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543B1 - 높은 항균활성이 부여된 생물전환 느릅나무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높은 항균활성이 부여된 생물전환 느릅나무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543B1
KR101835543B1 KR1020160083499A KR20160083499A KR101835543B1 KR 101835543 B1 KR101835543 B1 KR 101835543B1 KR 1020160083499 A KR1020160083499 A KR 1020160083499A KR 20160083499 A KR20160083499 A KR 20160083499A KR 101835543 B1 KR101835543 B1 KR 101835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m
extract
antimicrobial activity
streptococcus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844A (ko
Inventor
노재영
이진영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3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543B1/ko
Publication of KR20180003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력 증진과 관련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느릅나무추출물 상태에서는 항균 활성이 거의 없지만 생물전환과정을 통해 우수한 항균활성이 부여된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은 항균활성이 부여된 생물전환 느릅나무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High Antibacterial Activity By Bioconversion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Extra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본 발명은 항균력 증진과 관련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느릅나무추출물 상태에서는 항균 활성이 거의 없지만 생물전환과정을 통해 우수한 항균활성이 부여된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병원 미생물의 감염에 의하여 나타나는 질환을 총칭하여 감염병이라 하는데, 병리학적으로, 감염은 병원성 미생물이 생체내에 침입, 증식 하는 것을 의미하며, 생체내에서 균의 증식에 기인하는 발증은 숙주의 저항력과 병원성 미생물의 독력과의 상호 관계에 의존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상호관계는 주로 normal flora(정상세균총)에 의해 이뤄지며, normal flora(정상세균총)이란 숙주 사이에 조화를 이루고 있는 미생물을 의미한다. 정상세균총의 경우 숙주의 방어기작으로 작용하고, 이러한 미생물 중에는 유산균 등의 숙주동물에 유익하다고 알려져 있는 유익균과 대장균, 살모넬라, 포도상구균 등의 숙주에 직접적, 잠재적으로 유해하다고 알려져 있는 유해균들이 있다. 숙주동물의 미생물 균총 변화는 스트레스의 증가, 유해 세균의 감염, 외부 환경의 변화에 의해 변화 및 파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해 미생물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해 숙주 동물의 건강이 악화된다. 이들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병원균들이 피부 또는 장내에 정착하지 못하게 하고 먼저 피부에 자리를 잡아 다른 미생물의 생장 저해 및 감염을 예방한다.
국내 유산균 항균력 증진 관련기술 현황으로 유산균을 분리하여 그 유산균의 항균력을 측정하거나, 식물을 이용한 유산균의 생물전환 발효액을 이용한 항균력 증진에 관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또한, 한방약재를 이용한 생물전환 기술은 비교적 적지만, 한방약재의 추출물을 이용한 생물전환의 경우, 유용성분을 추출해내어 한방약재 추출물이 가지는 자체적인 항균력과, 유산균에 의해 생성되는 박테리오신에 의한 항균력도 이점으로 작용하여 항균력의 증강효과를 볼 수 있다.
먼저, 유산균을 이용한 항균력에 관한 특허로는 특허 제10-0413335-0000호의 항균 펩타이드 물질을 생산하는 유산균 락토코커스 락티스BH5(케이씨씨엠 10275)와, 특허 제10-1378673-0000호의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장균성설사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특허가 있으며, 유산균을 이용한 생물전환 기술과 관련된 특허로는 특허 제10-1506995-0000호의 오리나무 수피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항우식성 조성물, 특허 제10-1020535-0000호의 연 발효수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특허 등이 있다.
또한, 생약식물을 이용한 항균력에 관한 특허로는 특허 제 10-2006-0060906호의 포도상 구균 속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항균 샴푸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샴푸 조성물과, 특허 제 10-0524291-0000호의 흑미, 검정콩, 검정참깨, 익모초, 창포, 도엽 및 마치현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특허 등이 있다.
한편,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 느릅나무속에 속하는 낙엽활엽 교목으로, 습기가 많은 토양에서 잘 자라며, 우리나라에는 6종이 자생하고 있고 전세계적으로 약 20여종이 있다. 봄에 어린잎은 식용으로 사용하며 껍질을 유피라고 하고 특히 뿌리껍질을 유근피라고 한다.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6종의 느릅나무 중 참느릅나무와 둥근 참느릅나무, 좀참느릅나무는 열매가 9~10월에 익고, 당느릅나무, 혹느릅나무, 떡느릅나무 등은 4~5월에 익는다. 이들 나무는 열매 익는 시기와 껍질의 생김새만 다를 뿐 잎 모양이나 약으로의 쓰임새는 같다.
