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630B1 - 종이컵의 옆지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종이컵의 옆지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630B1
KR101835630B1 KR1020170142446A KR20170142446A KR101835630B1 KR 101835630 B1 KR101835630 B1 KR 101835630B1 KR 1020170142446 A KR1020170142446 A KR 1020170142446A KR 20170142446 A KR20170142446 A KR 20170142446A KR 101835630 B1 KR101835630 B1 KR 101835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ing
drive shaft
coupled
turret
pap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성학
정진양
박동용
정현성
Original Assignee
현진제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진제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진제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2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7/00Making conical articles by winding
    • B31C7/02Forming truncated c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1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tary dials or tables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컵을 성형하는 맨드릴 터렛으로 종이컵의 옆지를 공급하는 옆지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 터렛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동축에 결합되며 중심부에 너트가 형성된 가이드 링; 상기 가이드 링을 내삽하는 내홈이 바디에 형성되며, 이송되는 상기 옆지의 위치를 유지하는 블레이드가 상기 바디의 외측면에 형성된 트랜스퍼 터렛; 상기 가이드 링 도는 상기 구동축과 상기 트랜스퍼 터렛을 고정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구동축의 축 상에서 일종단이 상기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종단이 상기 가이드 링의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높이 조절 볼트; 를 포함하는 것으로, 종이컵 성형을 위한 옆지를 공급하는 트랜스퍼 터렛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 트랜스퍼 터렛을 구동축으로부터 분리하는 것과는 달리 높이 조절 볼트의 회전에 의해 트랜스퍼 터렛의 높이가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종이컵의 제조 준비를 빠른 시간 내에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고 정밀하게 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Description

종이컵의 옆지 공급 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SIDE PART OF PAPER-MADE CUP}
본 발명은 종이컵의 옆지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컵을 성형하는 맨드릴 터렛으로 종이컵의 옆지를 공급하는 옆지 이송 터렛의 높이를 높이 조절 볼트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종이컵의 옆지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컵은 부채꼴의 옆지와, 옆지의 소경부 하단에 접합되는 바닥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우리의 생활 속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종이컵은 단순히 음료를 보관하는 용도 이외에도, 즉석밥이나 컵라면 등과 같은 음식물을 보관하는 용도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이컵의 제조에서 옆지는 부채꼴 형태로 제단된 옆지 원지의 양단이 서로 겹치도록 접합하여 형성한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종이컵을 성형하는 맨드릴 터렛(10)의 맨드릴(11)의 하부 영역으로 옆지 공급 장치가 종이컵의 옆지를 공급하면, 종이컵의 옆지 성형 장치의 폴더윙이 동작하여 옆지 원지의 양단이 서로 겹쳐지도록 하며, 클램프(12)의 동작에 의해 겹쳐진 옆지 원지의 양단이 접착되도록 한다.
이때, 종이컵의 옆지를 공급하는 옆지 공급 장치의 트랜스퍼 터렛은 맨드릴(11)의 바닥 부분(b)을 기준으로 높이가 설정된 상태에서, 옆지를 맨드릴(11)의 하부에 이송하여 준다.
그리고, 종이컵의 사이즈 변화 등에 따라 종이컵 성형을 위한 맨드릴(11)을 교체할 경우, 맨드릴(11)의 중심(a)은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나, 바닥 부분(b)은 성형하고자 하는 종이컵의 사이즈에 따라 그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맨드릴의 교체에 대응하여 옆지 공급 장치의 트랜스퍼 터렛의 높이도 조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트랜스퍼 터렛을 구동축으로부터 분리한 후 트랜스퍼 터렛과 구동축의 안착면 사이에 트랜스퍼 터렛의 높이를 보정할 수 있는 적정 두께를 가지는 판형 부재 등의 부품을 삽입하여 트랜스퍼 터렛의 높이를 조정한다.
