조정해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골프 퍼터 부착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는 골프 퍼터에 대한 수평계의 초기 수평 위치를 조절하는 요소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초기 수평 상태를 정확하게 셋팅한 상태에서의 사용이 불가능하여 결과적으로 경사진 그린에서의 경사도 측정은 실질적으로 곤란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상기 골프 퍼터 부착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는 결합커버를 통해 샤프트에 완전 결속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파손의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다.
즉, 대부분의 골프 이용자들은 골프백에 여러 개의 골프클럽을 수납 보관하며 골프장에서 수시로 여러 개의 골프클럽을 번갈아 가면서 사용한다. 이때, 상기 경사도 측정장치는 탈부착이 불가능하여 타 골프클럽과의 잦은 충돌로 인해 손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결합커버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는 이유로 사용자가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1279호에는 '골프클럽 장착용 그린 경사확인장치'가 등록 받은 바 있다.
상기 종래의 경사확인장치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헤더와 상기 헤더와 결합되는 샤프트 및 샤프트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그립으로 구성되는 퍼터에 장착되어 그린의 경사를 확인하는 경사확인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경사확인장치는 샤프트에 결합할 수 있게 반원형의 샤프트홈을 형성하여 단속수단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어퍼바디와 로어바디와, 상기 어퍼바디의 상부에 형성하는 수평반홈에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수평반과, 상기 어퍼바디와 로어바디를 한번 더 마감하는 마감커버와, 상기 수평반은 외부충격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감커버에 의하여 약 1/2정도만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어퍼바디에 구비되어 샤프트의 직경차이를 극복하고 수평반을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조절기와, 상기 어퍼바디의 전방에 구비되어 수평반에 대하여 직각방향 수평을 보도록 하는 보조수평기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종래의 경사확인장치는 수평조절기를 이용하여 수평반의 높낮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골프 클럽에 장착 시 골프 클럽이 갖는 경사도에 따른 수평 셋팅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나, 골프 클럽 샤프트 전체를 감싸는 구성이 복잡하고 부품 점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크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장착을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경사확인장치는 샤프트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분리가 불가능함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골프백의 수납과정에서 다른 골프클럽과의 충돌로 쉽게 파손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부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273218호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38127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2축 이상의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골프장 그린의 좌/우 및/또는 전/후 기울기를 측정하여 표시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줌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골프장 그린의 경사도를 손쉽고 정확하게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골프장의 그린에 맞닿도록 저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수용공간에 삽입 안착되며, 복수의 전자부품들이 탑재되는 PCB 기판부; 상기 PCB 기판부 상에 탑재되며, 상기 본체부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본체부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정보를 검출하는 각도센서부; 표시화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PCB 기판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각도센서부로부터 검출된 좌/우 및 전/후 기울기 정보를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PCB 기판부 상에 탑재되며, 상기 각도센서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연산하여 상기 본체부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값을 획득한 후, 획득된 상기 본체부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값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각 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PCB 기판부 상에 탑재되며, 외부의 밝기 정보를 검출하는 조도센서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부로부터 외부의 밝기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연산하여 외부의 밝기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외부의 밝기 값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에 대한 화면 밝기가 조절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도센서부는 적어도 2축 이상의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표시화면이 외부로 노출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수용공간이 폐쇄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 상측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획득된 상기 본체부의 좌/우 기울기 값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 상에 사선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획득된 상기 본체부의 전/후 기울기 값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 상에 숫자 및 문자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 상에 표시되는 상기 본체부의 전/후 기울기 값은, 업(UP) (1∼90)% 또는 다운(DOWN) (1∼90)%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획득된 상기 본체부의 좌/우 또는 