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915B1 -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915B1
KR101833915B1 KR1020170096103A KR20170096103A KR101833915B1 KR 101833915 B1 KR101833915 B1 KR 101833915B1 KR 1020170096103 A KR1020170096103 A KR 1020170096103A KR 20170096103 A KR20170096103 A KR 20170096103A KR 101833915 B1 KR101833915 B1 KR 101833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rout
nozzle
main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운식
Original Assignee
유구이앤씨(주)
황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구이앤씨(주), 황운식 filed Critical 유구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170096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의 사방을 향해 그라우트액이 토출될 수 있도록 주입관이 지반의 사방을 향하도록 하되, 그라우트액 토출 노즐의 유연성 및 복원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측 및 하측이 관통된 메인관;상기 메인관의 내경을 기준으로 중앙에 설치되며, 그라우트액을 지반내 하부 수직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직선관과, 상기 직선관의 둘레에 설치되며 그라우트액을 메인관의 외측 사방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라운드관을 포함하는 가이드관;그라우트액이 주입되는 관로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관을 통해 가이드되는 그라우트 확장관:을 포함하되, 상기 그라우트 확장관은, 직선의 관체와, 관체의 단부에 설치된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은 상호 간에 유격이 형성된 복수의 관절이 연이어 결합되며, 상기 노즐의 관절은, 상측 및 하측이 관통되며,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 몸체;상기 몸체 상부 내주면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부;상기 몸체 하부 외주면에 자유 회동되게 축 결합되며, 이웃하는 관절의 걸림홈부에 걸려 복수의 관절이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관의 외측면은 라운드관과 통하는 통공을 형성하고, 직선관은 상측 및 하측이 관통 형성되되 메인관과 나란하게 직선으로 설치되어, 그라우트액은 노즐을 통해 직선관 및 라운드관으로 가이드 되어 메인관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An expansion type grouting injection device}
본 발명은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약지반 보강 범위에 대한 확장성을 높이고, 유연성 및 복원성이 높은 그라우트액 토출 노즐을 갖는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재하중으로 인해 연약한 지반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할 때, 연약지반 내에 급결재와 완결재를 반복적으로 주입하여 지반을 강화함으로써 지반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급결재와 완결재를 지반내에 주입하는 시공방법을 그라우팅(Grouting) 공법이라 한다.
상기 그라우팅 공법이라 함은 연약지반 예컨대 해안, 연안, 항만의 점성토 지반 등의 기초 보강을 위해 연약지반 내에 시멘트, 골재, 벤토나이트 등과 물의 혼합물인 그라우트(grout) 액(재료) 또는 몰탈을 주입하여 충전함으로써 지반의 고결도를 높이고, 지반의 강도 특성 및 투수성을 개량하는 공법이다.
도 1은 종래 그라우팅 공법을 통해 그라우트액인 몰탈(M)이 연약지반 내에 주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몰탈(M)은 주입관(1)을 통해 연약지반내에 수직으로 주입되고, 이렇게 주입된 몰탈(M)은 주입관(1)의 선단 하부 및 주입관(1) 주변 지중에 침투하여 경화됨으로써, 연약지반의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그라우팅 공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주입관(1)을 통해 지반 내에 주입된 몰탈(M) 영역의 확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지반내에 수직으로 삽입된 주입관(1)을 통해 몰탈(M)이 지반의 하부 깊숙하게 주입될 수는 있으나, 주입관(1)을 기준으로 지반 주변으로 고르게 퍼져나가는 확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지반 내에 몰탈(M)이 고르게 퍼져나가지 못함에 따라, 특정 부위에만 몰탈이 집중되어 연약지반 전체 보강을 위한 시공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893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반 내로 주입된 그라우트액 침투에 대한 확장성을 높여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그라우팅 시공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입관 노즐의 유연성 및 복원성을 극대화하여, 그라우트액 주입 각도의 가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주입관 회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측 및 하측이 관통된 메인관;상기 메인관의 내경을 기준으로 중앙에 설치되며, 그라우트액을 지반내 하부 수직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직선관과, 상기 직선관의 둘레에 설치되며 그라우트액을 메인관의 외측 사방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라운드관을 포함하는 가이드관;그라우트액이 주입되는 관로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관을 통해 가이드되는 