하지만, 종래의 종이컵 옆지 공급 장치는 성형하고자 하는 종이컵의 직경이 변화될 때마다 트랜스퍼 터렛을 분해하고 높이 보정을 위한 부재를 교환하여야 하므로, 종이컵 제조 준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종이컵 제조 준비에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이컵 성형을 위한 옆지를 공급하는 트랜스퍼 터렛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종이컵의 옆지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이컵 성형을 위한 옆지를 공급하는 트랜스퍼 터렛의 수평 및 회전 방향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종이컵의 옆지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이컵을 성형하는 맨드릴 터렛으로 종이컵의 옆지를 공급하는 옆지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 터렛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동축에 결합되며 중심부에 너트가 형성된 가이드 링; 상기 가이드 링을 내삽하는 내홈이 바디에 형성되며, 이송되는 상기 옆지의 위치를 유지하는 블레이드가 상기 바디의 외측면에 형성된 트랜스퍼 터렛; 상기 가이드 링 또는 상기 구동축과 상기 트랜스퍼 터렛을 고정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구동축의 축 상에서 일종단이 상기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종단이 상기 가이드 링의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높이 조절 볼트; 를 포함하는 옆지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종이컵 성형을 위한 옆지를 공급하는 트랜스퍼 터렛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 트랜스퍼 터렛을 구동축으로부터 분리하는 것과는 달리 높이 조절 볼트의 회전에 의해 트랜스퍼 터렛의 높이가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종이컵의 제조 준비를 빠른 시간 내에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고 정밀하게 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 조절 볼트의 회전에 의해 트랜스퍼 터렛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트랜스퍼 터렛의 높이 조절에 많은 노동력을 소요하지 않고 쉽게 종이컵의 제조 준비를 진행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트랜스퍼 터렛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 수평 및 회전 방향을 별도의 작업 없이 정확히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이컵의 제조 준비를 빠른 시간 내에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이용되기 위하여 첨부된 아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단지 일부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발명적 작업이 이루어짐 없이 이 도면들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들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이컵을 성형하기 위한 맨드릴 터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컵의 옆지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컵의 옆지 공급 장치에서 트랜스퍼 터렛의 평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컵의 옆지 공급 장치에서 트랜스퍼 터렛과 가이드 링의 회전 방향을 유지하기 위한 방향 유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의 방향 유지부가 트랜스퍼 터렛과 가이드 링의 회전 방향을 유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그것의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들, 부가물들,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특성들이 일부는 본 설명서로부터, 그리고 일부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아래의 예시 및 도면은 실례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할 때에는 다른 부분의 전체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가장 자리 일부에는 형성되지 않은 것을 뜻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컵의 옆지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이컵의 옆지를 통형으로 말아서 그 양단부를 상호 접합시키는 맨드릴 터렛으로 옆지를 공급하는 옆지 공급 장치(100)는 구동축(110), 가이드 링(120), 트랜스퍼 터렛(130, 140), 결합부(150), 및 높이 조절 볼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구동축(110)은 맨드릴 터렛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맨드릴 터렛의 맨드릴에 공급하고자 하는 옆지의 위치가 맨드릴의 하부 영역이 되도록 회전 속도 또는 회전 각도가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이드 링(120)은 구동축(110)에 결합되며 중심부에 너트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링(120)과 구동축(110)은 볼트(121)들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링(120)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축(100)에 접하는 일면에는 내홈이 형성되어 가이드 링(120)이 구동축(100)에 결합될 경우 구동축(120)과 가이드 링(120)의 접하는 영역에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링(120)의 중심부, 일 예로, 구동축(110)의 축 상에 위치되는 