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411B1 - 진공 청소기용 도구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용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411B1
KR101833411B1 KR1020167025031A KR20167025031A KR101833411B1 KR 101833411 B1 KR101833411 B1 KR 101833411B1 KR 1020167025031 A KR1020167025031 A KR 1020167025031A KR 20167025031 A KR20167025031 A KR 20167025031A KR 101833411 B1 KR101833411 B1 KR 101833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tool
suction opening
dirt
chamfer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9855A (ko
Inventor
매튜 애덤 터커
션 벤트레스
사무엘 스티븐 콜
제임스 다이슨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19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8Nozzles combined with a different cleaning side, e.g. duplex nozzles or dual purpos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93Specially shaped nozzles, e.g. for cleaning radiators, tubes, fans or the like; Du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진공 청소기용 도구는, 노즐, 및 진공 청소기의 봉(wand), 호스 등에 부착되는 덕트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흡입 개구가 노즐의 기부에 제공되어 있다. 노즐의 전방부는 모따기된 부분 및 추가 부분을 포함한다. 추가 부분에는 흡입 개구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모따기된 부분은 폐쇄되어 있다. 모따기된 부분과 추가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내각은 9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는 작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용 도구{VACUUM CLEANER TOOL}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용 도구에 관한 것이다.
진공 청소기는 종종 특별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서로 다른 복수의 도구를 포함한다. 청소 표면을 가로질러 옆으로 휩쓸리도록 되어 있는 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구는 가장자리 또는 코너를 따라 오물을 픽업하는 능력이 종종 비교적 불량하다.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용 도구를 제공하는 바, 이 도구는 노즐, 및 진공 청소기의 봉(wand), 호스 등에 부착되는 덕트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흡입 개구가 노즐의 기부에 제공되어 있고, 노즐의 전방부는 모따기된 부분 및 추가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 부분에는 흡입 개구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모따기된 부분은 폐쇄되어 있으며, 모따기된 부분과 추가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내각은 9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는 작다.
상기 도구는 주로 노즐의 기부가 청소 표면과 대향한 상태에서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도구가 청소 표면을 가로질러 휩쓸림에 따라, 오물이 흡입 개구를 통해 노즐의 내부 안으로 끌려 들어가게 된다. 그 내부로부터 오물은 덕트를 통해 진공 청소기 안으로 가게 된다.
바닥과 벽 사이에 있는 것과 같은 가장자리를 따라 청소할 때, 모따기된 부분은 벽과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도구는 대체로 앞 방향으로 밀릴 수 있고, 도구는 벽과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바닥을 따라 옆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도구는 모따기된 부분을 따라 벽과 접촉하므로, 상기 추가 부분은 그 벽으로부터 이격된다. 그 결과, 흡입 개구와 벽 사이에는 틈이 생기게 된다. 이 틈에 의해, 비교적 양호한 공기 흐름이 가장자리를 따라 흡입 개구 안으로 흡인되어, 가장자리를 따른 오물의 양호한 픽업이 이루어진다. 추가적으로, 도구가 코너 안으로 밀리고 그래서 상기 모따기된 부분이 한 벽을 따라 있고 추가 부분의 가장자리는 다른 벽과 접촉하면, 흡입 개구와 두 벽 사이에는 틈이 계속 형성된다. 그 결과, 도구는 코너에 잡힌 오물을 픽업하는 능력이 비교적 양호하다.
상기 두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내각은 9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는 작다. 이러면, 가장자리 또는 코너를 따라 청소할 때 흡입 개구가 벽에 의해 덮혀 막히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얻어진다. 예컨대, 내각이 90도 이면, 추가 부분은 모따기된 부분에 대해 직각으로 있게 된다. 따라서, 도구가 코너 안으로 밀리고 모따기된 부분이 한 벽을 따라 있을 때, 추가 부분은 다른 벽을 따라 있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벽은 흡입 개구를 덮어 차단할 것이며, 그 결과, 코너에서의 오물 픽업이 불량하게 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내각이 180도이면, 상기 추가 부분은 모따기된 부분과 동일한 평면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도구가 가장자리를 따라 청소하는데에 사용되고 모따기된 부분이 벽과 접촉하게 되면, 추가 부분도 그 벽과 접촉할 것이다. 그러므로 벽이 흡입 개구를 덮어 차단할 것이고, 그 결과, 가장자리를 따른 오물 픽업이 불량하게 된다.
노즐의 전방부는 모따기된 부분과 추가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모따기된" 이라는 용어는, 모따기 각이 90도가 아닌 표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이를 위해, 모따기 각은 예각(즉, 90도 보다 작음) 또는 둔각(즉, 90도 보다 큼)일 수 있다. 상기 추가 부분은 모따기 되거나(즉, 90도 보다 작거나 큰 모따기 각을 가짐) 또는 모따기 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즉, 90도의 모따기 각을 가짐).
모따기된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따기된 부분은 가장자리 청소 중에 벽 등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벽이 흡입 개구를 덮어 차단할 것이기 때문에, 모따기된 부분에 있는 흡입 개구는 가장자리 청소 중에 큰 이점을 제공할 것 같지는 않다. 한편, 도구가 가장자리 청소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 모따기된 부분에 있는 흡입 개구는 노즐의 기부에 있는 개구에서의 흡입을 감소시킬 것이다. 따라서, 모따기된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되어 있게 함으로써, 기부에 있는 개구에서의 흡입이 증가되어 오물 픽업이 개선된디. 사실, 모따기된 부분은 완전히 폐쇄될 수 있고 그래서 기부에 있는 개구에서의 흡입이 더 개선된다.
상기 모따기된 부분은 추가 부분 보다 길 수 있다. 비교적 긴 모따기된 부분을 가짐으로써, 도구가 벽을 따라 밀릴 때 사용자는 모따기된 부분과 벽의 접촉을 더 잘 유지할 수 있어, 가장자리에서의 오물 픽업이 개선된다. 또한, 비교적 짧은 추가 부분을 가짐으로써, 그 추가 부분에 있는 흡입 개구는 청소 표면의 가장자리 또는 코너에 더 가깝게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가장자리 및 코너에서 비교적 양호한 오물 픽업이 이루질 수 있다.