느릅나무는 예로부터 종기나 종창에 효과가 있는 나무로 알려져 왔으며 최근에는 항산화 효과, 아질산염 제거능과 치과 카리에스에 대한 항세균 효과 및 항암효과에 대한 보고가 있다. 동의보감에서 느릅나무는 성질이 평하고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부드러워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 장, 위의 사열을 없애 장염에 효과적이며 부은 것을 가라앉히고 불면증을 낫게 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느릅나무는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탄닌, 점액질 등 다양한 유용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한방에서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아토피, 염증, 위암, 부종, 유선염 등의 질병치료에 쓰이며, 음용수, 냉면 등으로 이용 할 만큼 인체에 독성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느릅나무 추출물이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해 항균특성을 갖고 있다는 연구내용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특히 유산균을 이용하여 생물전환 느릅나무 추출물을 병원성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한 항균특성은 연구 보고된 바가 없다
본 발명자들은 느릅나무추출물 상태에서는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거의 없지만 생물전환과정을 통해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이 부여된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해 항균활성이 전혀 없는 느릅나무추출물을 생물전환함으로써 얻어진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해 항균활성이 거의 전혀 없는 느릅나무추출물에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특정미생물을 접종한 후 일정 배양조건에서 배양함으로써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등 각종 응용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균활성은 느릅나무추출물의 유산균생물전환을 통해 부여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질환원인균은 화농성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 여드름 유발균(Propionibacterium acnes) 및 Streptococcus auresu 중 하나 이상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생물전환을 위해 사용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urm)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Lactobacillus plantaurmL.plantarum 299V (DSM9843)이다.
또한, 본 발명은 느릅나무추출물을 유산균배지조성물에 첨가하여 느릅나무추출물함유 액상배지를 준비하는 배지준비단계; 상기 느릅나무추출물 함유 액상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하는 접종단계; 및 상기 접종된 상태로 느릅나무추출물의 생물전환이 수행되도록 유산균을 배양함으로써 생물전환배양물을 얻는 배양단계;를 포함하는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생물전환배양물에 포함된 유산균을 제거하는 제거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양단계에서 얻어진 생물전환배양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생물전환배양물에 포함된 유산균을 제거하는 단계 및 얻어진 유산균이 제거된 생물전환배양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종단계에서 접종되는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urm)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urm)은 L.plantarum 299V (DSM9843)이고, 1X103CFU/ml 내지 1X108CFU/ml의 함량으로 접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양단계는 25도 내지 40도의 온도범위에서 12시간 내지 96시간 동안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어느 하나의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 또는 상술된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의해 유발된 감염성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의해 유발된 질병은 후두염, 편도염, 성홍열, 산욕열, 패혈증, 여드름, 사코이드증, 포도막염, 결막염, 각막염, 피부발진, 만성 염증 및 화농성 감염증 중 하나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어느 하나의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 또는 상술된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약학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의해 유발된 감염성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어느 하나의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 또는 상술된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은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 제조방법은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해 항균활성이 거의 전혀 없는 느릅나무추출물에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특정미생물을 접종하여 일정 배양조건에서 배양함으로써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등 각종 응용제품은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의해 유발된 질병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다.
도 1은 느릅나무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얻어진 느릅나무 추출물과 생물전환 느릅나무 추출물의 pH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얻어진 느릅나무 추출물과 생물전환 느릅나무 추출물의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얻어진 느릅나무 추출물과 생물전환 느릅나무 추출물의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사진들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느릅나무추출물 상태에서는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거의 없지만 생물전환과정을 통해 얻어진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이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다는 점에 착안된 것으로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단순 느릅나무추출물에서는 얻을 수 없는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특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감염성질병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조성물, 건강기능식품,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생물전환(Bioconversion)이란 효소나 미생물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대사산물을 생산 및 제조하는 기술을 말하며, 미생물의 혐기적 조건 또는 미세 호기적 조건에서의 발효(fermentation)을 이용한 유용물질을 생산하거나 변화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생물전환의 대상은 식물체를 비롯하여 한방약재, 사료, 실크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생물전환이 이뤄지고 있다. 미생물을 이용하여 한방약재를 생물전환 할 경우, 다양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미생물 생물전환으로 변화되는 대표적인 특징은 유용물질의 크기 감소, 기능향상이 있으며, 미생물이 생산하는 비타민, 유기산, 박테리오신 등 유용물질의 생산 또한 생물전환의 이점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은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다.
