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843B1 -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 - Google Patents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4843B1 KR101834843B1 KR1020170137190A KR20170137190A KR101834843B1 KR 101834843 B1 KR101834843 B1 KR 101834843B1 KR 1020170137190 A KR1020170137190 A KR 1020170137190A KR 20170137190 A KR20170137190 A KR 20170137190A KR 101834843 B1 KR101834843 B1 KR 1018348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 reinforcing
- compression
- steel beam
- steel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45—Load-supporting elements with reinforcement at the connection point other than the connect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48—Connections between open section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보의 양단하부에 대한 압축하중에 대한 보강과 기둥에 대하여 인가되는 기둥압축하중에 대한 보강을 구현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서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수직으로 구비되는 철골기둥들과, 상기 철골기둥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철골보와, 상기 철골보의 양측하단에서 일측 단부가 상기 철골기둥에 고정되며 상기 철골보의 양측하단을 지지하여 압축하중에 대한 내력을 보강하도록 된 압축보강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압축보강재는, 상기 철골보의 양단 저면에 각각 구비되며 '판'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철골보의 저면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접합판으로 이루어져, 단면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진 철골 빔으로 형성되되는 철골보강수단과; 상기 철골기둥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철골보의 단부와 연결되면서 철골보접합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철골보강수단의 단부와 연결되면서 결합하는 수평보강부재와, 상기 수평보강부재의 하부에 수직상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접합되는 수직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기둥보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을 제공한다.
서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수직으로 구비되는 철골기둥들과, 상기 철골기둥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철골보와, 상기 철골보의 양측하단에서 일측 단부가 상기 철골기둥에 고정되며 상기 철골보의 양측하단을 지지하여 압축하중에 대한 내력을 보강하도록 된 압축보강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압축보강재는, 상기 철골보의 양단 저면에 각각 구비되며 '판'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철골보의 저면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접합판으로 이루어져, 단면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진 철골 빔으로 형성되되는 철골보강수단과; 상기 철골기둥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철골보의 단부와 연결되면서 철골보접합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철골보강수단의 단부와 연결되면서 결합하는 수평보강부재와, 상기 수평보강부재의 하부에 수직상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접합되는 수직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기둥보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거더 및 컬럼을 구성하는 철골보의 양단하부에 대한 내력을 보강하도록 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골보의 양단하부에 대한 압축하중에 대한 보강과 기둥에 대하여 인가되는 기둥압축하중에 대한 보강을 구현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뼈대를 이루는 철골구조물은, 철골기둥에 보 및 거더를 접합하여 철골골조를 완성하게 된다.
이때, 양측 철골기둥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시공되는 철골보 구조물은, 철골기둥과의 접합부위 보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H빔 형태의 철골기둥에 H빔 형태의 철골보가 수평으로 연결 구성되며, 상기 철골보의 양단 하부에는 T형빔 형태의 보강빔이 접합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철골보는 다수의 접합플레이트를 통해 수평 및 수직상으로 볼트 결합하는 복수 개로 분할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철골보는, 상기 철골기둥들에 수평적으로 각각 연결고정된 연결보들과 상기 연결보들을 연결하는 주철골보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보와 상기 주철골보는, 상기 접합플레이트들에 의해 연결 결합하게 된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896173호(명칭: 장지간 빔, 이를 포함하는 무주 구조물, 무주 주차 구조물 