영역에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관통홀이 너트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가이드 링(120)의 중심부 영역에 관통홀을 형성하며, 관통홀이 형성된 가이드 링(120)의 하부면, 즉, 구동축(110)과 대면하는 가이드 링(120)의 일면에 너트(161)가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트랜스퍼 터렛(130, 140)은 가이드 링(120)을 내삽하는 내홈이 바디(130)에 형성되며, 이송되는 옆지의 위치를 유지하는 블레이드(140)가 바디(130)의 외측면에 형성된 것으로, 회전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140)에 위치하는 옆지를 맨드릴 터렛의 맨드릴 하부 영역에 위치하도록 공급하여 줄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140)는 바디(130)의 측면 원주상에 등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40)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 상에 열선 코일이 설치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140)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옆지에 열을 가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바디(130)와 블레이드(14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결합부(150)는 가이드 링(120) 또는 구동축(110)과 트랜스퍼 터렛(130, 140)을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50)는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가이드 링(120) 또는 구동축(110)과 트랜스퍼 터렛(130, 140)의 바디(130)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부(150)는 구동축(110)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트랜스퍼 터렛의 바디(130)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가이드 링(120)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볼트는 가이드 링(120)에 형성된 너트와 나사 결합되거나, 바디(130)의 관통홀에 대응되는 가이드 링(120)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가이드 링(120)의 하부 영역, 즉, 가이드 링(120)과 구동축(110) 사이에 위치하는 너트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볼트는 바디(130)의 관통홀과 가이드 링(120)의 관통을 통해 구동축(1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결합부(150)인 볼트는 구동축(110)의 축 방향과 수직 방향인 동일 평면 상에서 구동축(110)을 중심으로 동일 원주상에 등 간격을 가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높이 조절 볼트(160)는 구동축(110)의 축 상에서 일종단이 트랜스퍼 터렛의 바디(1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종단이 가이드 링(120)의 중심부에 형성된 너트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높이 조절 볼트(160)를 회전할 경우, 트랜스퍼 터렛의 바디(130) 영역에서는 회동하고, 가이드 링(120)의 너트에서는 나사 결합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므로 트랜스퍼 터렛의 바디(130)와 가이드 링(12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맨드릴 터렛의 맨드릴 하부에 옆지를 공급하는 트랜스퍼 터렛의 높이가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높이 조절 볼트(160)에는 높이 조절 볼트보다 직경이 큰 회동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높이 조절 볼트(160)는 트랜스퍼 터렛의 바디(130)에 형성된 관통홀에 결합되고, 높이 조절 볼트(160)에 결합된 회동부재는 트랜스퍼 터렛의 바디(130)의 내홈 내면의 관통홀 영역에 형성된 회동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 볼트(160)에 결합된 회동 부재가 바디(130)의 회동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브라켓이 바디(130)의 내홈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축(110)의 상부면, 즉, 가이드 링(120)과 대면하는 구동축(110)의 일면의 중심부에는 높이 조절 볼트(160)의 타종단이 내삽될 수 있는 내홈(16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이 조절 볼트(160)의 타종단이 가이드 링(120)으로부터 구동축(110)으로 연장될 경우, 높이 조절 볼트(160)의 타종단이 내홈(162)에 내삽된 상태에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컵의 옆지 공급 장치(100)는 수평 유지 볼트(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평 유지 볼트(170)는 결합부(150)를 이용하여 트랜스퍼 터렛(130, 140)과 가이드 링(120) 또는 구동축(110)을 결합할 경우 각각의 결합부(150)에 가하여지는 힘의 차이에 의해 트랜스퍼 터렛(130, 140)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축(110)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트랜스퍼 터렛의 바디(130)에 나사 결합되되, 일종단이 바디(130)를 관통하여 바디(130)의 내홈에 내삽되는 가이드 링(120)에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 유지 볼트(170)는 무두볼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수평 유지 볼트(170)는 구동축(110)의 축 방향과 수직 방향인 동일 평면 상에서 구동축(110)을 중심으로 동일 원주상에 등 간격을 가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150)에 의해 트랜스퍼 