노즐의 정상부는 폐쇄되어 있다. 이러면, 노즐의 기부 및 전방부에 있는 개구에서의 흡입이 증가되는 이점이 얻어진다. 그 결과, 오물 픽업이 개선된다.
하나 이상의 흡입 개구가 상기 노즐의 적어도 하나의 측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2가지의 이점이 얻어진다. 첫째, 오물이 노즐의 기부에 있는 흡입 개구 중의 하나를 막으면, 노즐의 측부에 있는 흡입 개구가 그 개구의 막힘을 해소하는 것을 도와주어, 노즐 내부의 공기 흐름을 제공하며, 이 공기 흐름은 잡힌 오물을 휘저어 떼어내는데 도움을 준다. 둘째, 도구는 좁은 공간 사이를 청소하기 위해 90도 회전할 수 있고 그의 측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런식으로 사용되면, 노즐의 측부에 있는 흡입 개구가 사용되어, 그렇지 않은 경우 노즐의 기부가 도달할 수 없는 표면으로부터 오물을 픽업할 수 있다.
각각의 흡입 개구가 부분적으로 기부에 제공되고 또한 부분적으로 노즐의 측부에 제공되도록 하나 이상의 흡입 개구가 노즐의 기부와 측부 사이에 있는 노즐의 가장자리에 제공될 수 있다. 앞 단락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노즐의 측부에 있는 흡입 개구는 노즐의 기부에 있는 그러한 개구의 막힘을 해소하는데에 도움을 준다. 추가로, 노즐의 측부에 제공되는 흡입 개구를 제공함으로써, 도구는 90도 회전할 수 있고 그의 측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측면에서 사용될 때, 오물은 추가 흡입 개구의 측면부를 막을 수 있다. 그러나, 흡입 개구는 노즐의 기부와 측부에 걸쳐 있기 때문에, 흡입 개구의 기부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은 계속 있게 된다. 이 공기 흐름은 오물을 휘저어 측면부로부터 떼어내는데에 도움을 준다. 마찬가지로, 청소 표면 위에서 도구의 기부를 휩쓸 때, 오물이 흡입 개구의 기부를 막으면, 상기 측면부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이 오물을 휘저어 떼어내는데에 도움을 준다.
상기 노즐의 높이는 노즐의 폭 및 길이 모두 보다 작을 수 있다. 그 결과, 노즐은, 높이가 비교적 작은 틈새를 갖는 물품의 아래 또는 뒤에서 청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폭과 길이는 청소 표면을 가로지르는 휩쓸기를 위한 비교적 큰 면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따기된 부분과 추가 부분 사이의 상기 내각은 120도와 150도 사이일 수 있다. 따라서, 도구가 코너 안으로 밀리고 모따기된 부분이 한 벽을 따라 있을 때, 다른 부분에 있는 흡입 개구는 일반적으로 코너의 빙향으로 향하게 된다. 그 결과, 코노에 잡혀 있는 오물이 비교적 양호하게 픽업될 수 있다.
가장자리 청소 중에 상기 모따기된 부분이 벽과 접촉하고 또한 도구가 앞 방향으로 밀릴 때, 그 도구에 작용하는 힘은 2개의 성분, 즉 벽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 1 성분 및 벽에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 2 성분으로 분해될 수 있다. 모따기 각이 감소함에 따라, 제 1 성분의 크기가 감소하고 제 2 성분의 크기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증가된 마찰력 때문에 도구를 벽을 따라 미는 것이 더 힘들게 된다. 추가로, 증가된 마찰력 때문에, 도구는 벽을 따라 단속적으로 이동하기가 점점 더 쉽게 된다. 반대로, 모따기 각이 증가함에 따라, 제 1 성분의 크기가 증가하고 제 2 성분의 크기는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구를 벽을 따라 미는 것이 더 쉽게 된다. 그러나, 모따기된 부분과 벽 사이의 양호한 접촉을 유지하는 것은 점점 더 어렵게 된다. 특히, 도구가 상기 모따기된 부분의 후미 가장자리에서 선회하여 상기 추가 부분과 흡입 개구를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지게 끌어 당기기가 점점 더 쉽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모따기된 부분은 30도와 60도 사이의 모따기 각을 가질 수 있다. 이러면, 앞으로 미는 힘에 응하여 도구가 벽과의 양호한 접촉을 유지하면서 비교적 쉽게 벽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이점이 얻어진다.
덕트는 노즐의 기부에 평행한 축선을 따라 노즐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덕트의 높이는 덕트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예컨대, 덕트는 직사각형 또는 계란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구의 높이가 비교적 낮게 유지되는 이점이 얻어진다. 그 결과, 도구는 비교적 작은 틈새를 갖는 물품의 아래 또는 뒤에서 청소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도구 전체가 그러한 물품의 아래 또는 뒤에서 밀릴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오물 휩쓸기 요소가 노즐의 기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면, 도구가 옆으로 휩쓸릴 때 청소 표면에 자국을 남길 수 있는 노즐이 청소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얻어진다. 추가로, 오물 휩쓸기 요소는 오물을 노즐의 기부에 있는 흡입 개구쪽으로 안내하는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오물 휩쓸기 요소는 오물이 흡입 개구 안으로 꿀려 들어갈 때까지 그 오물을 잡아 유지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구의 제 1 축측 투상도로, 그 도구의 정상부, 전방부 및 측부를 도시한다.
도 2는 상기 도구의 제 2 축측 투상도로, 그 도구의 바닥부, 전방부 및 측부를 도시한다.
도 3은 도구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구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도구가 가장자리를 따라 청소하는데에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6은 도구가 코너에서 청소하는데에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구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그 도구의 전방부는 모따기된 부분 및 추가 부분을 포함하고, 추가 부분은 (a) 예각의 모따기 각으로 모따기 되어 있고, (b) 모따기 되어 있지 않으며, 그리고 (c) 둔각의 모따기 각으로 모따기 되어 있다.