그라우트 확장관:을 포함하되, 상기 그라우트 확장관은, 직선의 관체와, 관체의 단부에 설치된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은 상호 간에 유격이 형성된 복수의 관절이 연이어 결합되며, 상기 노즐의 관절은, 상측 및 하측이 관통되며,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 몸체;상기 몸체 상부 내주면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부;상기 몸체 하부 외주면에 자유 회동되게 축 결합되며, 이웃하는 관절의 걸림홈부에 걸려 복수의 관절이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관의 외측면은 라운드관과 통하는 통공을 형성하고, 직선관은 상측 및 하측이 관통 형성되되 메인관과 나란하게 직선으로 설치되어, 그라우트액은 노즐을 통해 직선관 및 라운드관으로 가이드 되어 메인관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이때, 상기 몸체 하부 외주면에는 이탈방지부재의 회동 방향에 대응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결합홈부의 하단부에 축 결합되어 이탈방지부재가 몸체의 외측을 향해 회동되었을 때 결합홈부의 하단에 지지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관은 복수로 분할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그라우트액이 지반 내부로 수직하게 주입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지반 내부의 사방으로 그라우트액이 퍼져나갈 수 있도록 복수의 그라우트 확장관이 설치됨으로써, 몰탈 주입 영역의 확장을 통해 연약지반 보강의 효율성을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그라우트 확장관의 노즐을 유연하게 구성함으로써, 지반 내부에서 사방으로 향하는 그라우트 확장관의 주입 방향이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그라우트 확장관의 노즐이 복수의 관절로 이루어지되, 각 관절 자중에 의해 움직임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그라우트 확장관의 각도 가변 및 복원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그라우팅 주입장치가 지중에 매립되고, 그라우트액이 지반 내에 주입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의 노즐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의 노즐 관절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탈방지부재의 회동을 나타낸 작용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는 지중에 그라우트액이 사방으로 폭넓게 침투될 수 있도록 복수의 그라우트 주입관이 사방을 향하도록 설치하되. 그라우트 주입관의 유연성 및 복원성을 높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연약지반 보강의 범위에 대한 확장성을 높이고, 장치에 대한 회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관(100)과, 가이드관(200)과, 그라우트 확장관(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관(100)은 주입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며, 천공된 지반에 매립되는 구성이다.
메인관(100)은 양측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그의 내경은 복수의 그라우트 확장관(300)이 배치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때, 메인관(100)의 양측이라 함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된 지반에 매립되는 방향의 상측과 하측을 말한다.
메인관(100)은 한 개의 단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로 분할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메인관(100) 내부로의 그라우트 확장관(300) 삽입 작업 및 지반 매립 작업에 대한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가이드관(200)은 그라우트 확장관(300)의 그라우트 주입 방향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메인관(100) 내부에 설치된다.
지반 내부에서의 그라우트 주입방향은, 지반 하부는 물론 지반의 사방이 되므로, 상기 가이드관(200)은 그라우트 확장관(300)이 지반 하부 및 지반 사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가이드관(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우트 확장관(300)이 지반 하부를 직선으로 향하게 가이드하는 직선관(210)과, 그라우트 확장관(300)이 메인관(100)의 외측 사방을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라운드관(220)으로 구성된다.
직선관(210)은 메인관(100)의 중앙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라운드관(220)은 직선관(210)을 기준으로 직선관(210)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설치된다.
직선관(210)은 메인관(100)과 나란하게 직선으로 형성되며, 라운드관(220)은 메인관(100)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게 라운드지게 절곡 형성된다.
이때, 라운드관(220)은 메인관(100)의 외측과 통하게 설치되며, 이를 위해, 메인관(100)의 외측면은 라운드관(220)과 통하는 통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라운드관(220)의 구성을 통해, 상기 라운드관(220)을 통해 가이드되는 그라우트 확장관(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관(100)의 외측을 향하게 된다.
다음으로, 그라우트 확장관(300)은 그라우트액이 주입되는 관로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관(200)을 통해 설치된다.
그라우트 확장관(300)은 관체(310)와 노즐(320)을 포함한다.