터렛(130, 140)과 가이드 링(120) 또는 구동축(110)이 결합될 경우, 결합부(150)에 가하여지는 힘의 차이가 발생하여도 각각의 위치에서 가이드 링(120)과 트랜스퍼 터렛의 바디(13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트랜스퍼 터렛(130, 14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컵의 옆지 공급 장치(100)는 구동축(110) 또는 가이드 링(120)에 결합되는 트랜스퍼 터렛(130, 140)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 유지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구동축(110) 또는 가이드 링(120)에 트랜스퍼 터렛(130, 140)을 결합할 경우, 트랜스퍼 터렛의 방향, 즉, 회전 각도가 변화되면, 맨드릴 터렛의 맨드릴의 회전 각도와 트랜스퍼 터렛의 블레이드(140)의 회전 각도가 어긋나게 되며, 그에 따라 옆지를 맨드릴 하부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구동축(110)의 회전 각도를 다시 조정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초래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 유지부(180)는 트랜스퍼 터렛(130, 140)의 높이 조절 및 결합할 경우 트랜스퍼 터렛(130, 140)이 설정된 위치의 회전 각도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방향 유지부(180)는 트랜스퍼 터렛의 바디(130)의 내홈 측면에 일정 깊이를 가지며 구동축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홈과, 트랜스퍼 터렛의 바디(130)의 내홈에 내삽되는 가이드 링(120)의 측면에서 일정 깊이까지 연장하도록 형성된 키 홀(181)과, 슬라이드 홈과 키 홀(181)에 결합되어 트랜스퍼 터렛의 바디(130)와 가이드 링(120)의 위치를 고정하는 키(1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컵의 옆이 공급 장치에서 트랜스퍼 터렛의 높이를 조절하는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성형하고자 하는 종이컵의 직경에 대응하여 종이컵 성형을 위한 맨드릴 터렛의 맨드릴이 변경된 경우, 옆지 공급 장치(100)의 트랜스퍼 터렛(13, 1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결합부(150)를 동작하여 트랜스퍼 터렛(130, 140)과 가이드 링(120) 또는 구동축(110)과의 결합을 해제한다. 그리고, 수평 유지 볼트(170)를 회전하여 수평 유지 볼트(170)의 타종단이 가이드 링(12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이때, 트랜스퍼 터렛(130, 140)의 높이를 높여야 할 경우에는 수평 유지 볼트(17)를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높이 조절 볼트(160)를 회전하여 트랜스퍼 터렛(130, 140)의 높이를 변경된 맨드릴에 대응하도록 조정한다.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방향 유지부(180)의 키(182)는 트랜스퍼 터렛의 바디(130) 내홈의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과 가이드 링(120)의 키 홀에 결합되어 결합이 해제된 트랜스퍼 터렛(130, 140)과 가이드 링(120)의 회전 각도가 변화되지 않도록 한다. 즉, 구동축(110) 또는 가이드 링(120)과의 결합이 해제된 트랜스퍼 터렛(130, 140)이 가이드 링(1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방향 유지부(180)의 설치는, 트랜스퍼 터렛(130, 140)이 가이드 링(120) 또는 구동축(1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 키(182)를 가이드 링(120)의 측면에 형성된 키 홀에 결합하며, 트랜스퍼 터렛(130, 140)을 가이드 링(120) 또는 구동축(110)에 위치시킬 경우 키(182)의 머리 부위가 트랜스퍼 터렛의 바디(130) 내홈의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트랜스퍼 터렛(130, 140)을 가이드 링(120) 상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평 유지 볼트(170)를 회전하여 수평 유지 볼트(170)의 타종단이 가이드 링(120)에 접촉되도록 하여 수평 유지 볼트(170)의 각각의 위치에서 가이드 링(120)과 트랜스퍼 터렛의 바디(13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트랜스퍼 터렛(130, 140)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후, 결합부(150)을 동작하여 트랜스퍼 터렛(130, 140)이 구동축(110) 또는 가이드 링(120)에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결합부(150)를 동작시키기 위한 힘이 각각의 부위에서 다르게 작용될 경우에도, 수평 유지 볼트(170)에 의해 트랜스퍼 터렛의 바디(130)와 가이드 링(120)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트랜스퍼 터렛(13, 140)의 수평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옆지 공급 장치,
110: 구동축,
120: 가이드 링,
130, 140: 트랜스퍼 터렛,
150: 결합부,
160: 높이 조절 볼트,
170: 수평 유지 볼트,
180: 방향 유지부

Claims (7)

  1. 종이컵을 성형하는 맨드릴 터렛으로 종이컵의 옆지를 공급하는 옆지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 터렛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동축에 결합되며 중심부에 너트가 형성된 가이드 링;
    상기 가이드 링을 내삽하는 내홈이 바디에 형성되며, 이송되는 상기 옆지의 위치를 유지하는 블레이드가 상기 바디의 외측면에 형성된 트랜스퍼 터렛;
    상기 가이드 링 또는 상기 구동축과 상기 트랜스퍼 터렛을 고정 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구동축의 축 상에서 일종단이 상기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종단이 상기 가이드 링의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높이 조절 볼트; 및