도 1 내지 4의 진공 청소기용 도구(1)는 노즐(2), 연결 덕트(3), 및 복수의 오물 휩쓸기 요소(4)를 포함한다.
노즐(2)는 비교적 평형한 중공 구조체이고, 노즐의 높이는 길이 및 폭 보다 작다. 노즐(2)의 정상부(5)와 기부(6)는 평평하다. 노즐(2)의 측부(7, 8)는 만곡되어 있고 노즐(2)의 전방부(9)와 후방부(10) 사이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노즐(2)의 전방부(9)는 모따기되어 있고, 모따기된 부분(11)과 모따기 되지 않은 부분(12)을 포함하며, 모따기된 부분(11)은 모따기 되지 않은 부분(12) 보다 길다. 노즐(2)의 후방부(10)는 연결 덕트(3) 쪽으로 테이퍼져 있고, 그 연결 덕트는 노즐(2)의 후방부(10)에 부착된다.
복수의 흡입 개구(15, 16)가 노즐(2)의 기부(6)에 제공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단일의 흡입 개구(17)가 노즐(2)의 전방부(9)의 모따기 되지 않은 부분(12)에 제공되어 있다. 기부(6)에 있는 흡입 개구(15, 16)는 2개의 서로 다른 유형을 포함한다. 제 1 유형의 흡입 개구(15)는 대략 삼각형이고 기부(6)의 길이 방향 중심쪽에 위치된다. 제 2 유형의 흡입 개구(16)는 타원형인데, 각각의 흡입 개구는 기다란 계란형과 비슷하다. 이들 흡입 개구(16)는 노즐(2)의 가장자리에 위치되어 있어, 각각의 흡입 개구(16)는 부분적으로 기부(6)에 제공되어 있고 또한 부분적으로 노즐(2)의 측부(7, 8)에 제공된다. 2가지 유형의 흡입 개구를 더 잘 구별하기 위해, 제 1 유형의 흡입 개구(15)를 이하 중앙 흡입 개구라고 하고 제 2 유형의 흡입 개구(16)는 가장자리 흡입 개구라고 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중앙 흡입 개구(15) 및 3개의 가장자리 흡입 개구(16)가 있다.
연결 덕트(3)는 노즐(2)의 후방부(10)에 부착되고, 노즐(2)의 정상부(5) 및 기부(6)에 평행한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연결 덕트(3)는 수직으로 평평하게 되어 있어, 덕트(3)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기 보다는 계란형이다. 연결 덕트(3)는 진공 청소기의 호스, 봉(wand)(미도시) 등에 부착되며, 노즐(2)의 내부 공동부 및 흡입 개구(15, 16, 17)와 유체 연통한다. 사용 중에, 진공 청소기는 연결 덕트(3)에서 흡입을 발생시켜, 공기가 흡입 개구(15, 16, 17)를 통해 흡인된다.
상기 도구(1)는 4개의 오물 휩쓸기 요소(4)를 포함하며, 각각의 오물 휩쓸기 요소는 강모(bristle) 스트립을 포함한다. 오물 휩쓸기 요소(4)는 노즐(2)의 기부(6)에 고정되고 W-형으로 배치된다. 그 결고, 오물 휩쓸기 요소(4)는 노즐(2)의 측부(7, 8) 쪽으로 향해 있는 셰브런(chevron)을 형성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갈매기형수장 중의 2개는 노즐(2)의 제 1 측부(7) 쪽으로 향해 있고, 다른 두 셰브런 사이에 위치되는 제 3 셰브런은 노즐(2)의 제 2 반대 측부(8) 쪽으로 향해 있다.
각각의 중앙 흡입 개구(15)는 오물 휩쓸기 요소(4)에 의해 형성되는 셰브런의 내부에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중앙 흡입 개구(15)는 셰브런의 대략 중심에 위치되며, 셰브런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배향되어있다. 그 결과, 각각의 중앙 흡입 개구(15)는 오물 휩쓸기 요소(4)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 도구(1)는 주로 노즐(2)의 기부(6)가 청소 표면(30)과 대향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그래서 도구(1)는 옆으로, 즉 노즐(2)의 측부(7, 8)에 수직인 방향으로 휩쓸린다. 도구(1)가 옆으로 휩쓸릴 때, 흡입 개구(15, 16)의 경로에 있는 오물이 노즐(2)의 내부 안으로 끌려 들어가게 된다. 그 내부로부터 오물은 연결 덕트(3)를 통해 진공 청소기 안으로 가게 된다. 흡입 개구(15, 16)의 양측을 지나는 오물은 오물 휩쓸기 요소(4)에 의해 모이게 된다. 예컨대, 도구(1)가 들릴 때, 이동 방향이 반대로 될 때, 또는 사용자가 도구(1)를 뒤집어 오물 휩쓸기 요소(4)를 흔들 때, 미세한 오물은 일반적으로 흡입 개구(15, 16) 중 하나의 안으로 끌려 들어갈 때까지 오물 휩쓸기 요소(4)에 의해 유지된다. 한편, 조대한 오물은 셰브런 배치 덕분에 일반적으로 오물 휩쓸기 요소(4)에 의해 중앙 흡입 개구(15) 쪽으로 안내된다.