관체(310)는 직선의 관로를 형성하며, 메인관(100)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노즐(320)은 관체(310)를 통해 지반에 그라우트액이 주입되는 토출관로를 형성하며, 관체(310)의 단부에 설치된다.
노즐(320)은 복수의 관절(321)이 연이어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관절(321)은 서로 유격이 발생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노즐(320)은 상기 유격 크기에 따라, 길이가 신축될 수도 있으며 휘어짐이 자유롭게 제공될 수 있다.
즉, 노즐(320)은 관절(321)의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면서 길이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관(220)의 곡률에 맞게 휘어짐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노즐(320)은 유연성과 복원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노즐(320)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노즐(320)을 구성하는 관절(3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21a)와, 걸림홈부(321b)와, 이탈방지부재(321c)를 포함한다.
몸체(321a)는 관절(321)의 외관을 구성하며, 그라우트가 통과되는 관로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몸체(321a)의 관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때, 몸체(321a)의 상부와 하부는 직경이 다르게 형성된다.
몸체(321a)의 상부 직경은 몸체(321a)의 하부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몸체(321a)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몸체(321a)의 하부 외주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부(G)가 형성된다.
결합홈부(G)는 후술하는 이탈방지부재(321c)가 축 결합되기 위한 부위로서, 몸체(321a)의 하부 외주면 상에 요홈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몸체(321a)의 상부 관로 내주면에는 씰링부재(S)가 설치된다.
씰링부재(S)는 복수의 관절(321) 사이에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즉, 노즐(320)을 통한 그라우트 주입시 씰링부재(S)는 그라우트액이 밖으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걸림홈부(321b)는 이웃하는 관절(321) 간에 서로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인데, 이탈방지부재(321c)가 걸려 결합되는 구성이다.
걸림홈부(321b)는 몸체(321a)의 상부 내주면에 높이 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된다.
이때, 걸림홈부(321b)의 측단면 형태는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이탈방지부재(321c)의 걸림 및 걸림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걸림홈부(321b)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갈수록 점점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탈방지부재(321c)는 이웃하는 관절(321) 간에 서로 이탈되는 것을 구속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결합홈부(321b)에 축 결합된다.
이탈방지부재(321c)는 이웃하는 관절(321)의 걸림홈부(321b)에 걸려 결합됨으로써, 관절(321) 상호 간에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부재(321c)는 결합홈부(G)에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결합홈부(G)로부터 몸체(321a)의 외측을 향해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즉, 이탈방지부재(321c)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부(G)를 기준으로 몸체(321a)의 외측을 향해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이탈방지부재(321c)는 결합홈부(G)의 하단부에 축 결합됨으로써, 상방을 향해 회동되며, 하방으로는 결합홈부(G) 하단에 걸려 회동이 구속된다.
이와 같이 이탈방지부재(321c)의 회동을 구속함으로써, 걸림홈부(G)에 걸려 지지되는 힘을 갖게 되어 관절(321) 간에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만약, 결합홈부(G)의 구성 없이, 이탈방지부재(321c)만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있다면, 상기 이탈방지부재(321c)의 회동은 몸체(321a)의 하방으로 과도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걸림홈부(321b)에 걸리지 못하고 관절(321)간에 이탈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또한, 결합홈부(G)의 구성으로 인해, 이탈방지부재(321c)가 몸체(321a)의 외주면으로 접혔을 때 상기 결합홈부(G)에 삽입 배치될 수 있으므로, 이탈방지부재(321c)가 몸체(321a)의 외주면으로부터 과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관절(321)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탈방지부재(321c)의 두께를 늘릴 수 있으므로, 이탈방지부재(321c)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탈방지부재(321c)의 일면은 걸림홈부(321b)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탈방지부재(321c)의 경사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탈방지부재(321c)의 경사면은 걸림홈부(321b)의 측단면 형태에 대응된다.
이에 따라, 걸림홈부(321b)에 이탈방지부재(321c)가 걸려 지지되고 걸림 해제가 이루어지는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라우트액 주입을 위한 연약지반에 천공작업을 실시한다.
이후, 메인관(100)을 천공된 지반 구멍에 삽입시킨다.
이때, 구멍의 깊이에 따라, 분할된 메인관(100)을 순차적으로 삽입하면서, 그라우트 확장관(300)을 메인관(100)에 설치할 수도 있고, 지상에서 그라우트 확장관(300)을 메인관(100)에 결합시킨 상태로 지반의 구멍에 삽입시킬 수도 있다.