및 장지간 빔의 제조방법 및 무주 구조물 시공방법)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각각이 제1 플랜지, 상기 제1 플랜지와 이격된 제2 플랜지 및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를 연결하는 중심 웨브를 포함하며,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제2 및 제3 H-빔; 상기 제1 H-빔의 상기 제2 플랜지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플랜지의 중앙을 향해서 이격거리가 점차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제1 보강 플랜지 및 상기 제1 보강 플랜지와 상기 H-빔의 상기 제2 플랜지를 연결하는 제1 보강 웨브를 포함하는 제1 보강 부재; 및 상기 제3 H-빔의 상기 제2 플랜지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제2 플랜지의 중앙을 향해서 이격거리가 점차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제2 보강 플랜지(231) 및 상기 제2 보강 플랜지와 상기 H-빔의 상기 제2 플랜지를 연결하는 제2 보강 웨브(232)를 포함하는 제2 보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H 빔 및 제3 H 빔은 등변 사다리꼴의 측변에 대응하고, 상기 제2 H 빔은 상기 등변 사다리 꼴의 윗변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 H-빔이 상기 제1 및 제3 H-빔에 치올림 되도록 연결된 빔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888231호(명칭: 빔 제조방법 및 무주 구조물 제조방법)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H-빔, 제1 보강플랜지 및 제1 보강웨브를 포함하는 제1 보강부재, 및 제2 보강플랜지 및 제2 보강웨브를 포함하는 제2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H-빔은 제1 플랜지, 상기 제1 플랜지와 이격된 제2 플랜지 및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를 연결하는 중심 웨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강 플랜지는 상기 H-빔의 상기 제2 플랜지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플랜지의 중앙을 향해서 이격거리가 점차로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보강 웨브는 상기 제1 보강 플랜지와 상기 H-빔의 상기 제2플랜지를 연결하며, 상기 제2 보강 플랜지는 상기 H-빔의 상기 제2 플랜지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제2 플랜지의 중앙을 향해서 이격거리가 점차로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보강 웨브는 상기 제2 보강 플랜지와 상기 H-빔의 상기 제2 플랜지를 연결하여서 된 빔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206441호(명칭: 모멘트 발생 크기에 따른 구조보강재가 부착된 철골구조물과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플랜지 및 웨브로 이루어진 형강재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 쌍의 기둥과; 상기 한 쌍의 기둥 간에 용접 또는 볼팅으로 수평하게 연결되며, 형강재로 이루어진 보로 구성되고, 상기 기둥의 형강재의 웨브에 채널이 용접 설치되고, 상기 채널에 보강재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보강재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수평강판과, 상기 수평강판이 가운데에 용접 설치되는 수직강판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보강재는 H형강을 웨브를 기준으로 하여 1/2 절단된 것으로 구성된 철골구조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336909호(명칭: 모멘트 발생 크기에 따른 구조보강재가 부착된 철골구조물과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플랜지 및 웨브로 이루어진 형강재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 쌍의 기둥과; 상기 한 쌍의 기둥 간에 용접 또는 볼팅으로 수평하게 연결되며, 형강재로 이루어진 보로 구성되고, 상기 기둥의 형강재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형강재로 구성되고, 양단은 층고가 높은 양단부 형강재와; 상기 양단부 형강재 사이에 용접 설치되는 중앙부 형강재로 구성되며, 상기 양단부 형강재에는 그 일측이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절단하여 절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취부에 보강앵글이 부착된 철골구조물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04246호(명칭: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상부플렌지와 하부플렌지가 수직웨브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이루는 H빔 형태의 철골보 하부에 구조 보강을 위해 수직웨브와 플렌지로 구성되는 T형빔 형태의 보강빔이 용접 구성된 철골구조물이 상호 수직 접합플레이트 및 수평 접합플레이트에 의해 접합되어지는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철골구조물 상호간에 접합이 이루어지는 접합부위에서는 철골보의 하부플렌지가 일정길이로 절개된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서, 철골보의 수직웨브와 보강빔의 수직웨브는 각 면에서 단일의 수직 접합플레이트에 의해 접합 연결이 이루어진 철골구조물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한 철골구조물들에서 철골기둥과 연결되는 철골보의 양측 하단에는, 상부에서 인가되는 하중 및 자중에 의해 발생하는 압축력에 대하여 보강하도록 내력을 증대하는 압축보강재가 각각 구비된다.