전/후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최대 각도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 소모량이 최소화되게 슬립모드(sleep mode)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공급부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포함하되, 상기 PCB 기판부 상에 탑재된 충전단자를 통해 외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배터리 잔량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된 배터리 잔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형성되며, 볼 마커가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 수용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삽입 안착된 볼 마커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게 일면이 개방된 인출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영구자석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는, 골프 공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골프 공의 일부 구면이 삽입되어 상기 골프 공의 일부 구면을 따라 접촉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 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를 평면에서 볼 때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양 측면은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획득된 상기 본체부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값을 무선 통신방식으로 외부의 단말에 무선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의 단말은,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화면 상에 보호용 필름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입력 신호에 따라 골프장의 그린스피드에 따른 볼의 흐름을 나타내는 그린스피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에 따르면, 적어도 2축 이상의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골프장 그린의 좌/우 및/또는 전/후 기울기를 측정하여 표시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줌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골프장 그린의 경사도를 손쉽고 정확하게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약 5m 이하의 근거리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본체부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본체부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는, 크게 본체부(100), PCB 기판부(200), 각도센서부(300), 디스플레이부(400), 제어부(500) 및 전원공급부(6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는, 조도센서부(700), 저장부(800), 무선 통신부(900), 보호용 필름(1000) 등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체부(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 골프장의 그린에 맞닿도록 저면(110)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120)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부(100)의 후면(130)에는 골프 공(B, 도 5 참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골프 공(B)의 일부 구면이 삽입 안착되어 골프 공(B)의 일부 구면을 따라 접촉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 홈(135)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부(100)를 평면에서 볼 때,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과 같이 본체부(100)의 양 측면(150, 160)은 본체부(100)의 후면(130)에서 전면(140)으로 갈수록 그 폭이 일정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되도록 본체부(100)의 양 측면(150, 160)은 본체부(100)의 후면(130)에서 전면(140)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저면(1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마커(M)가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수용부(170)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용부(170)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삽입 안착된 볼 마커(M)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게 일면이 개방된 인출홈(171)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부(170)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영구자석(172)을 고정 설치함으로써, 수용부(170)에 삽입 안착된 볼 마커(M)가 쉽게 인출되지 않으며, 볼 마커(M)를 수용부(17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PCB 기판부(200)는 본체부(100)의 개방된 수용공간(120)에 삽입 안착되어 있으며, 복수의 전자부품들 예컨대, 각도센서부(300), 제어부(500), 전원공급부(600), 조도센서부(700), 저장부(800), 무선 통신부(900)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탑재된다.
각도센서부(300)는 PCB 기판부(200) 상에 탑재되어 있으며, 본체부(100)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여 본체부(100)의 좌/(및/또는)우 및 전/(및/또는)후 기울기 정보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각도센서부(300)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부, 저역통과 필터부, 증폭부, 볼테이지 폴로워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이로 센서부는 모든 종류의 자이로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적어도 2축 이상의 자이로 센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며, 소형 경량이며 전력소모가 적은 자이로 센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자이로 센서는 본체부(100)의 공간상에서의 움직임, 즉 피치(pitch) 운동, 요우(yaw) 운동, 롤(Roll) 운동 등에 대한 회전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통상의 2축 혹은 3축 자이로 센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이로 센서부에는 상기 2축 혹은 3축 자이로 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이므로, 상기 2축 혹은 3축 자이로 센서의 후단에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회전각속도 값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자이로 센서에 구비된 2축이 지면과 수평인 상태에서 본체부(100)의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서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자이로 센서는 한 축을 기준으로 단위시간에 물체가 회전한 각도의 값을 수치로 방향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검출하여 1초 동안에 각도가 얼마만큼 움직이는가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물체가 운동할 때 코리올리의 힘이 발생하는데, 이 코리올리 힘에 대한 공식을 이용하여 관성계에 작용하는 각속도를 감지한다. 