한편, 메인관(100)에 설치되기 전 그라우트 확장관(300)의 노즐(3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관절(321)의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져있어 직선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의 이탈방지부재(321c)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21a)로부터 외측으로 회동되어, 이웃하는 관절(321)의 걸림홈부(321b)에 걸림으로써, 관절(321)간에 이탈은 방지되며, 각 관절(321)들은 유격이 발생한 상태로 직선을 유지하게 된다.
이후, 각 그라우트 확장관(300)을 가이드관(200)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직선관(210)으로 삽입되는 그라우트 확장관(300)은 그대로 직선도를 유지하며 삽입이 되고, 라운드관(220)으로 삽입되는 그라우트 확장관(300)의 노즐(320)은 라운드관(220)의 곡률에 맞게 휘어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관(100)의 외측으로 노출이 된다.
이때, 노즐(320)이 휘어지는 과정에서 노즐(320)의 안쪽은 수축되고 노즐(320)의 바깥쪽은 늘어나는데, 수축된 노즐(320)의 이탈방지부재(321c)는 상방으로 회동되어 결합홈부(G)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이는, 노즐(320)이 수축되는 과정에서, 관절(321) 간에 유격이 줄어들면서 몸체 (321a) 상부의 내주면이 상기 이탈방지부재(321c)를 간섭하여 회동시키기 때문이다.
이는 도 6a를 통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노즐(320)이 복수의 관절(321)로 이루어짐에 따라, 관절(321)의 자중에 의해 상기 노즐(320)은 가이드관(200) 곡률에 맞게 원활하게 휘어지면서 삽입이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관(100)에 그라우트 확장관(3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분할된 메인관(100)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그라우팅 주입장치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후, 지상으로 노출된 그라우트 확장관(300)을 통해 그라우트액, 예컨대 몰탈을 주입하면 상기 몰탈은 그라우트 확장관(300)을 통해 지반 하부 및 지반 사방으로 토출이 된다.
이때, 몰탈의 토출 압력에 의해 그라우트 확장관(300)의 관절(321)은 상호 간에 최대한 벌어지면서 결국 노즐(320)의 길이를 최대화 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지반으로의 몰탈 침투 거리가 최대화될 수 있어, 연약 지반 보강의 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직선관(210)과 그라우트 확장관(300)을 통해 주입되는 그라우트액에 대한 겔타임(gel-time)을 달리할 수 있어, 그라우트액 주입 확산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그라우트액 성분을 달리하여, 지반 내에서 주입되는 방향에 따라 차별화함으로써, 주입 방향에 따른 겔타임을 달리할 수 있으므로, 그라우트액 주입 확산 범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몰탈 주입이 완료되면, 몰탈 주입 시공 역순으로 진행하여 그라우트 확장관(30))을 메인관으로부터 회수시킨다.
이때, 그라우트 확장관(300)의 노즐(320)은 라운드관(220)을 통해 상방으로 빠져나오며, 이 과정에서 노즐(320)은 관절(321)의 자중에 의해 원위치되면서 직선 상태로 복원이 된다.
