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508B1 -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 - Google Patents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508B1
KR101833508B1 KR1020160067623A KR20160067623A KR101833508B1 KR 101833508 B1 KR101833508 B1 KR 101833508B1 KR 1020160067623 A KR1020160067623 A KR 1020160067623A KR 20160067623 A KR20160067623 A KR 20160067623A KR 101833508 B1 KR101833508 B1 KR 101833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sleeve
steel plate
reducing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5545A (ko
Inventor
문병원
Original Assignee
(주)스텝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텝이엔지 filed Critical (주)스텝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067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508B1/ko
Publication of KR20170135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 B21C47/30Drums or other coil-holders expansible or contrac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2Tongs or gripp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eel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판을 코일형태로 권취하는 경우에 강판에 발생하는 엔드마크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은 압연 강판을 권취하기 위한 맨드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맨드릴을 향해 소정 깊이 인입되는 복수의 인입홈이 형성된 탄성슬리브와; 상기 탄성슬리브의 인입홈에 각각 결합되고, 탄성을 가지는 복수의 탄성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은 강판을 권취할 때, 강판의 끝단에 접하는 부분과 대응되는 탄성링의 일부분은 그 이외의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이 압축 변형되고, 강판의 끝단에 인접한 부분은 강판의 끝단에 대응되는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압축 변형이 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탄성링의 국소적인 변형차이에 의해 강판의 끝단과 그 위로 중첩되는 강판에 엔드마크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Sleeve unit for the reduction of end-mark of the steel plate}
본 발명은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판을 코일형태로 권취하는 경우에 강판에 발생하는 엔드마크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은 강철로 만든 판을 일컫는 용어로서 그 두께에 따라 후판, 중판 및 박판 등으로 구분되며, 여러 산업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냉간압연을 통해 가공된 완제품의 강판은 텐션 릴(Tension Reel)에 코일 형태로 권취된다.
이렇게 텐션 릴에 권취되는 강판은 그 권취과정에서 엔드마크(End-Mark)가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텐션 릴의 회전에 의한 강판의 권취시 강판의 선단부 두께로 인해 강판과 슬리브(Sleeve) 사이에 단차공간부가 발생하고, 이러한 단차공간부에 의해 강판의 선단부와 겹쳐지는 특정 영역에 폭 방향으로 엔드마크가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엔드마크는 강판의 품질 및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이며, 이에 강판 생산업체에서는 엔드마크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종래의 강판의 권취시 형성되는 엔드마크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등록특허공보 제10-068503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트립의 선단부가 고무 슬리브에 형성되어 있는 스트립 인입부에 안착되면서 그 위로 권취되는 스트립의 꺾임을 완화시키는 형태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스트립을 고무 슬리브의 스트립 인입부 상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스트립의 선단부를 인위적으로 절곡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스트립의 선단부와 그 위로 권취되는 스트립 간에 여전히 공간부가 존재하여 엔드마크의 형성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 외에도 슬리브의 구조를 개선하거나 완충패드를 이용하여 강판의 권취시 형성되는 엔드마크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선보이고 있으나, 강판의 엔드마크를 효율적으로 방지하지 못하여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KR 20-1998-037686 U KR 10-2012-0035453 A KR 10-2013-0097877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판을 코일형태로 권취하는 경우에 강판에 발생하는 엔드마크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은 압연 강판을 권취하기 위한 맨드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맨드릴을 향해 소정 깊이 인입되는 복수의 인입홈이 형성된 탄성슬리브와; 상기 탄성슬리브의 인입홈에 각각 결합되고, 탄성을 가지는 복수의 탄성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입홈은 상기 맨드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맨드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입홈은 상기 맨드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맨드릴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입홈은 상기 탄성슬리브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은 강판을 권취할 때, 강판의 끝단에 접하는 부분과 대응되는 탄성링의 일부분은 그 이외의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이 압축 변형되고, 강판의 끝단에 인접한 부분은 강판의 끝단에 대응되는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압축 변형이 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탄성링의 국소적인 변형차이에 의해 강판의 끝단과 그 위로 중첩되는 강판에 엔드마크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에 강판이 권취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의 다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의 또 다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1)은 텐션 릴 또는 페이오프 릴의 원통형 맨드릴(5)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탄성슬리브(10)와, 탄성링(20)을 구비한다.
상기 탄성슬리브(10)는 압연 강판(3)을 권취하기 위한 맨드릴(5)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맨드릴(5)을 향해 소정 깊이 인입되는 복수의 인입홈(11)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질의 고무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슬리브(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인입홈(1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드릴(5)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맨드릴(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슬리브(10)에 형성되는 인입홈(1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슬리브(10)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인입홈(11)의 형상은 탄성슬리브(10)의 표면과 인접하는 입구부의 크기는 넓고, 탄성슬리브(10)의 표면과 먼 종단부의 크기는 좁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입홈(11)은 도시된 바와 다르게 삼각, 직사각, 반원,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링(20)은 탄성슬리브(10)에 형성된 인입홈(11)에 각각 삽입되도록 탄성슬리브(10)에 결합되고, 탄성슬리브(10)에 권취되는 강판(3)에 의해 형상이 탄력적으로 변할 수 있게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링(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링 구조 또는 원형으로 형성된 링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링(20)은 단면적이 인입홈(11)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링(20)은 탄성슬리브(10)보다 연질의 고무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탄성링(20)은 튜브와 같은 구조를 가지도록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이 중공부에는 탄성링(20)의 탄성보다 더 높은 탄성을 가지는 충전물(미도시)이 충전될 수도 있다.
상기의 탄성링(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3)이 탄성슬리브(10)에 권취되기 이전에는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인입홈(11)에는 탄성링(20)이 차지하는 공간 이외에도 나머지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3)을 탄성슬리브(10)에 권취할 때에는, 강판(3)에 의해 탄성슬리브(10)의 내측으로 가압되고, 이 가압력에 의해 찌그러지면서 인입홈(11)의 나머지 공간을 채우게 된다. 이때, 탄성링(20)의 상부는 탄성슬리부의 표면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된 상태가 되는데 이 돌출된 부분은 강판(3)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탄성슬리브(10)의 표면과 강판(3) 사이에 상당한 간격의 틈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틈의 간격은 매우 좁게 형성될 수 있게 탄성링(20)의 탄성력 또는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3)을 권취할 때, 강판(3)의 끝단에 접하는 부분과 대응되는 탄성링(20)의 일부분은 그 이외의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이 압축 변형되고, 강판(3)의 끝단에 인접한 부분은 강판(3)의 끝단에 대응되는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압축 변형이 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탄성링(20)의 국소적인 변형차이에 의해 강판(3)의 끝단과 그 위로 중첩되는 강판(3)에 엔드마크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1)의 탄성슬리브(10)에 형성되는 인입홈(11)은 도시된 바와 다르게 맨드릴(5)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맨드릴(5)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탄성슬리브(10)의 측면에도 탄성링(20)이 삽입될 수 있는 별도의 장착홈을 형성함으로써 탄성링(20)의 일부를 인입홈(11)에 삽입하고, 나머지 일부는 탄성슬리브(10)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탄성슬리브(10)를 감싸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1)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슬리브유닛
3 : 강판
5 : 맨드릴
10 : 탄성슬리브
11 : 인입홈
20 : 탄성링