일반적으로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자이로 센서는 그 정확도가 약 10∼100 deg/hr급으로 센서 신호 처리를 하면 1deg/hr급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자이로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정전기 등의 고주파 성분의 잡음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차단하고 저주파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상기 저역통과 필터부를 상기 자이로 센서부와 상기 증폭부 사이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폭부는 증폭률을 약 9∼12배 범위로 설정하고 10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증폭부의 마이너스(-) 단자와 그라운드(GND) 사이에 일 실시 예로 10㏀의 저항을 연결하고 마이너스(-) 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10배에 해당하는 100㏀의 저항을 연결하면 증폭률을 10배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볼테이지(Voltage) 폴로워(Follower)는 상기 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제어부(500)로 손실 없이 전달되도록 하는 동시에 한쪽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400)는 표시화면(45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PCB 기판부(2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각도센서부(300)로부터 검출된 좌/우 및 전/후 기울기 정보를 표시화면(450)에 표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0)는 표시화면(450)이 외부로 노출됨과 아울러 본체부(100)의 개방된 수용공간(120)이 폐쇄되도록 본체부(100)의 수용공간(120) 상측에 고정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400)는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Light Emitting Diode, LE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DP), 표면 얼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LCoS), 표면 전도형 전자방출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TDEL), 양자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화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400)는 통상의 터치패널로 구현될 수도 있는 바, 상기 터치패널은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두께를 최소화함에 있어서 정전용량 방식이 적용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은 통상적으로 그 구조가 도전투광판으로 이루어진 ITO(Indium Tin Oxide)와, 상기 ITO의 테두리에 은분 페인트를 페인트 형성한 전극부와, 상기 전극의 하부를 절연하는 절연코팅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ITO는 투광성 수지로 이루어진 ITO필름과, 상기 ITO필름의 하부에 도전성 물질이 코팅 형성된 ITO코팅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은 손가락으로 ITO의 상면을 터치하게 되면 손가락을 통하여 정전용량의 변동에 따라 4변에 구비된 각 전극이 이를 감지함으로써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PCB 기판부(200) 상에 탑재되어 있으며, 각도센서부(300)로부터 본체부(100)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연산하여 본체부(100)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값을 획득한 후, 획득된 본체부(100)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값을 디스플레이부(400)의 표시화면(450)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획득된 본체부(100)의 좌/우 기울기(즉, 측면 경사도)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00)의 표시화면(450) 상에 사선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디스플레이부(400)의 표시화면(450) 상에 표시되는 본체부(100)의 좌/우 기울기 값은 예컨대, 표시화면(450)의 중앙에 본체부(100)의 전/후면(140/130)과 수직으로 표시된 기준 안내선(O)을 기준으로 좌/우 기울기 값에 따라 양측에 대칭되게 사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획득된 본체부(100)의 전/후 기울기(즉, 높낮이(오르막 및/또는 내리막))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00)의 표시화면(450) 상에 숫자 및 문자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디스플레이부(400)의 표시화면(450) 상에 표시되는 본체부(100)의 전/후 기울기 값은 예컨대, 업(UP) (1∼90)% 및/또는 다운(DOWN) (1∼90)%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획득된 본체부(100)의 좌/우 또는 전/후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최대 각도범위를 벗어날 경우, 즉, 호주머니나 가방에 넣고 움직일 때를 감안하여 전원공급부(600)의 전원 소모량이 최소화되게 슬립모드(sleep mode)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전원공급부(600)의 배터리 잔량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된 배터리 잔량을 디스플레이부(400)의 표시화면(45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전원공급부(600)의 배터리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저장부(800)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800)는 모니터링 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골프장 잔디의 크기와 골프장의 주변 온/습도, 경사도에 따라서 골프공의 포물선(부하)이 다르므로, 골프장의 그린스피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동일한 골프장이라도 오전과 오후가 다르다.