피부질환원인균은 화농성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 여드름 유발균(Propionibacterium acnes) 및 Streptococcus aureus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는데, 이들은 피부질환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균들이다. Streptococcus pyogenes는 사람의 후두염, 편도염, 성홍열, 산욕열, 패혈증 등의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Propionibacterium acnes는 피부 및 장관에 존재하는 병원균으로, 여드름, 사코이드증, 포도막염, 결막염, 각막염 등을 유발하며, 피부발진 및 만성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균이다.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 아토피 환자의 피부 감염에 중요한 원인이 되는 피부질환 원인균으로, 용혈소, 응고효소 및 류코시딘과 같은 식세포를 죽이는 독소를 분비하여 화농성 감염증을 일으키는 것이 특징이다. Propionibacterium acnes는 피부 안쪽 또는 피지선에 존재하고 청소년기 호르몬 활동이 증가하여 피지선의 분비가 활발할 때 대량증식하는 것이 특징이다. 청소년기 아토피 환자가 Propionibacterium acnes에 의해 여드름이 발생될 경우, 가려움증을 동반한 피부 건조증, 피부 홍반 증가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며, 가려움증에 의해 아토피 염증 부위를 긁는 행동으로 인해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pyogenes등의 2차 세균감염에 따른 여드름의 증상이 악화된다. 윤 등(2009)에 의하면, 고열, 화농성 삼출물, 농포, 가피 등이 형성된 아토피 환자에게서 Streptococcus pyogenes의 2차감염이 발견되었고, 세균 감염으로 인한 패혈증 증상이 확인되었다. 또한 현재 치료 방법으로는 2차 세균 감염 방지를 위해 항생제를 동반 사용, 경구 항히스타민제 복용, 국소 스테로이드제의 도포 등이 있지만, 스테로이드제의 경우 부작용에 의한 Streoid phobia로 인해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고 보고하였고, 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 아토피 피부염의 1차 요인일 뿐만 아니라 2차 요인으로서 피부 모공의 감염, 땀샘이 막힌 상태에서의 감염, 상처에 침입하여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아토피 환자 90%의 피부에서 S.aureus의 감염이 확인되었다고 한다. 또한, 한방치료를 이용하여 Streptococcus pyogenes, Staphylococcus aureus의 이차 감염을 억제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본 발명의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느릅나무추출물의 유산균생물전환을 통해 부여된 것으로서, 유산균생물전환을 위해 사용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urm)일 수 있다. 특히, L.plantarum 299V (DSM9843)일 수 있는데, L.plantarum 299V는 1994년 발효식품에서 처음 분리된 균주로, 과민성 대장 증후근, 점막성 염증 등에 연구가 되어있다.
본 발명의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의 pH는 4.5이하로서 생물전환 전의 느릅나무추출물이 pH 6이상인 것과 비교하고, MRS배지 배양물의 pH와 비교한 바 항균력이 우수한 성분이 생물전환을 통해 발생함을 예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 제조방법은 느릅나무추출물을 유산균배지조성물에 첨가하여 느릅나무추출물함유 액상배지를 준비하는 배지준비단계; 및 상기 느릅나무추출물 함유 액상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하는 접종단계; 및 상기 느릅나무추출물의 생물전환이 수행되도록 유산균을 배양함으로써 생물전환배양물을 얻는 배양단계;를 포함하는데, 필요한 경우 생물전환배양물에 포함된 유산균을 제거하는 제거단계, 상기 배양단계에서 얻어진 생물전환배양물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생물전환배양물에 포함된 유산균을 제거하는 단계 및 얻어진 유산균이 제거된 생물전환배양물을 건조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종단계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urm) 중 Lactobacillus plantaurmL.plantarum 299V (DSM9843)을 1X103CFU/ml 1X108CFU/ml의 함량으로 접종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배양단계는 25도 내지 40도의 온도범위에서 12시간 내지 96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는데, 24시간 이내로 단축하여도 무방하다.