즉, 철골구조물의 상부에서 인가된 하중 및 철골보의 자체하중에 의해 상기 철골보의 양단 하부에 발생하는 압축하중을 상기 압축보강재가 대응하여 상쇄함으로써, 안정성을 증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철골구조물들은, 철골보의 양단 하부에 발생하는 압축하중에 보강하도록 된 압축보강재는 기둥에 대하여 인가되는 기둥압축하중에 대한 보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철골보의 양단하부에 대한 압축하중에 대한 보강과 기둥에 대하여 인가되는 기둥압축하중에 대한 보강을 구현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은, 서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수직으로 구비되는 철골기둥들과, 상기 철골기둥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철골보와, 상기 철골보의 양측하단에서 일측 단부가 상기 철골기둥에 고정되며 상기 철골보의 양측하단을 지지하여 압축하중에 대한 내력을 보강하도록 된 압축보강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압축보강재는, 상기 철골보의 양단 저면에 각각 구비되며 '판'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철골보의 저면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접합판으로 이루어져, 단면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진 철골 빔으로 형성되되는 철골보강수단과; 상기 철골기둥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철골보의 단부와 연결되면서 철골보접합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철골보강수단의 단부와 연결되면서 결합하는 수평보강부재와, 상기 수평보강부재의 하부에 수직상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접합되는 수직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기둥보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은, 철골보강수단과 철골보접합부를 통해 철골보의 양단하부에 형성되는 압축하중에 대응하는 내력을 보강하고, 수직보강수단을 통해 철골기둥에 대하여 인가되는 기둥압축하중에 대한 보강하여 안정성을 확보함은 물론, 압축보강재를 통해 철골보의 자중을 줄여 원가의 절감을 통해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철골구조물에서 상부에서 인가되는 하중 및 철골보의 자체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인장하중 및 압축하중의 분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의 일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을 구성하는 철골보강수단의 제조과정을 보인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을 구성하는 기둥보강수단의 제조과정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의 일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을 구성하는 철골보강수단의 제조과정을 보인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을 구성하는 기둥보강수단의 제조과정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을 구성하는 진동저감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의 일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을 구성하는 철골보강수단의 제조과정을 보인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을 구성하는 기둥보강수단의 제조과정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의 일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을 구성하는 철골보강수단의 제조과정을 보인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을 구성하는 기둥보강수단의 제조과정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을 구성하는 진동저감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1)은, 서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수직으로 구비되는 철골기둥(2)들과, 상기 철골기둥(2)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철골보(3)와, 상기 철골보(3)의 양측하단에서 일측 단부가 상기 철골기둥(2)에 고정되며 상기 철골보(3)의 양측하단을 지지하여 압축하중에 대한 내력을 보강하도록 된 압축보강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압축보강재(4)에 의해 철골보(3)의 양단하부에 형성되는 압축하중에 대응하는 내력을 보강하여, 도 1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인가되는 하중 및 상기 철골보(3)의 자체하중에 의해 발행하는 압축하중에 대응하는 내력을 보강하여 압축하중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에서 철골기둥(2)과 철골보(3)는, 단면 형상이 "H" 형상으로 이루어진 H-빔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철골보(3)와 상기 철골기둥(2)은, 상기 철골기둥(2)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철골보(2)의 단부와 연결되면서 철골보접합부(21)의 단부가 수평 및 수직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접합플레이트(5)들에 의해 연결 결합하게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압축보강재(4)는, 상기 철골보(3)의 양단 저면에 각각 구비되며 '판'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바닥판(41)과, 상기 바닥판(41)의 상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철골보(3)의 저면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접합판(42)으로 이루어져, 단면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진 철골 빔으로 형성되되는 철골보강수단(43)과; 상기 철골기둥(2)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철골보(3)의 단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철골보접합부(21)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철골보강수단(43)의 단부와 접합플레이트(5)를 통해 연결되면서 결합하는 수평보강부재(44)와, 상기 수평보강부재(44)의 하부에 수직상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접합되는 수직보강부재(45)를 포함하는 기둥보강수단(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철골보강수단(43)과 철골보접합부(21)를 통해 철골보(3)의 양단하부에 형성되는 압축하중에 대응하는 내력을 보강하고, 상기 수직보강수단을 통해 철골기둥에 대하여 인가되는 기둥압축하중에 대한 보강하여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압축보강재를 통해 상기 철골보의 자중을 줄여 원가의 절감을 통해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에서 수평보강부재(44)는, 단면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진 철골 빔으로 형성되어 상기 철골보강수단(43)의 바닥판(41) 및 접합판(42)과 맞춤되게 연결되면서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바닥판(41)이 상기 철골기둥(2)에서 상기 철골보(3) 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철골보(3)의 저면과의 사이간격이 점차 작아져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수직보강부재(45)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진 철골 빔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평 트러스 구조물'에 적용될 경우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삼각트러스 구조물"에 적용될 경우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진 철골 빔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1)을 시공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골보(3)의 양단저면에 단면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진 철골 빔으로 형성된 철골보조강수단(43)을 각각 접합하여 고정함으로서 철골보(3)의 양단에 대하여 내구를 보강하는 철골보보강공정을 가진다.