이와 같이 골프장의 그린스피드에 대한 확인의 필요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골프장의 상황에 따라서 그린스피드를 입력하고 디스플레이(400)의 표시화면(450)에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0)는 디스플레이부(400)의 터치입력 신호에 따라 골프장의 그린스피드에 따른 볼의 흐름을 나타내는 그린스피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12시간 정도)동안 디스플레이부(400)의 표시화면(45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골프장의 그린스피드에 따른 볼의 흐름을 나타내는 그린스피드 정보는 아날로그식 포물선 그래프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전원공급부(600)는 본체부(100)의 수용공간(120)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각 부 즉, PCB 기판부(200), 각도센서부(300), 디스플레이부(400), 제어부(500), 조도센서부(700), 저장부(800), 무선 통신부(900) 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600)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배터리(Battery)(610)를 포함하되, PCB 기판부(200) 상에 탑재된 충전단자(250)를 통해 외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전원공급부(600)의 배터리(610)를 충전하는 충전회로부(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원공급부(600)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600)는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610)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충전단자(250)를 사용하여 배터리(610)의 충전이 가능하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5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후술하는 저장부(800)에 저장되고, 제어부(5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PCB 기판부(200) 상에 탑재되어 있으며, 외부의 밝기 정보를 검출하는 조도센서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도센서부(700)는 통상적으로 CDS 센서를 통해 일몰 및 일출 시 외부의 빛을 감지한 후, 감지된 빛에 따라 저항값이 감소하는 광도전효과를 이용하여 측정된 빛에 따른 저항값을 CDS 센싱저항으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조도센서부(700)는 빛에 의해 전류를 생성하는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부(100)의 외측 표면상에 장착되는 것을 고려하여 소형의 표면장착형(Surface Mount Technology, SMT) 소자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도센서부(700)는 광도전셀(photoelectric cell), 광기전력셀(photovoltaic cell),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및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어부(500)는 조도센서부(700)로부터 외부의 밝기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연산하여 외부의 밝기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외부의 밝기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00)의 표시화면(450)에 대한 화면 밝기가 조절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저장부(800)는 제어부(50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800)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500)로부터 획득된 본체부(100)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값을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800)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500)로부터 획득된 본체부(100)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값을 무선 통신방식으로 외부의 단말(미도시)에 무선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90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무선 통신방식은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외부의 단말은 예컨대,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개인용 PC, 노트북, 팜(Palm) PC,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외부의 단말이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스마트폰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제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형 운영체제로는 예컨대,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즈 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은 개방형 운영체제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제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상기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제어부, 메모리부, 화면출력부, 키입력부, 사운드 출력부, 사운드 입력부, 카메라부, 무선망 통신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스마트폰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스마트폰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과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폰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며, 스마트폰 이외에도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스마트폰은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과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지는 노트북 PC, 태블릿 PC, 그 외에도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400)의 표시화면(45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표시화면(450) 상에 보호용 필름(100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의 사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가 골프 경기 중에 자신의 호주머니나 가방 등에 간편하게 넣고 다니면서, 골프 퍼팅 그린에서 골프 공(B)을 홀 컵(10) 속에 퍼터로 넣기 전에 본 