건조단계는 동결건조단계를 포함하는데 -80 ℃이하에서 36시간 내지 72시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의해 유발된 감염성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건강기능성식품 및 화장료조성물은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의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의해 유발된 감염성질환의 치료를 위해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하여 유발된 감염성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물전환을 위해 사용되는 느릅나무 추출물은 느릅나무의 가지, 껍질, 잎, 열매 중 하나 이상을 물, C1 내지 C2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는데, 특히 건강기능식품에 포함되는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에 사용되는 느릅나무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실시예
1.배지준비단계
①느릅나무 추출물 준비
건조된 느릅나무 100g과 물 1 L를 열탕기에 넣고 열수추출을 진행한다. 열수추출하여 얻어진 500 ml의 느릅나무 열수추출물을 Paper filter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여 느릅나무추출물을 얻었다.
② 얻어진 느릅나무추출물에 유산균 배지인 MRS Broth powder를 느릅나무 추출물의 용량에 맞게 즉, 느릅나무 추출물 1리터 당 MRS Broth powder 55그램을 첨가하여 녹인후 멸균하였다.
2. 접종단계
느릅나무 추출물 함유 MRS 배지에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299V (DSM9843) 균을 1X106 CFU/ml 함량으로 접종하였다.
3. 배양단계
느릅나무추출물의 생물전환이 수행되도록 접종된 유산균을 37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느릅나무추출물의 생물전환배양물을 얻었다.
4.제거단계
생물전환이 완료된 생물전환배양물은 7000rpm에서 30분간 Centrifuge 후, 0.45 ㎛ Syringe Filter를 이용하여 Filtering하여 생물전환배양물에 포함된 유산균을 제거하여 생물전환느릅나무추출물을 액상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에서 얻어진 느릅나무추출물 및 유산균을 이용한 생물전환후의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의 pH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1 및 도 2로부터, 생물전환 전의 느릅나무추출물의 pH는 6.15였고, 대조군 MRS 배지 배양물과,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의 pH는 4.19로 측정되어 항균력이 우수한 성분이 생물전환을 통해 발생한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Figure 112016063966506-pat00001
실험예 2
유산균 배양액, 실시예에서 얻어진 느릅나무추출물 및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액상)의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여기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299V는 MRS 배지와 느릅나무 추출물 MRS 배지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사용된 병원균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KCTC 3314, 스트렙토코커스 파이오진스(Streptococcus pyogenes) KCCM 11873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su) KACC 13236 세 종에 관해 항균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KCTC 3314는 BHI (Brain-Heart Infusion) 배지에서, 스트렙토코커스 파이오진스 KCCM 11873는 TS (Tryptic-Soy) 배지에 5% Sheep blood를 포함시킨 배지에서,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KACC 13236는 TS(Tryptic-Soy)배지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항균활성조사는 Paper disc method를 사용하였다. 각 병원균이 1X106CFU/ml로 도말되어 있는 배지에 유산균 배양액, 느릅나무추출물,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을 각각 8mm Paper disc에 100 ㎕씩 점적 후 병원균이 도말되어있는 배지에 치상하였다. Paper disc가 치상된 배지는 24시간 동안 37 ℃에서 배양하여 생육저해환의 생성유무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표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63966506-pat00002
표 2, 도 3 및 도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항균활성을 확인한 결과 느릅나무 추출물에서는 모든 피부질환 원인균에서 항균활성이 확인되지 않았고, 유산균 MRS 배양액 에서는 S.aureus에서 항균활성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에서는 MRS 배양액이나 느릅나무 추출물에서 확인되지 않던 P.acnesS.pyogenes에서도 항균 활성이 확인되었고, S.aureus의 경우 7 %의 항균력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단순 느릅나무 추출물은 모든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해 항균활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지만 생물전환 느릅나무 추출물은 모든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다는 실험결과는 느릅나무 추출물의 항균력의 증가가 L.plantarum종의 생물전환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상의 실험결과들을 통해 본 발명의 생물전환 느릅나무 추출물이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질환의 예방 및 증상 개선을 위한 새로운 약학조성물은 물론 기능성 식품 소재 또는 화장료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기 실험예에서는 유산균을 이용한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의 피부질환 원인균주의 항균활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본 발명의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원인균주 중 아토피 유발에 영향을 미치는 균주가 있는 것으로 보아 본 발명의 생물전환 느릅나무추출물을 이용하여 아토피 소양증 완화 치료제 또는 로션, 스킨 등 아토피 소양증 완화 화장품의 조성물로써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화농성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 여드름 유발균 (Propionibacterium acnes) 및 Streptococcus auresu 중 하나 이상의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데, 상기 항균활성은 느릅나무의 가지, 껍질, 잎, 열매 중 하나 이상의 열수추출물인 느릅나무추출물의 유산균생물전환을 통해 부여된 것으로 상기 생물전환에 사용된 유산균은 L.plantarum 299V (DSM9843)이고, 그 pH가 4.5이하인 생물전환느릅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농성연쇄상구균 (Streptococcus pyogenes), 여드름 유발균 (Propionibacterium acnes) 및 Streptococcus auresu 중 하나 이상의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의해 유발된 감염성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13. 삭제
  14. 화농성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 여드름 유발균 (Propionibacterium acnes) 및 Streptococcus auresu 중 하나 이상의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데, 상기 항균활성은 느릅나무의 가지, 껍질, 잎, 열매 중 하나 이상의 열수추출물인 느릅나무추출물의 유산균생물전환을 통해 부여된 것으로 상기 생물전환에 사용된 유산균은 L.plantarum 299V (DSM9843)이고, 그 pH가 4.5이하인 생물전환느릅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농성연쇄상구균 (Streptococcus pyogenes), 여드름 유발균 (Propionibacterium acnes) 및 Streptococcus auresu 중 하나 이상의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건강기능식품.
