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429B1 - 난로 - Google Patents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429B1
KR101834429B1 KR1020150155019A KR20150155019A KR101834429B1 KR 101834429 B1 KR101834429 B1 KR 101834429B1 KR 1020150155019 A KR1020150155019 A KR 1020150155019A KR 20150155019 A KR20150155019 A KR 20150155019A KR 101834429 B1 KR101834429 B1 KR 101834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bustion chamber
main body
communication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911A (ko
Inventor
방우송
이종순
Original Assignee
(주) 한성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성스틸 filed Critical (주) 한성스틸
Priority to KR1020150155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4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52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4Joints;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89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flue-gas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난로는, 내부에 연소실이 형성된 본체 및 본체의 연소실과 연통되며, 상부에 연통이 끼워지는 연통 끼움홈이 형성된 연통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의하면, 난로의 연통 연결부의 연통 끼움홈에 연통이 설치됨으로써, 연소가스가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연통 내부를 따라 흘러내린 목축액이나 수분 등이 외부로 흘러나오거나 난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난로{Stove}
본 발명은 난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난로의 연통 연결지점으로 연소가스 및 이물질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로는 나무나 석탄, 석유, 가스 등과 같은 열원을 연소시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매개로 실내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최근에는 고급주택이나 펜션 등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시킴과 더불어 그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난로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난로에는 열원이 연소되는 연소실과 연통되게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연통 결합부가 형성되어 그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공지의 연통을 끼워 결합시킴에 따라 해당 열원을 연소시킬 때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난로의 연통 결합부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공지의 연통을 끼워 결합시키는데 있어서, 연통 결합부와 연통 사이에는 미세한 틈이 발생하게 되며, 미세한 틈을 통해 연소가스가 외부로 새어나와 실내공기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장작 등을 열원으로 연소시킬 때 연소시에 발생된 목축액이나 결로로 인한 수분 등이 연통 내부를 따라 흘러내리게 되는데, 흘러내린 목축액이나 수분 등은 연통 결합부와 연통 사이의 미세한 틈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와 난로 주위를 오염시키고 미관을 해치게 되며, 또한 난로 내부로 흘러들어갈 경우 부식 위험과 불꽃이 튀어 화제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연통 결합부와 연통 사이의 미세한 틈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 내열 실리콘을 도포하거나 또는 테이프를 감아 마감처리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이 내열 실리콘을 도포하거나 또는 테이프를 감아 마감처리 하였을 경우, 연통 결합부와 연통 사이의 미세한 틈이 완전히 밀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5878호(2013.10.1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0980호(2015.01.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의하면, 난로의 연통 연결부의 연통 끼움홈에 연통이 설치됨으로써, 연소가스가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연통 내부를 따라 흘러내린 목축액이나 수분 등이 외부로 흘러나오거나 난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난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배기량 조절유닛이 연통 연결부에 설치됨으로써, 고체 연료가 완전연소 되도록 배기량을 조절하여 연료낭비를 줄일 수 있는 난로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난로는, 내부에 연소실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연소실과 연통되며, 상부에 연통이 끼워지는 연통 끼움홈이 형성된 연통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의 상단면과 연소실 상부면 사이에는 상부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 연결부는 상기 상부수납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통 연결부는, 일정 지름을 갖는 제1관과 상기 제1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그 사이에 상기 연통 끼움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2관을 구비하며, 상기 연통 끼움홈의 상단은 개방되어 상기 연통이 삽입되고 상기 연통 끼움홈의 하단은 폐쇄되어 상기 연통의 단부가 지지되는 연통 삽입부 및 상기 연통 삽입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단이 상기 연소실과 연통되는 연소실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통 연결부의 연소실 연결관에는 연소가스의 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량 조절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기량 조절유닛은, 상기 연소실 연결관 내부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소실 연결관 내부의 통로를 개폐하는 배기량 조절판 및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전조작시키며, 상기 본체의 측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회전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로에 의하면, 난로의 연통 연결부의 연통 끼움홈에 연통이 설치됨으로써, 연소가스가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연통 내부를 따라 흘러내린 목축액이나 수분 등이 외부로 흘러나오거나 난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배기량 조절유닛이 연통 연결부에 설치됨으로써, 고체 연료가 완전연소 되도록 배기량을 조절하여 연료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로의 연통 연결부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4는 배기량 조절판이 회전하여 연소가스의 배기유로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배기량 조절판이 회전하여 연소가스의 배기유로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난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로의 연통 연결부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4는 배기량 조절판이 회전하여 연소가스의 배기유로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배기량 조절판이 회전하여 연소가스의 배기유로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로는 본체(110), 연통 연결부(150), 배기량 조절유닛(160)을 포함한다.