각 오물 휩쓸기 요소(4)의 강모는 밀집하게 패킹되어 있고 연속적인 커튼을 형성하는데, 즉 각 오물 휩쓸기 요소(4)에 또는 이를 통과하는 틈이 없다. 서로 인접하는 오물 휩쓸기 요소(4) 사이에는 작은 틈이 존재한다. 그러나, 강모는 비교적 연하고 통상적인 사용 중에 노즐(2)과 청소 표면(30) 사이에서 짓눌린다. 그 결과, 서로 인접하는 오물 휩쓸기 요소(4)의 틈은 실질적으로 폐쇄된다. 따라서, 도구(1)의 통상적인 사용 중에, 오물 휩쓸기 요소(4)는 노즐(2)과 청소 표면(30) 사이에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시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쌍의 오물 휩쓸기 요소(4)는 각각의 중앙 흡입 개구(15) 주위에 v-형 시일을 형성한다. 시일의 결과, 압력이 비교적 낮은 영역이 각각의 셰브런 내부에 형성되며, 이런 영역으로 인해, 중앙 흡입 개구(15) 안으로 흡인되는 공기 흐름의 속도가 비교적 높게 된다. 그래서 더 많은 오물이 공기 흐름에 동반되어 흡입 개구(15)에 보내진다. 각 오물 휩쓸기 요소(4)의 강모가, 서로 이격되어 있거나 사이에 틈을 갖는 개별적인 술(tuft)로 형성되면, 각 셰브런 내부의 압력은 증가할 것이며, 그리고 공기 흐름의 속도는 감소할 것이고, 그래서 더 적은 오물이 공기 흐름에 동반될 것이다. 또한, 강모가 비교적 강직하면, 그 강모는 통상적인 사용 중에 가해지는 하중 하에 짓눌리지 못하게 되며 그래서 노즐(2)과 청소 표면(30) 사이에 효과적인 시일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도구의 강모는 일반적으로 강직하고 청소 표면을 휘젓도록 되어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도구(1)의 오물 휩쓸기 요소(4)는 청소 표면(30)을 휘젓기 위한 것이 아니다. 대신에, 오물 휩쓸기 요소(4)는 노즐(2)과 청소 표면(30) 사이에 시일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셰브런 안으로 끌려 들어온 오물을 중앙 흡입 개구(15)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연한 강모의 제공으로 적어도 2가지의 추가 이점이 얻어진다. 첫째, 청소 표면(30)에 자국이 남는 것을 피할 수 있거나 적어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도구(1)는 비교적 섬세한 표면을 청소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둘째, 도구(1)가 청소 표면(30)과 완벽히 평행하게 유지되지 않을 때에도, 그럼에도 강모는 각각의 중앙 흡입 개구(15) 주위에서 v-형 시일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구(1)는 노즐(2)의 후방부(10)가 전방부(9)에 대해 약간 상승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도구(1)에 가해지는 하향력에 의해 노즐(2)의 전방부(9)에 있는 강모가 짓눌리게 되어, 노즐(2)의 후방부(10)에 있는 강모가 청소 표면(30)과 접촉하여 원하는 시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강모가 비교적 강직하면, 노즐(2)의 전방부(9)에 있는 강모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하향력 하에서 짓눌리지 못하게 되며, 그래서 노즐(2)의 후방부(10)에 있는 강모가 청소 표면(30)과 접촉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그 결과, 강모는 불량한 시일링을 제공할 것이고 그래서 도구(1)의 청소 성능이 나쁜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중앙 흡입 개구(15)는 오물 휩쓸기 요소(4)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중앙 흡입 개구(15)는 적어도 강모의 길이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오물 휩쓸기 요소(4)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강모가 사용 중에 짓눌리면, 그 강모는 중앙 흡입 개구(15) 안으로 들어가 그 개구를 제한하지 않거나, 또는 그 중앙 흡입 개구를 막지 않는다.
사용 중에, 오물은 중앙 흡입 개구(15) 중의 하나를 막을 수 있다. 이런 일이 일어나면, 대응하는 가장자리 흡입 개구(16)가 중앙 개구(15)의 막힘을 해소하는 것을 도와주어, 노즐(2) 내부의 공기 흐름을 제공하며, 이 공기 흐름은 잡힌 오물을 휘저어 떼어내는데 도움을 준다. 중앙 흡입 개구(15)에 추가로 가장자리 흡입 개구(16)의 제공으로 오물 픽업을 개선해야 한다는 것은 다소 반직관적인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결국, 가장자리 흡입 개구(16)는 불가피하게 중앙 흡입 개구(15)에서의 흡입을 저하시킬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자리 흡입 개구(16)가 포함되면 오물 픽업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적 얕은 높이 때문에, 도구(1)는 비교적 작은 틈새를 갖는 영역에도 접근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구(1)는, 그렇지 않은 경우 종래의 청소기 헤드로는 불가능한 것으로 입증된 물품의 아래나 뒤도 청소할 수 있다. 노즐(2)의 높이만 비교적 얕을 뿐만 아니라, 연결 덕트(3)도 그렇다. 특히, 덕트(3)는 평평한 프로파일을 가지며, 높이는 폭 보다 작고, 덕트(3)는 노즐(2)의 정상부(5) 및 기부(6)에 평행한 축선을 따라 노즐(2)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결과, 단지 노즐(2) 뿐만 아니라, 도구(1) 전체도 비교적 얕고, 작은 틈새를 갖는 물품의 아래나 뒤에서 밀릴 수 있다. 도구(1)의 높이가 비교적 얕지만, 노즐(2)의 폭과 길이는 청소 표면(30)을 가로질러 휩쓸기 위한 비교적 큰 면적을 제공한다.
이제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상기 도구(1)는 청소 표면(30)의 가장자리(31) 또는 코너(32)를 청소하기에 잘 적합하게 되어 있다.
도 5는 청소 표면(30)의 가장자리(31), 예컨대 청소 표면(30)과 벽(33) 사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청소하는데 사용될 때의 도구(1)를 도시한다. 그 가장자리(31)를 따라 청소하기 위해, 노즐(1)의 모따기된 부분(11)이 벽(33)과 접촉하게 된다. 도구(1)를 직접 옆으로 휩쓸기 보다는(이 경우 도구(1)를 벽(33)으로부터 멀어지게 끌어 당길 것임), 대신에 도구(1)를 대체로 앞 방향으로 밀게 된다. 벽(33)에 대한 미는 힘의 각도에 때문에, 그 미는 힘에 의해 도구(1)는 벽(33)과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청소 표면(30)을 따라 옆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그러므로, 모따기된 부분(11)으로 얻어지는 이점은, 단순히 도구(1)를 앞으로 밀어 도구(1)가 벽(33)과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청소 표면(30)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노즐(2)의 전방부(9)가 정사각형이면, 사용자는 동시에 도구(1)를 앞으로 밀면서 도구(1)를 옆으로 끌어 당길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2가지의 힘, 즉 끄는 힘과 미는 힘을 제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 결과, 벽(33)을 따라 도구(1)를 끌어 당기는 것은 일반적으로 더 수고스럽게 느껴질 것이다. 추가로, 도구(1)는 벽(33)을 따라 단속적으로 이동하기가 더 쉬울 것이다.