즉, 상기 철골보보강공정을 통해 철골보(3)를 제조하게 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기둥(2)에 수직보강부재(45)를 접함하여 고정하는 수직보강부재(45)를 길이방향으로 접합하여 고정하는 수직보강부재접합단계와; 상기 철골기둥(2)에서 상기 철골보접합부(21)를 접합하여 구비하는 철골보접합부접합단계와; 상기 철골보접합부접합단계를 통해 상기 철골기둥(2)에 접합된 상기 철골보접합부(21)이 저면에 단면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진 철골 빔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수평보강부재(44)를 접합하여 고정하는 수평보강부재접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철골기둥보강공정을 더 가진다.
즉, 상기 철골기둥보강공정을 통해 철골기둥(2)을 제조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상기 철골기둥보강공정을 통해 제조된 철골기둥(2)에 상기 철골보보강공정을 통해 제조된 철골보(3)를 조립하여 철골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철골기둥(2)에 연결된 철골보접합부(21)와 철골보(3)의 양단 및 상기 철골보강수단(43)과 상기 수평보강수단(45)을 상기 접합플레이트(5)에 의해 각각 연결되면서 볼트(6) 및 너트(7)를 통해 결합하여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은 도 10 및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골기둥(2)과 상기 철골보(3)의 접합부로 인가되는 진동하중을 연진을 통해 상쇄하여 내진하도록 된 진동저감수단(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진동저감수단(8)을 통해 진동에너지를 상쇄하여 내진품질을 향상하게 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진동저감수단(8)은, 상기 볼트(6)를 구성하는 볼트머리(61)에 형성된 나사홈에 나사결합하는 보조볼트(81)와, 상기 보조볼트(81)의 나사부에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면서 배치되는 '링(ring)' 형상의 진동링(82)과, 상기 진동링(82)의 양측에 상기 볼트(6)와 상기 보조볼트(81)의 머리부의 상기 각각 배치되어 탄성력을 상기 진동링(82)에 각각 인가하도록 된 탄성스프링(8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6)를 통해 상기 철골기둥(2)과 상기 철골보(3)의 접합부위로 유입되는 진동하중이 상기 볼트(6)와 상기 보조볼트(81)을 경유하여 상기 탄성스프링(83) 및 진동링(82)으로 전달되어, 상기 탄성스프링(83) 및 진동링(82)의 탄성을 통해 상쇄된다.