이에 따라, 그라우트 확장관(300)의 회수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그라우트 주입장치는 그라우트액이 지중의 사방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되, 노즐의 유연성 및 복원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연약 지반 보강 작업에 대한 확장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그라우팅 시공이 끝난 후 회수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메인관 200 : 가이드관
210 : 직선관 220 : 라운드관
300 : 그라우트 확장관 310 : 관체
320 : 노즐 321 : 관절
321a : 몸체 321b : 걸림홈부
321c : 이탈방지부재 S : 씰링부재
G : 결합홈부

Claims (4)

  1. 상측 및 하측이 관통된 메인관;
    상기 메인관의 내경을 기준으로 중앙에 설치되며, 그라우트액을 지반내 하부 수직으로 가이드 하기 위한 직선관과, 상기 직선관의 둘레에 설치되며 그라우트액을 메인관의 외측 사방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라운드관을 포함하는 가이드관;
    그라우트액이 주입되는 관로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관을 통해 가이드되는 그라우트 확장관:을 포함하되,
    상기 그라우트 확장관은,
    직선의 관체와,
    관체의 단부에 설치된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은 상호 간에 유격이 형성된 복수의 관절이 연이어 결합되며,
    상기 노즐의 관절은,
    상측 및 하측이 관통되며,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상부 내주면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부;
    상기 몸체 하부 외주면에 자유 회동되게 축 결합되며, 이웃하는 관절의 걸림홈부에 걸려 복수의 관절이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관의 외측면은 라운드관과 통하는 통공을 형성하고, 직선관은 상측 및 하측이 관통 형성되되 메인관과 나란하게 직선으로 설치되어,
    그라우트액은 노즐을 통해 직선관 및 라운드관으로 가이드 되어 메인관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하부 외주면에는 이탈방지부재의 회동 방향에 대응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결합홈부의 하단부에 축 결합되어 이탈방지부재가 몸체의 외측을 향해 회동되었을 때 결합홈부의 하단에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은 복수로 분할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
KR1020170096103A 2017-07-28 2017-07-28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 KR101833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103A KR101833915B1 (ko) 2017-07-28 2017-07-28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103A KR101833915B1 (ko) 2017-07-28 2017-07-28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915B1 true KR101833915B1 (ko) 2018-03-05

Family

ID=6172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103A KR101833915B1 (ko) 2017-07-28 2017-07-28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998A (ko) * 2018-08-29 2020-03-10 최영 연약지반 그라우팅재 주입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재 주입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621B1 (ko) * 2016-10-11 2017-08-0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코어―쉘 구조의 지반 내 공동의 긴급 보강재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코어-쉘 구조의 지반 내 공동의 긴급 보강재의 주입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621B1 (ko) * 2016-10-11 2017-08-0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코어―쉘 구조의 지반 내 공동의 긴급 보강재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코어-쉘 구조의 지반 내 공동의 긴급 보강재의 주입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998A (ko) * 2018-08-29 2020-03-10 최영 연약지반 그라우팅재 주입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재 주입방법
KR102131861B1 (ko) * 2018-08-29 2020-07-08 최영 연약지반 그라우팅재 주입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재 주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072B1 (ko) 이중 팩커를 이용한 강관 다단 동시그라우팅 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EP3135821B1 (en) Structure of permanent anchor
KR101833915B1 (ko) 확장형 그라우팅 주입장치
KR100437910B1 (ko) 복합형 패커를 사용한 어스앙카 및 이를 이용한 어스앙카 시공공법
CN105178324B (zh) 一种伞盘式异形桩的施工装置
KR102119151B1 (ko) 그라우팅 주입관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시공방법
KR20150098135A (ko) 차수용 프리캐스트 파일
JP2010037792A (ja) 構造物の押上げ工法
JP5485810B2 (ja) 注入工法および装置
JP2018131843A (ja) 打込注入管および空気注入方法
KR100998056B1 (ko) 팩 앵커
KR20170108460A (ko) 영구식 앵커장치
JP4958125B2 (ja) 水底地盤の改良方法および薬液注入用外管
KR101588707B1 (ko) 에어를 이용한 약액 그라우팅 특수 선단 장치
KR100981433B1 (ko) 롯드관 보강 그라우팅의 이중 팩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입공 코킹 방법
JP7304719B2 (ja) 地山改良用注入装置及び地山改良方法
JP7344039B2 (ja) 管状体の更生方法及び管構造物
CN105908746A (zh) 一种桩身混凝土钻芯补注浆装置及补注浆方法
KR20090114626A (ko) 확경형 천공기
CN110206565A (zh) 一种新型管棚及其安装方法
DK2873775T3 (en) PROCEDURE FOR THE CONSTRUCTION OF A FOUNDATION FOR A OFFSHORE FOUNDATION PILE FOR USE IN PERFORMANCE OF THE PROCEDURE
CN107461175A (zh) 一种超前加固深海天然气水合物储层的方法和装置
JP6585507B2 (ja) アンカー構造体及びアンカー構造体の構築方法
JP3944114B2 (ja) 孔壁保護工法及び孔壁保護構造並びにそれに用いる孔壁保護部材
JP2006028815A (ja) 導抗先進アーチパイプルーフ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