도구(1)는 모따기된 부분(11)을 따라 벽(33)과 접촉하므로, 모따기 되지 않은부분(12)은 벽(33)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모따기 되지 않은 부분(12)에 있는 흡입 개구(17)는 가장자리(31)을 따라 그로부터 오물을 끌어 들이는 작용을 한다. 흡입 개구(17)가 모따기된 부분(11) 쪽으로 이동하면, 그 흡입 개구는 벽(33)에 바로 인접하게 될 것이다. 이는 좋은 아이디어인 것으로 생각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흡입 개구가 청소 표면(30)의 가장자리(31)에 더 가깝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벽(33)은 흡입 개구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을 막는 작용을 할 것인데, 오물을 픽업하여 동반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은 그 공기 유동이다. 그 결과, 가장자리(31)를 따른 오물의 픽업은 실제로 악화될 것이다. 모따기 되지 않은 부분(12)에 흡입 개구(17)를 제공함으로써, 흡입 개구(17)와 벽(33)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이 틈에 의해, 비교적 양호한 공기 흐름이 가장자리(31)를 따라 흡입 개구(17) 안으로 흡인되며 그 결과 양호한 오물 픽업이 일어나게 된다.
도 6은 청소 표면(30)의 코너(32)에서 청소하는데 사용될 때의 도구(1)를 도시한다. 이 도구(1)는, 모따기된 부분(11)이 한 벽(33)을 따라 있고 모따기 되지 않은 부분(12)의 가장자리는 다른 벽(34)과 접촉하도록 코너(32) 안으로 밀린다. 모따기 되지 않은 부분(12)에 있는 흡입 개구(17)는 두 벽(33, 34)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그 결과, 비교적 양호한 공기 흐름이 코너(32) 안으로 흡인되어 양호한 오물 픽업이 일어난다.
도구(1)는, 표면(30) 위에서 옆으로 휩쓸리는 것에 추가로, 90도로 회전할 수 있고 또한 그의 측면에서 좁은 공간을 청소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런식으로 사용될 때, 가장자리 흡입 개구(16)는, 그렇지 않은 경우 노즐(2)의 기부(6)가 도달할 수 없는 표면으로부터 오물을 픽업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좁은 간격을 갖는 2개의 바닥 직립 물품 사이에서 청소할 수 있다. 도구(1)는 옆으로 두 물품 사이에 삽입되어 바닥 위에서 앞뒤로 밀릴 수 있다. 그 결과, 바닥 상의 오물이 바닥에 인접해 있는 가장자리 흡입 개구(16)에 의해 픽업될 수 있다. 추가로, 모따기 되지 않은 부분(12)이 바닥에 인접하도록 도구(1)가 배향되면, 노즐(2)의 전방부(9)에 있는 흡입 개구(17)가 또한 오물을 픽업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노즐(2)의 전방부(9)는 모따기된 부분(11)과 모따기 되지 않은 부분(12)을 포함한다. 그러나, 모따기 되지 않은 부분(12)도 모따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일반적인 의미로, 노즐(2)의 전방부(9)는 모따기된 부분(11)및 추가 부분(12)을 갖는다고 말할 수 있으며, 그 추가 부분은 모따기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추가 부분(12)은 모따기 각(β)을 가질 수 있는데, 이 각은 (a) 90도 미만이거나, (b) 90도 이거나(즉, 모따기되어 있지 않음), 또는 (c) 90도 보다 크다. 3개의 모든 실시 형태에서, 가장자리 청소 중에 벽(33)과 흡입 개구(17) 사이에 틈이 유지된다.
도 1 내지 6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모따기된 부분(11)은 50도의 모따기 각(α)을 갖는다. 그 결과, 모따기된 부분(11)과 추가 부분(12) 사이의 내각(γ)은 140도가 된다. 앞 단락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추가 부분(12)의 모따기 각(β)은 90도일 필요는 없다. 더욱이, 모따기된 부분(11)의 모따기 각(α)은 50도일 필요는 없다. 그 결과, 두 부분(11, 12) 사이의 내각(γ)은 140도 보다 작거나 클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설명할 이유로, 내각(γ)이 9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는 작을 때만 전술한 여러 이점들이 얻어진다.
상기 내각이 90도이면, 상기 추가 부분(12)은 모따기된 부분(11)에 대해 직각으로 있게 된다. 따라서, 도구(1)가 코너(32) 안으로 밀리고 모따기된 부분(11)이 한 벽(33)을 따라 있을 때, 추가 부분(12)은 다른 벽(34)을 따라 있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벽(34)은 흡입 개구(17)를 덮어 차단할 것이다. 그 결과, 도구(1)는 코너에 잡혀 있는 오물을 픽업하는 능력이 비교적 불량할 것이다.
상기 내각이 180도이면, 상기 추가 부분(12)은 모따기된 부분(11)과 동일한 평면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노즐(2)의 전방부(9)는 2개의 개별적인 부분이 아닌 하나의 사면 부분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도구(1)가 가장자리(31)를 따라 청소하는데에 사용되고 모따기된 부분(11)이 벽(33)과 접촉하게 되면, 추가 부분(12)도 그 벽(33)과 접촉할 것이다. 그러므로 벽(33)이 흡입 개구(17)를 덮어 차단할 것이다. 그 결과, 도구(1)는 가장자리(31)를 따라 오물을 픽업하는 능력이 비교적 불량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따기된 부분(11)과 추가 부분(12) 사이의 내각(γ)은 140도 보다 작거나 클 수 있다. 그러나, 내각이 135도와 현저히 다르지 않으면 이점이 있다. 도구(1)가 코너(32) 안으로 밀리고 모따기된 부분(11)이 한 벽(33)을 따라 있을 때, 두 부분(11, 12) 사이의 내각이 135도이면, 추가 부분(12)은 두 벽(33, 34) 각각과 45도의 각도를 이룰 것이다. 그 결과, 흡입 개구(17)는 바로 코너(32) 쪽으로 정렬된다. 내각이 135도와 점점 다르게 됨에 따라, 흡입 개구(17)는 코너(32)로부터 두 벽(33, 34) 중의 하나 쪽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두 부분(11, 12) 사이의 내각(γ)이 120도와 150도 사이에 있게 함으로써, 코너에서 비교적 양호한 오물 픽업을 이룰 수 있다.