    상기 구동축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바디에 나사 결합되되, 일종단이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내홈에 내삽되는 상기 가이드 링에 접촉하는 다수의 수평 유지 볼트; 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수평 유지 볼트는 상기 구동축의 축 방향과 수직 방향인 동일 평면 상에서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동일 원주상에 등 간격을 가지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옆지 공급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내홈 측면에 일정 깊이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홈과, 상기 바디의 내홈에 내삽되는 상기 가이드 링의 측면에서 일정 깊이까지 연장하도록 형성된 키 홀과, 상기 슬라이드 홈과 상기 키 홀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와 상기 가이드 링의 위치를 고정하는 키를 포함하는 방향 유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옆지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의 상기 너트는, 상기 가이드 링의 상기 중심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것이거나,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상기 가이드 링의 하부면 - 상기 하부면은 상기 가이드 링이 상기 구동축과 대면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것임 - 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옆지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상부면 - 상기 상부면은 상기 구동축과 상기 가이드 링이 대면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것임 - 의 중심부에는 상기 높이 조절 볼트의 타종단이 내삽될 수 있는 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옆지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볼트에는 상기 높이 조절 볼트보다 직경이 큰 회동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높이 조절 볼트는 상기 바디에 형성된 관통홀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바디의 내홈 내면의 상기 관통홀 영역에 형성된 회동홀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 부재가 상기 회동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브라켓이 상기 내홈 내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옆지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구동축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바디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가이드 링 또는 상기 구동축과 나사 결합되는 볼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옆지 공급 장치.
KR1020170142446A 2017-10-30 2017-10-30 종이컵의 옆지 공급 장치 KR101835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446A KR101835630B1 (ko) 2017-10-30 2017-10-30 종이컵의 옆지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446A KR101835630B1 (ko) 2017-10-30 2017-10-30 종이컵의 옆지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630B1 true KR101835630B1 (ko) 2018-03-07

Family

ID=6168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446A KR101835630B1 (ko) 2017-10-30 2017-10-30 종이컵의 옆지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6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747A (ja) * 1999-03-11 2000-09-19 Nec Corp ローラ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747A (ja) * 1999-03-11 2000-09-19 Nec Corp ローラ支持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5711B2 (en) Fitting structure for a plate-form member
JP6027105B2 (ja) 筒状フィルム体の被嵌装置および被嵌方法
KR101835630B1 (ko) 종이컵의 옆지 공급 장치
US20100303569A1 (en) Rotating Tool for Processing Holes Provided with Cartridges Having Cutting Inserts
JP2018501145A5 (ko)
CN103794532A (zh) 找位夹具和位置调整方法
WO2014171020A1 (ja) 軸体搬送装置
JP2017024145A (ja) ワークホルダー及びワークの切断方法
US11135799B2 (en) Fitment holder
JP7063983B2 (ja) フライス工具ホルダとフライス工具
JP4227955B2 (ja) 切削工具
KR101848911B1 (ko) 종이컵의 옆지 성형 장치
JP2020534169A5 (ko)
JP5955959B2 (ja) 調整可能な切削工具
US20120263547A1 (en) Cutting insert carrier
JP2009285935A (ja) シート成形装置およびシート成形方法
JP2018157796A (ja) 食材成形装置
CN110171711B (zh) 一种蜘蛛手吸盘及其更换工装
JP2009226514A (ja) ロータリーカッター装置
CN208929407U (zh) 管件卡盘
US10350777B2 (en) Cutting apparatus
US937111A (en) Gear.
CN205766346U (zh) 一种多刀片切割装置
WO2014057556A1 (ja) 振止め装置
JP6954127B2 (ja) 帯状シート材の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