Claims (4)

  1. 압연 강판을 권취하기 위한 맨드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맨드릴을 향해 소정 깊이 인입되고 상기 맨드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맨드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인입홈이 형성된 탄성슬리브와;
    상기 탄성슬리브의 인입홈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탄성슬리브에 권취되는 강판에 의해 형상이 탄력적으로 변할 수 있게 탄성을 가지며, 상기 인입홈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고, 상기 탄성슬리브보다 연질의 고무 소재로 형성된 복수의 탄성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홈은 상기 탄성슬리브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
KR1020160067623A 2016-05-31 2016-05-31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 KR101833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623A KR101833508B1 (ko) 2016-05-31 2016-05-31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623A KR101833508B1 (ko) 2016-05-31 2016-05-31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545A KR20170135545A (ko) 2017-12-08
KR101833508B1 true KR101833508B1 (ko) 2018-02-28

Family

ID=6091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623A KR101833508B1 (ko) 2016-05-31 2016-05-31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5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545A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53129A (zh) 电池用电极片及其制造方法、以及卷绕型电池
US8516682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stator core of rotating electrical machine
KR101833508B1 (ko)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슬리브유닛
JP2003089478A (ja) 極細金属線用リ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05525B1 (ko) 차량용 휠 연마 장치의 롤 브러쉬
JP2017220605A (ja) ソレノイド装置
EP3266600B1 (en) Bead core forming former
US9845877B2 (en) Method of producing gasket and gasket
KR101331009B1 (ko) 코일형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방법 및 그 권취설비
JP2011181869A (ja) 磁性コア
JP2006127775A (ja) 連続端子
WO2021090854A1 (ja) 回転機コアの製造方法
EP3753643B1 (en) Method for producing metal thin strip coil, and metal thin strip coil
CN103001100A (zh) 换向器的制造方法、模具、换向器、以及有刷电动机
US5526560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ator of a stepping motor
CN103125062A (zh) 用于制造特别是使用在电机中的环状机器部件的方法和装置
CN103636102B (zh) 旋转电机的转子
US4081773A (en) Groove ring for toroidal-coil deflection unit
KR101331008B1 (ko) 코일형 강판제품의 엔드마크 감소방법
CN209844659U (zh) 一种定子及盘式电机
US1498892A (en) Method of and element for use in manufacturing packings
JP5817756B2 (ja) ゴムスリーブ
CN100384055C (zh) 外齿型定子铁芯及其制造方法
JP6084763B2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
KR20030020468A (ko) 요철부가 형성된 실린더 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