먼저, 본체(110)는 대략 판상의 육면체로 이루어져 장작과 같은 나무나 갈탄 등의 고체 연료가 투입되는 연소실(112)이 형성되고, 본체(110)의 상단면(114)과 연소실(112)의 상부면(116) 사이에는 상부수납부(118)가 형성된다.
상부수납부(118)는 연소실(112)의 상부에 위치하여 연소실(112)의 열로 감자, 고구마, 옥수수 등과 같은 음식물을 넣어 조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연소실(112)과 상부수납부(118)에는 연소실(112)과 상부수납부(118)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도어(120, 124)가 각각 설치된다.
본체(110)의 연소실(112) 내벽면에는 안착플레이트(130)가 지지될 수 있도록 걸림턱(122)이 돌출 형성되며, 안착플레이트(130)가 걸림턱(122)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안착플레이트(130)는 평판 형상으로 본체(110)의 연소실(112)에 설치되며, 연통공(132)이 관통 형성된 것으로, 안착플레이트(130)에는 본체(110) 내로 투입된 고체 연료가 안착된다.
연통공(132)은 본체(110) 내의 하부 공간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본체(110) 내의 상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안착플레이트(130)의 상면에 쌓인 재를 본체(110) 내의 하부 공간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재받이(140)는 본체(110) 내에서 연소가 완료된 고체 연료의 재를 수거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본체(110) 내의 하부 공간인 안착플레이트(130)의 저부에 서랍식으로 입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재받이(140)의 전면에는 조절 밸브(142)가 형성되며, 조절 밸브(142)를 통해 본체(110) 내의 연소공간으로 공급되는 외부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연통 연결부(150)는 본체(110) 내부의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연소실(112)과 연통되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중관 구조로 상측 단부에 연통(10)이 끼워지는 연통 끼움홈(15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연통 연결부(150)는 본체(110)의 상단면(114)과 연소실(112) 상부면(116) 사이에 형성된 상부수납부(118)에 배치된다.
여기서, 연통 연결부(150)는 연통 삽입부(154)와 연소실 연결관(156)을 포함한다.
연통 삽입부(154)는 일정 지름을 갖는 제1관(154a)과 제1관(154a)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그 사이에 연통 끼움홈(152)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2관(154b)을 구비하며, 연통 끼움홈(152)의 상단은 개방되어 연통(10)이 삽입되고 연통 끼움홈(152)의 하단은 폐쇄되어 연통(10)의 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즉, 본체에 고정 설치된 연통 연결부(150)의 연통 끼움홈(152)에 난로 내부에서 발생되는 매연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연통(10)의 하측 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보다 가벼운 연소가스를 연통 연결지점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연통 삽입부(154)가 이중관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연소가스가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난로의 열원으로 수분이 함유된 장작 등의 연소와 동시에 발생되는 목축액이나 결로로 인한 수분 등이 연통(10)의 내주면을 타고 흘러 내리면서 연통 끼움홈(152) 내에 고임으로써, 연소열로 인해 자연 증발되는 것이다.
그리고, 연소실 연결관(156)은 연통 삽입부(15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단이 연소실(112)과 연통된다.
여기서, 연소실 연결관(156)은 연통 삽입부(15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광하협의 경사진 경사부(156a)와, 경사부(156a)로부터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연장 형성된 연결부(156b)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소실 연결관(156)은 삽입부(15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상광하협의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삽입부(15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연통 연결부(150)는 본체(110)와 일체형을 이루면서 본체(110)의 연소실(112)과는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측 단부에 형성된 연통 끼움홈(152)에 연통(10)(예컨대, 엘보우형 연통관 및 직선형 연통관 등)이 끼워져 연결되면서 실외로 연소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난로의 연통 끼움홈(152)에 연통(10)이 설치됨으로써, 연소가스가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연통(10) 내부를 따라 흘러내린 목축액이나 수분 등이 외부로 흘러나와 난로 주위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거나 연소실(112)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연통 연결부(150)의 연소실 연결관(156)에는 연소가스의 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연소가스의 배기유로를 개폐하는 배기량 조절유닛(160)이 설치된다.
배기량 조절유닛(160)은 연통 연결부(150)를 통과하는 연소가스의 배기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회전축(164), 배기량 조절판(162), 회전 손잡이(166)를 포함한다.
회전축(164)은 연통 연결부(150)의 연소실 연결관(156) 내부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축(164)에는 회전축(164)이 회전함에 따라 연소가스의 배기유로를 개폐하도록 회전축(164)을 중심으로 회전축(164)과 함께 회전하는 배기량 조절판(162)이 설치된다.