이에 따라, 철골구조물(1)의 내진품질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철골구조물 2 : 철골기둥
21 : 철골보접합부 3 : 철골보
4 : 압축보강재 41 : 바닥판
42 : 접합판 43 : 철골보강수단
44 : 수평보강부재 45 : 수직보강부재
46 : 기둥보강수단 5 : 접합플레이트
6 : 볼트 61 : 볼트머리
7 : 너트 8 : 진동저감수단
81 : 보조볼트 82 : 진동링
83 : 탄성스프링
21 : 철골보접합부 3 : 철골보
4 : 압축보강재 41 : 바닥판
42 : 접합판 43 : 철골보강수단
44 : 수평보강부재 45 : 수직보강부재
46 : 기둥보강수단 5 : 접합플레이트
6 : 볼트 61 : 볼트머리
7 : 너트 8 : 진동저감수단
81 : 보조볼트 82 : 진동링
83 : 탄성스프링
Claims (1)
- 서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수직으로 구비되는 철골기둥(2)들과, 상기 철골기둥(2)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철골보(3)와, 상기 철골보(3)의 양측하단에서 일측 단부가 상기 철골기둥(2)에 고정되며 상기 철골보(3)의 양측하단을 지지하여 압축하중에 대한 내력을 보강하도록 된 압축보강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압축보강재(4)는, 상기 철골보(3)의 양단 저면에 각각 구비되며 '판'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바닥판(41)과, 상기 바닥판(41)의 상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철골보(3)의 저면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접합판(42)으로 이루어져, 단면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진 철골 빔으로 형성되는 철골보강수단(43)과; 상기 철골기둥(2)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철골보(3)의 단부와 연결되면서 철골보접합부(21)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철골보강수단(43)의 단부와 연결되면서 결합하는 수평보강부재(44)와, 상기 수평보강부재(44)의 하부에 수직상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접합되는 수직보강부재(45)를 포함하는 기둥보강수단(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철골기둥(2)에 연결된 철골보접합부(21)와 철골보(3)의 양단 및 상기 철골보강수단(43)과 상기 수평보강부재(44)는,
접합플레이트(5)에 의해 각각 연결되면서 볼트(6) 및 너트(7)를 통해 결합하여 조립되고;
상기 철골기둥(2)과 상기 철골보(3)의 접합부로 인가되는 진동하중을 연진을 통해 상쇄하여 내진하도록 된 진동저감수단(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진동저감수단(8)은,
상기 볼트(6)를 구성하는 볼트머리(61)에 형성된 나사홈에 나사결합하는 보조볼트(81)와, 상기 보조볼트(81)의 나사부에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면서 배치되는 '링(ring)' 형상의 진동링(82)과, 상기 진동링(82)의 양측에 상기 볼트(6)와 상기 보조볼트(81)의 머리부의 상기 각각 배치되어 탄성력을 상기 진동링(82)에 각각 인가하도록 된 탄성스프링(8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7190A KR101834843B1 (ko) | 2017-10-23 | 2017-10-23 |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7190A KR101834843B1 (ko) | 2017-10-23 | 2017-10-23 |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34843B1 true KR101834843B1 (ko) | 2018-04-13 |
Family
ID=6197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7190A KR101834843B1 (ko) | 2017-10-23 | 2017-10-23 |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4843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11793A (zh) * | 2020-03-27 | 2020-07-14 | 王升 | 一种钢构架加固装置 |
KR102201377B1 (ko) * | 2020-09-04 | 2021-01-11 | 태영강건(주) | 각형강관 기둥과 이중h형강 보가 접합된 내진성능구조의 철골과 그 시공방법 |
KR102298130B1 (ko) * | 2021-03-26 | 2021-09-06 | 주식회사 천우에스엔씨 | 철골보 단부 보강 시스템 |
KR102358033B1 (ko) * | 2021-06-15 | 2022-02-08 | 차기열 | 건축물 시공 방법 |
KR102397954B1 (ko) * | 2021-04-06 | 2022-05-17 | 씨엔에스이엔지주식회사 | 철골프레임의 기둥-보 접합 구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988298B2 (ja) | 1998-07-31 | 2007-10-10 | 株式会社大林組 | ボルト接合部の制振構造 |