모따기된 부분(11)은 상기 추가 부분(12) 보다 긴데, 이와 관련하여 적어도 2가지의 이점이 있다. 첫째, 비교적 긴 모따기된 부분(11)을 가짐으로써, 도구(1)를 벽(33)을 따라 밀 때 그 도구(1)의 안정성이 개선된다. 특히, 더 긴 모따기된 부분(11)은 벽(33)에 대한 도구(1)의 요동을 줄이는데에 도움을 준다. 그 결과, 사용자는, 도구(1)가 벽(33)을 따라 밀릴 때 도구(1)와 벽(33) 사이의 접촉을 더 잘 유지할 수 있어, 가장자리(31)를 따른 오물 픽업이 개선된다. 둘째, 비교적 짧은추가 부분(12)을 가짐으로써, 노즐(2)의 전방부(9)에 있는 흡입 개구(17)는 청소 표면(30)의 가장자리(31) 또는 코너(32)에 비교적 더 가까이 유지된디. 그 결과, 가장자리(31)를 따른 그리고 코너(32)에서의 오물 픽업이 비교적 양호하게 된다.
모따기된 부분(11)이 가장자리 청소 중에 벽(33)과 접촉하고 도구(1)가 앞 방향으로 밀릴 때, 그 도구(1)에 작용하는 힘은 2개의 성분, 즉 벽(33)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 1 성분 및 벽(33)에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 2 성분으로 분해될 수 있다(예컨대, 도 5 참조). 상기 제 1 성분에 의해 도구(1)가 벽(33)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되고, 제 2 성분은 도구(1)를 벽(33)에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디. 전술한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모따기된 부분(11)은 50도의 모따기 각(α)을 갖는다. 그 결과, 상기 두 성분은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이와 관련한 이점으로서, 도구(1)가 앞으로 밀릴 때 그 도구(1)는 벽(33)과의 양호한 접촉을 유지하면서 비교적 쉽게 벽(33)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모따기 각이 감소함에 따라, 제 1 성분의 크기가 감소하고 제 2 성분의 크기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성분으로 인한 증가된 마찰력 때문에 도구(1)를 벽(33)을 따라 미는 것이 더 힘들게 된다. 추가로, 증가된 마찰력 때문에, 도구(1)는 벽(33)을 따라 단속적으로 이동하기가 점점 더 쉽게 된다. 반대로, 모따기 각이 증가함에 따라, 제 1 성분의 크기가 증가하고 제 2 성분의 크기는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구(1)를 벽(33)을 따라 미는 것이 더 쉽게 된다. 그러나, 모따기된 부분(11)의 전체 길이를 따라 그 모따기된 부분(11)과 벽(33) 사이의 양호한 접촉을 유지하는 것은 점점더 어렵게 된다. 특히, 도구(1)가 상기 모따기된 부분(11)의 후미 가장자리에서 선회하여 상기 추가 부분(12)과 흡입 개구(17)를 가장자리(17)로부터 멀어지게 끌어 당기기가 점점 더 쉽게 된다. 따라서, 모따기된 부분(11)이 50도의 모따기 각을 갖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30도와 60도 사이의 모따기 각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모따기된 부분(11)은 완전히 폐쇄되어 있는데, 즉 그 모따기된 부분(11)에는 흡입 개구가 제공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도구(1)의 전방부(9)는 상기 추가 부분(12)에만 제공되어 있는 하나의 흡입 개구(17)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따기된 부분(11)은 가장자리 청소 중에 벽(33) 등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벽(33)은 개구를 덮어 차단하는 역할만 할 것이기 때문에, 모따기된 부분(12)에 있는 흡입 개구는 가장자리 청소 중에 큰 이점을 제공할 것 같지는 않다. 한편, 도구(1)가 가장자리 청소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 모따기된 부분(12)에 있는 흡입 개구는 노즐(2)의 기부(6)에 있는 흡입 개구(15, 16)에서의 흡입을 감소시키는 역할만 할 것이다. 그럼에도, 명백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모따기된 부분(12)에 흡입 개구(들)를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노즐(2)의 측부(8)에 인접하는 상기 모따기된 부분(12)의 단부에 하나의 흡입 개구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구(1)가 그의 측부에서 사용되고 또한 그 모따기된 부분(12)이 청소 표면(30)에 인접하도록 도구(1)가 배향되면, 모따기된 부분(12)에 있는 흡입 개구는 오물을 픽업하는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럼에도, 노즐의 전체 전방부가 개방되어 있는 다른 도구와는 달리, 모따기된 부분(12)은 계속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각각의 중앙 흡입 개구(15)는 각각의 셰브런에 의해 규정되는 면적의 대략 5%인 면적을 갖는다. 다른 크기의 흡입 개구도 물론 가능하다. 각각의 중앙 흡입 개구(15)의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개구(15)에서의 흡입이 증가된다. 그 결과, 도구(1)는 더 무거운 오물을 더 잘 픽업할 수 있다. 그러나, 더 작은 흡입 개구는 오물에 의해 막히기가 더 쉽다. 반대로, 각각의 중앙 흡입 개구(15)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막힘의 가능성은 줄어든다. 그러나, 각 개구(15)에서의 흡입은 감소하여 오물 픽업이 더 불량하게 된다. 추가로, 각각의 흡입 개구(15)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노즐(2)의 길이에 걸친 흡입은 덜 잘 균형잡히게 된다. 예컨대, 연결 덕트(3)가 노즐(2)의 후방부(10)에 부착되므로, 일반적으로 흡입은 가장 뒤쪽의 흡입 개구에서 가장 크다. 흡입 개구(15)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가장 뒤쪽의 흡입 개구를 통해 더 많은 공기가 끌려 들어가, 가장 앞쪽의 흡입 개구에서는 가용 흡입력이 더 적게 된다. 그 결과, 도구(1)의 전방 단부에서의 오물 픽업이 악화될 것이다. 