발명의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퍼팅 그린의 경사도를 파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에 구비된 본체부(100)의 전면(140) 중앙 즉, 표시화면(450)의 중앙에 표시된 기준 안내선(O)이 홀 컵(10)의 중앙을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볼 마커(M) 또는 골프 공(B)이 위치한 퍼팅 그린 상에 본체부(100)의 저면(110)이 맞닿도록 배치시키면, 각도센서부(300) 및 제어부(500)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부(400)의 표시화면(450) 상에 본체부(100)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정보 즉, 해당 골프 퍼팅 그린의 좌/우 경사도 및 전/후 높낮이가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400)의 표시화면(450) 상에 사선으로 표시된 본체부(100)의 좌/우 기울기 정보 즉, 골프 퍼팅 그린의 좌/우 경사도를 보고 골프 공(B)의 중앙 외주면을 따라 표시된 중앙 안내선(L)을 표시화면(450)에 표시된 좌/우 기울기의 사선 방향과 동일하게 본체부(100)의 후면(130)에 구비된 곡면 홈(135)에 골프 공(B)의 일부분이 삽입 안착되도록 골프 공(B)을 해당 골프 퍼팅 그린 상에 놓는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400)의 표시화면(450) 상에 표시된 본체부(100)의 전/후 기울기 정보를 기억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를 해당 골프 퍼팅 그린 상에서 제거한 후, 골프 공(B)의 중앙 안내선(L) 방향 즉, 골프 퍼팅 그린의 좌/우 경사도와 미리 기억한 골프 퍼팅 그린의 전/후 높낮이 정보를 바탕으로 퍼터를 이용하여 골프 공(B)을 홀 컵(10) 속에 넣는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본체부, 200 : PCB 기판부,
300 : 각도센서부, 400 : 디스플레이부,
500 : 제어부, 600 : 전원공급부,
700 : 조도센서부, 800 : 저장부,
900 : 무선 통신부, 1000 : 보호용 필름

Claims (19)

  1. 골프장의 그린에 맞닿도록 저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으며, 그 후면에 골프 공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골프 공의 일부 구면이 삽입되어 상기 골프 공의 일부 구면을 따라 접촉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 홈을 형성하며, 그 저면에 볼 마커가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삽입 안착된 볼 마커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게 일면이 개방된 인출홈이 형성되는 수용부를 갖으면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수용공간에 삽입 안착되며, 복수의 전자부품들이 탑재되는 PCB 기판부;
    상기 PCB 기판부 상에 탑재되며, 상기 본체부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본체부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적어도 2축 이상의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각도센서부;
    상기 PCB 기판부 상에 탑재되며, 외부의 밝기 정보를 검출하는 조도센서부;
    표시화면이 외부로 노출됨과 아울러 상기 PCB 기판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수용공간이 폐쇄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 상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각도센서부로부터 검출된 좌/우 및 전/후 기울기 정보를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 출력하며, 터치패널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화면 상에 구비된 보호용 필름;
    상기 PCB 기판부 상에 탑재되며, 상기 각도센서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연산하여 상기 본체부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값을 획득한 후, 획득된 상기 본체부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값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도센서부로부터 외부의 밝기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연산하여 외부의 밝기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외부의 밝기 값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에 대한 화면 밝기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획득된 상기 본체부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값을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으로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진 외부의 단말에 무선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획득된 상기 본체부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값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각 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PCB 기판부 상에 탑재된 충전단자를 통해 외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회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획득된 상기 본체부의 좌/우 기울기 값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 상에 사선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획득된 상기 본체부의 전/후 기울기 값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 상에 업(UP) (1∼90)% 또는 다운(DOWN) (1∼90)% 형태의 숫자 및 문자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획득된 상기 본체부의 좌/우 및 전/후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최대 각도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 소모량이 최소화되게 슬립모드(sleep mode)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배터리 잔량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된 배터리 잔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입력 신호에 따라 골프장의 그린스피드에 따른 볼의 흐름을 나타내는 그린스피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60146363A 2016-11-04 2016-11-04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 KR101836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363A KR101836000B1 (ko) 2016-11-04 2016-11-04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363A KR101836000B1 (ko) 2016-11-04 2016-11-04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000B1 true KR101836000B1 (ko) 2018-03-07