KR101504246B1 (ko) | 2014-07-24 | 2015-03-20 | (주)청우구조안전기술 |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 |
KR101518446B1 (ko) * | 2013-12-02 | 2015-05-15 | 컨베스트 주식회사 | 모멘트 발생크기를 고려한 특수구조보강재를 부착한 보와 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구비한 철골구조물의 시공방법과 철골구조물 |
KR101579269B1 (ko) | 2014-09-02 | 2015-12-21 | 서정표 | 탈부착형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보강구조체 |
-
2017
- 2017-10-23 KR KR1020170137190A patent/KR1018348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988298B2 (ja) | 1998-07-31 | 2007-10-10 | 株式会社大林組 | ボルト接合部の制振構造 |
KR101518446B1 (ko) * | 2013-12-02 | 2015-05-15 | 컨베스트 주식회사 | 모멘트 발생크기를 고려한 특수구조보강재를 부착한 보와 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구비한 철골구조물의 시공방법과 철골구조물 |
KR101504246B1 (ko) | 2014-07-24 | 2015-03-20 | (주)청우구조안전기술 |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 |
KR101579269B1 (ko) | 2014-09-02 | 2015-12-21 | 서정표 | 탈부착형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보강구조체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11793A (zh) * | 2020-03-27 | 2020-07-14 | 王升 | 一种钢构架加固装置 |
KR102201377B1 (ko) * | 2020-09-04 | 2021-01-11 | 태영강건(주) | 각형강관 기둥과 이중h형강 보가 접합된 내진성능구조의 철골과 그 시공방법 |
KR102298130B1 (ko) * | 2021-03-26 | 2021-09-06 | 주식회사 천우에스엔씨 | 철골보 단부 보강 시스템 |
KR102397954B1 (ko) * | 2021-04-06 | 2022-05-17 | 씨엔에스이엔지주식회사 | 철골프레임의 기둥-보 접합 구조 |
KR102358033B1 (ko) * | 2021-06-15 | 2022-02-08 | 차기열 | 건축물 시공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42420B1 (ko) |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 | |
KR101834843B1 (ko) |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 | |
KR100964067B1 (ko) | 교량용 강관 합성거더 및 그 제조방법 | |
KR102229712B1 (ko) | H형강 기둥과 이중h형강 보가 접합된 내진성능구조의 철골과 그 시공방법 | |
KR101834006B1 (ko) |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 |
US20070062135A1 (en) | Corrugated shear panel and anchor interconnect system | |
KR102108335B1 (ko) | 내진성능 접합부를 가지는 복합철골보구조 | |
KR101539454B1 (ko) | 합성 트러스 탈형보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트러스 탈형보 | |
JP6763653B2 (ja) | ユニット建物 | |
KR101347939B1 (ko) | 횡방향 부재를 이용한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거더의 복부파형강판과 콘크리트의 합성구조 | |
KR101896971B1 (ko) | 내진접합부를 가지는 철골구조물 | |
JP7453084B2 (ja) | 梁接合構造、建築物 | |
JP6274792B2 (ja) | 建築物のラーメン架構 | |
JP2008045326A (ja) | 制振ダンパー構造 | |
KR20220127543A (ko) | 강판성형보를 이용한 철골구조물의 보강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748709B1 (ko) | 건축 구조물 보의 휨 보강 방법 | |
JP4405336B2 (ja) | 制震ブロック壁構造 | |
KR101732724B1 (ko) | 조립광폭튜브 플랜지를 갖는 공장용 하이브리드 골조 | |
JP6451383B2 (ja) | 横架構造体 | |
KR102718139B1 (ko) | 내진접합 합성철골보구조 및 그가 적용되어 진동 등 외부환경에 안전성을 강화하도록 된 합성철골보구조의 시공방법 | |
KR101204583B1 (ko) | 강재와 철근콘크리트가 효율적으로 결합된 강합성 거더와 빔 | |
KR102215144B1 (ko) | 강관과 콘크리트가 합성된 기둥과 강판슬리브 보강한 보의 철골과 그 시공방법 | |
JP2019085803A (ja) | 鉄骨梁スラブ施工方法、及び鉄骨梁 | |
JP2000248685A (ja) | 鉄骨構造物の梁部材 | |
JP3842587B2 (ja) | 鉄筋コンクリート系ラーメン構造体の補強方法及び補強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