따라서, 다른 크기의 흡입 개구(15)가 가능하지만, 각각의 흡입 개구는 각각의 셰브런에 의해 규정되는 면적의 20% 이하인 면적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중앙 흡입 개구(15)에 추가로, 도구(1)는 가장자리 흡입 개구(16)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 흡입 개구(16)는 적어도 2가지의 이점을 갖는다. 첫째. 중앙 흡입 개구(15)가 막히면, 가장자리 흡입 개구(16)를 통해 흡인되는 공기 흐름이 오물을 휘저어 떼어내는데에 도움을 준다. 둘째, 도구(1)가 그의 측면에서 사용될 때, 가장자리 흡입 개구(16)는, 그렇지 않은 경우 노즐(2)의 기부(6)가 도달할 수 없는 표면으로부터 오물을 픽업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이들 이점에도 불구하고, 가장자리 흡입 개구(6)를 생략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진공 청소기에 의해 제공되는 흡입이 비교적 약할 때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노즐(2)의 기부(6)와 측부(7, 8) 모두에 걸치는 가장자리 흡입 개구(16)를 갖기 보다는, 가장자리 흡입 개구(16)는 노즐(2)의 측부(7, 8)에만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가장자리 흡입 개구(16)의 크기가 줄어드는 이점이 얻어지는데, 이는 진공 청소기에 의해 제공되는 흡입이 비교적 약할 때 바람직하다. 그러나, 노즐(2)의 기부(6)와 측부(7, 8) 모두에 걸치는 가장자리 흡입 개구(16)를 가지면 추가의 이점이 얻어진다. 도구(1)가 그의 측면에서 사용될 때, 오뮬이 가장자리 흡입 개구(16)의 측면부를 막을 수 있다. 그러나, 가장자리 흡입 개구(16)가 노즐(2)의 기부(6)와 측부(7, 8) 모두에 걸쳐 있으므로, 가장자리 흡입 개구(16)의 기부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은 계속 있게 된다. 그리고 이 공기 흐름은 오물을 휘저어 측면부로부터 떼어내는데에 도움을 준다. 마찬가지로, 청소 표면(30) 위에서 노즐(2)의 기부(6)를 휩쓸 때, 오물이 가장자리 흡입 개구(16)의 기부를 막으면, 상기 측면부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이 오물을 휘저어 떼어내는데에 도움을 준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도구(1)는 4개의 오물 휩쓸기 요소(4)를 포함하고, 각각의 요소는 강모 스트립을 포함한다. 4개의 개별적인 스트립이 제공됨으로써 도구(1)의 제조와 조립이 간단하게 된다. 그러나, 도구(1)는 W-형으로 형성되는 단일 오물 휩쓸기 요소(4)(예컨대, 단일의 강모 스트립)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면, 서로 인접하는 오물 휩쓸기 오소(4) 사이의 작은 틈을 피할 수 있고 그래서 노즐(2)과 청소 표면(30) 사이의 시일이 개선되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각각의 오물 휩쓸기 요소는, 강모 대신에, 노즐(2)과 청소 표면(30) 사이의 시일을 형성하기 위한 대안적인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오물 휩쓸기 요소(4)는 탄성중합 발포체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스트립은 PTFE와 같은 저마찰 코팅을 가질 수 있다.

Claims (13)

  1. 진공 청소기용 도구로서, 노즐, 및 진공 청소기의 봉(wand), 호스 등에 부착되는 덕트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흡입 개구가 노즐의 기부에 제공되어 있고, 노즐의 전방부는 모따기된 부분 및 추가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 부분에는 흡입 개구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모따기된 부분은 폐쇄되어 있으며, 모따기된 부분과 추가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내각은 9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는 작은, 진공 청소기용 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된 부분은 추가 부분 보다 길게 되어 있는, 진공 청소기용 도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정상부는 폐쇄되어 있는, 진공 청소기용 도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적어도 하나의 측부에는 하나 이상의 흡입 개구가 제공되어 있는, 진공 청소기용 도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흡입 개구가 부분적으로 기부에 제공되고 또한 부분적으로 노즐의 측부에 제공되도록 하나 이상의 흡입 개구가 노즐의 기부와 측부 사이에 있는 노즐의 가장자리에 제공되어 있는, 진공 청소기용 도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높이는 노즐의 폭 및 길이 모두 보다 작은, 진공 청소기용 도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각은 120도와 150도 사이인, 진공 청소기용 도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된 부분은 30도와 60도 사이의 모따기 각을 갖는, 진공 청소기용 도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된 부분은 노즐의 제 1 측부에 대해 30도와 60도 사이의 모따기 각을 가지며, 상기 추가 부분은 노즐의 제 2 반대 측부에 대해 90도의 모따기 각을 갖는, 진공 청소기용 도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노즐의 기부에 평행한 축선을 따라 노즐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진공 청소기용 도구.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높이는 덕트의 폭 보다 작은, 진공 청소기용 도구.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오물 휩쓸기 요소가 노즐의 기부에 제공되어 있는, 진공 청소기용 도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오물 휩쓸기 요소는 강모(bristle)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용 도구.