  15. 제 12 항의 약학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농성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 여드름 유발균 (Propionibacterium acnes) 및 Streptococcus auresu 중 하나 이상의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의해 유발된 감염성질환의 치료방법.
  16. 화농성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 여드름 유발균 (Propionibacterium acnes) 및 Streptococcus auresu 중 하나 이상의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데, 상기 항균활성은 느릅나무의 가지, 껍질, 잎, 열매 중 하나 이상의 열수추출물인 느릅나무추출물의 유산균생물전환을 통해 부여된 것으로 상기 생물전환에 사용된 유산균은 L.plantarum 299V (DSM9843)이고, 그 pH가 4.5이하인 생물전환느릅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농성연쇄상구균 (Streptococcus pyogenes), 여드름 유발균 (Propionibacterium acnes) 및 Streptococcus auresu 중 하나 이상의 병원성 피부질환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화장료조성물.
KR1020160083499A 2016-07-01 2016-07-01 높은 항균활성이 부여된 생물전환 느릅나무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KR101835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499A KR101835543B1 (ko) 2016-07-01 2016-07-01 높은 항균활성이 부여된 생물전환 느릅나무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499A KR101835543B1 (ko) 2016-07-01 2016-07-01 높은 항균활성이 부여된 생물전환 느릅나무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844A KR20180003844A (ko) 2018-01-10
KR101835543B1 true KR101835543B1 (ko) 2018-03-07

Family

ID=60998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499A KR101835543B1 (ko) 2016-07-01 2016-07-01 높은 항균활성이 부여된 생물전환 느릅나무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5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845A (ko)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첨단환경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 및 편백 오일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061B1 (ko) * 2007-07-02 2014-11-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061B1 (ko) * 2007-07-02 2014-11-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845A (ko)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첨단환경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박의 추출물 및 편백 오일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844A (ko) 201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4568B1 (ko) 발효된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2056B1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18035892A1 (zh) 一种乳酸片球菌来源的抗菌六肽及其制备方法
KR102244492B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그의 용도
KR102052047B1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EP3179865B1 (en) Lactobacillus apinorum and lactobacillus mellifer from honeybees in medical, food and feed applications
KR20160051902A (ko) 유산균이 포집되어 있는 알지네이트 비드 및 동결보호제로서 콩가루를 포함하는 생존율이 증진된 유산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2178350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사펜시스 균주 및 이의 항균 용도
KR101835534B1 (ko) 높은 항균활성이 부여된 생물전환 다래나무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KR102313770B1 (ko) 제주산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1465696B1 (ko) 항균 및 방충 조성물
KR101972236B1 (ko) 김치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의 용도
KR101835543B1 (ko) 높은 항균활성이 부여된 생물전환 느릅나무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KR101837455B1 (ko) 발효된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의 보존방법
KR101814941B1 (ko) 맨드라미꽃 물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2923A (ko) 식용꽃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면역활성 증진 기능성 음료 및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76540A (ko) 식물성 배지, 식물성 부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성유산균 발효 분말의 제조방법
KR102481102B1 (ko) 불가사리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313769B1 (ko) 제주산 방울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20140072597A (ko) 숙취해소용 발효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02165325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gt-02에 의한 항균활성 생물전환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35145A (ko)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레에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WiKim0110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eong et al.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crude extracts from Cichorium intybus L.(chicory) against Bacillus cereus in various dairy Foods
KR102457367B1 (ko) 제주산 방울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457366B1 (ko) 제주산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