Family

ID=6168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363A KR101836000B1 (ko) 2016-11-04 2016-11-04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00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867B1 (ko) * 2018-09-06 2019-03-26 우암하이테크 주식회사 디지털 퍼팅 진단 장치
KR102034223B1 (ko) * 2018-07-12 2019-10-18 박호산 골프 스윙 유도 장치
KR102174561B1 (ko) * 2020-07-01 2020-11-05 심광보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 볼마커
KR102374701B1 (ko) 2021-12-08 2022-03-16 코모 주식회사 디지털 퍼팅 그린 경사 라인 측정기 및 그 작동 방법
US20220212085A1 (en) * 2019-05-09 2022-07-07 Kaishot Co., Ltd. Digital direction-guiding apparatus for golf putti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107Y1 (ko) * 2001-03-13 2001-10-08 차민지 골프 보조용품
KR200366314Y1 (ko) * 2004-02-27 2004-11-16 배인학 골프 퍼팅 보조장치
KR101246945B1 (ko) * 2011-01-13 2013-03-25 티케이에스코리아 주식회사 디지털 가이드 골프단말기
KR101495134B1 (ko) * 2013-06-26 2015-02-24 주식회사 영신 디지털 볼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퍼팅 거리 측정시스템
KR200479127Y1 (ko) * 2015-02-24 2015-12-23 주식회사 엣지업 골프용 가이드 표시 장치
KR101648517B1 (ko) * 2015-05-29 2016-08-23 (주)테슬라시스템 골프의 그린 정보 콘텐츠에 홀컵 기준 일정 거리 정보를 제공하는 퍼팅 도움 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107Y1 (ko) * 2001-03-13 2001-10-08 차민지 골프 보조용품
KR200366314Y1 (ko) * 2004-02-27 2004-11-16 배인학 골프 퍼팅 보조장치
KR101246945B1 (ko) * 2011-01-13 2013-03-25 티케이에스코리아 주식회사 디지털 가이드 골프단말기
KR101495134B1 (ko) * 2013-06-26 2015-02-24 주식회사 영신 디지털 볼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퍼팅 거리 측정시스템
KR200479127Y1 (ko) * 2015-02-24 2015-12-23 주식회사 엣지업 골프용 가이드 표시 장치
KR101648517B1 (ko) * 2015-05-29 2016-08-23 (주)테슬라시스템 골프의 그린 정보 콘텐츠에 홀컵 기준 일정 거리 정보를 제공하는 퍼팅 도움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223B1 (ko) * 2018-07-12 2019-10-18 박호산 골프 스윙 유도 장치
WO2020013414A1 (ko) * 2018-07-12 2020-01-16 박호산 골프 스윙 유도 장치
KR101961867B1 (ko) * 2018-09-06 2019-03-26 우암하이테크 주식회사 디지털 퍼팅 진단 장치
CN110882527A (zh) * 2018-09-06 2020-03-17 宇岩高科技有限公司 数字推杆诊断装置
US10758805B2 (en) 2018-09-06 2020-09-01 Wooam Hitech Co., Ltd. Digital putting diagnosis device
US20220212085A1 (en) * 2019-05-09 2022-07-07 Kaishot Co., Ltd. Digital direction-guiding apparatus for golf putting
US11969642B2 (en) * 2019-05-09 2024-04-30 Kaishot Co., Ltd. Digital direction-guiding apparatus for golf putting
KR102174561B1 (ko) * 2020-07-01 2020-11-05 심광보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 볼마커
WO2022005076A1 (ko) * 2020-07-01 2022-01-06 심광보 레이저를 이용한 골프 볼마커
KR102374701B1 (ko) 2021-12-08 2022-03-16 코모 주식회사 디지털 퍼팅 그린 경사 라인 측정기 및 그 작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000B1 (ko) 골프용 그린 경사도 측정장치
US10362438B2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location information of portable apparatus
US8344998B2 (en) Gesture-based power management of a wear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CN110926473B (zh) 识别楼层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TWI677814B (zh) 可穿戴式手錶及其顯示方法
CN107921311B (zh) 运动器械中的运动传感器
US1165665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20200070030A1 (en) Distance calculator devices and methods for golf practice ranges
JP6095736B2 (ja) 電子デバイスシステム、電子デバイス用カバー、及び電子デバイス
CN107525997A (zh) 一种usb充电电路短接检测方法及电源适配器
US20220335869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method for measuring movement distance of display
CN110113528A (zh) 一种参数获取方法及终端设备
CN111601018B (zh) 一种可分离式摄像头模组定位方法及电子设备
CN112448749A (zh) 天线辐射体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9075575B2 (en) Multimedia device having detachable controller functioning as remote control while detached
CN105469137B (zh) 念诵辅助装置及系统
EP3475794A1 (en) Object tracking system and method
GB2517712A (en) Golf bag comprising an integrated display screen configured so as to display information to a user
CN115339354A (zh) 一种动力电池加热保温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206039821U (zh) 一种支持光学导航键的指环遥控器
CN109768593A (zh) 一种充电保护方法及终端设备
CN207491396U (zh) 壳体组件和具有其的电子设备
CN220785798U (zh) 一种智能购物车
CN112071041B (zh) 一种安全检测的方法、可穿戴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4344179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