KR1020167025031A 2014-02-10 2015-01-30 진공 청소기용 도구 KR1018334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402269.3 2014-02-10
GB1402269.3A GB2522912B (en) 2014-02-10 2014-02-10 Vacuum cleaner tool
PCT/GB2015/050234 WO2015118305A1 (en) 2014-02-10 2015-01-30 Vacuum cleaner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855A KR20160119855A (ko) 2016-10-14
KR101833411B1 true KR101833411B1 (ko) 2018-02-28

Family

ID=5039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031A KR101833411B1 (ko) 2014-02-10 2015-01-30 진공 청소기용 도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92918B2 (ko)
EP (1) EP3104761B1 (ko)
JP (2) JP2015150431A (ko)
KR (1) KR101833411B1 (ko)
CN (1) CN104825095B (ko)
AU (1) AU2015213863B2 (ko)
GB (1) GB2522912B (ko)
WO (1) WO20151183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1678B2 (en) * 2013-11-12 2018-04-03 Inter-Source Recovery Systems Pneumatic chip collector
GB2522911B (en) 2014-02-10 2018-10-24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tool
EP3128890B1 (en) 2014-04-07 2019-09-11 Tiger Tool International Incorporated Power head for vacuum systems
KR102573775B1 (ko) * 2015-09-10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흡입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흡입 장치
US10849475B1 (en) 2016-03-04 2020-12-01 Kathleen J. Williamson Vacuum appliance dusting attachment with telescoping flexing brush and independent adjustable accordion hose attachment with handle ends
US10631696B1 (en) 2016-03-04 2020-04-28 Kathleen J. Williamson Multi-chamber vacuum cleaner dusting attachment with independent adjustable accordion hose
US11160426B1 (en) 2017-03-02 2021-11-02 Kathleen J. Williamson Amalgamated handheld vacuum appliance dusting attachment
JP7126250B2 (ja) * 2017-08-08 2022-08-26 株式会社プラナ 掃除具及び集塵ヘッド
EP3989791A4 (en) 2019-06-26 2024-04-0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 VACUUM TOOLS
US11297986B2 (en) * 2019-12-12 2022-04-12 Net Building Services, Llc Cleaning device for compact heating and/or cooling units
GB2621407A (en) * 2022-08-12 2024-02-14 Techtronic Cordless Gp A too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3283A (ja) 2001-09-26 2003-04-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10166995A (ja) 2009-01-21 2010-08-05 Panasonic Corp 電気掃除機用吸込み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6943A (en) 1939-05-26 1942-03-17 Airway Electric Appliance Corp Vacuum cleaner floor mop
BE516884A (ko) * 1952-06-24
US2824334A (en) 1954-09-13 1958-02-25 Ray J Laningham Vacuum cleaner brush head
NL300714A (ko) 1962-11-21
US4023234A (en) 1975-11-05 1977-05-17 Health-Mor, Inc. Edge cleaning nozzle construction for suction cleaners
JPS52112169U (ko) * 1976-02-19 1977-08-25
JPS52166366U (ko) * 1976-06-11 1977-12-16
JPS5383868U (ko) * 1976-12-13 1978-07-11
SE442814B (sv) * 1981-09-14 1986-02-03 Jan Tjulander Sugmunstycke for dammsugare
JPS58174052U (ja) * 1982-05-18 1983-11-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真空掃除機用隙間ノズル
JPH07112740B2 (ja) 1987-08-07 1995-12-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サーマルヘッド
JPS6440352U (ko) * 1987-09-01 1989-03-10
JP2741519B2 (ja) 1988-08-26 1998-04-22 株式会社健正堂 ロータリースクリーン印刷用メタルマスク材の製造方法
JPH0646446Y2 (ja) * 1988-08-30 1994-11-30 はる枝 小木曽 掃除機の吸込具
JPH0259754U (ko) * 1988-10-26 1990-05-01
DE3900781A1 (de) 1989-01-12 1990-07-19 Mauz & Pfeiffer Progress Universalbuerste fuer einen staubsauger
US5502870A (en) 1993-12-16 1996-04-02 Ragner; Gary D. Five-function vacuum cleaner nozzle
US5533230A (en) * 1995-05-25 1996-07-09 Jma & Associates, Inc. Vacuum cleaner attachment fitting
JPH09154780A (ja) * 1995-12-05 1997-06-17 Ryuzo Washisaki 電気掃除機にアタッチメント及び吸込具を 取り付けすき間をクリーンにする商品
JPH09327423A (ja) * 1996-06-11 1997-12-22 Akihiko Muronaga 掃除機の吸引口具
JP2001008866A (ja) 1999-07-01 2001-01-16 Keiichi Tsuchiya 電気掃除機の吸い込みヘッド
GB2364499B (en) * 2000-07-10 2004-08-04 Philip Granville Noble Stair vac nozzle
JP2002165732A (ja) 2000-12-05 2002-06-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4815474B2 (ja) * 2008-06-17 2011-11-1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DE102008021353B4 (de) 2008-04-29 2017-07-06 BSH Hausgeräte GmbH Staubsaugerdüse für einen Staubsauger
JP5244839B2 (ja) * 2010-03-11 2013-07-24 中国計器工業株式会社 掃除機用ノズル
US8402603B1 (en) 2010-06-29 2013-03-26 Christine I. Meek Vacuum cleaner nozzle
US20130319469A1 (en) * 2012-05-31 2013-12-05 Richard Borges, SR. Vacuum nozzle
GB2522911B (en) 2014-02-10 2018-10-24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to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3283A (ja) 2001-09-26 2003-04-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10166995A (ja) 2009-01-21 2010-08-05 Panasonic Corp 電気掃除機用吸込み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92918B2 (en) 2016-07-19
WO2015118305A1 (en) 2015-08-13
AU2015213863B2 (en) 2017-12-14
JP2017121539A (ja) 2017-07-13
US20150223656A1 (en) 2015-08-13
CN104825095B (zh) 2018-01-05
AU2015213863A1 (en) 2016-09-08
EP3104761B1 (en) 2019-05-29
KR20160119855A (ko) 2016-10-14
CN104825095A (zh) 2015-08-12
GB2522912A (en) 2015-08-12
GB2522912B (en) 2016-07-06
JP2015150431A (ja) 2015-08-24
EP3104761A1 (en) 2016-12-21
GB201402269D0 (en)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411B1 (ko) 진공 청소기용 도구
KR101824567B1 (ko) 진공 청소기용 도구
CN101636101A (zh) 真空吸尘器吸嘴
US9854951B2 (en) Vacuum cleaner head
US9848747B2 (en) Floor cleaning device
KR20210044285A (ko) 진공 청소기 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