배기량 조절판(162)은 연통 연결부(150)의 연소실 연결관(156) 내에서 연소가스의 배기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연소실 연결관(156)의 내경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이며, 연소실 연결관(156) 내에 위치하여 테두리가 연소실 연결관(156) 내부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회전 손잡이(166)는 배기량 조절판(162)의 회전 여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회전축(164)의 단부에 연결되며, 배기량 조절판(162)을 회전조작시킬 수 있도록 본체(110)의 측부에 노출되게 설치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손잡이(166)를 일방향 회전하여 연소가스의 배기유로를 닫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손잡이(166)를 반대방향 회전하여 연소가스의 배기유로를 열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기량 조절유닛(160)은 외부에서 회전 손잡이(166)를 회전시키면 배기량 조절판(162)이 연소실 연결관(154) 내에서 회전하게 되는 구조로, 회전 손잡이(166)를 회전함에 따라 배기량 조절판(162)이 회전하여 연소가스의 배기유로를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배기량 조절유닛(160)이 연통 연결부(150)에 설치됨으로써, 고체 연료가 완전연소 되도록 배기량을 조절하여 연료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10 : 본체 120 : 도어
130 : 안착플레이트 132 : 연통공
140 : 재받이 142 : 조절 밸브
150 : 연통 연결부 152 : 연통 끼움홈
154. 연통 삽입부 156. 연소실 연결관
160 : 배기량 조절유닛 162 : 배기량 조절판
164 : 회전축 166 : 회전 손잡이

Claims (5)

  1. 내부에 연소실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연소실과 연통되며, 상부에 연통이 끼워지는 연통 끼움홈이 형성된 연통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실에서 고체 연료가 연소될 때 상기 연소실 상부면을 통해 전달되는 하부의 열기와 상기 연통 연결부에서 배출되는 후방의 연소가스 열기를 통해 수납된 음식물이 익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면과 상기 연소실 상부면 사이에 상기 연소실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면서 도어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상부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 연결부가 상기 상부수납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연통의 하단부와의 결합이 상기 본체의 상단면 하측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연통 연결부는, 일정 지름을 갖는 제1관과 상기 제1관의 외주면을 동일 높이로 감싸도록 배치되어 그 사이에 상기 연통 끼움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2관을 구비하며, 상기 연통 끼움홈의 상단은 개방되어 상기 연통이 삽입되고 상기 연통 끼움홈의 하단은 폐쇄되어 상기 연통의 하측 단부가 지지되는 연통 삽입부; 및 상기 연통 삽입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단이 상기 연소실과 연통되는 연소실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연결부의 연소실 연결관에는 연소가스의 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량 조절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량 조절유닛은,
    상기 연소실 연결관 내부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소실 연결관 내부의 통로를 개폐하는 배기량 조절판; 및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전조작시키며, 상기 본체의 측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회전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KR1020150155019A 2015-11-05 2015-11-05 난로 KR101834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019A KR101834429B1 (ko) 2015-11-05 2015-11-05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019A KR101834429B1 (ko) 2015-11-05 2015-11-05 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911A KR20170052911A (ko) 2017-05-15
KR101834429B1 true KR101834429B1 (ko) 2018-03-05

Family

ID=58739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019A KR101834429B1 (ko) 2015-11-05 2015-11-05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4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81Y1 (ko) * 2009-12-10 2010-06-09 조명준 벽난로형 나무보일러
KR101355727B1 (ko) * 2012-03-15 2014-01-27 김인철 목재를 태워서 난방을 하기 위한 난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81Y1 (ko) * 2009-12-10 2010-06-09 조명준 벽난로형 나무보일러
KR101355727B1 (ko) * 2012-03-15 2014-01-27 김인철 목재를 태워서 난방을 하기 위한 난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911A (ko) 201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91793B (zh) 鼓风燃烧器及燃气灶
CN204494486U (zh) 颗粒燃烧炉
WO2007104036A3 (en) Pellet stove
KR101834429B1 (ko) 난로
KR200482766Y1 (ko) 나무 겸용 연탄 보일러
US9638428B1 (en) Oven structure
CN205783165U (zh) 一种油烟气进炉膛的燃烧炉
KR101224120B1 (ko) 숯불 연소장치
KR200384941Y1 (ko) 노출형 벽난로
KR101809896B1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KR101520010B1 (ko) 벽난로 개폐도어 유리용 클린장치
EP2083222A1 (en) Solid fuel heating device
KR100674165B1 (ko) 실내의 바닥 난방기능 겸용 난로
KR20140135353A (ko) 화목 벽난로
KR20190001578A (ko) 화덕 겸용 난로
KR200262016Y1 (ko) 자동 코크스 보일러.
KR200466626Y1 (ko) 펠릿형 난방장치
CN206656375U (zh) 加热炉
KR100891018B1 (ko) 내연기관용 공기조절 댐퍼
KR101651187B1 (ko) 펠릿 스토브
US1208409A (en) Humidifier.
JPS6238194Y2 (ko)
KR20150125332A (ko) 화목을 이용한 발열장치
KR100638395B1 (ko) 벽난로
KR101687339B1 (ko) 온수 및 난방 변환기능을 가진 고효율 난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